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목    차

1. 동해안권 발전종합계획 주요 내용

2.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 주요 내용

3. 해안권 발전구상 도면 및 해안권별 비교

4. 계획수립 및 사업 흐름도



1. 동해안권 발전종합계획 주요 내용




□ 추진전략별 발전방향

<전략 1 에너지 산업벨트 구축>

 ㅇ 연구·실증·인력양성 기능이 복합된 원자력클러스터(울산~경주~울진), 동북아 오일허브(울산), DME단지 등 복합에너지 거점(삼척) 등 동해안권을 국가에너지 공급의 중추거점으로 육성하는 「초광역에너지벨트」 구축

 ㅇ 녹색성장 선도모델을 위해 녹색시범도시(강릉), 녹색섬(울릉), 신재생에너지 체험단지(영덕), 녹색교통시범지역(울산, 포항, 경주) 등 「그린에너지 시범지역」을 육성

 ㅇ 해양과학클러스터(울진)를 통해 해양연구기관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해양자원 연구·생산단지(포항, 울산) 등 풍부한 해양자원의 개발과 활용을 위한 「해양연구 탐사거점」을 조성

<전략 2 산업부문간 연계강화를 통한 기간산업 고도화>

 ㅇ 기간산업이 집적된 울산(자동차, 조선)~경주(부품, 에너지)~포항(철강, 신소재)을 연계하여 산업기반을 강화하고 구조 고도화를 추진하는 「트라이앵글 산업벨트」를 구축

 ㅇ 신소재산업 클러스터(강릉/동해/삼척/울산), 부품소재 R&D 클러스터(울산/경주/포항), 해양바이오 클러스터(고성/강릉) 등 차세대 신산업육성을 위해 R&D중심의 「신소재 바이오클러스터」를 조성

 ㅇ 친환경 농산물 특화지역 육성, 지역별 특화된 수산물의 물류·유통기능 강화, 청정수산물 생산기반 확대 등 「청정 농수산물 특화벨트」를 구축

   * 영덕· 울진 로하스인증지역 및 삼척 친환경 유기농 특화지구 지원
   * 지역별 바다목장(울주, 울진, 고성) 및 한류성 수산물(대구, 대게) R&D 지원 등

<전략 3 국제관광거점 기반조성 및 창조산업 육성>

 ㅇ 설악권(해양/산악)·경주권(역사/문화)·강릉권(휴양/문화)·울릉권(영토수호/해양생태) 등 지역별 특성을 바탕으로 관광인프라를 정비하고 및 권역간 상호연계를 통해 「환동해권 국제관광거점」을 조성

 ㅇ 가족체험 중심의 「휴양·레포츠벨트」(동해~삼척~울진~영덕)을 조성하는 한편, 지역별 역사·문화자원(단오제, 고래, 화랑도, 암각화, 첨단산업기술 등) 등을 바탕으로 지역정체성과 차별성을 살린 「창조산업」을 육성

 ㅇ 동해안을 일주하는 생태탐방로(Blue Tour Road), 하천과 지역문화를 결합한 에코트레일(태화강, 형산강) 조성, 훼손된 석호 복원 등 동해안의 경관을 네트워크화하여 「생태관광 기반」을 강화

<전략 4 인프라 확충 및 환동해권 교류협력 강화>

 ㅇ 권역내 남북연계와 내륙과의 동서연계 등 그동안 취약했던 대내외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해 동해안 일주 철도, 동서간 연계철도 등 「초광역 기간교통망」을 단계적으로 구축

 ㅇ 주요 지역거점간 연계 및 접근성 강화를 위해 항만배후도로(울산신항), 인입철도(울산신항,동해항,영일만신항), KTX 연계교통망(울산,경주), 산업단지 연결도로(울산), 울릉도 일주도로 등 「발전거점 연계 교통망」을 확충

 ㅇ 주요 항구(속초, 동해, 호산, 사동)의 항만시설 확충, 거점항(울산신항, 영일만항)의 배후단지 조성 등 「환동해권 거점항만을 육성」하고,

   - 환동해권 물류네트워크 구축·지자체차원의 자치단체연합 활동 지원 등 「국제 교류·협력을 활성화」



2.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 주요 내용




□ 추진전략별 발전방향

< 전략 1 국제비즈니스 거점 및 환황해 협력체계 구축 >

 ㅇ 권역내 인천, 황해, 새만금·군산 경제자유구역과 연계하여 국제물류·컨벤션·관광산업 등을 융합한 「국제비즈니스 거점을 조성」하고 BTMICE 산업을 활성화

   * BTMICE : 「Business Travel, Meeting, Incentive, Convention, Exhibitions」, 국제회의와 비즈니스 뿐만 아니라 컨벤션, 전시, 쇼핑, 관광, 숙박 등을 연계 결합

 ㅇ 서해안권 지자체와 중국 동부권간 지자체장 협의회 등 환황해 파트너쉽을 구축하고, 산업, 서비스, 항만·해운 등 다각적인 협력방안을 강구하는 등 「환황해권 연계 네트워크를 조성」


< 전략 2 초일류 첨단산업벨트 구축 > 

 ㅇ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산업벨트(파주~화성~평택~아산), 자동차산업벨트(화성~아산~홍성~군산) 등 주력산업과 함께 신산업육성을 통해 「글로벌 전략산업벨트」를 구축

   * 신산업클러스터 : 항공(인천·김포·군산), 항공레저(태안), 조선·해양레저(화성·군산), 로봇(인천), 바이오(화성) 등

 ㅇ 지역별 여건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발전·부품소재단지를 조성하는 등 서해안권을 녹색성장의 거점화하는 「신재생에너지벨트」를 조성

   *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 : 옹진/조류, 무의·새만금/풍력, 태안/태양광 등
   * 에너지 부품·소재단지 : 화성, 시흥, 태안, 새만금 등

 ㅇ 고유의 해양자원과 특산물을 활용하여 고부가가치화하고 수출형 식품산업을 육성하는 「식품산업벨트」를 구축

   * 종합식품가공(새만금), 원예수출단지(서산,당진,태안,김제), 농축산바이오단지(서산,홍성), 씨푸드클러스터(보령), 농수산가공단지(홍성)


< 전략 3 글로벌 해양 생태·문화 관광벨트 조성 >

 ㅇ 지역별로 고유한 자연·문화적 특성을 토대로 차별화된 「권역별 관광거점」을 조성

   * 인천·경기권 : 배후 수요 및 접근성을 활용한 테마파크 등 도심형 해양레저거점
    충남권 : 천수만·기업도시·안면도·웰빙특구 등을 활용한 특화된 국제관광거점
    전북권 : 새만금·변산국립공원 등을 활용한 복합적인 휴양·레저거점

 ㅇ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는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하여 「체험형 관광벨트」(강화~군산)를 조성하고, 해양·농경자원 등을 주제로 「해양·농경 역사문화벨트」(부안~김제~고창)를 조성

 ㅇ 갯벌(고창)·철새도래지(서천)·砂丘(신두리) 등 자연환경을 보전하면서 자연을 체험할 수 있는 「생태관광거점을 조성」하고, 지자체 (김포·강화) 공동으로 서해안 하구역 관리센터도 설립


< 전략 4 역내외 연계 인프라 구축 >

 ㅇ 권역내 주요 거점간·해안과 내륙간 교류확대를 위한 「연계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충」

   * 대전~당진고속도로의 대산항 확장 및 국도 77호선의 단계적 확충 등을 타당성 조사 등을 거쳐 검토·추진하고, 새만금~전주 도로도 추진방안 검토
   * 새만금~군산, 보령~조치원 철도도 타당성 조사 등을 거쳐 추진방안 마련

 ㅇ 환황해권의 교류·물류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환황해권 거점  항만을 확충하고 거점간 연계 시스템을 구축」
 
   * 인천내항 재개발, 평택·당진항 확충, 새만금신항 건설 등



3. 해안권 발전구상 도면 및 해안권별 비교


□ 해안권 발전구상 도면



<서해안권>

<동해안권>

<남해안권>


해안권별 비교

 

동해안권

서해안권

남해안권

권역

울산·강원·경북의15개 시군구(8,999)

인천·경기·충남·전북의 25개 시군구(9,169)

부산·전남·경남의
35개 시군구(12,753)

비전

녹색성장을 선도하는 에너지·관광의 블루파워벨트

환황해경제권을 주도하는 지식·첨단산업의 융복합벨트

새로운 경제·물류 휴양허브의 선벨트 조성

목표

국가에너지 생산량 60% 담당

지식과 기술이 융합된 동북아 첨단 산업의 거점 육성

동북아 5위 경제권 달성

세계수준의 기간산업 경쟁력 확보

글로벌 경제의 관문이자 환황해권의 네크워크 허브 조성

새로운 국토성장축 형성

환동해권 국제교두보로 도약

 

2시간대 통합생활권 구축

전략

에너지 산업벨트 구축

국제비즈니스 거점 및 환황해협력체계 조성

세계적인 해양 관광·휴양지대 조성

산업부문간 연계 강화를 통한 기간 산업 고도화

초일류 첨단산업 벨트 구축

글로벌 경제·물류 거점 육성

국제관광거점 기반조성 및 창조산업 육성

글로벌 해양 생태·문화 관광벨트 조성

통합 인프라 및 초국경 네트워크 구축

인프라 확충 및 환동해권 교류협력 강화

역내외 연계인프라구축

동서통합 및 지역발전 거점 육성

사업

119개사업

99개사업

166개사업

사업비

24.8조원(민자포함)

25.2조원(민자포함)

24.3조원(민자포함)




4. 계획수립 및 사업 흐름도


국토해양부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