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가스발생세균(gas-forming bacteria)
유기물을 발효에 의해 분해하여 가스를 생성시키는 세균류.  혐기성 소화조에는 메탄가스, 탄산가스, 황화수소가스 등을 생성하는 가스 발생세균이 다수 존재함.

가압탈수기(filter press, press filter)
여포사이에 슬러지를 주입하고 수압 또는 유압으로 여과판을 눌러서 압축, 여과, 탈수시키는 슬러지 탈수설비.

가압탈수(pressure filtration for sludge dewatering)
슬러지의 탈수방법의 하나로 내구성이 있는 여포사이에 슬러지를 유입시키고 수압 또는 유압으로 여포가 들어 있는 탈수실을 가압하여 탈수하는 방법.

가정오수(domestic wastewater)
가정에서 배출되는 오수로서 세면, 조리, 청소용수와 수세변소수를 포함한다.

가축폐수(animal wastewater)
농어가에서 가축으로 사육하는 소, 돼지로부터 발생하는 폐수를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소 2두, 돼지 1두까지를 고려할 수 있는 것으로, 법적규제대상이 되는 축산폐수와는 구별된다.

개거(open ditch)
자유수면을 갖고 흐르는 수로단면으로 뚜껑이 없는 수로

개수로(open channel)
수리학적으로 유체가 대기에 접해 있는 자유수면을 갖고 흐르는 수로를 지칭하며, 상수도 관망과 같이 펌프 등에 의해 압력을 받아 흐르는 관수로에 대비되는 용어.

간선(main sewer)
하수관망에서 여러 개의 지선이 연결되는 주하수관거를 뜻함.

강열감량(volatile solids ignition loss, VS)
건조고형물을 약 550℃정도로 가열한 다음에 남은 물질의 중량으로 유기물함량의 지표로서 쓰여짐.

강성관(rigid pipe)
도관, 원심력철근콘크리트관 등으로, 설계시 외력에 의한 처짐 등의 변형을 고려하지 않는 관.

강우강도(rainfall intensity)
한 지점에서의 비의 세기정도를 표현하는 것으로 단위시간당의 강우량으로 mm/h 단위로 표시한 것.

강제환기(artificial ventilation, forced ventilation)
자연환기와 반대되는 용어로서, 자연환기가 온도차나 통풍에 의한 것임에 비해 강제환기는 송풍기를 이용해서 흡기, 배기 또는 그 양쪽 모두를 하는 것을 말함.

결정화(crystallization)
액체화된 용융슬래그를 천천히 냉각시켜 융점이하에서 결정체를 형성시키는 것을 말하며, 결정화슬래그는 융액을 온도 조절하면서 천천히 식히거나, 냉각후에 슬래그를 재가열함으로 얻어지는 슬래그를 말함.

경량골재(lightweight aggregate)
골재중 굵은 골재에서 비중 2.0 이하, 가는 골재에서 1.3 이하의 것으로 천연골재와 인공골재로 나눌 수 있음.

계란형 소화조(egg-shaped digester)
계란형 슬러지소화조로서 조내의 교반특성이 좋고, 슬러지의 퇴적이 적으며, 스컴생성이 적은 등의 형상에 따른 특징이 있음.

계획오수량(design wastewater flow)
오수처리계획에 있어서 관로, 오수중계 펌프장, 하수종말처리장 등의 용량을 결정하기 위해 이용하는 오수량.

계획우수량(design stormwater flow)
우수배제계획을 수립하는 경우, 관로, 펌프장 등의 용량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우수류출량을 말함.  산정공식으로서는 합리식 또는 실험식을 사용함.

계획하수량(design sewage flow)
계획오수량과 계획우수량의 합을 말함. 합류식 하수배제방식인 경우 하수도시설의 용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쓰이는 하수량임.

계획시간최대오수량(design hourly maximum wastewater flow)
계획목표년도에 있어서 1시간당 최대가 되는 계획오수량.  지하수량 및 공장폐수량을 포함함.

계획인구(design population)
하수도계획의 목표년도에 하수도 계획구역내의 인구로 하수처리에 있어서 계획오수량 산정의 기초가 됨.

계획1인1일최대급수량(design daily maximum water consumption per capita)
계획1일최대급수량을 1인당으로 나타낸 것.  하수도 계획에서 오수량의 기본인 생활오수량은 해당지역 상수도의 계획1인1일최대급수량에 하수전환율 등을 고려해서 정함.

계획1인 1일최대오수량(design daily maximum wastewater flow per capita)
연중 가장 유량이 많은 날의 오수량.  일최대오수량은 관광지 등과 같이 계절에 따라 인구변동이 큰 지역에서는 평균오수량의 두 배 이상이 되는 경우도 있음.

계획일평균급수량(daily mean water consumption)
연간을 통해 급수되는 총수량을 365일로 나눈 것을 말함. 보통 일최대급수량의 75~85%임.

계획일평균오수량(average daily wastewater flow)
일정기간의 오수량의 누적량을 그 기간의 일수로 나눈 수량.  통상 기간을 1년간으로 하는 경우가 많음.

고도처리(tertiary treatment, advanced treatment)
2차처리방법으로는 사용목적에 맞도록 요구되는 만큼 처리되지 않은 여러 가지 물질(유기물, 질소(N), 인(P), 색도, 탁도, 냄새 등)을 처리하기 위해 2차처리시설에 선택적으로 처리시설을 추가보완 하는 것.

고분자 응집제(polyelectrolyte flocculant, polymer coagulant)
수용성 고분자 물질중 수처리에 유효한 응집제로 가교작용, 전화중화작용등에 의하여 현탁립자에 대해 우수한 응집작용을 나타냄.  음이온계(anion), 양이온계(cation), 비이온계(nonion)로 크게 구분됨.

고형물 체류시간(solids retention time, SRT)
하수의 생물학적 처리공정에서, 활성슬러지 즉 MLSS가 공정내에 체류하는 이론적인 평균시간을 의미함. 공정내의 전 MLSS량을 매일 공정에서 유출되는 MLSS로 나누어 구할 수 있음.  슬러지체류시간이라고도 함.

고형물 회수율(solids capture efficiency)
슬러지의 농축이나 탈수 등의 단위조작으로 유입된 슬러지의 고형물량중에서 농축이나 탈수로서 얻어지는 슬러지의 고형물량 비율을 말하고 일반적으로 백분율로 나타냄.

공공하수도(public sewerage)
하수도법에 의하여 정해지는 하수도로서 공공하수도 관리청이 설치 또는 관리하는 하수도를 말함.

공기/고형물비(A/S비)
슬러지의 부상농축시 공급된 공기량중에서 유효하게 사용되는 공기량 A와 처리된 고형물량 S와의 비율로서, 이 배율이 클수록 농축슬러지의 농도는 높아지지만, 너무 높아도 동력비에 비교해 농축효과는 높아지지 않음.

공동처리(centralized treatment)
20호이상의 마을을 대상으로 집집마다 발생하는 오수를 매설관거를 이용하여 한곳으로 모아 처리하는 공동처리가 유리한 마을간을 연결하여 오수를 하류마을로 집중시켜 하나의 처리장에서 처리하는 경우로, 공공하수도의 지위를 갖는다.

공장‧사업장 폐수(industrial wastewater)
공장, 사업장의 생산활동에 의해 생긴 폐수.

관거(pipe & culvert)
암거 및 개거를 총칭해서 말함.

관거시설
관거, 맨홀, 우수토실, 토구, 물받이(오수, 우수 및 집수받이) 및 연결관 등의 총칭.

관거접합(pipe connection)
관거의 지름, 기울기, 방향이 변하는 장소 및 관거가 합류하는 곳에 멘홀을 이용하여 관과 관을 연결하는 것을 말함.

관수로(pipe line)
물이 충만해서 흐르며 자유수면을 가지지 않는 수로. 개수로에 대비되는 용어.


난류(turbulent flow)
유속이 어느 한계를 넘으면 물의 입자가 서로 혼합되어 흐트러져서 흐르는 흐름.  관수로의 경우에는 레이놀즈수(Re)가 4,000보다 클때의 흐름이고, 개수로의 경우에는 레이놀즈수가 500보다 큰 흐름임.

내부라이닝(inside lining)
부식을 방지할 목적으로 관이나 조등의 내면에 내산 또는 내알칼리성 재료를 바르는 작업을 말함.

노오말부피(Nm
3)
Normal m3의 약칭으로 온도 0℃에서 압력 1기압의 상태로 환산했을 때의 기체의 부피를 나타내는 단위를 말함.

농축(thickening)
슬러지의 고형물농도를 높이고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한 조작으로 중력식, 부상식, 원심분리식 등이 있음.


단차접합
하수관거의 경사도가 매우 클때 수세를 완화하기 위하여 도중에 단차를 두는 접합.

도관(vitrified-clay pipe)
점토를 규격에 맞게 성형하고 가열하여 만든 관으로 내산, 내알칼리성이 우수하고 마모에도 강하며 이형관을 제작하기 쉽다는 등의 장점이 있음.

도시하수(municipal sewage)
생활하수에 공장폐수, 축산폐수 및 농업용 폐수 등을 포함시킨 것을 말함.

DO(dissolved oxygen)
용존산소라고 하며 수중에 용해되어 있는 산소를 말함.


라군(lagoon)
기온이 높은 지역의 소규모하수처리장에 많이 이용되는 방법으로 슬러지를 연못에 투입하여 장시간 저류시켜 침전, 압밀, 소화, 탈수가 진행되도록 한 방법으로서 생물학적 관점에서는 호기성라군, 임의성라군, 혐기성라군 등으로 분류됨.


물받이(inlet)
하수를 집수하여 연결관에 의해 관거에 유하시키기 위한 시설을 말하며, 오수받이, 빗물받이 및 집수받이로 나눌 수 있음.

맨홀(manhole)
하수관거의 청소, 환기, 점검 및 조사 등을 위한 시설로서 일반적으로 하수관거가 합류하는 장소, 경사, 방향 및 관경이 변하는 장소 및 일정간격마다 설치됨.

메탄발효(methane fermentation)
슬러지의 혐기성 소화에 있어서 슬러지의 가수분해후 산생성과정에서 생성되는 유기산 등을 절대혐기성 세균인 메탄생성균의 작용에 의해 메탄을 발생시키는 현상.


반류수(return sewage flow)
수처리시설로 되돌려 보내지는 슬러지의 각 처리과정에서 생기는 농축조 상징액, 소화조 상징액, 세정액, 탈리액 등의 총칭.

반송슬러지(return sludge, return activated sludge)
활성슬러지법에서 포기조내의 MLSS농도를 일정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2차침전지에서 배출되는 슬러지중 포기조로 반송하여 순환사용하는 활성슬러지를 말함.

반송퇴비(return compost)
퇴비화 과정에 있어서 발효조에 탈수케이크를 투입할 때에 수분조정 및 종균을 목적으로 1차 또는 2차 처리된 퇴비의 일부를 혼합하는데 이 퇴비를 반송퇴비라함.

배기가스처리장치(exhaust gas treatment equipment)
소각, 연소, 연소장치에서 배출되는 가스내에 들어있는 취기, 매연, 분진, 질소산화물, 염화수소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의 총칭.

배수관(drain pipe)
배수설비에서 배수관이란 옥내 및 옥외에서 발생하는 하수를 공공하수도로 배수하는 관을 말함.

배수설비(drainage equipment)
배수를 공공하수도로 유입시키기 위해 설치하는 건물 또는 부지내의 배수관거 및 부대설비의 총칭.

배제방식(sewerage system)
하수를 배제하기 위한 방식을 말하며, 우수와 오수를 동일관으로 배제하는 합류식과 우수와 오수를 각각의 관으로 배제하는 분류식이 있음.

베비트 공식(Babbit formula)
배수인구에 따라 시간최대오수량을 구하는 공식.  M = 5 ÷ P1/5 (여기서 P는 1,000명 단위의 인구수)로 표시되는 Babbitt 계수 M을 일평균오수량에 곱해서 시간최대오수량을 산출.

보조연료(auxiliary fuel, supplemental fuel)
주연료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나, 주연료가 갖는 열량이 저하되었을 때 등에 사용하는 연료를 말하며  소화조의 가온이나 슬러지 소각에 사용됨.

부관(bypass pipe)
관거의 접합이 단차접합(보통 0.6m 이상)이 되는 경우 맨홀 저부의 세굴을 방지하거나 또는 하수의 맨홀 유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설치하는 관.

부식(corrosion)
주로 하수중의 유리탄산(free CO2), H2S, 메탄류 및 용존산소 등에 의하여 철제나 콘크리트가 산화되어 손상되는 것을 말함.

부패조(septic tank)
건물이나 주택의 오수(주로 분뇨)를 처리하기 위하여 지하에 설치한 통으로 주로 침전 및 혐기성 소화가 이루어짐.

분류식 하수도(separate sewer system)
우수와 오수를 분리하여 배제하는 하수도.

불완전 분류식 하수도(incomplete separate sewer system)
우수와 오수를 분리하여 배제하는 하수도로서 오수는 오수관거에 의해 하수처리시설로 배제하여 처리하고, 우수의 경우에는 기존의 자연배수로나 측구 등을 최대한 이용하여 배제하고, 기존배수로가 없는 경우에만 우수관거를 매설하여 우수를 배제하는 방식임.

빗물받이(street inlet, strom-water inlet)
도로측구 또는 가옥으로부터 유입하는 빗물을 모아서 하수관거에 유입시키기 전에 설치하는 물받이.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생화학적 산소요구량이라고 하며 수중의 유기물질이 안정화될 때까지 소비될 수중의 용존산소량을 mg/l로 표시한 것.  물의 오염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중의 하나임. 20℃에서 5일간에 소비되는 산소량을 표준으로 함.

BOD부하(BOD loading, activated sludge loading)
생물처리공정 및 호소 등에 부하되는 1일당 BOD총량. 통상은 BOD-SS부하(F/M비), BOD용적부하, BOD면적부하 등으로 사용함.

BOD용적부하(BOD volumetric loading)
포기조의 단위용적당, 1일에 유입하는 BOD량(BODkg/m3‧일)으로 주로 포기조용적의 설계 등에 이용함.


사질토(sandy soil)
모래질 흙의 통칭으로 세립토 및 비점성토의 일종.

산성 발효(acid fermentation)
슬러지를 혐기성 소화시킬 때 제1단계에서 각종 유기물의 분해로 인해 유기산, 황화수소, 탄산가스 및 중탄산염이 발생되는 과정.  pH가 5.1~6.8로 저하됨.

살수여상법(trickling filter, percolating filter)
하수를 여재(쇄석 또는 플라스틱 매체 등)에 살수하여 공기와 접촉시킴으로서 여재에 부착된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호기성으로 처리하는 방법. 살수부하등의 차이에 따라 표준살수여상(standard-rate trickling filter, low-rate trickling filter)과 고율살수여상(high-rate trickling filter) 등이 있음

상재하중(vertical load)
매설관거의 상부에 작용하는 활하중, 사하중 등을 말함.

생화학적 산화(biochemical oxidation)
유기물과 산소의 화합이 생물학적 활성에 의해 일어나는 산화.

생물학적 인제거법(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process)
활성슬러지를 용존산소 및 화학적 결합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혐기성 상태로 만들어 함유되어 있던 인을 방출시키고, 그 후 호기성 상태가 되도록 포기하여 주면, 인을 과잉으로 섭취하는 생물현상을 이용해서 생물학적으로 인을 제거하는 방법.

생물학적 질소제거법(bioiogical nitrogen removel process)
미생물에 의해 하수중의 질소를 제거하는 방법. 이것은 암모니아를 아질산 및 질산으로 생물학적으로 산화시키는 질화과정과 질화된 아질산과 질산을 생물학적으로 질소가스로 환원시키는 탈질과정으로 구분함.

소각(incineration)
탈수된 슬러지에 열을 가하여 연소시킴으로써 슬러지의 유기물이나 수분을 제거하고, 잔존무기물을 재로 바꾸는 공정. 소각에 의해 슬러지의 최종처분량을 감소시키고 질적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음.

소석회(slaked lime, hydrated lime)
석회석을 가열하여 만든 생석회에 수분을 가한 것으로 분자식은 Ca(OH)2.  순도가 높은 것은 72~74%의 CaO와 23~24%의 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순도가 낮은 것은 40~48%의 CaO,  25~34%의 MgO, 15~27%의 물을 포함함.

소켓연결(socket joint)
철근콘크리트관이나 도관에서 사용하는 연결방법중의 하나.  충전제를 채워시공함.  고무링이나 압축조인트를 채용하여 시공성, 수밀성, 내구성을 높이고 있음.

소화(digestion)
슬러지중 생물 또는 유기물질을 혐기성 또는 호기성 미생물의 작용으로 가스화, 액화, 무기화하여 안정화‧감량화 하는것.

소화가스(sludge-digestion gas, digester gas)
혐기성 소화조에서 하수슬러지중의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발생하는 가스. 통상의 가스조성은 메탄이 60~70%, 탄산가스가 30~40%이고 그 밖에 질소, 수소, 황화수소를 포함한다.

소화슬러지(digested sludge)
슬러지 소화조에서 슬러지중의 유기물이 분해되고 안정화된 슬러지를 말함.

수중위어(submerged weir)
위어의 하류수심이 위어높이 보다 높은 경우 물속에 잠겨 있는 위어를 말함.

손실수두(head loss)
단위중량의 물이 흐를때 잃는 에너지의 양.  물이 흐를때 손실수두가 생기는 원인은 마찰, 단면변화, 방향변화 및 장애물 등 때문임.

수면접합(water surface connection)
상류관과 하류관의 계획수위를 수리학적으로 일치시키는 접합.

수리특성곡선(hydraulic characteristic curve)
관거내의 흐름상태는 단면의 형상이나 수심정도에 따라서 유속 및 유량이 변하며 이 관계를 나타낸 곡선을 수리특성곡선이라 함.

숙성(curing)
1차분해를 끝낸 퇴비를 더욱 안정화시키기 위해 별도의 분해조에 투입하거나 1~2m 정도의 높이로 야적하여  2주에 1회 정도 혼합시키면서 분해 가능한 유기물(셀룰로오스, 리그닌 등) 및 분해하기 어려운 유기물(유지, 탄닌, 고급지방산 등)을 분해시키는 과정.  통기하는 경우와 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20~60일 정도 소요됨.

숙성설비(curing facilities)
분해설비에서 나온 퇴비를 필요에 따라, 야적하는 등의 방법으로 숙성정도를 높이는 설비를 말하며 통풍장치, 혼합장치 등으로 구성됨.

스컴(scum)
침전지, 슬러지 저류조, 소화조 등의 수면에 부상하여 모인 유지, 섬유, 고형물 등을 말함.

슬러리(slurry)
고농도의 현탁물질을 함유한 유동성이 적은 액상상태를 말함. 하수도에서는 농축슬러지, 소화슬러지, 액상소각재 등이 이에 해당됨.

슬러지(sludge)
하수처리장, 정수장, 공장폐수처리시설 등에서 발생하는 액상부유물질의 총칭. 하수슬러지를 좁은 의미로는 1차슬러지, 잉여슬러지, 반송슬러지, 농축슬러지 및 소화슬러지 등이라 하고, 넓은 의미로는 침사, 스크린 협잡물 및 스컴도 포함함.

슬러지 건조(sludge drying)
탈수슬러지나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 등을 자연적인 방법 및 기계적인 방법으로 건조시켜 함수율 30% 정도 이하로 떨어뜨림.

슬러지 건조상(sludge-drying bed, drying bed)
태양열이나 바람등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슬러지탈수방법으로 슬러지건조상은 통상 모래층과 자갈층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부에는 유공관등 집수관을 설치함.

슬러지 경량골재화(sludge sintering to light weight aggregate production)
하수슬러지중의 무기성분을 이용해서 경량골재를 제조하는 것.  하수슬러지를 소각한 후 1,000~1150℃ 정도의 고온에서 소각재중의 무기분을 반용융(sintering)상태로 하여 냉각시켜 제조함.

슬러지 고형물(sludge solids)
슬러지중 용해성 및 부유성 고형물로  통상, 중량백분율로 나타내고 100에서 함수율을 뺀 값. 일반적으로 TS(total solids)라고 함.

슬러지 교반(sludge mixing)
소화조내의 슬러지를 균질하게 혼합시키는 것.

슬러지 개량(sludge conditioning)
탈수처리의 전처리로 슬러지의 탈수성 향상을 위해 세정, 약품처리, 열처리, 동결처리등의 조작을 하는 것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약품처리가 이용됨. 슬러지에 약품을 첨가하면, 슬러지 입자의 성질, 상태가 물리화학적으로 변화하여 물과의 친화력이 감소하고, 입자의 응결이 일어나 슬러지의 탈수성이 향상됨. 약품에는 소석회, 염화제2철, 유기고분자 응집제 등이 사용됨.

슬러지 녹‧농지이용(sludge utilization for landscaping & farming)
슬러지를 유효이용하는 처분방법의 하나로서, 슬러지의 적정처리후 공원녹지나 골프장 잔디 등의 조성 및 농경지에 슬러지를 이용하는 방법.

슬러지 밀도지수(sludge density index, SDI)
포기조의 혼합액을 30분간 정치시킨 후, 침전한 혼합액 100ml중에 포함된 활성슬러지 고형물을 그램수로 나타낸 것.

슬러지 반송비(return sludge ratio, recirculation ratio)
활성슬러지법에서 2차침전지로부터의 반송슬러지양과 유입하수량의 비.

슬러지 식종(sludge seeding)
하수나 슬러지의 생물학적 처리에서 생물학적 활성이 있는 슬러지를 단위공정으로 식종하는 것.  이 방법에 의해 공정의 초기운전 또는 재가동기간이 짧아질 수 있음.

슬러지 용적지수(sludge volume index, SVI)
슬러지의 침강농축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포기조의 혼합액을 1ℓ 메스실린더에서 1ℓ의 활성슬러지를 30분동안 침전시켰을때 침전된 슬러지고형물 1g이 차지하는 부피를 ㎖로 나타낸 값.

슬러지 처리(sludge treatment)하수처리시 발생하는 슬러지를 농축‧소화‧탈수‧건조‧소각 등의 처리과정을 거쳐처리하는 것.  슬러지중의 유기물을 무기물로 바꾸는 안정화와 처리‧처분대상량을 적게하는 감량화 등을 목적으로 함

슬러지 처분(sludge disposal)
슬러지를 지상, 지중 또는 수중으로 최종처분하는 것.  장기적으로 안정되고 경제적이어야 하며, 자연과 사회환경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아야 함.

슬러지 탈수(sludge dewatering)
슬러지중의 수분을 제거해서 용적을 감소시켜, 슬러지처리 및 처분을 쉽게하기 위한 공정.  태양열, 바람 등의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태양열건조와 진공탈수, 가압탈수, 원심탈수, 밸트프레스(belt press)탈수 등 기계탈수가 있음.


암거(culvert)
지중에 매설한 관거 또는 밀폐용 덮개가 있는 거를 말함.

압력관(pressure pipe)
수로의 내면 전체에 걸쳐 수압이 작용하는 관.

SS(suspended solids)
부유물질이라고 하며 수중에 부유하고 있는 물질의 총칭.  콜로이드 입자(colloid particle)로부터 상당히 큰 현탁물까지 여러 가지 형태로 존재하며, 보통 부유물의 측정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것을 말함.

N-BOD(nitrogenous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측정중에 질화반응에 의한 산소요구량. 질화반응을 억제하지 않고 측정한 BOD치와 질화반응을 억제하며 측정한 BOD치의 차로서 구함.

MLSS(mixed liquor suspended solids)
포기조내 혼합액의 부유물을 mg/l로 표시한 것.

MLVSS(mixed liquor volatile suspended solids)
MLSS중의 휘발성 고형물을 mg/l로 표시한 것으로 주로 미생물량을 나타냄.

역사이펀(inverted siphon)
하천, 도로, 철도의 밑에 하수도를 통과시킬 경우에 사용되는 역사이펀 압력관. 횡단하려고 하는 장애물의 양측에 수직으로 쳄버(chamber)를 설치하고 그 사이를 수평 또는 하향경사를 가진 수로로 연결한 구조임.

연결관(connection pipe)
오수받이, 우수받이 또는 집수받이와 본관을 접속하기 위하여 부설하는 관.

연성관(flexible pipe)
설계시 외력에 의해 처짐 등의 변형을 고려하고, 하중이 없어지면 형상이 복원되는 관.

연약지반(soft foundation)
구성토층이 일반적으로 표준관입시험의 N치가 0~4 정도이고, 압축성이 큰 점토, 실트, 이토 등으로 되어 있어 구조물의 기초지반으로서 충분한 지지력을 갖지 못하는 지반.

연소실 용적부하율(specific heat value, combustion chamber calorific capacity)
슬러지소각로의 연소실 단위용적에 있어서, 단위시간당 발생하는 열량(kcal/m3‧h)을 말함.

연소율(combustion rate)
보일러의 연소판 단위면적당 단위시간당 연소하는 연료의 양(m3/m2‧h)을 말함.

연소효율(combustion efficiency)
완전연소되었을 때의 발생열량과 실제로 연소되었을 때의 발생열량의 비를 말함. 완전연소의 정도를 나타냄.

열처리(heat treatment, thermal treatment)
슬러지 개량법의 일종.  일반적으로 가압하에서 130~210℃, 30~60분간 가열함에 따라 슬러지중의 콜로이드성 또는 겔(gel)상의 물질을 변화시켜 농축성을 높이는 동시에 탈수성을 개선하여 이후의 처리를 쉽게 하는 방법.

영양염류(nutrients, nutrient salts)
생물이 정상적인 생명유지를 하는데 필요한 염류를 말함.  부영양화의 주요 제한인자로 질소(N)와 인(P)으로 알려져있음.

영업오수(commercial wastewater)
사무소, 병원, 학교, 여관, 식당 등에서 배출되는 오수.

오수(wastewater)
일반가정, 사무소, 사업장(경작사업은 제외), 공장 등에서 생활, 영업 및 생산활동에 의한 폐수를 말함.

오수관거(sanitary sewer)
오수를 배제하기 위한 관거.

오수받이(house inlet)
가정하수 또는 공장폐수 등의 오수를 관거로 유입시키기 전에 설치하는 물받이.

옥내배수관(house drain)
가옥내 주방이나 위생기구에서 발생하는 하수를 옥외하수도에 접속하는 관거.

용융슬래그(melted slag, smelted slag, slag)
일반적으로는 금속의 융해과정에서 생성되는 비금속물질(광재) 또는 용접부에서 생기는 비금속물질을 말함.  탈수케이크를 용융로에서 용융하면, 규산을 주성분으로 한 혼합물을 얻을 수 있고 이것을 용융슬래그라고 함.

우수관거(storm sewer)
우수를 배제하기 위한 관거.

우수토실(storm overflow chamber)
합류식 하수도에서 우천시에 어떤 일정량의 하수를 차집하여 하수처리장에 수송하고 나머지 하수를 하천등의 수역으로 방류하기 위한 위어 등의 시설.

우천시 계획오수량(design wet weather flow)
합류식에서 우천시 하수량중 오수로서 취급하는 하수량으로 차집관거나 중계펌프장 및 처리장내 펌프장의 규모를 결정하기 위한 계획하수량임.  통상 계획시간최대오수량의 3배 이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음.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centrifugal reinforced concrete pipe)
고속회전에 의한 큰 원심력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굳힌 철근콘크리트관. 흄(Hume)관이라고도 함.

유달시간(time of concentration)
하수관거의 어느 지점의 우수량을 산출할 때 사용하는 유입시간과 유하시간의 합을 말함.

유입시간(inlet time)
우수가 배수구역의 가장 원거리의 지점으로부터 관거에 유입할 때까지의 시간을 말함.

유하시간(time of flow)
관거에 유입한 하수가 관거내 어느 지점까지 유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말함.

유출계수(runoff coefficient)
강우량중에서 수로, 관거내 등으로 유출하는 우수량의 비율을 말함.

응집제(coagulant)
수중의 SS나 콜로이드를 응집시키기 위하여 첨가하는 약품.

이토실(sediment trap)
빗물받이의 저부에 설치하는 것으로 토사등이 관거로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시설을 말함.

2차처리(secondary treatment)
1차처리(침전처리)한 하수를 활성슬러지법, 살수여상법 등의 생물학적 방법으로 처리하는 것.

인버트(invert)
하수의 유하를 원활히 하기 위하여 맨홀 및 오수받이 등의 저부에 설치한 반원형의 수로를 말함.

임의성(facultative)
용존산소와 화학적으로 결합된 산소를 섭취하는 양성을 말함.

잉여슬러지(execss sludge, waste sludge)
2차침전지의 슬러지중 반송슬러지를 제외한 부분의 슬러지.


재가습장치(ash humidifier)
슬러지소각설비에서 소각재에 수분을 가해 중량비가 약 30% 정도로 균일하게 가습하는 장치를 말함.

점성토(cohesive soil)
건조했을 때는 상당히 큰 일축압축강도가 있고 함수율이 높을 때에도 상당한 점착력이 있는 흙.

조도계수(roughness coefficient)
유수가 접하는 수로 벽면의 거칠은 정도를 표시하는 계수.

직접기초(spread foundation)
구조물의 하중이 직접 지반에 전달되는 기초.  이러한 기초는 비교적 기초가 얕으므로 얕은 기초라고도 함.

질소산화물(nitrogen oxides)
NO, NO2, N2O, N2O3, N2O5 등의 총칭.

질산염(nitrate)
질산염은 주로 단백질 등의 분해에 의해 생긴 암모니아가 질화균의 작용에 의해 질화될 때의 최종생성물이기 때문에 하수처리에서는 오염물질의 처리정도를 알기 위한 지표가 됨.


차집관거(intercepting sewer)
합류식에서 청천시의 하수나 우천시 일정량의 하수를 차집하여 하수처리장으로 수송하기 위한 관거.

처리(treatment)
처리장에 유입된 오수를 물과 슬러지로 분리하여 물은 방류가능할 때까지 정화하고, 슬러지는 처분가능하도록 안정화 및 감량화하는 것을 말함.

처분(disposal)
처리수의 공공수역내 방류 또는 슬러지의 해양투입, 유효이용, 매립 등을 말함.

총경도(total hardness)
수중의 칼슘과 마그네슘의 총량에 대응하는 탄산칼슘량을 mg/l로 표시한것.

축류펌프(axial flow pump)
펌프의 축방향으로 흐르는 저양정펌프.

축산폐수(animal wastewater)
『오수․분뇨 및 축산폐수의 처리에 관한 법률』제24조 1항에 따른 일정시설규모 이상의 가축사육으로 인해 배출되는 액체성 또는 고체성의 오염물질을 말한다.

측구(gutter)
도로의 노면배수를 위하여 연석에 접하여 설치한 배수시설(L형 측구, U형 측구 등).

침출수(leachate)
매립지등 최종처분장에 처분된 슬러지나 그 밖의 폐기물로부터 침출되어 나오는 오수로 침출오수라고도 함.


카올린(kaolin)
함수규산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점토의 구성성분.  수처리에서는 팽화방지제로 쓰임.

커비식(Kerby formula)
계획우수량 산정에 있어서 유입시간의 산출에 이용되는 식의 하나.


탈수시험(sludge dehydration, dewatering test)
슬러지 자체의 여과특성, 적합한 응집제 및 응집보조제의 종류와 첨가량, 첨가방법, 탈수기의 운전조건 등 탈수시설의 설계나 유지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행하는 시험.

탈수케이크(dewatered sludge, sludge cake)
고형물로서 취급할 수 있는 정도까지 탈수된 슬러지이며, 통상 함수율이 85% 이하인 것을 말함.

토구(sewer outlet)
하수도시설에서 처리수나 우수를 공공수역에 방류하는 방류구시설을 말함.

토피(cover)
지표면에서부터 매설하는 바깥쪽 제일 윗부분까지의 덮게흙 깊이를 말함.

통기(aeration)
발효조내의 혼합물에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혼합물내에 기체가 이동하는 정도를 통기성이라 함.  공급하는 공기량을 통기량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혼합물의 단위 용적당 1분간의 공기량(l/m3‧min)으로 나타냄.  통기속도는 m/min로 나타냄.

퇴비반송(compost return)
퇴비 또는 발효중의 슬러지 일부를 전처리시설 또는 발효설비의 입구에 반송하여 미생물의 활성화 및 수분조정효과를 얻음.

퇴비화(composting)
유기물 함량이 높은 폐기물을 단독 혹은 슬러지나 분뇨와 혼합시킨 다음 호기성, 혐기성 혹은 임의성 상태에서 분해시킴으로서 비료효과를 증가시키는 것.

퇴비화설비(composting facilities)
전처리된 하수슬러지를 통기, 교반, 이송하여 호기성분해를 촉진시켜 퇴비화하기 위한 설비 일체를 말함.


팽화(bulking)
활성슬러지의 침강성이 악화되어 SVI가 증대되는 현상을 말함.

팽화제(bulking agent)
C/N비와 수분함량을 조정하고 통기성이 좋도록 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것.  팽화제로 왕겨, 톱밥, 잡초, 짚 등을 이용함.

폐수(wastewater)
인간생활이나 생산활동에서 사용하고 폐기한 물을 말하며, 공공수역으로 방류하기 전에 필요에 따라 처리하여야 함.

포기(aeration)
공기와 액체를 접촉시켜 액체에 산소를 공급하는 것.


하수(sewage)
생활이나 사업에 기인하거나 부수되는 오수․빗물과 건물, 그 밖의 시설물의 부지로부터 공공하수도에 배출되는 지하수를 말함.

하수도(sewerage)
하수를 배제 또는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하수관거, 하수종말처리시설, 기타의 공작물과 시설의 총체를 말함.

한계수심(critical depth)
유량이 일정할 때는 비에너지가 최소, 비에너지가 일정할 때는 유량이 최대가 되는 때의 수심.  이때의 유량을 한계유량(critical flow)이라 하고 유속을 한계속도(cirtical velocity)이라 함.

함수율과 함수비(moisture content, water content)
함수율은 물질의 전체중량에 대해 그 중에 포함되어 있는 물의 중량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  100%에서 함수율을 뺀값이 고형분 또는 고형물량.  수분의 고형물에 대한 비를 함수비라 함.

합류
2개이상의 관이 맨홀(또는 물받이)로 유입되는 것을 말함.

합류관거(combined sewer)
오수와 우수를 동시에 배제하는 관거.

합류식(combind sewer system)
오수 및 우수를 동일 관거로 배제하는 방식을 말함.

합리식(rational formula)
계획강우강도(I)와 유역면적(A) 및 유출계수(C)를 곱하여 유역의 첨두홍수량을 산정하는 공식.  Q = CIA 보통의 경우 소유역이면서 포장도가 높은 유역에서 많이 사용됨.

허용오염부하량(allowable pollution load)
하천, 오수 등의 공공수역에 대하여 그 이용목적에 따라 정해진 목표수질을 보호유지할 수 있는 한도내에서 배출이 허용되는 오염부하량.

개별처리(On-site treatment)
한집 또는 몇 집만을 대상으로 별도로 오수발생 현장에서 처리하는 경우이며, 간선 오수관거는 없는 점이 특징이다.

활성슬러지(activated sludge)
하‧폐수에 공기를 주입시켰을 때 성장하며, 잘 가라 앉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호기성 미생물의 집단.

활성슬러지법(conventional activated sludge)
폐수처리에 사용되는 생물학적 방법으로 폐수와 활성슬러지와의 혼합물을 혼합시켜 공기를 주입시킴으로서 생물학적으로 폐수를 처리하는 방법.

횡월류(side overflow)
개수로의 측벽에 무넘이 위어를 설치할 때 수로내의 수류에 직각방향으로 물이 넘쳐 흐르는 현상.  가로 무넘이라고도 함.

반응형

'토목사전/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재 용어  (5) 2010.02.05
강구조설계 용어  (1) 2010.01.29
내진설계 용어  (0) 2010.01.17
토목시공 용어 정리  (2) 2010.01.15
구조물 기초 용어  (0) 2010.01.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