반응형
CONTENTS
제1편 총칙
제1장 일반사항 1
1.1 목적 1
1.2 적용범위 1
1.3 내진성능목표 1
1.3.1 내진등급과 중요도계수 1
1.3.2 성능목표 2
1.3.3 설계응답스펙트럼 4
1.4 내진성능평가 4
1.4.1 내진성능평가 절차 4
1.4.2 내진성능평가 주요 고려항목 5
1.5 내진보강 11
1.5.1 내진보강 절차 11
1.5.2 내진보강 계획 12
1.5.3 내진보강 주요 고려사항 14
1.6 책임구조기술자 17
1.6.1 내진성능평가의 책임구조기술자 17
1.6.2 내진보강설계의 책임구조기술자 17
1.7 제3자 검토 18
1.7.1 제3자 검토의 정의 18
1.7.2 적용범위 18
1.7.3 전문가의 구성 18
1.7.4 검토 항목 18
1.8 용어 19
1.9 인용 및 참고기준 및 시방서 27
제2장 내진보강 사업절차 및 유지관리 28
2.1 일반사항 28
2.1.1 목적 28
2.1.2 일반원칙 28
2.1.3 관련 법령 및 기준 28
2.2 표준 사업절차 29
2.3 내진성능평가 32
2.3.1 일반사항 32
2.3.2 내진성능평가 발주준비 업무 2
2.3.3 발주의뢰를 위한 서류 준비 33
2.3.4 입찰 및 계약 33
2.3.5 내진성능평가 결과보고서 34
2.4 내진보강설계 34
2.4.1 일반사항 34
2.4.2 구조설계 일반사항 35
2.4.3 내진보강설계 용역별 발주 검토 36
2.4.4 내진보강설계 용역발주 및 시행 36
2.4.5 내진보강설계 결과보고서 및 도서 38
2.4.6 특수, 신기술·특허공법의 적용 39
2.4.6.1 일반사항 39
2.4.6.2 특수, 신기술·특허공법 적용여부 결정 39
2.4.6.3 특수, 신기술·특허공법 제안공모 40
2.4.6.4 제안서의 평가 및 공법선정위원회의 구성 40
2.4.6.5 선정공법의 설계 반영 41
2.5 제3자 검토 42
2.5.1 일반사항 42
2.5.2 내진보강설계 제3자 검토 42
2.5.3 제3자 검토보고서 42
2.6 내진보강공사 및 감리 43
2.6.1 목적 43
2.6.2 내진보강공사 발주 43
2.6.3 내진보강공사 착공 43
2.6.4 보강공사 감리 업무수행 및 관리 44
2.6.4.1 관련 법령 및 기준 44
2.6.4.2 내진보강공사 감리업무 확인 사항 44
2.6.4.3 내진보강공사 기술감리(현장기술자문) 45
2.6.5 내진보강공사 준공 45
2.7 유지관리 46
2.7.1 일반 46
2.7.2 유지관리를 위한 정기점검 46
2.7.3 기타 46
2.8 내진보강사업 대가 산정기준 47
2.8.1 목적 47
2.8.2 대가 산정 참고기준 47
2.8.3 내진성능평가 용역 대가 산정 47
2.8.4 내진보강설계 용역 대가 산정 47
2.8.5 내진보강공사 공사비 대가 산정 48
2.8.6 제3자 검토 대가 산정 48
제2편 학교시설 내진성능평가
제3장 사전조사 49
3.1 일반사항 49
3.2 자료조사 및 현장조사 49
3.2.1 조사항목 49
3.2.2 현장조사 49
3.3 주요 입력정보의 결정 54
3.3.1 일반사항 54
3.3.2 재료강도의 결정 54
제4장 평가절차 57
4.1 일반사항 57
4.1.1 평가방법에 따른 매뉴얼의 적용 7
4.1.2 모델링 58
4.1.3 비틀림의 고려방법 58
4.1.4 지하층의 모델링 58
4.1.5 감쇠비 58
4.1.6 건물 사이의 간격 59
4.1.7 변형지배거동과 힘지배거동 60
4.1.8 1차부재 및 2차부재 61
4.1.9 재료강도와 부재강도 61
4.2 선형해석평가 62
4.2.1 선형해석평가방법의 목적 62
4.2.2 일반 고려사항 63
4.2.3 해석모델과 보유강도의 계산 64
4.2.4 지진력 저항시스템과 설계계수 66
4.2.5 평가법의 절차 69
4.2.6 강도비 평가시 고려사항 77
4.2.7 층간변위의 검토 80
4.2.8 결과의 판정 80
4.2.9 평가결과의 보고 81
4.2.10 보강설계에 활용방법 81
4.3 m 계수법 83
4.3.1 일반사항 83
4.3.2 m 계수법의 적용제한 84
4.3.3 m 계수 정적절차의 적용 제한 85
4.3.4 m 계수 정적절차 86
4.3.5 m 계수 동적절차 88
4.3.6 주기 89
4.3.7 하중조합 및 다축가진효과 90
4.3.8 부재별 허용기준 92
4.4 비선형정적절차 93
4.4.1 일반사항 93
4.4.2 구조요소의 모델링 94
4.4.3 횡하중의 수직분포 95
4.4.4 하중조합 및 다축가진효과 95
4.4.5 성능점의 산정 95
4.5 비선형동적절차 98
4.5.1 일반사항 98
4.5.2 하중조합 및 다축가진효과 98
4.5.3 평가용 지진파 99
4.5.4 해석모델 99
4.5.5 감쇠비 100
4.5.6 부재력과 변형의 산정 100
4.6 구조실험을 통한 모델링변수 및 허용기준의 산정절차 101
4.6.1 구조실험계획 101
4.6.2 데이터 정리 및 보고 101
4.6.3 모델링 주요 변수와 허용기준의 산정 101
4.7 m 계수법과 비선형해석평가의 성능수준 판정 104
제5장 철근콘크리트구조 107
5.1 일반사항 107
5.2 재료강도 107
5.3 해석 모델의 고려사항 108
5.3.1 해석 모델의 적용 108
5.3.2 유효강성 109
5.3.3 부재강도 109
5.3.4 섬유요소모델 110
5.4 철근콘크리트 모멘트 골조 111
5.4.1 일반사항 111
5.4.2 해석모델 및 강성 111
5.4.3 강도 114
5.4.3.1 보의 강도 114
5.4.3.2 기둥의 강도 115
5.4.3.3 보-기둥 접합부의 강도 116
5.4.4 모델링 변수 및 허용기준 117
5.4.4.1 m 계수법 118
5.4.4.2 비선형해석평가 121
5.5 철근콘크리트 전단벽 구조 125
5.5.1 일반사항 125
5.5.2 강성 125
5.5.3 강도 125
5.5.4 모델링 변수 및 허용기준 127
5.5.4.1 m 계수법 127
5.5.4.2 비선형해석평가 129
5.6 콘크리트용 앵커 133
5.7 철근의 정착 및 이음 134
제6장 조적채움벽구조와 조적조 136
6.1 조적채움벽 골조 136
6.1.1 일반사항 136
6.1.1.1 모델링 개념 136
6.1.1.2 재료 시험 137
6.1.1.3 재료 특성 기본값 140
6.1.2 면내 강성 141
6.1.3 면내 전단강도 146
6.1.4 모델링 주요 변수 및 허용기준 149
6.1.4.1 선형해석평가 149
6.1.4.2 m계수법 150
6.1.4.3 비선형정적절차 152
6.1.4.4 비선형동적절차 154
6.1.4.5 인접골조의 검토 154
6.1.5 면외방향의 검토 155
6.2 조적조 158
6.2.1 일반사항 158
6.2.2 강성 158
6.2.3 강도 158
6.2.4 모델링 주요 변수 및 허용기준 160
6.2.4.1 선형해석평가 160
6.2.4.2 m-계수법 160
6.2.5 면외방향의 검토 161
제7장 강구조 163
7.1 일반사항 163
7.2 재료강도 및 상태평가 163
7.2.1 재료강도 163
7.2.2 상태평가 165
7.3 평가 요구사항 166
7.3.1 부재 166
7.3.2 기초 연결 166
7.3.3 철골 지붕 또는 철골 증축부 166
7.4 철골모멘트골조 167
7.4.1 일반사항 167
7.4.2 해석모델 168
7.4.2.1 선형해석평가 및 m 계수법 168
7.4.2.2 비선형해석평가 169
7.4.3 강도 172
7.4.3.1 m 계수법 172
7.4.3.2 비선형해석평가 173
7.4.4 허용기준 174
7.4.4.1 m 계수법 174
7.4.4.2 비선형해석평가 179
7.5 철골 중심가새골조 182
7.5.1 일반사항 182
7.5.2 해석모델 182
7.5.2.1 선형해석평가 및 m 계수법 182
7.5.2.2 비선형해석평가 182
7.5.3 강도 183
7.5.3.1 m 계수법 183
7.5.3.2 비선형해석평가 183
7.5.4 허용기준 183
7.5.4.1 m 계수법 184
7.5.4.2 비선형해석평가 184
7.6 경량지붕다이아프램 186
제8장 기초 및 지반 187
8.1 일반사항 187
8.2 지반조사 188
8.2.1 지반조사의 목적 188
8.2.2 지반조사 방법 188
8.2.3 지반조사 보고서 190
8.3 구조물의 해석을 위한 기초지반의 모델링 190
8.3.1 얕은기초 190
8.3.2 말뚝기초 193
8.4 기초의 안전성평가 194
8.4.1 기초의 기대지지력 194
8.4.2 얕은기초 195
8.4.3 말뚝기초 196
8.5 액상화 평가 197
8.6 기타 흙 구조물의 안전성평가 200
8.6.1 옹벽 200
8.6.2 비탈면(급경사지) 201
제9장 비구조요소의 내진성능평가 202
9.1 일반사항 202
9.1.1 목적 202
9.1.2 평가절차 202
9.2 비구조요소의 성능목표 203
9.3 정보수집 및 성능취약부 육안평가 204
9.4 해석적 평가절차 204
9.4.1 평가절차 204
9.4.2 평가지진력 산정 205
9.4.3 변위 산정 209
9.4.4 가속도 산정 209
9.5 실험적 평가절차 210
9.6 비구조요소의 정의 및 허용기준 210
9.6.1 건축 비구조요소 210
9.6.1.1 외부에 접착 또는 앵커로 고정되는 중량 외장재 210
9.6.1.2 칸막이벽 211
9.6.1.3 커튼월, 칸막이벽에 끼워진 유리 212
9.6.1.4 매달린 천장 214
9.6.1.5 이중바닥 215
9.6.1.6 중량 파라펫 216
9.6.2 기계/전기 설비 비구조요소 217
9.6.2.1 기계장비 217
9.6.2.2 전기 및 통신설비 218
9.6.3 배관 219
9.6.3.1 압력배관 219
9.6.3.2 소화배관 220
제3편 학교시설 내진보강
제10장 내진보강공법의 선정 221
10.1 내진성능평가결과의 분석 221
10.2 내진성능보강 계획 222
10.2.1 강도 및 강성증가 222
10.2.2 연성증가 223
10.2.3 하중저감 223
10.2.4 구조항목별 보강계획 225
10.3 내진성능보강방법 및 선정 226
10.4 보강구조의 성능평가를 위한 설계계수 228
제11장 시스템보강 일반공법 229
11.1 일반사항 229
11.1.1 개요 229
11.1.2 주요 고려사항 229
11.1.3 시스템보강 방안 230
11.2 철근콘크리트구조 232
11.2.1 철근콘크리트 채움벽 232
11.2.2 전단벽 증설 및 신설 236
11.2.3 기둥날개벽 237
11.2.4 모멘트골조 238
11.2.5 철골 끼움골조 239
11.2.6 철골 가새골조 243
11.2.7 철골 끼움가새 244
11.2.8 부축벽 246
11.2.9 강판 채움벽 246
11.2.10 기둥과 내력벽 248
11.2.11 충전벽 증설 249
11.2.1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 249
11.3 강구조 및 합성구조 251
11.3.1 가새 251
11.3.2 철골 끼움골조 253
11.3.3 강재 기둥 253
11.3.4 채움벽 253
제12장 기존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보강 255
12.1 일반사항 255
12.1.1 기본 요구사항 255
12.1.2 재료의 강도 255
12.1.3 내화요구사항 255
12.2 부재 보강공법 256
12.2.1 기둥 보강 256
12.2.2 보의 보강 259
12.2.3 벽체 보강 260
12.2.4 다이아프램 슬래브 보강 261
12.2.5 시공시 주요 고려사항 261
12.3 휨 설계 262
12.3.1 일반사항 262
12.3.2 섬유복합체 보강 262
12.3.3 강판 보강 264
12.3.4 증타설 보강 264
12.4 압축 설계 265
12.4.1 일반사항 265
12.4.2 섬유복합체 보강 265
12.4.3 강판 보강 266
12.4.4 증타설 보강 267
12.5 전단 설계 267
12.5.1 일반사항 267
12.5.2 섬유복합체 보강 267
12.5.3 강판 보강 269
제13장 기존 비보강 조적조 및 조적채움벽의 보강 270
13.1 일반사항 270
13.2 조적벽 신설 271
13.2.1 철거 후 신설 271
13.2.2 개구부 보강 271
13.3 표면 보강 271
13.3.1 모르타르 보강 271
13.3.2 섬유보강재 보강 272
13.4 보강재 설치 273
13.4.1 콘크리트 벽체 보강 273
13.4.2 철골 골조 보강 273
13.5 일체성 강화 273
13.5.1 앵커-타이 공법 273
13.5.2 조적채움벽제 전도 방지 274
제14장 기존 강구조 및 합성구조의 보강 276
14.1 일반사항 276
14.2 부재 단면 보강 276
14.2.1 기둥 단면 보강 276
14.2.2 보 단면 보강 278
14.3 좌굴방지를 위한 부재 보강 278
14.3.1 횡지지 부재 설치 278
14.3.2 웨브 스티프너 설치 279
14.4 접합부 성능향상 279
14.4.1 취약부 개선 방안 279
14.4.1.1 노치 제거 279
14.4.1.2 틈새 도입 279
14.4.1.3 용접에 의한 이음부 보강 279
14.4.2 플랜지 보강 280
14.4.3 헌치 보강 281
14.4.4 중량 전단탭 보강 281
14.4.5 하부 플랜지 절취 282
14.5 패널존 보강 282
14.6 주각부 보강 283
14.7 특수부위의 보수 284
14.8 가새 추가 284
14.8.1 일반사항 284
14.8.2 설계 고려사항 285
14.9 데크 플레이트 및 지붕 구조 보강 286
14.9.1 전단성능 향상 286
14.9.2 수평가새 설치 287
14.9.3 인장 로드 수평가새 288
제15장 기존 구조-보강재 연결부 289
15.1 일반사항 289
15.2 후설치 앵커 289
15.2.1 일반사항 289
15.2.2. 지진하중에 저항하는 앵커의 요구사항 289
15.2.3 인장강도 291
15.2.4 전단강도 298
15.2.5 조합응력 302
15.2.6 쪼갬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연단거리, 앵커 간격 및 두께 303
15.2.7 품질관리 303
15.3 보강철근의 정착 및 이음 304
15.3.1 기존 콘크리트에 정착 304
15.3.2 기존 철근과의 이음 304
15.3.3 불충분한 겹침길이 304
15.4 합성수지 306
15.4.1 일반사항 306
15.4.2 콘크리트 간의 접합 306
15.4.3 콘크리트와 강판의 접합 306
15.5 신구 콘크리트 사이의 하중 전달 306
15.5.1 압축력의 전달 306
15.5.2 전단력의 전달 307
15.6 기존 콘크리트와 신설 철골조의 간접접합 308
15.6.1 스터드 앵커 08
15.6.2 후설치 앵커 308
15.6.3 쪼개짐 방지 철근 309
제16장 기초 및 지반의 보강 311
16.1 일반사항 311
16.2 기초의 보강설계 311
16.3 기초의 신설 311
16.4 기초단면 확대공법 311
16.5 기초연결 공법 312
16.6 마이크로파일 공법 312
제17장 비구조요소의 내진보강 314
17.1 일반사항 314
17.1.1 목적 314
17.1.2 내진보강 방향 및 절차 314
17.2 보강 여부 판정 314
17.3 비구조요소의 내진보강 315
17.3.1 건축 비구조요소 316
17.3.1.1 외부에 접착 또는 앵커로 고정되는 중량 외장재 316
17.3.1.2 칸막이벽 317
17.3.1.3 커튼월, 칸막이벽에 끼워진 유리 317
17.3.1.4 매달린 천장 318
17.3.1.5 이중바닥 320
17.3.1.6 중량 파라펫 320
17.3.2 기계/전기 설비 비구조요소 321
17.3.2.1 기계장비 321
17.3.2.2 전기 및 통신설비 321
17.3.3 배관 322
17.3.3.1 압력 배관 322
17.3.3.2 소화 배관 322
제18장 특수공법 323
18.1 일반사항 323
18.2 특수공법의 범위 323
18.3 성능입증 및 검증 324
18.3.1 절차 및 기본 요구사항 324
18.3.2 성능입증방법 324
18.3.3 실험입증 절차 325
18.3.4 정밀구조해석에 의한 입증 325
18.4 감쇠장치 326
18.4.1 감쇠장치 성능 요구사항 326
18.4.2 수치모델링 327
18.4.2.1 변위의존형 장치 328
18.4.2.2 속도의존형 장치 328
18.4.2.3 기타 장치 329
18.4.3 비선형동적해석절차 330
18.4.4 상세 요구사항 330
18.4.4.1 일반사항 330
18.4.4.2 풍하중 330
18.4.4.3 검사 및 교체 330
18.4.4.4 품질관리 330
18.4.4.5 유지관리 331
18.4.4.6 감쇠장치 효과의 검증 331
18.4.5 설계검토 331
18.4.6 시험 331
18.4.6.1 일반사항 331
18.4.6.2 장치원형 시험 332
18.4.6.3 성능평가 333
18.4.6.4 적정성 334
18.4.6.5 품질관리시험 335
부록 337
부록 1. 학교시설 내진성능평가 용역 과업지시서(예시) 337
부록 2. 학교시설 내진보강설계 용역 과업지시서(예시) 353
교육청
반응형
'구조/교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량 상부 MSS 가설 공법 (0) | 2023.10.19 |
---|---|
교량 상부 PSM 가설 공법 (0) | 2023.10.18 |
구조물 방수공법 비교 (벤토나이트,아크릴시트,폴리우레탄,폴리아스...) (6) | 2023.05.14 |
교량신축이음 - 핑거조인트(Finger Joint) / 레일조인트(Rail Joint) (0) | 2023.04.22 |
강관 가로보 (PSC 거더의 횡변위 보정) (0) | 2022.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