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trl+F』를 누르고 검색어를 찾으면 빨리 찾을 수 있습니다.
가교(假橋, Temporary bridge)확장공사나 일반공사중에서 임시적인 교통우회를 목적으로 설치되는 임시교량 또는 간이교량으로 주로 H-Pile로 제작되어 진다.
가능 용량(可能容量, Possible capacity)실제 도로와 동일한 교통조건에서 일정한 시간동안 1개의 차선 또는 차도의 한 단면을 통과할 수 있는 차량 또는 보행자의 최대 교통류율
가능교통용량(可能交通容量, Possible Traffic Capacity)도로의 한 개 차선에 있어서 실제의 도로조건(종단경사, 평면선형 등) 및 교통조건(차량의 종류나 차량의 구성비(소형, 중형, 대형화물차 등)) 에서의 교통용량
가동 받침(可動-, Movable bearing)교각(橋脚-pier)이나 교대(橋臺-abut) 위에서 교량 슬래브의 신축에 대응할 수 있게 만들어 설치한 받침
가동 하중(可動荷重, Movable load)운행중인 열차 또는 자동차와 같이 일정한 크기의 하중이 구조물 위로 이동하면서 작용하는 이동하중으로써 동하중(활하중), 구조자체의 무게(자중), 토압, 정수압과 같은 정하중(사하중), 진동을 주는 충격하중, 지진시의 지진하중 등 여러 하중 중 동하중에 해당하는 것.
가드레일(Guard rail)①도로의 차도와 보도의 경계 또는 도로의 연변을 따라 설치해서 자동차가 보도로 진입하거나 전락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엷은 강판 또는 케이블로 설치하는 띠모양의 보호대.②도로의 차로로부터 차량의 이탈을 방지하여 2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주로 도로의 성토구간에 설치하는 도로안전시설의 하나로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일반가드레일, 고성토부에는 2단가드레일 등의 여러 가지 형태가 적용중이다. 고속도로의 가드레일 설치는 성토부 구간의 차량주행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한다.설치기준을 보면 다음과 같다.(본선구간)- 성토고2m 이상, 비탈면 경사 1:4 보다 급경사- 연장이 50m 이하는 제외- 미설치구간 20m 이하는 연결설치- 표지판 지주나 교각등 장애물 보호
가드휀스(Guard fence)고속도로와 같은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보행주민 및 동물등의 출입을 통제하고 기타 오물유입을 방지하여 교통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설물이다. 고속도로의 설치기준은 다음과 같다. - 도로로의 주민 및 동물의 진출입이 예상되는 곳 - 인접도로의 종단이 고속도로보다 높은 구간 - 고속도로의 본선을 횡단하는 육교구간 - 버스정류장 시·종점 테이퍼 가드휀스의 종류는 토공용, 육교용, 버스정류장용 등으로 나뉜다.
가로 경계선(街路 境界線, Street Line)
도로의 계획에 있어서 도로용지(街路用地)와 다른 용지(用地)와의 경계선
가로(街路, Street)도시내의 도로를 칭하는 것으로 보도와 차도(步車道)가 구분되며, 시가지 구성상 가장 기본이 되는 도시의 교통노선. 도시의 통풍, 채광은 물론 지역과 지역간의 방화대(防火帶)의 역할과 전기, 수도 등의 공급 및 빗물 등의 처리를 위한 공급, 처리시설의 부설장소와 기타 노상주차에도 이용됨.
가로계통(街路系統, Street System)다른말로 표현하여 가로조직, 도로계통(road system)이라고도 한다. 도시의 도로계획 구성을 위한 것으로 도시의 유기적인 활동의 근간이 되는 가로의 배열은 통제되고 조직화되어야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가로의 계통의 종류에는 방사환상형(放射環狀型), 수선형, 사선형 등으로 주로 나뉜다
가로미끄럼저항계수(橫摩擦抵抗係數, Lateral force coefficient)횡방향미끄럼 마찰계수로 표현될 수 있으며, 차량의 진행방향과 어떤 각도(미끄럼角)를 이루는 타이어에 가해지는 힘의 타이어 회전면에 수직인 성분과 윤하중(輪荷重)과의 비(比)
가로수축줄눈(-收縮-, Transverse contraction joint)횡방향으로 설치된 수축줄눈
가로시설(街路施設, Street Furniture)도로에 설치된 조명시설, 우편함, 소화전, 비상전화, 가드레일, 교통시설(신호등) 등의 일체시설.
가로조명(街路照明, Street lighting)도로를 따라 도로시설의 기각적인 밝기를 높여줌으로써 야간의 안전운행과 편의 제고를 위해 설치하는 조명시설을 의미하며, 주로 수은등이나 나트륨 등이 많이 이용됨.
가로좌굴(橫挫屈, Lateral lighting)단면 높이가 폭에 비하여 큰 보에 휨모멘트가 한계치에 도달할 때 휨모멘트가 작용하는 면외로 들보의 변위가 발생하는 현상
가로줄눈(橫一, Transverse joint, horizontal joint, bed joint)일반적으로 수평방향의 줄눈, 도로에서는 도로 중심선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만든 콘크리트 포장 슬래브 줄눈의 총칭 기능에 따라 수축줄눈, 팽창줄눈, 홈줄눈 등으로 분류된다.
가물막이댐(假-, Cofferdam)교량이나 댐 또는 갑문 등 하천 또는 해양에 구조물을 축조하는 동안 물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널 말뚝(sheet pile)이나 흙을 사용하여 임시로 막아 놓은 제방이나 댐.
가변비용(可變費用, Variable cost)고정비용과 상반되는 개념으로서 교통에서는 차량의 사용 정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소용되는 연료비, 유지비(油脂費), 타이어 마모비, 유지보수비 등을 말함.
가변일방통행(可變一方通行, Reversible oneway)교통흐름에 따라 수시로 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교통을 변환시키는 것
가변차선(可變車線, Reversible lane)특정한 시간대와 교통상황에 따라 교통진행 방향을 수시로 변경이 가능한 차선
가변표지(可變標識)교통규제를 위한 경계, 안내 등의 표시 내용을 타임스윗치 또는 원격제어 등의 방식으로 자동적으로 변경 표시하는 것. 시간대에 다른 주행차선의 변경, 일방통행 방향의 변경 등을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
가새(Brace, bracing)→브레이싱
가속구간(加速區間, Acceleration area)차량이 고속의 주류교통(主流交通)으로 유입할 때 안전하고 원활하게 본선 교통과 합류할 수 있도록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변속차선 구간
가속정지거리(加速靜止距離, Acceleration stop distance)항공기는 이륙활주중 이륙 임계속도 이하에서 엔진 장애를 일으켜 다시 정지해야 하는 경우 활주개시점으로부터 정지점 까지의 수평거리를 나타내는 말. 활주로의 길이를 결정할 경우 충족시켜야하는 조건중에 하나임.
가속차로(加速車路 Acceleration lane)가속차로의 경우도 평행식과 직접식의 두 가지 형식이 고려될 수 있다. 가속차로는 본선으로 유입하는 자동차가 가속하는 차로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대기차로로 사용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평행식이 유용하다. 그러나 본선의 평면선형이 곡선형인 경우에는 평행식으로 하면 가속차로의 평면 형상이 뒤틀려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직접식을 이용할 수 있다.
가시삼각형(可視三角形, Sight triangle)서로 교차하는 두 도로에서 교차점으로 접근하는 차량운전자 서로의 시선과 각자의 시거(視距)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삼각형.
가열살포(加熱撒布, Hot application)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시 사용되어지는 프라임코팅이나 택코팅 또는 실코팅등과 같이 가열한 역청재를 살포하는 것
가열아스팔트 혼합물(加熱-混合物, Hot mixed asphalt)굵은 골재, 잔골재, 충진재(充塡材)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적당량 합하여 가열, 혼합한 아스팔트 혼합물로 입도에 따라 밀입도, 조립도, 세립도로 나눌 수 있다.
가열용포장타르(Hot applied road tar)포장타르 중 주로 가열하여 쓰이는 것. KS에는 1, 2, 3호가 있다
가열침투식공법(加熱浸透式工法, Bitumen penetration macadam method)침투식공법중 가열한 역청재료를 사용한 공법.
가열혼합물(加熱混合物, Hot mixture)아스팔트 플랜트에서 골재와 아스팔트를 가열하여 혼합한 것. 아스팔트 포장의 표층이나 기층에 사용이 됨.
가열혼합식공법(加熱混合式工法, Hot mixturing method)아스팔트 포장의 재료 혼합방법의 일종으로써 아스팔트 플랜트에서 스트레이트아스팔트와 골재를 가열 혼합한 아스팔트 혼합물을 고온상태 그대로 포설하는 공법
가열혼합식아스팔트 안정처리기층(加熱混合式-安定處理基層)역청안정처리의 일종. 블랙베이스(black base)라고도 하며 규정된 입도(粒度)의 골재를 아스팔트와 플랜트에서 가열혼합하여 고온으로 노상에 포설(鋪設)후 다짐을 한 기층
가외철근(加外鐵筋, Additional bar)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온도변화, 기타의 원인에 의하여 콘크리트에 일어나는 인장응력에 대비해서 추가적으로 보강한 보조적 철근
가요성 포장(可撓性鋪裝, Flexible pavement)강성포장에 반대되는 말로, 표층(주로 아스팔트 포장), 기층, 동상방지층 등의 두께를 통해 교통차량의 바퀴하중을 확대 분포하여 노상(路床)의 하중강도를 노상의 지지력보다 작게 함으로써 교통하중을 지지하는 것
가조립(假組立, Tentative assembly, temporary assembly)강구조물의 각 부재가 완성된 때 실제 구조물의 현장에 설치하기 전에 강(鋼) 교량 등 구조물의 전체 혹은 일부를 가설 전에 볼트 또는 그리프트핀으로 조립하여 구멍의 수정 둥을 위해 조립하여 보는 것. 이를 통하여 조립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수정하여 완벽한 시공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가조임(假-, Temporary tightening)강구조물의 가설시에 일시적으로 가볼트 등으로 접합부를 고정하는 것.
가치공학(價値工學, Value engineering)①고속도로 실시설계 내실화를 위하여 설계대상 시설물의 주요 기능별로 설계내용에 대한 대안별 경제성 및 적용 타당성을 검토하는 설계VE(Value Engineering)제도의 도입 방안 검토. (표 있음) ②설계VE제도의 도입배경. 1980년대에 VE(Value Engineering)가 국내 건설산업에 도입되어 시공단계에서 일부건설업체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제로 큰 효과가 기대되는 설계단계에서는 법ㆍ제도적 근거 미약 및 인센티브 부재 등으로 인해 실시되지 못하여 왔음. 따라서, 건설사업 초기단계에서부터 품질, 기능 및 비용을 동시에 고려하여 최적의 조합점을 찾아나가는 합리적이고 적극적인 비용절감방법으로서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설계VE제도의 도입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에 범정부차원에서 추진해 온「공공건설사업효율화종합대책」에서 설계VE제도 실시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표명함. 현재 도공에서는 설계VE제도의 일환으로 설계심사제도를 마련하여 설계단계에서 기술, 공사비, 시설기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으며, 「건설기술관리법시행령」의 개정(2000.3.28)시 설계VE검토가 의무화가 됨에 따라 설계심사업무의 기법 및 절차등에 있어서 체질변화가 필요한 시점임. ③VE(Value Engineering)의 정의. 가치공학(가치경영, 가치분석과 동의어)이라고 일컬어지는 Value Engineering은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잘 갖추어진 조직(team)이 시설물의 설계ㆍ시공 운영체계 및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개선하여 총비용 문제를 해결하거나 비용을 낮추는 동시에 품질이나 완성도를 높이는 적극적인 프로세스 각 선(脚線, Leg wire, leading wire)전기뇌관에 전류를 흐르게 하도록 전원과 뇌관을 결합하고 금속선의 내부가 전기뇌관에 부속되어 있는 부분. 일반적으로 0.5mm 정도의 심선에 비닐피복을 입히는데 길이는 보통 1.5∼8.0mm 이나, 제조사별로 차이가 있다. 심선의 구리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철을 사용하는 것도 있다. 철각선은 전기저항이 크므로 사용시 주의해야 한다.
간격재(間隔材, Spacer)①철근 또는 긴장재나 쉬스에 소정의 덮개를 가지게 하거나 그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쓰이는 콘크리트제, 모르터제, 금속제, 플라스틱제 등의 부품. ②철근이나 PC강선의 간격을 우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재료, 또는 그 가공물.
간선도로(幹線道路, Arterial, Highway)전국적·지역적 또는 도시내에서 골격적인 도로망을 형성하는 도로체계로써 설계속도가 높고, 유출입이 제한되며, 주로 통과 교통을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며 주로 장거리 교통량을 처리하는 도로로 볼 수 있다.
간접비(間接費, Overhead cost)공사에 직접 소요되는 인건비, 재료비 등 소위 직접비 외에 간접적으로 소요되는 비용. 예를 들면 공사용 건물, 전력, 교통통신, 현장감독 및 노무관계에 소요되는 비용, 본지점 경비 및 기타의 제경비등으로 일반적으로 공사비의 약 50%정도로 볼 수가 있다.
갈고리철근(Hook bar)철근의 정착 또는 겹이음을 위하여 철근 끝을 구부린 부분. 철근 끝부분을 반원형으로 180° 구부린 갈고리를 반원형 갈고리, 90°로 구부린 갈고리를 90°갈고리, 135°로 구부린 갈고리를 135°갈고리라고 함.
감속구간(減速區間, Deceleration area)본선 교통, 즉 주류교통(主流交通)으로부터 분리되어 연결로나 기타 속도가 낮은 도로로 진입하기 위하여 차량의 감속을 유도토록 설치하는 도로의 구간.
감속차로(減速車路, Deceleration lane)김속차로의 형식으로는 평행식과 직접식이 있다. 평행식은 시점을 일정길이를 갖는 변이구간으로 하고 노즈까지는 일정 폭으로 한 것으로서, 직접식보다는 감속차로의 시점이 강조되나 평행식 감속차로 전체를 이용하여 감속하려면 곡선주행을 해야 한다. 직접식은 감속차로 시점의 강조는 평행식보다 떨어진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들은 직접식의 유출을 선호하며, 곡선주행을 선호하지 않는다는 것이 많은 조사에서 나타나고 있으나 운전자의 행태상 변이구간에서의 진입보다 감속차로 중간위치에서의 진입으로 교통안전상 감속차로 전 구간이 동일한 폭으로 구성된 평행식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감속차로의 형식은 본선의 선형 교통조건 등을 감안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본선에서 빠져나온 차량이 소정의 속도가지 안전하게 감속할 수 있도록 만든 변속차선을 나타낸다.
감속턱(減速-, 過速防止턱, Bump)과속방지턱으로 불리고 있으며, 주로 주거단지, 학교부근 등의 보행자의 통행이 많은 지역에서 차량의 속도를 낮추어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횡방향으로 설치하는 턱.
강(鋼, Steel)탄소량 1.7% 이하의 Fe-C계의 합금을 말하나, 실제로 보통강의 탄소함유량은 1.3%임. 선철로부터 평로, 전로, 전기로에 의해 만들어짐. 고온에서 단조되며, 상온에서 구부릴 수 있음. 단순한 Fe-C계의 합금을 탄소강이라 하며, 탄소 이외의 여러 가지 원소를 첨가한 것을 특수강이라 함.
강구조(鋼構造, Steel structure)구조물의 주요구조 부재를 강을 사용하여 만든 구조
강널말뚝(鋼-, Steel sheet pile)토사의 붕괴와 지하수의 흐름을 막기 위하여 굴착면에 설치한 강재 널말뚝 주로 도로의 교량의 기초시공에 많이 적용된다.
강도(剛度, Stiffness)구조물의 특정한 자유도를 제외한 모든 자유도를 구속시킨 상태에서 특정한 자유도에 단위 처짐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그 자유도에 가해야 하는 힘. / 일반적으로 탄성체에 대한 영률 또는 탄성계수와 동의어이나 아스팔트에서는 온도와 재하기간에 따라 영향을 미치며 온도가 낮고 재하시간이 짧을수록 크게 됨.
강도(强度, Strength)구조물이나 그 내부의 부재등이 그 기능을 유지하면서 받을 수 있는 최대 하중 또는 응력의 크기.
강섬유(鋼纖維, Steel fiber)섬유상으로 기공된 강. 굵기 0.1∼0.5mm, 길이 10∼15mm 정도의 것이 많음. 콘크리트 중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 또는 강섬유 보강 뿜어 붙임 콘크리트로 사용됨.
강성포장(强性鋪裝, Rigid pavement)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처럼 신축성이 적고 강성이 큰 포장. 온도변화에 따라 신축이 쉽고 시멘트의 경화시에 수축하여 균열이 생기기 쉽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줄눈의 설치가 필수적이다. 2주 정도의 양생기간이 필요하다. 교통하중에 대한 저항은 슬래브자체가 휨저항력으로 지지한다. 유지관리측면에서 작업성이 가요성 포장에 비하여 떨어지지만 비용적인 측면에서 우수하다.
강우강도(降雨强度, Rainfall intensity)목표로하는 시간(5, 10, 60분 등)당의 강우량을 1시간당의 강우량(mm)으로 환산한 것.
강지보공(鋼支保工, Steel -rib)강지보공은 터널 굴착 다음에 숏크리트 타설 후 경화시까지 임시보강재의 기능, 무지보 지반의 직접보강 및 숏크리트 라이닝 하중분산 작용과 Forepiling, pipe 시공시 지지대, 터널내공 확인, 발파 천공의 지표(guide) 등의 기능을 하는 보조 지보재. 지보재의 형상에 따라 H형, U형, 삼각형 지보공으로 나뉜다
개거(開渠, Open channel)자유수면을 가지고 있는 수로단면으로 뚜껑이 없는 수로, 여러 단면모양이 있으며, 개거의 상부에 뚜껑이 덮어지는 단면을 개거(蓋渠: coverd conduit), 전단면이 사방으로 둘러 싸인 박스형 단면의 수로를 암거(暗渠 : culvert)라고 하며 도로, 철도, 제방 등에 매설한다.
개립도 아스팔트 콘크리트(開立度-, Open graded asphalt concrete)가열아스팔트 혼합물의 일종으로 2.5mm체 통과분의 세골재비율(細骨材比率)이 15∼30%이며, 아스팔트량은 3.5∼5.5%정도로 이것을 사용한 포장표면은 거칠고 표면에 물이 고이지 않기 때문에 미끄럼저항용으로 사용된다.
개착공법(開鑿工法, Open cut method)지반을 굴착하여 굴착면이 노출이 된 채로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 오픈컷공법이라고 부른다.
개착터널(開鑿-, Open and cover tunnel)터널 입출구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입출구부의 암질이 불량할 경우 양질의 암반까지 지반을 굴착하여 터널 구조물을 설치하고 흙으로 다시 되메우기를 실시하여 완료한 터널을 말한다.
거북등 균열(-龜裂, Alligator crack)주로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에서 발생하는 포장의 파손형태의 하나로써 표층이 기층이나 노상에서의 지지력 부족으로 인하여 균열의 모양이 거북이의 등과 같이 망사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건식숏크리트(乾式-, Dry mix shotcrete)물이 포함되지 않은 마른 상태의 골재와 시멘트 등의 혼합골재를 압축기의 압력을 통하여 운반되고, 노즐 부분의 별개의 호스를 통하여 고압수를 분사시켜 시공하는 방법의 숏크리트.
검사선(檢査線, Screen Line)실제로 조사한 교통량과 표본조사로 정수화시킨 자료를 자료검증하기 위한 조사시 O-D조사로부터 추정된 교통량을 검증하기 위해 내부 Zone 경계선과 일치하는 검사선에서 어떤 Zone group에서 다른 Zone group으로 향하는 통행수를 파악하는 것이다. 조사방법으로는 조사지점에 교통량 조사기기(Traffic counter)를 설치하고 교통량을 측정하며 지속적으로 교통량의 시간변동을 조사한다. 검사선을 설정할때 검사선을 횡단하는 도로의 수를 줄이고 하천, 철도, 고속도로 등과 같은 지형적인 조건과 일치시키도록 한다.
결 선(結線, Wiring, connection of wire)전기발파에서 각선끼리, 각선과 보조모선, 보조모선과 모선을 결합하는 것.
경계선(境界線, Cordon Line)대상지역의 교통량 조사 목적을 위하여 설정된 세력권의 조사대상 범위를 나타내는 경계선으로서 어떤 특정지역의 교통패턴을 파악하기 위한 교통량조사의 수단이며, 대학교와 같은 큰 기관 및 외부경계선의 경우와 같은 곳이 교통조사를 할 때 사용되며 조사방법으로는 목적에 따라 24시간 또는 밤시간을 제외하고 조사하거나 정보가 누락되지 않게 경계선을 횡단하는 도로의 수를 적게 한다. 경계선 설정시에는 경계선을 횡단하는 도로의 수를 적게 하기 위하여 가능한 하천, 철도, 능선을 이용하며 행정구역의 경계와 일치시켜 자료의 이용을 쉽게 하고 매우 큰 주거지역은 가능한 포함시켜서 설정한다. 경계선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로는 그 지역을 출입하는 통행차량 및 사람의 수, 통행수단, 시간별 변동, 경계선내에서 사람과 차량의 누적량을 알 수 있다.
경사방향치기방법(傾斜方向打設方法, Advancing slope method)터널의 콘크리트 라이닝 시공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 굳지 않은 콘크리트가 연직방향이 아니고 전면으로 이동하도록 치는 방법.
경사보링(傾斜-, Inclined drilling) 연직 보링과 수평보링의 중간정도의 경사를 가지는 보링으로 단층 조사나 경사지반의 조사, 어스앵커 시공시 조사, 구조물 하부에 그라우팅 등 연직방향 보링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함.
경제적 생애(經濟的 生涯, Economic life) 시설물이 다른 대안에 비해서 경제적으로 가장 효율적인(가장 비용이 적게 드는)방법으로 기능할 수 있을 때까지를 생애로 보는 개념.
경험적 바닥판설계법 교량 설계법의 하나로 1983년 처음으로 캐나다 온타리오주 교량설계기준(OHBDC : Ontrario Highway Bridge Design Codes)에 수록되었으며 이후 1994년 미국 AASHTO LRFD Bridge Design Codes에 수록되었다. 이 설계법이 아직 유럽이나 일본에서는 적용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자체 시방을 가지고 교량을 설계하는 나라만을 고려하면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시방서에 수록되었다고 볼 수 있다. 슬라브가 자신을 지지하고 있는 보나 거더와 합성으로 거동하는 경우에 적용하며, 합성형 교량의 경우 교량바닥판이 전단연결재 또는 전단연결철근을 사용하여 주형과 합성으로 거동하기 때문에 교량바닥판에 아칭액션이 형성되어 바닥판의 극한 강성이 증가된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한 교량바닥판 설계법이 경험적 설계법인데 기존의 설계법과 차이를 간단히 말하면 일정량 이상의 철근을 바닥판의 상하부에 배근하고 바닥판의 두께를 약간 키워 전단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라 말할 수 있다. 적용할 수 있는 교량은 교량바닥판이 3개 이상의 주형 위에 거치되며 합성으로 거동하는 경우에 가능하다. 강판형고, PSC 빔교 등이 적용대상이 되며 가장 대표적인 교량이라 할 수 있으며 강박스형교와 콘크리트 상자형 교량의 경우는 박스의 수가 두 개 이상인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단일박스 교량의 경우에는 바닥판의 횡방향 구속력이 작다고 보고 경험적 설계법을 적용하지 않는다.
계획 홍수 수문곡선(計劃洪水水文曲線, Design flood hydrograph) 수리 구조물이나 기타 하천의 관리에 필요한 공사의 기준이 되는 홍수량을 결정하기 위한 경제적 및 수문학적 요건을 고려한 수문곡선.
계획교통량(計劃交通量, Designed daily volume) ① 도로의 계획, 설계를 시행하는 계획목표년도에 통행한 자동차의 1년간 평균 일일교통량(AADT : Annual Average Daily Traffic)을 말하며, 계획목표년도를 설정하는 문제는 계획도로의 기능과 위치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지방지역 도로는 도로계획목표 연도와 같이 20년으로 하며, 도시지역에 대해서는 도시교통의 변화가능성이 높고, 노선의 성격과 중요성을 고려하여 10년으로 한다. ② 계획목표년도의 연평균 일교통량(AADT : Annual Average Daily Traffic)으로 정의되며 이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AADT를 기준으로 한다. AADT 산출방법 - 조사교통량(ADT) × 변동계수(월별, 요일별, 시간대별) = AADT(대/일) - 월변동계수 = AADT / 월평균 평일교통량 - 요일별 변동계수 = 월평균 평일 교통량 / 월평균 요일별 교통량 계획교통량은 계획노선의 구체적인 규격, 폭, 차로수를 결정하고 계획노선의 위치결정, 투자 우선순위의 결정의 기초자료, 도로투자에 대한 경제적 효과분석, 도로구조물 및 도로포장설계와 차량분류 조사에 이용되며 계획교통량은 첨두 특성이 없어 도로의 기하구조 설계에는 이용되지 않는다.
고가도로(高架道路, Elevated road, viaduct) 다른 도로나 철도 등과 입체교차를 시킬 경우 교량형식의 구조로 된 도로.
고무아스팔트(Rubberized asphalt) 합성고무, 천연고무를 라텍스상(狀) 또는 마스터 패칭형으로 하여 석유아스팔트와 혼합 제조하므로써 고무와 같은 탄성이 큰 것으로 이용하여 아스팔트의 성질을 개량한 것. 고무의 첨가량은 일반적으로 아스팔트량의 3~5%임.
고속도로(高速道路, Freeway, Expressway, Motorway) 지역과 지역을 연결하는 간선도로로 장거리 통행을 주교통으로 한다. 지정된 진출입외에는 완전히 출입을 제한한 자동차 전용도로.
고속도로기본(단위)구간(高速道路基本單位區間, Basic freeway segment/section) 노선중 합류, 분류나 엇갈림의 영향을 받지 않는 (단위)구간
고정받침(固定-, Fixed bearing) 보, 받침이 활동 또는 전동하지 않게 된 것. 즉 수평력에 저항하여 수평이동을 구속하고 각 변화에 대하여는 일방향 또는 전방향에 자유스러운 받침.
고정지체(固定遲滯, Fixed delay) 교통량과다나 운영지체와 상관없이 교통제어설비에 의해 야기되는 지체의 한 부분.
고정축간거리(固定軸間距離, Rigid wheel base) 둘이상의 차축을 갖는 불요성 대차에 장치된 일군(一群)의 고정축 중 최전위의 것과 최후위의 것과의 차축 중심간의 수평거리. "고정축간거리"는 일반적으로 궤간보다 작지 않도록 하고 있으며 우리 나라 국철에서는 4.75m 이하로 규정하고 있음.
곡선교(曲線橋, Curved bridge) 교축이 곡선으로 되어 있는 교량. 즉 교량을 직선교와 곡선교로, 직교와 사교로 분류하는데 교량의 빔과 노면이 곡선인 것을 주로 지칭한다.
곡선부(曲線部, Curve, curved section) 도로의 평면선형에서 도로 중심선이 곡선으로 되어 있는 부분. 좁은 의미로는 원곡선부를 말하나 일반적으로는 완화곡선까지 포함하는 평면곡선을 말함.
곡선시점(曲線始點, Beginning of curve) 도로의 평면선형 설계에 있어서 곡선의 시작점을 나타냄. 노선측량에 있어 노선의 곡선설정을 할 때 직선부에서 곡선부로 옮기는 점. BC로 표시함.
곡선장(曲線長, Curve length) 곡선의 시점부터 종점까지의 길이. CL 표시함.
곡선종점(曲線終點, End of curve) 도로의 평면선형 설계에 있어서 곡선의 종점을 나타냄. 노선측량에 있어 노선에서 곡선이 끝나고 직선으로 변화하는 점. EC로 표기함.
공발(空發, Blown out) 발파작업시 장전한 폭약의 폭력이 부족하여 암석을 파괴하지 못하고 폭력이 공구쪽으로 빠져나가 전색물만을 날려보내거나 공구 쪽의 암석의 일부만을 파쇄하는 현상으로 소음과 비석의 위험이 있는 현상이다. 그 원인으로는 과도한 약장일 경우, 전색이 부적당할 경우, 지발시차의 부적절로 인하여 후열에서 먼저 기폭 되는 경우, cut off 등의 이유로 인하여 저항선이 증가되는 경우 등이다.
공간평균속도(空間平均速度, Space average speed) 도로상의 한 구간 내에 존재하는 자동차 속도의 평균값. 교통량을 밀도로 나눈 값과 일치한다.
공기량 시험(空氣量試驗, Air content test)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 함유량을 구하는 시험. 시험방법으로는 공기실 압력법 또는 중량방법 등이 있음.
공기량(空氣量, Air content) 콘크리트를 타설 직후의 콘크리트 속에 포함하는 공기의 양. 콘크리트에 대한 용적 백분율로 나타냄.
공내재하시험(孔內載荷試驗, Boreholes load test) 보링 공벽과 바닥에서 수행되어지는 재하시험. 공벽의 재하시험은 횡방향 재하시험이라고도 부르고, 공벽에 압력을 가하여 횡방향 지반반력계수, 변형계수 등을 구한다. 보링공 바닥 재하시험은 심층 재하시험이라고도 부르며 깊은 기초의 지지력을 구할 때 사용됨.
공내재하시험기(孔內載荷試驗器, pressuremeter) 프랑스의 Menard에 의해 개발된 시험기로 시추공내에 고무튜브로 된 탐봉(探棒)을 삽입하고, 압축된 공기압에 의하여 탐봉튜브 속으로 수압이 작용하도록 함. 이때 탐봉튜브 속으로 유입된 물의 양으로 공벽의 변화량을 산출하도록 하는 시험기구임. →공내재하시험
공동구(共同溝, Common duct) 복잡한 도로에서 노면 굴착으로 인해 도로구조의 보존 및 교통소통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높은 경우 도로노면의 굴착을 수반하는 지하매설물(전기, 가스, 수도, 전선, 상․하수도 시설등)을 공동수용하면서 도시미관, 도로구조보전, 원활한 교통소통을 확보하기 위해 지하에 설치하는 시설물을 말한다. 설치 효과 (1)각종 매설물 점용공사에 의한 반복된 도로의 노면굴착 배제로 교통소통 원활 및 교통사고 감소. (2)반복굴착 및 복구에 따른 경제적 손실방지 및 노면지지력 손상 배제. (3)지하매설물 정비 및 합리적 이용 기대. (4)점용단면에 대한 수용용량이 기대되며 도시미관에 유리.
공동도급(共同都給, Joint venture) ①공동도급은 보통 협동도급이라 함. 두 명 이상의 도급업자가 특정 단일공사에 협정을 체결하여 도급하는 방법으로 공사에 책임이 있음 ②하나의 공사를 대상으로 둘 이상의 시공자가 공동으로 그 공사의 도급을 목적으로 임시의 기업체를 결정하고, 공사 완성 후에는 해산을 하는 공동경영의 한 방식. ③큰 공사를 단 하나의 회사로는 도저히 감당하지 못할 때 이용됨.
공동현상(空洞現象, Cavitation) 고속회전시 유체 흐름에서 국지적인 부압으로 공동이 발생하는 것. 수력기계의 터빈이나 펌프의 날개에 심한 손상을 입히기도 함.
공시체(供試體, Test piece) 재료의 역학적인 시험(압축시험, 인장시험, 휨시험, 전단시험, 크리프 시험)을 하기 위하여 일정한 규격(KS 규격)에 따라 만들어진 시험재료. 시험용 성형한 시료.
공용교통량(公用交通量) 도로포장 완공 후 1년 동안의 통행이 예상되는 일평균 왕복교통량
공용성 등급(共溶性等級, Performance Grade) 기존 도로의 문제점 개선 및 공용성 향상을 목적으로 도로전반에 관하여 연구한 SHRP(Strategic higway research program, 미국에서 수행)라는 프로젝트에서 제시된 새로운 규격으로 기존의 규격과는 전혀 다른 개념의 아스팔트 규격이다. 기존의 침입도 및 점도규격과는 전혀 다른 아스팔트가 갖추어야 하는 기본 5가지 성능, 즉 노화, 소성변형, 피로균열, 저온균열에 대한 저항성과 작업용이성에 대해 포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평가하며, 포장지역의 기후 및 교통조건에 따라 아스팔트 등급을 결정하는 규격이다.
공용성(共溶性, Performance) 포장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느끼는 승차의 쾌적성
공용성지수(共溶性指數, PSI-Present serviceability index) (표 있음) 포장의 서비스 능력은 자동차와 트럭교통에 높은 속도와 높은 용량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되며, AASHO 도로시험에서 그 절차는 포장의 서비스능력을 주기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현재 서비스능력 평가로 간주된 이절차는 도로의 사용자로서 도로공학 분야에 많은 경험을 가진 심사단에 의한 개인적인 평가를 평균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비스능력 평가를 위하여 사용불가능한 도로(PSI=0)에서 완전한 이상적인 도로(PSI=5)까지의 scale이 정립되었으며 그 절차는 포장의 물리적 측정자료를 조합하여 현재 서비스 능력의 등급을 추정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이 값들의 조합은 현재 서비스지수(P)로서 나타내며 AASHO에서의 포장설계원칙은 서비스능력-공용성개념(serviceability-performa nce concept)인데 공용성과 포장구조설계 사이의 관계를 정립함으로써 특정한 총 교통량에 대하여 포장을 설계하고 공용기간이 끝나는 시점에서 최소서비스 능력수준에 이르게 한다는 개념이다. 또한 AASHTO에서는 서비스 지수에 대한 개념을 도로 이용자가 주행시 느끼는 승차감에 기인하는 쾌적도를 시험을 통하여 객관적 평가개념으로 설정하려 하였는데 AASHO 도로시험연구에서 얻은 최소 수준의 Pt에 대한 일반적 지침은 다음과 같으며, 최저 허용 PSI 즉 최종서비스 지수(Pt)는 복구, 표층 재포설 또는 재포장을 하기전에 견뎌낼 수 있는 최저지수에 근거한 것으로 도로 이용자의 주관적인 요소에 근거한 객관적인 지표라는 다소 애매한 개념이라 하겠다.
공항포장(空港鋪裝,Airport pavement) 공항의 활주로, 유도로 또는 계류장에 설치되는 포장을 가르킴. 공항포장은 포장의 기능에 따라 강성포장과 연성포장을 적절히 구분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설계법으로는 CBR 법, FAA 법, PCA 법, COE 법 및 shell 등이 있음.
관 로(管路, Pipe line) 폐합(閉合) 단면수로에 물이 가득차서 수압이 높은 단면에서 수압이 낮은 단면으로 물이 흐르는 압력관 수로
관거접합(管渠接合, Pipe connection) 관거를 시공시 관의 지름, 설치되는 기울기, 방향이 변경되는 장소에서 관거간에 연결이 필요한 위치에서 맨홀등을 이용하여 관과 관을 연결하는 것을 말함.
교점(交點, Point of Intersection) 단곡선에서 두 직선이 교차되는 점을 교점이라 함. 즉, 교각을 이루고 있는 점을 말함(IP).
교각(橋脚, Pier) 교량의 하부구조의 하나. 두 경간 이상의 경우 중앙부에서 교대 또는 다른 교각과 함께 상부구조를 지탱하는 구조물.
교대(橋臺, Abutment) 교량의 시종점부에 설치되며 도로와 교량을 접속시키며, 상부구조물의 하중 및 배면의 토압을 지지하는 구조물.
교량상판(橋梁床板, Bridge floor/deck) 교량 상부구조로서 교량 위를 통과하는 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부분.
교면종방향경사(嬌面縱傾斜) 교량면위에 차량의 원활한 교통을 위해 배수, 미관 등을 고려하여 설치하는 종방향경사, 보통 장대(長大)교량은 0.2~1.0%, 중․소형 교량은 1~2%로 종방향 경사를 설치한다.
교차도로(交叉道路, Cross Street) 두 개의 도로가 서로 진행방향이 서로 다르면서 교차는하는 도로
교차로(交叉路, Intersection) 도로가 서로간에 합쳐지거나 횡단하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도로가 만나는 공간 및 그 내부의 교통시설로써 일반적으로 평면교차로를 말함. - 평면교차로(at-grade Intersection) - 입체교차로(grade Intersection)
교차저항(交叉抵抗, Intersection friction) 진행방향이 서로 교차하는 2개의 교통류가 잠재적 또는 실제의 충돌로 인하여 교통류의 움직임에 변화가 발생하여 지․정체가 발생하는 것을 뜻함.
교차점 교통조사(交叉點交通調査, Intersection census) 비교적 작은 지역을 대상으로 한 OD조사. 조사점을 결정한후 그 조사점을 통과하는 교통량을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교차점 유출부(交叉流出部, Intersection exit) 교차점의 노선중 교차점으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유출하는 교통이 사용하는 부분
교차점(交叉點, Intersection point) 도로나 물의 흐름이 서로 엇갈리는 지점. 또는 서로 교차하는 도로의 차도 외측선을 연장한 선에 의하여 둘러싸인 구역.
교차점유입부(交叉點流入部, Intersection entrance) 교차점의 노선 중 교차점으로 유입하는 교통이 사용하는 부분.
교통감응신호(交通感應信號, Traffic-actuated signal, vehicle actuated signal) 교통제어구간으로 진입하는 자동차가 감지신호에 의하여 신호현시(信號顯示)의 변화를 일으겨 원활한 교통흐름을 유도하도록 고안되 교통신호.
교통공학(交通工學, Transportation Engineering, Traffic Engineering) 넓은 의미로 사람과 화물을 안전하고, 신속하고, 쾌적하고, 편리하고, 경제적이며 환경과 조화되게 수송할 수 있도록 모든 교통수단을 위한 시설들의 계획, 기능적 설계, 운용 및 관리에 기술과 과학적 원리를 적용하는 공학의 한 분야. 좁은 의미로 도로, 가로 및 이들의 망과 터미널, 인접 토지등의 계획, 기하구조 설계 및 교통운용과 다른 교통수단들과의 관계를 취급하는 공학의 한 분야.
교통공해(交通公害,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road traffic) 도로의 교통으로 발생되는 대기오염, 소음 소음 및 진동 등으로 사람의 건강 또는 생활환경에 피해가 생기는 것.
교통관리시설(交通管理施設, Traffic control device) 도로 교통의 원활화와 교통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치한 교통표지판, 반사체, 라인, 비상전화, 도로정보 표출장치, 도로감시시설, 교통신호기 등의 시설을 총칭함.
교통관제시스템(交通管制-, Traffic control system) 교통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하기 위하여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교통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기기와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처리전달기기에 의거하여 교통을 제어하는 교통신호기, 가변표지, 도로교통 정보판 등의 시스템.
교통구성(交通構成, Traffic Composition) 도로를 주행하는 교통류내 차종별에 대한 구성비를 나타내는 것으로써, 시설물의 용량이나 서비수준 산정시 중요한 입력값이다.
교통권(交通圈, Traffic zone) 특정한 기능을 갖는 지점, 지구 또는 도시, 지방 등을 중심으로 한 도시내의 범위. 교통권은 모(母)도시로부터 직접 방사하는 교통노선이 미치는 범위를 가지는 형태적 교통권과, 도시의 기능 또는 사람이나 건물의 노선상의 유동정도에 따라 모(母)도시의 세력이 미치는 범위로 결정하는 기능적 교통권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교통규제(交通規制, Traffic control) 도로 이용자의 위험을 방지하고 교통의 안전과 원활을 기하며 교통공해, 기타 도로교통으로 인한 장애를 방지하기 위하여 신호기, 도로표지 등을 이용하여 교통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제반의 조치를 말한다.
교통량 - 용량비(交通量 - 容量比, Volume - Capacity ratio) 교통시설의 용량에 대한 교통량의 비( V/C )
교통량(交通量, Traffic Volume, Traffic) 단위 시간당 일정지점을 통과하는 교통량 또는 보행자등의 수, 예를 들면 한시간, 주간(晝間), 12시간, 1일 등 그 사이에 통과하는 자동차, 자전거, 보행자 등의 수.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대한 수를 말함.
교통량계절변화도(交通量季節變化圖, Seasonal traffic pattern) 일정기간 동안에 걸쳐 지속적으로 교통량을 조사하여 변화량을 각 월평균교통량에 따라 표시한 도표
교통량도(交通量圖, Traffic flow diagram) 도로망 또는 일부 지역을 일정시간(보통 한시간)내에 통과하는 교통량을 도표로 표시한 것. 교통량도에 나타나는 선의 굵기가 교량의 크기를 나타낸다.
교통량배분(交通量配分, Traffic assignment) OD조사에서 얻은 통행(trip)을 특정한 노선군(현존 및 계획중의 것)에 배분하여 이들의 교통량을 구하는 작업
교통량예측(交通量豫測, Traffic prognosis) 도시계획이나 도로건설 계획 등을 수립하기 위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으로써 현재의 기본 교통량을 기준으로하여 과거의 교통량 증가율과 장래의 토지이용계획 및 기타 여러 가지를 감안하여 장래의 교통량을 추정하는 것.
교통류(交通流, Traffic stream) 도로상에서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는 차량 또는 보행자의 교통, 일반적으로 차량교통을 말함.
교통류율(交通流率, Flow rate) 보통 5분 또는 15분 동안 일정지점을 통과한 차량수를 시간당 교통량으로 환산한 값.
교통망 평형(交通網 平衡, Traffic Network Equilibrium) 교통망 분석에서 이용자 효용 극대화 혹은 체계편익 극대화 원칙하에서 더 이상 극대화 할 수 없는 상태에 도달하여 주어진 조건하에서 더 이상 변화 할 수 없는 안정된 균형상태인 교통망의 교통상태. 즉 도로가 가질 수 있는 서비스지수가 최상일 때의 최대의 교통량.
교통망(交通網, Traffic Network) 교통체계를 나타내는 선(Link)과 결절점(Node)으로 구성된 하나의 체계를 의미함. 즉, 두 지점(Node)을 연결하며 방향성을 갖는 선의 조합상태인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는 하나의 체계임. 대중교통의 경우에는 전체의 체계를 구성하는 노선과 정류장의 배치로 나타내기도 함.
교통밀도(交通密度, Traffic density) 어느 순간 단위길이에서의 주행차로상에 존재하는 차량의 수. 보통 대/km의 단위로 표시함.
교통배분(交通配分, Traffic Assignment) 기종점간 교통량을 교통망상에 배분하는 것으로써 통행수요 예측의 최종단계이다. 교차로에서의 방향별 회전 통행량과 구간별 통행량 등을 구체적으로 추정함.
교통사고율(交通事故率, Traffic accident rate) 도로의 어느 일정 단위구간당 교통사고가 발생한 비율.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연간 주행 1억대 km당, 지역인구 10만인당, 자동차 보유대수 1만대당, 각각 1년간 발생한 교통사고의 비율을 말할 경우가 있음.
교통상충(交通相衝, Traffic Conflict) 교통흐름이 상호간에 교차(Crossing), 합류(Merging) 또는 분류(Diverging) 하는 것. 또는 이러한 도로구간에서 발생하는 차량간의 충돌 가능성.
교통섬(交通섬, Traffic Island) ① 차량의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을 확보하거나 보행자의 안전한 도로횡단을 위하여 교차로 또는 차도의 분기점등에 연석 또는 노면표시등으로 설치한 섬 모양의 시설. ② 교통섬은 보행자를 위한 안전섬과 교통유도를 위한 도류섬의 양자를 총칭. ③ 교통섬의 설치목적 - 도류로를 설치하여 교통흐름을 안전하게 유도. - 보행자 횡단시 안전섬 역할을 함. - 신호등 도로표지, 안전표지, 조명등 노상시설의 설치장소를 제공함. - 교차로에서는 정지선 간격을 좁히는 역할을 함. ④ 교통섬의 구성요소 - 교통섬 선단의 반경 Ri : 0.5 ~ 1.0m Ro : 0.5m Rn : 0.5 ~ 1.0m ⑤ 교통섬의 형태 - 교통류를 분리하는 경우 - 안전도를 겸용하는 경우 - 시설물을 설치하는 경우 - Taper를 붙이지 않는 경우
교통영향평가(交通影響評價) 도로의 신설 또는 확장에 따른 교통영향으로 자연환경, 생활환경, 사회 및 경제적 환경등 주변에 영향을 미치는 상태를 측정․분석하는 것으로 계획도로 주변의 토지이용 및 도로교통현황, 관련계획검토, 장래교통수요예측, 사업시행에 따른 교통영향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등으로 구성된다. (표있음)
교통용량(交通容量, Traffic Capacity) 주어진 도로조건, 교통조건, 교통통제 조건하에서 일정한 시간동안 도로의 정해진 구간을 차량이 통과하리라 기대되는 시간당 최대교통량.
교통지구(交通地區, Traffic Zone) 교통수요 추정하고 분석하기 위한 공간적 단위로써 심점(Centroid)으로 대표되며, 사회․경제적 자료의 수집이 용이하도록 설정함.
교통진단(交通診斷, Traffic diagnosis) 교통용량, 안전성, 경제성을 고려하여 도로망 또는 수송망의 가치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
구배(勾配, Grade, Gradient, Slope, Pitch) 경 사
구제(Crimping) 공업뇌관과 도화선 또는 점화장치와 결합하는 것.
구간속도(區間速度, Over all traffic speed) 일정한 시행구간에서 전구간의 거리를 모든 교통지대를 포함한 전주행시간으로 나눈값. km/hr
구스아스팔트 포장(Guss asphalt pavement) 아스팔트 함량 7~8%에 잡석, 모래, 돌가루를 가열혼합하여 쿠커(cooker)라 불리는 가열 보온장치와 교반기가 장비된 차로 포장현장에 피니셔와 인두로 포설하는 공법. 방수효과가 크고 저온에도 균열이 생기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것을 표층에 사용할 때는 보통 잡석칩을 살포하여 스파이크 롤러로 정착시킨다. 매스틱 아스팔트와 같다.
구스아스팔트(Guss asphalt) 석탄, 돌가루 또는 천연아스팔트 분말을 주재료로 하여 고온시의 혼합물이 유동성을 이용하여 유입시키고 피니셔나 큰 흙손으로 편평하게 평탄작성을 하는 아스팔트.
국지도로(局地道路, Local road) 도로를 기능적으로 분류할 때 이동성은 제한되고, 접근성이 높은 도로로서 일반적으로 속도가 낮고 교통량이 적으며 거리가 짧아 단거리 교통량을 위한 도로이다.
굴진장(掘進長, Excavation length) 터널작업에서 매 발파당 실제 전진한 단위 길이를 의미한다. 발파의 경우 일반적으로 굴진장은 천공장보다 짧다. 통상 천공장에서 10~20cm의 잔류공이 남는다. 적정한 굴진장의 선정은 갱도의 크기, 작업싸이클, 지보의 설치, 발파방법 등에 의하지만 암반 자체의 지보능력에 좌우되며 특히, 도심지에서는 발파진동의 허용치 정도에 영향을 받는다.
규준틀(規準 틀, Leading frame) 시공시 기준이 되는 틀로써 각종 구조물 공사에서 줄, 말뚝 및 판대기로 구조물의 위치, 높이, 형상 등을 현장에 표시하는 가설물.
균열률(龜裂率, Crack ratio) 아스팔트 포장도로에서 대상면적에 대하 균열발생 면적(망상(網狀) 균열면적 ㎡+선상 균열연장 m×0.3m)의 비율
그린 네트워크(Green network) 도로개발로 인해 끊어진 생태계를 다시 잇는 "생태 연결지대" 계획의 일환으로 태백산맥 등 5대산맥과 국립공원을 그린네크워크의 중심으로 해서 전국의 자연생태계와 도시시설을 재구성하여 고립된 녹지공간을 교량으로 이용, 연결하고 동식물의 이동을 보장하기 위한 계획으로 '95. 3. 15부터 환경부에서 추진중인 사업.
기폭(起爆, Occurring of explosion) 폭약에 충격, 마찰, 전기, 열 등의 외적작용에 의하여 폭약을 폭발시키는 것을 기폭이라고 한다. 천공장과 장약장이 클수록 강력한 기폭약을 사용하여야 완전한 폭력의 발휘를 할 수 있다. 이렇게 기폭할 수 있는 예민도를 기폭감도라고 하며 초유폭약(ANFO)은 뇌관만으로는 기폭이 되지 않고 기폭약포(Primer)를 사용하여야 비로소 폭굉에 이른다.(경우에 따라서는 뇌관만으로 불완전한 폭발을 일으키기도 한다)
기본 클로소이드(Symmetric Clothoid) 도로의 평면선형 계획시에 사용되며, 도로의 기본적인 완화곡선의 하나로써, 직선-클로소이드, 원곡선-클로소이드-직선의 순으로 조합된 형식.
기본용량(基本容量, Basic Capacity) 이상적인 교통 및 도로 조건하에서 단위 시간내에 통과할 수 있는 최대 교통량.
기술적 생애(技術的 生涯, Technological life) 이 개념은 시설물이 기술적인 문제로서 쓸모가 없어질 때까지를 시설물의 생애로 보는 개념
기층(基層, Base course) 표층을 지지하고 교통하중 및 충격을 적당히 분산, 경감하여 이것을 노반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표층, 중간층, 보조기층 또는 노반사이에 포설하는 포장층
기회손실비용(期會損失費用-Denial-of-use cost) 의사결정의 결과로써 발생한 입주, 또는 생산의 지연에 의하여 발생한 불필요한 비용 또는 수입의 손실분이다. 예를 들어 건설비가 동일한 2개의 개조안을 고려할 경우, 제 1안은 6개월 동안 거주인을 다른 장소로 임시 이동시켜야 하나, 또 다른 대안은 근무 시간 이외의 시간을 이용하면 개조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긴급제동시설(Emergency Escape Ramp) 급경사의 내리막 종단경사가 연속되는 도로에서는 고장 자동차 등이 긴급히 피난하여 정지할 수 있어야 하며 필요한 경우 긴급제동시설을 설치해야한다. 자동차가 주행 중에 제동장치가 고장날 경우 자동차의 도로이탈 및 충돌사고를 방지하고 승객 및 차체에 대한 손상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산지부의 내리막 급경사가 연속된 곳에는 필요시 긴급제동시설을 설치한다. 고속도로에서는 하향종단구배 3%이상 구간이 5km이상 연속되는 경우 2~3km 간격으로 설치. 설치제원 - Ramp 폭 : 최소 7.8m이상 (9~12m가 바람직) - 골재부설층 골재 최대 추천 규격 : ø40m/m - 구난차 및 견인차 이용 보조도로 : 포장된 도로로 폭 3m - 견인앵커 : 100간격으로 설치 - 본선 우측에 설치 : 공식 (R : 등가제동저항, G : 구배, V : 골재부설층 진입속도) - 차량진입속도 추정 : 130~140 km/hr (고속도로에서는 경제성 감안 100km/hr 적용)
길어깨(Shoulder) ① 도로의 주요 구조부를 보호하거나 차도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차도에 접하여 설치하는 도로의 일부로서 도로의 주요 구조부 즉, 도로의 본체를 보호하며 고장차의 대피장소 제공으로 교통혼잡방지와 측방 여유폭으로서 교통의 안전성과 쾌적성 유지, 노상시설의 설치장소 제공, 유지보수 작업장이나 지하매설물 설치장소 제공, 보도 등이 없는 도로에서는 보행자의 통행장소 등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다. ② 길어깨 구성 폭 : 고속국도 ; 3.0m(우측), 1.0m(좌측) 국 도 ; 2.0m(우측), 0.7m(좌측), (우측 길어깨 최소폭 : 1.0m) ③ 적설지역은 제설여유폭 확보하고, 도시지역 시가지도로에 정차대 또는 보도가 설치될 경우 길어깨를 생략할 수 있다
나
나들목(나들목, IC-Interchange) 주로 교통량이 많은 등급이 높은 도로에서 저급의 도로로 연결로(Ramp)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지점을 가르키는 도로시설물에 대한 용어이며, 고속도로의 경우는 국도, 지방도, 시군도 등과 고속도로가 연결되는 지점을 말하며 대부분의 경우 요금소가 함께 설치되어져 있다. 고속도로의 경우는 수원IC, 판교IC, 성남IC 등이 이에 해당한다.
나선철근(螺旋鐵筋, Spiral reinforcement) 교량의 교각 등에서 축방향 주철근을 나선모양으로 둘러싼 철근.
나선철근기둥(螺旋鐵筋-, Spiral column) 기둥을 형성하는 내부의 주철근의 외부를 나선철근으로 둘러감은 철근콘크리트기둥.
나선형곡선(螺旋形 曲線, Spiral curve) 도로의 선형계획에서 평면선형 구간의 곡선반경이 곡선장을 따라 점차적으로 비례하여 변화하는 완화곡선의 일종으로, 차량의 원활한 주행을 위해 원곡선 또는 곡선반경이 다른 두 원곡선 사이에 설치함.
낙반(落磐, Rock fall, cave-in) 터널 천장부의 암괴, 토사 등이 무너져 떨어지는 것으로 터널공사의 건설시 발생하는 사고중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며 위험도가 높음.
낙석(落石, Rock fall) 절벽, 절토 경사면, 지하갱도 등에서 여러 가지의 모양가 크기로 암이 낙하하는 형상.
낙석방지망(落石防止網) 절토법면의 낙석이 낙석방책 시설만으로 방지하기 어려운 위치에 설치하며 주로 발파암의 높이가 10m 이상인 구간에 설치하게 된다.
낙석방책(落石防柵, Fence for rock fall) 절토 경사면에서의 낙석우려가 있는 위험한 장소에 설치하여 도로이용자의 안전을 도모코자 설치하는 도로안전 부대시설로써 콘크리트 기초에 H형강 등을 고정하고 철망등의 방호책을 추가한 시설물이다. 고속도로의 설치기준은 - Type 1~4 까지로 나뉘며 절토법면의 암종류와 절토고에 따라 설치방법이 다르게 적용된다.
난형클로소이드(卵形-, Egged - shaped clothoid) 두 개의 동방향으로 굽은 원호를 하나의 클로소이드로 연결한 것. 날개벽(Wing wall) 교량의 교대나 수문 등에 접하여 양측방향의 토사를 지지하는 옹벽.
내공변위계(內空變位計, Convergence meter) 터널 시공시 굴착 후 막장의 진행에 따른 터널내공의 변위를 측정하는 계기로서 정밀도는 0.01mm 이상을 사용함.
내구(성)시험(耐久(性)試驗, Durability/endurance test) 장시간 사용되는 재료나 구조(교량)가 사용에 얼마나 견디는가를 조사하는 시험. 수많은 반복응력에 대한 재료의 내구한도․파괴되지 않는 상한의 응력을 구하는 시험 →피로시험
내구년한(耐久年限, Endurance period) 목재나 부재 또는 구조물을 보수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연한, 수명
내구성(耐久性, Durability) 콘크리트가 사용에 견디는 연한에 따라 정해지는 콘크리트의 성질. 이에 영향을 끼치는 외적 작용으로는 유류, 산, 알칼리,염류, 및 해수의 작용 등이 있음. 내구성을 평가하는데는 실제의 내구기록이 가장 중요하나 여러 가지 촉진시험(동결융해 등)이 고안되어 있음.
내마모 포장(耐磨耗鋪裝, Durability pavement) 적설이나 노면에 동결이 있는 한냉지역에서 타이어 체인에 의한 노면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이에 견디는 성질이 우수한 혼합물을 표층에 시공하는 것. 일반적으로 아스팔트 모르터, 내마모용 토페커 또는 구스 아스팔트 등을 시공하고 있음.
내마모성(耐磨耗性, Durability ablation) 마모에 견디는 성질
내마모성표층혼합물(耐磨耗性表層用混合物, Anti-wearing mixture) 강설량이 많은 적설 한랭지대에 쓰이는 타이어 체인 등에 의한 마모에 강한 아스팔트 혼합물. 아스팔트 함유량(11.0~9.5%)과 필러분이 많은 아스팔트 모르터, 내마모 토페카 등이 있음.
내마모토페카(耐磨耗-Durability topeca) 아스팔트량(8.0~9.5%) 및 필러분을 많이 넣어 마모층의 효과를 증대시킨 토페카 내부수익율(內部收益率, Internal rate of return : IRR) 비용편익 분석에 있어서 많이 사용되는 평가기준중의 하나로 분석기간에 있어 현재의 비용가치와 미래의 비용 가치와 동일하게 할 수 있는 할인율을 말하며, 투자사업을 정확히 선정하기는 하나 투자사업의 수명이 다를 경우와 편익의 발생시기가 다른 경우들을 비교하는데 있어서는 잘못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며, 할인율을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공식 공식 여기에서 가 내부수익율이다. 내부수익율은 사업의 채산성을 나타내므로 비교할만한 대안이 없을 경우 유용한 기준이 될 수 있으나, 어느 정도의 수익률이 적절한 것인가에 대한 판단을 필요로 한다.
내압시험(耐壓試驗, Pressure proof test) 압력에 견디는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으로써, 소정의 압력을 가해서 기밀성, 수밀성, 내력, 변화 등을 조사하는 시험. 수압을 가할 때는 수압시험이라 함.
내유성 포장(耐油性 鋪裝, Oil resistant pavement) 주차장, 버스정류장 등 차량의 정, 주차가 이루어지는 장소로 휘발유, 경유 또는 엔진오일 등에 의하여 포장이 파손될 우려가 있는 곳에 내유성을 갖도록 하는 포장.
내정전뇌관(Anti-static electric detonator) 정전기를 견디어 내는 성능이 우수한 뇌관을 말하며, KS에는 2,000pF의 정전용량을 갖는 콘덴사에서 발생하는 8,000Volt에서 견딜수 있는 뇌관으로 규정됨.
내진설계(耐震設計, Aseismatic/earthquake resistant design) 지진에 대해 안전하도록 구조물 등을 설계하는 것. 진도법에 의한 설계는 정적설계법이라 하며, 지진파를 이용한 해석법에 의한 설계는 동적설계법이라 함
노즈(Nose) 교통섬의 앞부분 혹은 분리대등의 앞부분, 여기에는 분류단 노즈와 합류단 노즈가 있으나 설계상 주로 문제가 되는 것은 분류단 노즈로서 보통 노즈라고 하면 분류단 노즈를 가리킴.
노반(路盤, Road bed subgrade) 도로의 포장과 노상의 사이에 있는 층을 노반이라고 하고, 노반을 상층노반과 하층노반으로 구분함. 노반면(Subgrade), ,노면(Surface) 또는 기공기면(formation)
노상(路床, Subgrade) 포장층을 지지하고 있는 지반으로서 포장층 바로 아래에 접하는 두께 1m 정도의 범위 토사층을 말한다.
노정(路頂, Crown) 도로 횡단면의 정점으로 볼록곡선의 형태임.
노체(路體, Road bed filled up ground) 도로의 구조상 흙쌓기 단면을 구분할 때 노상의 아랫부분으로 원지반까지의 흙쌓기부. 노치(Notch) 구조부재의 단면형상이 급격하게 변하는 부위로써 응력집중이 생기기 쉬운 부분을 말함. 구멍, 홈, 균열 또는 용접결함 등에 의하여 노치효과가 발생할 수 있으며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노면교통(路面交通, Road traffic) 도시에서 자동차, 전차, 버스, 자전거 등 주로 노면을 따라 운행이 이루어지는 교통, 노면교통의 특징은 각종 교통수단이 제한된 노면에서 경쟁을 하므로 교통속도, 차선, 신호, 좌우회전, 통행시간 등에 관해 규제하고 있음.
노면마무리기(路面-機, Road finisher) 도로 포장공사에 있어 노면 최종마무리에 사용되는 기계. 아스팔트 피니셔 및 콘크리트 페이버는 이에 속한다.
노면배수(路面排水, Surface drainage) 강우시 도로의 노면에 흐르는 물을 인접한 배수시설로 유도하여 처리하는 것으로 인접 배수시설로의 유입이 얼마나 원활하게 이루어지는지의 여부에 따라 이용객의 안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노면수는 중분대 집수정과 일반적으로 노측(路側)에 설치한 측구(側溝)로 유도하여 처리한다.
노면요철(路面凹凸, Rumble strips) 차량의 저속주행을 위한 시각적 효과와 보행자 및 자전거이용자의 안전향상 등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치한 도로수직 구성의 변화
노면절삭(路面切削, Road cutting) 아스팔트포장의 여름철 기온상승과 중차량 통행으로 인하여 발생한 소성변형등을 전용기계(노면절삭기)로 깍아내어 포장면의 평탄성과 미끄럼에 저항하도록 하는 공법
노면처리재(路面處理材, Surface treatment material) 포장면에 보호막 또는 엷은 보호층을 만들기 위하여 골재의 결합재로 사용되는 노(濃)액체 또는 반(半)고체의 역청
노면처짐(路面-, Road deflection) 포장이 견딜수 있는 하중보다 큰 하중을 가진 차량이 통과할 때 노면이 침하하고 남기는 현상.
노면표시(路面表示, Pavement marking) 도로의 이용자의 안전과 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유도하고 운전자나 그 밖의 이용자에게 필요한 주의, 규제, 지시, 안내 등의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도로상에 페인트 등을 이용하여 표시한 각종 정보. 도로에 표지판만으로 정보의 사전전달이 어려움이 예상될 경우 추가적인 방안으로 설치한다.
노면표층 재생기(路面表層再生機, Surface recycling equipment) 도로포장과 보수를 위해 기존 포장재료를 재활용하는 기계로서 기존 아스팔트 포장을 히터로 가열하고, 노면절삭기로 절삭을 한다음 이를 고르고 펴 깔아 다짐하여 재포장하는 기계
노상배수(路床排水, Subgrade drainage) 포장구조에 있어서 노상면에 편경사를 두어 노상으로 유입되는 물을 배수시키는 것을 말한다.
노상지지력계수(路床支持力係數, Modulus of subgrade reaction) 포장설계시 포장층이 설치될 노상의 지지강도 또는 지지용량을 나타내는 값으로 CBR, R값, 군지수, 동탄성계수와 같은 강도정수와 상관시켜서 결정함.
노상지지력치(路床支持力値, Value of subgrade reaction) 아스팔트 포장의 AASHTO 설계방법에서 포장하고자 하는 도로의 노상에 대한 지지력을 나타낸 계수.
노상토(路床土, Subgrade soil) 도로포장 시공시 포장체의 하부와 노체(路體)의 상부에 설치는 성토재료. 재료의 규격은 도로공사 표준시방서의 기준에 따름.
노상혼합(路床混合, admix construction) 입도(粒度) 조정공법, 석회안정처리, 시멘트 안정처리, 아스팔트 안정처리 등을 실시할 때 재료의 혼합을 현장의 노상에서 시행하는 방식. 혼합작업에는 일반적으로 road stabilizer 등을 사용함.
노선가치(路線價値, Street value) 노선의 계통, 폭 및 구조 등을 표준으로 하여 정하는 도로의 비교가치
노선선정(路線選定, Route location) 도로나 철도의 계획에 있어서 가장먼저 시행되는 작업으로 신설에서 노선의 위치와 기하구조를 선정하는 것으로 비용, 효과, 향후 유지관리의 용이성 등 다양한 방면에서 비교 검토하여 선정한다.
노선실측(路線實測, Final location) 예비측량 결과 선정된 노선을 현지에 정하는 작업 예비측량보다 상세한 지형도를 만들고 이 도상에 중심선을 선정한 후 현지에 중심선을 설치하며 시점에서부터 종점까지 1체인(20m)마다 중심말뚝을 박는다. 설치된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종횡단 측량 등을 실시한다.
노선예비측량(路線豫備測量, Preliminary surveying) 도로 예정노선에 따라 지형, 지물의 실황을 알기 위하여 시행하는 측량
노선의 변경(路線-變更, Modification route) 노선의 일부를 변경하는 것. 노선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폐지하고 새로운 노선을 선정하여 도로법의 규정에 의거 노선을 변경하는 것.
노선의 중복(路線-重複, Overlap of route) 도로들 중 서로 다른 노선이 동일 위치나 유사한 위치에 계획되거나 존재하는 것. 도로법에서는 법정도로로 고속국도, 일반국도 특별시도, 지방도 및 시, 군도의 노선이 중복되어 있을 경우 중복부분에 한하여는 상위노선에 관한 규정이 적용됨
노선의 폐지(路線-廢止, Abolition of route) 해당 노선의 대상으로 되어 있는 도로를 도로법상의 도로가 아닌 것으로 하는 행정행위를 말한다.
노선인정(路線認定, Recognition of route) 특별시도, 지방도 및 시, 군도에 대하여 특별시장, 광역시장, 도지사 또는 시장, 군수가 도로의 기본적 개괄적인 위치를 정하는 행정행위
노측오디조사(Roadside interview origin destination survey) 출발지와 목적지를 조사하는 방법으로서, 도로의 외측으로 자동차를 일시 정지시켜 조사원이 노측에서 운전사 또는 승객에게 기점과 종점을 질문하여 기록하는 방식
노측저항(路側抵抗, Marginal friction) 도로의 바깥쪽에 존재하는 장애물로 인하여 자유로운 교통 소통을 지연시키거나위험으로 인한 영향
노화(아스팔트의)(老化, aging, weathering) ①아스팔트 혼합물의 결합이 약화되어 풀어진 것과 같은 상태. ②포장이 내구년한이 오래되어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풍화되고 노화된 상태.
뇌관(Detonator, cap) 폭약 또는 화약을 폭발하기 위해 점폭약 또는 점화약을 관체에 장전한 것으로 사용에 따라서 점화용 뇌관, 점폭용 뇌관으로 분류한다. 점화용 뇌관은 소총이나 피스톨 약협(case) 저부에 부착하여 발사약에 점화하는 것으로, 격발뇌관과 전기뇌관으로 나뉘어진다. 점폭용뇌관은 폭약을 폭굉시키는 것으로 공업뇌관과 군용으로 나뉘어지고, 공업용에는 공업뇌관, 전기뇌관, 비전기뇌관, 전자뇌관 등이 있다.
누설전류(Leakage current) 전기발파에서 전기뇌관의 각선에서 대지로 누설하는 전류. 각선이 물, 특히 산성 또는 알카리성의 물에 접촉시, 또는 암석 광상의 종류에 의해 누설이 크다. 이것과는 달리 갱내의 전원에서 전선을 타고 흐르는 전류가 누설 즉 미주전류를 누설전류라고 말하나, 양자의 구별은 현재로서 명확하지 않다.
눈높이(Eye height)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눈높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로의 선형을 고려할 때 정지시거의 산정에 사용된다. 운전자의 눈높이를 노면으로부터 측정한 값으로서 우리 나라에서는 1.0m를 사용하고 정지시거 계산시 장애물의 높이를 10cm로 정하고 있다.
눈부심(眩惑, Glare) 안구내의 각막과 망막 사이의 매질(媒質)속에서 빛이 산란하여 일어나는 현상. 직역하면 섬광, 눈이 부신 빛 등을 나타내는 말이다. 눈이 일정한 밝기에 순응하고 있는 상태에서 그에 비해 높은 휘도의 빛이 시야내에 나타난 경우에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고 일시적으로 빛을 감지하는 시력이 저하된다. 야간 주행시 눈부심이 주행의 안전성에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도로의 계획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다
다공판(多孔板, Porous plate) 토립자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물은 자유롭게 유통시킬 수 있도록 만든 다공질의 판. 투수, 압밀, 삼축압축, 전단시험 등에 이용되며 재료는 모래, 금속, 플라스틱, 세라믹 등임.
다이나마이트(Dynamite) 1867년 알프레드 노벨이 니트로글리세린을 규조토에 흡수시켜, 취급이 안전한 제품에 붙여진 이름이나, 현재는 니트로글리세린을 기제로 하는 폭약의 일반명사로 되었다. 우리나라의 KS에서는 니트로겔을 기제로하고, 그 함유량이 6%이상의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외국에서는 니트로셀룰로오즈를 함유하지 않는 스트레이트 다이나마이트도 있다. 일본에서는 앵, 동, 가 및 매다이나마이트 등의 교질다이나마이트와 계 및 초안다이나마이트 등의 분상다이나마이트가 있다. 니트로겔 약 20%를 한도로하여 그 이하는 겔상으로 되지 않는다. 니트로겔 이외의 성분으로는 초안, 질산칼륨등의 산화제, 목분, 전분등의 가연제, 식염, 염화칼륨등의 감열소염제가 있으며, 그외 내수제, 압신성형 개량제 등을 쓰기도 한다. 감열소염제는 매다이나마이트, 초안다이나마이트등 탄광용다이나마이트에 배합되고, 여기에 반해 감열소염제를 넣지 않은 것은 비탄광용 또는 광공업용 다이나마이트라 한다. 포장재료는 교질다이나마이트는 피포지로 말고, 분상다이나마이트는 지통에 넣어 모두 파라핀으로 방습한다. 제조공정은 니트로겔과 그외의 성분을 날화한 것을 자동기에서 성형하여 포장(교질)또는 전약, 포장(분상)한다.
다이아몬드형 입체교차(-立體交叉, Diamond-type interchange) 주요 도로에서의 램프가 본선에 연하여 거의 직선으로 설치되어 있는 교차도로와는 평면처리가 되는 평면 형상이 다이아몬드형을 닮은 형식으로 대표적인 입체교차
다이크(Dyke) 도로 포장면의 노면수 등이 길어깨로 배수되어 성토 비탈면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흙, Ep, 아스팔트 콘크리트나 시멘크 콘크리트 등으로 설치한 노측 배수시설.
다지교차(多 交叉, Compound intersection, multiple intersection) 5개이상의 진출방향을 가진 교차.
다차선도로(多車線道路, Multiline Highway) 도로용량 분석에서 편도 2차선 이상의 도로로써 방향별로 분리되어 있지 않거나 완전한 유출입 통제가 되어 있지 않고, 신호등의 간격이 3km 이상이어서 회전 교통량으로 인한 지체가 거의 없는 지방부 도로를 말함.
다층교차(多層交叉, Multiple braided intersection, braided intersection) 도로 상호간에 직접연결이 가능한 교차로로 2개 이상의 입체교차 구조 또는 3층 이상의 교차. 단수(Number of delay) 지발뇌관의 단차수를 말하며(총 사용뇌관의 수가 아님) 만약, 어느 현장의 MS 전기뇌관의 단수가 6단 이라면 6종류의 지연시차를 가지는 뇌관을 사용하였다는 것을 의미함.
단차(段差, Faulting) 교량 등의 구조물과 포장과의 접속부에서 지지력의 차이로 인하여 구조물 연부에 도로의 횡방향에 발생하는 처짐 또는 노체내에 매설되어 있는 횡단배수구조물이나 암거 등의 전후에 접해서 생기는 처짐을 말함.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물 뒷채움에 대한 정밀시공과 교량 어프로치 슬래브등을 설치한다.
단층(斷層, Fault) 지각변동에 의해 생성된 지층의 어긋남. 규모는 수 cm의 적은 것부터 수천 m에 달하는 것까지 있으며 이동방향은 수직방향, 수평방향 및 경사방향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대체로 파쇄대를 수반하기 때문에 터널공사시 과대용수의 가능성이 있음.
단발발파 공과 공 사이, 열과 열 사이에 적당한 시차를 취하여 발파하는 방법을 지칭. 반대의 의미는 순발발파(일제발파)이며 통상, 사용하는 뇌관의 형식에 따라 분류된다. ->순발뇌관 : 뇌관의 기폭과 동시에 폭약을 폭굉시킴 ->지발뇌관 : 뇌관이 기폭되면 뇌관내의 지연작용에 의하여 일정시간 지연시킨 후 폭약을 폭굉시킴 지발뇌관에는 MS지발과 DS지발이 있다 기본지연초시로는 MS지발은 단차사이간 지연시간이 25/1,000sec이고 DS지발은 단차 사이간 지연시간이 25/100sec 이다.
대등균일연비용법(Equivalent uniform annual cost method) 생애 주기에 발생하는 모든 비용이 매년 균일하게 발생한다고 가정할 경우, 이와 대등한 비용은 얼마인가라는 개념을 이용하여, 균일한 연간 비용으로 환산하는 방법이다. 즉 어떤 시점의 비용을 매년 균일하게 분할하여 지불한다고 가정할 경우에 기 균일한 비용과 금액으로 환산하는 방법이다.
대체도로(代替道路, Alternate road) 기존도로를 확장공사등으로 인하여 도로의 교통을 차단시킬 경우 그 도로 대신 교통을 처리하기 위한 도로
덕트(Duct) 포스트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에 있어서 긴장재를 수용하기 위하여 미리 콘크리트 속에 뚫어두는 구멍.
덧씌우기(Overlay, resurfacing) ①기존포장의 강도부족을 보충하는 것 외에 노면의 평탄성을 개량하고 균열이 빗물의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씌우기 포장을 하는 것. ②포장의 구성층이 파손시 또는 내구년한 경과로 구포장 위에 다시 포장하는 것
데발 마모감량시험기(-磨耗減量試驗機, Debal abrasion test machine) 콘크리트, 석대 등 굵은 골재의 마모감량을 측정하는 기계의 일종. 직경20cm 높이 34cm의 철제 원통에 일정중량의 골재와 철구(鐵球)를 넣어서 측면의 대각선을 축으로 하여 30~33rpm으로 10,000회 회전을 시킨 다음 No.12체를 통과하는 파쇄된 골재의 중량을 전중량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어 마모감량으로 한다. 현재는 소요시간이나 측정치 변동의 점에서 보다 우수한 로스앤젤레스 시험기가 주로 사용된다.
데크장전(Deck loading, deck charging) 벤치카트에서 장전법의 일종. 용수, 단층 또는 점토층이 존재하는 경우 폭약과 폭약사이에 전색물을 넣어, 폭파의 효과를 충분히 하는 장약법 고비중 폭약을 써서 장약하는 경우에도 쓰인다.
도화(圖化, Plotting) 입체 도화기 등에 의하여 등고선과 평면도 등을 그리는 작업. 사진측량을 이용하지 않을 때도 도화라고 할 때가 있으나 이 때는 실측 또는 기존자료를 이용하여 지도상에 기호화 하는 것을 말함.
도로관리(道路管理, Administration of road) 공용중인 도로의 시설물의 기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행위를 말함.
도로구역(道路區域, Road area) 도로를 구성하는 부지의 폭과 연장에 의하여 나타나는 구역. 도로법에 따르면 도로노선의 지정, 인정 또는 변경공고가 있을 때에는 도로 관리청은 지체없이 그 도로의 구역을 결정하여 건설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의하여 이를 고시하고 그 도면을 일반에게 열람하게 해야함.
도로용량(道路容量, Road capacity) 도로의 한 지점을 주어진 상황 하에서 일정시간 동안 실제적으로 통과 할 것으로 기대되는 차량이나 사람의 최대 통과량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그 시간단위는 일반적으로 1시간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용령은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사용된다. ①교통계획수립단계에서 기존 교통망의 적정성이나 결함여부를 판정하는 데 사용되며, 장래의 어느 시점에 이르면 교통수요가 도로용량을 초과하게 될 지에 대한 검토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②도로의 설계시 계획된 도로를 주어진 교통상황이나 도로의 주어진 기능 등에 적합하도록 기본 차로 수를 결정하고 엇갈림 구간의 길이를 결정하는 등 도로의 제원을 설치하려면 용량을 알고 있어야 한다. ③고려 대상이 되고 있는 도로구간에서 병목구간을 찾아냄은 물론 교통공학적 기법을 동원하여 병목구간의 혼잡을 해결할 때 각 제시된 대안이 유발하게 될 교통운영상의 개선효과를 분석 시에는 도로용량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도로원단위(道路原單位, Road stock coefficient) 도로의 서비스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보통은 자동차 한 대당의 도로자산. 포장연장등으로 표시됨. 원단위의 시계열 데이터에 의하여 도로정비수준을 파악하거나 서비스수준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도로 투자액의 산정등에 사용됨.
도로원표(道路元標, starting Milestone) 도로 노선의 주요 구간 거리를 표시한 표지. 도로법 시행령 제23조에 의하여 도로의 기준점에 설치하는 도로의 부설물로서 서울특별시, 광역시 및 시․군에 1개를 설치하게 되어 있음.
도로의 부속시설(道路의 附屬施設) 도로주위에 설치되어 도로를 이용하는 차량이 안전하게 주행하고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각종 시설을 말한다. <도로부속시설의 종류 >①양보차선 : Turn out ②교통안전시설 : 횡단보도육교, 방호울타리, 조명시설, 시선유도표지, 도로반사경, 충격흡수시설, 과속방지시설 ②교통안전시설 : 횡단보도육교, 방호울타리, 조명시설, 시선유도표지, 도로반사경, 충격흡수시설, 과속방지시설 ③ 교통관리시설 : 안전표시, 노면표시, 비상전화, 도로정보안내표지, 교통감시시설, 교통신호기 ④ 기 타 : 주차장, 버스정류장, 비상주차대, 휴게시설, 긴급제동시설 ⑤ 방호시설 : 낙석붕괴, 방지시설, 방파시설 ⑥ 공동구
도로의 분류(道路의 分類, Classification of Road) 도로는 자동차 전용도로와 일반도로로 분류하되 자동차 전용도로는 그 소재지역에 따라 지방지역은 "고속도로", 도시지역은 "도시고속도로"로 하고 일반도로는 지방지역, 도시지역 공히 주간선, 보조간선, 국지도로로 분류함.
도로최면(道路催眠, Road Hypnosis) 고속도로와 같이 평면선형이 거의 직선에 가까운 도로 등의 단조로운 도로를 장시간 일정한 속도로 계속 주행할 때 발생하는 졸리운 현상
도로표시(道路標示, Road marking) 교통에 대하여 강제규제 또는 안내를 목적으로 노면이나 연석의 표면에 표시한 것을 말하며 도로표지와는 구분됨.
도로표지(道路標識, Road sign) 도로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도로 이용자에 대한 안내, 경계, 규제 또는 지시를 문자나 기호에 의하여 전달할 목적으로 도로상에 설치하는 표지판 시설.
도류도(導流島, Channelizing Island) 교통류가 불법 유턴이나 중앙선 침범 등을 방지하도록 하여 어느 일정한 진로를 통과하게 유도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을 못잡아 무질서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교통섬.
도류식 교차(導流式 交叉, Channelized Intersection) 교통섬을 설치하여 교통의 흐름이 일정 진로의 방향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평면교차
도시고속도로(都市高速道路, Urban Expressway) 도시의 시가지내에 자동차 교통의 안전과 능률을 높이고 도로의 교통난 완화를 목적으로 설치하는 자동차 전용도로.
도폭선(Detonating fuse, Detonating cord) 폭약을 심약으로 이것을 섬유, 플라스틱 또는 금속관으로 피복한 것. 우리나라에는 제1종 제2종 도폭선이 있다. 전자는 피크린산을 주석관내에 녹이고, 이것을 표준약경으로 한 것으로 약량은 5g/m부터 필요에 따라 100g/m도 있다. 이외에TNT를 납관에 녹여 넣은 것도 있으며 이것을 T도폭선이라 한다. 어느것이나 기준 도폭선이라 불리고, 폭속시험용으로 쓰인다.
돌붙임(Pitching) 성토 경사면, 수로 등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돌을 붙이는 것. 비탈면의 경사가 1:1 이하일 경우에는 돌붙임이라고 하고, 1:1 이상인 경우에는 돌쌓기라 함.
동결깊이(Frost Penetration Depth) 노면에서 땅 속 빙점의 최상부까지의 깊이. 주로 기온, 토질, 지하수의 상태에 따라 정해짐. 동결심도라고도 하며, 포장 설계에 있어서 총단면의 크기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다. 고속도로 포장설계에서의 동결심도 산정에서는 노상동결관입허용법이 사용되고 있다.
동결방지층(凍結防止層, Anti frost layer) 도로포장의 설계 두께가 그 지역의 동결심도보다 작아 포장체가 동결에 의한 피해로 포장체가 파손될 우려가 있을 때, 노상층위에 동결의 피해가 적은 재료를 노상위에 적당한 입도의 재료를 설치함으로서 전체 포장두께를 동결깊이보다 재료층을 설치하여 동결심도 보다 크게 하여 동결을 방지하는 층.
동결지수(凍結指數, Frost Index) 포장내의 동결관입 깊이를 산정하기 위한 대표적인 척도로서, 포장구조와 노상토를 동결시키는 대기온도의 강도와 지속기간(intensity and duration)의 누가영향 (cumulative effect)으로 표시된다. 동결지수의 단위는 온도․일(℃․일,℉․일)이며, 어느 동결 계절동안의 누가 온도․일에 대한 시간 곡선상의 최고점과 최저점의 차이로 나타낸다.
동바리(Staging) ①거푸집의 일부로 소정의 형상과 치수의 콘크리트가 되도록 거푸집판을 고정 또는 지지하기 위한 지주 ②터널공사에서 굴착 후 라이닝을 완료할 때까지 토압 등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굴착단면을 보호․지지하는 구조물
동상(凍上, Frost heaving) 겨울철에 지면은 0℃ 이하로 얼어 있고 지하는 0℃ 이상의 습기층이 있을 경우 여기에 서릿발이 생겨 지면을 밀어올리는 현상. 이 때문에 선로에 면(고저)틀림이 생기며 축조물이 기울거나 심할 때에는 무너지는 경우도 있다. 토질면에서 0.075mm 이하의 고운 토질이 8%(중량) 이상 포함된 흙은 동해(凍害)를 일으키는 것으로 되어 있음. 동상현상(凍上現象)이라고도 함.
동상방지공법(凍上防止工法, Anti-freeze process) 포장면의 동상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목적으로 행하는 공법으로 동결심도를 고려하여 일정한 깊이까지 동상이 일어나지 않는 재료와 치환하는 방법, 약재 등을 첨가 혼합하여 흙의 성질을 바꾸거나 동결온도를 내리는 방법, 단열층을 두어 흙의 온도 저하를 적게 하는 방법, 차수층을 두어 강수나 지하수를 차단하는 방법 등이 있음.
동상억제층(凍上抑制層, Non-frost Susceptible base) 포장두께 결정에서 동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두는 층.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기층, 표층으로 형성됨.
뒤채움(Back filling) 구조물이나 옹벽 의 뒷면, 깬돌, 자갈 등 잘다지는 것. 투수성이 좋은 재료를 채우는 것. 뒤채움 재료는 옹벽이나 돌쌓기에는 뒷면의 배수를 잘해주고 수압을 경감할 뿐만 아니라 특히 돌쌓기에는 전체의 안전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함. 구조물의 뒷채움이 잘 시공되지 않을 경우 토공부와 지지력의 차이로 단차가 발생하여 포장이의 파손을 가져올 우려가 있으니 신중하게 시공하기 바람.
등가단축하중(等價單軸荷重, Equivalent Single axle lead) 포장두께 설계를 위한 교통량 산정에 사용되는 하중개념으로서 포장체에 표준 단축하중이 작용했을 때 이 하중이 포장체에 주는 손상도를 표준 손상도라 하고, 바퀴나 축형식에 관계없이 이것과 같은 양의 손상도를 주는 하중을 등가단축하증이라 함. 우리나라의 경우 표준단축하중으로 8.2 ton 단축하중(축 양쪽에 4.1 ton씩)을 사용.
등치환산계수(等値換算係數, Coefficient of layer Equivalency) 상대강도계수 라고도 하며 이 계수값은 실질적인 포장의 총 두께를 포장두께지수(Structural Number : SN)로 전환하기 위한 것으로 포장구조 각층 재료의 특성에 따라 CBR, R치 탄성계수 또는 동탄성 계수와의 상관관계로부터 산정함.
디스트리뷰터(Distributer)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에 사용되는 장비로써 역청재료를 살포하는 기계. 역청재료 탱크를 갖는 차량 뒷부분에 분사 노즐을 달아 압력에 의하여 살포하는 것으로 균일하게 대량 살포할 수 있다.
디커플링지수(Decoupling index) 발파에서 천공경과 폭약경과의 비. 밀장전의 경우에는 이 비는 1이다. 이 값이 크게 되면 천공 내벽에 작용하는 폭굉압은 급격히 저하하고, 폭약에서 일정거리에서 측정한 파장의 진폭이 지수적으로 감소하여 발파효과가 나쁘게 된다.
딜레마구간( Dilemma Zone ) 신호등이 설치된 교차로의 진입부에서 황색 경고등이 켜진 순간 차량이 안전하게 정지선에 정지할 수 없거나, 과속 운행 없이 적색 신호전에 교차로를 통과할 수 없는 교차로에 인접한 구간.
라
라벨링(Raveling) 차량의 주행에 의하여 포장표면이 박리, 마모되는 손상
라이닝(Lining) 터널 공사시 굴착후 1, 2차 숏크리트 타설 및 방수처리후 터널 내부에 설치하는 콘크리트 피복층. 1차 및 2차 라이닝이 있음. 복공이라고도 함.
라이닝콘크리트(Lining concrete) 라이닝은 터널의 중요한 요소로 토압, 수압 등의 하중에 장기적으로 견디고 균열, 변형, 파괴 등을 일으키지 않으며 내구성 이외의 수밀성과 평탄성 등의 성질을 갖고 터널의 필요한 공간과 기능을 확실하게 유지시켜 주어야 하며, 특히 NATM에 의한 터널 건설시 ①터널의 변형이 수렴된 뒤에 시공되므로,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다. ②록볼트는 통상 부식에 대한 방수처리가 되어 있지 않고, 하중을 지보하는 것은 숏크리트와 라이닝이므로, 숏크리트 품질의 불균질 등의 불완전 요소를 고려하여 안전율의 증가로 평가한다. ③ 라이닝후에 새로이 발생하는 수압, 지반의 크리프 변형에 의한 팽창성 토압 또는 토피가 낮은 경우에는 나중에 작용하는 상재하중을 라이닝에 의하여 지지한다.
라텍스(Latex) 고무류 유액으로 액화석유아스팔트의 성질을 개선할 목적으로 사용함
랜덤볼트(Random bolt) 천공면의 상태에 따라 그에 맞도록 록볼트를 배치하고 위험한 덩어리의 암석이 있으면 매달아 보강하는 방법의 볼트로서 캐쥬얼 볼팅(casual bolting)이라고도 함. 랜덤볼트는 예상되는 암괴(岩塊)의 분리면(分離面)에 될 수 있는 한 직각으로 배치해야 하고 충분히 원지반의 안전층가지 깊게 넣고 확실한 정착을 해야하며 암괴의 중량을 매달 수 있는 단면적을 가져야 함
램프(Ramp) 인터체인지(IC)에서의 연결차로, 또는 상이한 도로간의 기능을 접속하기 위하여 설치된 도로
램프조절(Ramp metering) 본선에 진입/진출하는 램프(연결)로부터 차량의 진입/진출을 제한 및 규제함으로써 전체적인 주도로의 운영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을 말함.
램프통제(Ramp control) 도시고속도로나 램프를 통한 본선이 진출입이 이루어지는 도로, 교량등의 교통류관리를 위해 유출입램프에 대한 인위적 혹은 기계적인 제약을 가하는 것으로, 경찰관이나 신호등 등의 교통 시설물을 사용하여 기간대별, 차종별 진입금지 또는 폐쇄 등의 방법을 사용함.
랩 조인트(Lap joint) 아스팔트 혼합물 포설시 시공이음부 처리에 있어 먼저 포설한 아스팔트 혼합물 위에 시공한 아스팔트 혼합물이 겹치지 않도록 맞이음으로 시공하는 이음.
레벨링 층(-層, Leveling course) 기존포장의 덧씌우기 등 보수공법을 시행할 때 기설(旣設)포장의 굴곡이 심하면 이를 평탄하게 하여 위층의 포설을 쉽게 하기 위하여 포설하는 아스팔트 혼합물층
레이어(Layer) 지형공간정보체계의 자료를 동일한 성질의 것 끼리 모아 층별로 조성할 수 있는데, 이 분류들의 집합을 레이어라고 함. 각레이어들을 중첩시킴으로써 필요한 정보를 구할 수도 있음.
레이크 아스팔트(Lake asphalt) 천연으로 산출되는 아스팔트의 일종. 호소(湖沼)와 같은 오목한 지역에 쌓여 있다. 일반적으로 이용 가능한 것으로서 남미산의 트리니다트와 버뮤즈가 있다.
렘니스케이드(Lemniscate) 완화곡선의 일종으로써, 곡선상의 임의의 점의 곡률반경이 원점으로부터 그 점까지의 현장(弦長)에 반비례하는 곡선.
로드 스태빌라이저(Road stabilizer) 기존 노상에 있는 재료를 그대로 굴착 혼합하는 기계. 주로 노반의 안정처리 공법에 이용된다. 스태빌라이저 중 노상 혼합방식의 스태빌라이저로 자주식과 피견인식이 있다. 어느 것이나 로터의 회전에 의해 토사를 파헤쳐 일으켜 안정처리 재료를 혼합한다. 아스팔트 포장의 절삭, 벗겨내기 작업에도 사용된다.
로드 피니셔(Road finisher) ①재료를 노면에 일정한 두께로 펴 고르고 가볍게 다짐을 하는 포장용 기계 ②일반적으로 노면을 마무리 하는 데 쓰이는 기계.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피니셔는 이에 속한다.
로드 히터(Road heater) 아스팔트 포장에 생긴 노면요철(Rutting)을 보수하기 위한 작업으로 노면절삭 작업을 하기전에 작업성 증대를 위하여 표층 혼합물을 오일버너로 가열하기 위한 장치
로드롤러(Road-roller) 주로 도로포장용으로써, 성토 다짐과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다짐에 사용된다. 전압륜(輾壓輪)의 하중으로 노면을 다짐하는 기계로서 머캐덤롤러, 탬덤롤러, 삼축탠덤롤러 등의 총칭.
로스앤젤레스 시험(-試驗, Los Angeles abrasion test) 마모감량의 시험방법의 하나. 안지름 710mm, 길이 510mm의 원통의 축을 수평으로 장착하고 원통 내에 길이 89mm의 선반이 하나 달려 있고 원통속에 일정의 시료와 강구(鋼球)를 넣고 매분 30~33회로 500회 또는 1,000회 회전시켜 마모감량을 구한다.
로터리 보링(Rotary boring) 로드를 회전시켜서 그 끝에 달린 비트로 암(岩)을 분쇄 또는 천공하여 구멍을 뚫는 방식의 보링 총칭. 이 방식은 암의 코어채취가 용이하여 토목의 조사용 보링에는 주로 이 방식이 쓰인다.
로터리 섬(-島, Central rotary) 로터리 교차방식에 있어서 중앙에 설치되는 교통섬으로 교통류의 기준이 된다.
로터리(Rotary) 두 개이상의 도로가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 있어 직접 교차되는 중앙부에 섬(島)을 두어 그 주변을 자동차가 일 방향으로 회전통행이 처리되는 도류식(道流式) 교차
록볼트(Rock bolt) 암반내의 불연속면을 봉합하기 위하여 암반내에 삽입하고 적절한 방법으로 암반과 접착하는 볼트로서 터널, 지하발전소, 암반 절취면등에 사용됨. 록볼트에는 그 끝의 쐐기 모양의 정착장치와 너트로 정착시키는 선단정착형과 볼트 전장을 모르터등으로 접착시키는 전면접착형이 있으며, 미리 인장을 가하는 경우는 프리텐션(pretention)형이라 함.
록아스팔트(Rock asphalt) 사암이나 석회암과 같이 수성암중에 침투하여 산출되는 천연 아스팔트. 주로 천연 그대로 도로포장용 재료로 제공됨.
록앵커(Rock anchor) 록볼트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지보공으로 길이가 비교적 길고 설치 후 미리 긴장력을 가하는 점이 다름. PC 강선을 이용하는 경우 어스앵커(earth anchor)와 구분하기 곤란함.
롤드아스팔트(Rolled asphalt) 가는 모래, 필라, 아스팔트로 이루어진 아스팔트 모르터에 비교적 단입도의 조골재를 일정량 혼입한 불연속 입도의 혼합물로 미끄럼저항성, 내구성, 수밀성, 내마모성이 우수해 적설 한랭지 및 산악지 도로에 사용됨.
루프(Loop) 도로의 평면선형에 이용되는 나선상의 선형.
루프 램프(Loop Ramp) 고속도로 인터체인지의 연결로중 주로 클로버형에서 좌회전 교통류를 처리하기 위하여 원형으로 설치하는 연결로.
리브(Rib) ①강상판이나 복부판 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 ②아치의 외부 곡선을 이루는 주부재로서 외부하중을 주로 압축력에 의하여 지점으로 전달함.
리드곡선(Lead Curve) 분기부에서 리드부에 생기는 곡선.
릴랙세이션(Relaxation) 강재의 응력손실을 가리키는 용어로 인장응력을 가해서 양단을 고정하고 일정한 길이로 유지시킬 경우 기간의 경과와 함께 일어나는 응력의 감소
마
마모층(摩耗層, Wearing Course) 포장의 표층에 해당하며, 직접 교통하중, 충격 및 마찰작용에 저항하는 층이다.
마무리성(Finishability) 굳지 않은 시멘트 콘크리트의 성질을 나타내는 말로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 잔골재율, 잔골재의 입도, 반죽질기 등에 따르는 마무리하기 쉬운 정도이다.
마찰계수(摩擦係數, Cofficient of friction, friction factor) 어떤 물체가 다른 물체의 표면을 따라 운동하고 있을 때 그 운동을 방해하려고 하는 힘의 그 면에 수직한 힘에 대한 비. 차량(정확히는 타이어)과 도로 사이의 미끄럼을 나타내는 변수. 마찰계수는 포장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특 노면건조, 노면습윤, 노면 동결 등에 의하여 좌우되며, 도로의 설계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
맞댄줄눈(Butt Joint) 콘크리트포장 슬래브의 줄눈의 일종으로 이미 경화된 콘크리트 슬래브에 맞대어서 인접한 콘크리트 슬래브를 타설하는 경우에 두는 줄눈.
매몰비용(埋沒비용, Sunk cost) LCC 분석이 시작되기 전에 이미 지출한 비용으로 이미 편익 또는 손실이 이미 실현되었기 때문에 LCC 분석에 포함시키지 않음.
매스틱(Mastic) 아스팔트 또는 콜타르피치, 모래와 시멘트 또는 석탄석 분말을 혼합한 것.
맹거(盲渠, Spall, Stone, Rubble Drain) 맹배수로 또는 자갈 배수로라고도 하며 배수를 위하여 적당한 크기의 자갈이나, 쇄석으로 채워 듬성한 틈새로 물이 흐르도록 만들어 놓은 수로 또는 도장을 말함.
맹배수구(盲排水構, Stone filled drain ditch) 법면 방호등 지하배수를 위하여 지표면 가까이의 침투수를 모아서 배수하는 것.
맹암거(盲暗渠, Mole drainage) 흙 속에 일정 간격으로 구멍을 뚫어 놓아 배수시키는 형태로 장시간에 걸친 배수를 원할 때는 그 속에 유공관을 매설하기도 함.
맹줄눈(Dummy Joint)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판 수축줄눈의 일종. 판두께의 약 1/4~1/5 깊이의 도장을 만든 것.
머드재킹(Mud Jacking) 콘크리트 포장에 있어서 특수한 경우에 사용되는 보수공법의 일종. 시멘트, 모래, 실트 등을 물로 혼합하여 유동성이 큰 반죽 상태로 하여 콘크리트포장 슬래브 하부에 압력으로 주입하여 슬래브를 들어올리거나 공간을 채움.
메지(Tamping) 전색이라고도 하며 발파공에 폭약을 장전한 후 그 공에 다시 점토나 모래 등을 충전하는 것. 이 때 메워지는 것을 Stemming Materials, 메우는 것을 Tamping이라고도 한다. 전자는 속칭 메우는 것. 후자는 천공 메우기라 한다. 전색, 탬핑은 그 양자 모두를 말한다. 전색에 의해 밀폐 효과가 나타나 폭약의 위력을 충분히 발휘하는 동시에 탄광에서는 메탄, 탄진에의 착화를 방지하므로 극히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모래, 점토, 암분 등이 이용되나, 경우에 따라 물, 그외의 물질이 사용된다.
메탄가스(Methane gas) 일반적으로 식물의 탄화작용으로 생성된다. 탄광에는 협탄층 등의 탄층중에 존재한다. 그 양은 석탄의 종류, 성질, 탄층의 위치, 지질 상황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 이것이 탄층에서 갱내로 발생하는 상황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무서운 것은 메탄 돌출이다. 메탄은 무색, 무취, 무미의 가스. 비중 0.558, 발생한 가스는 천장의 오목한 곳, 채굴적 등에 집적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공기 중에 6~53%의 범위에서 화염, 전기 스파크, 폭약의 폭염 등에 폭발을 일으키기 때문에 가스 발생이 있는 장소에서 사용하는 물품은 검정 합격품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명색포장(明色鋪裝, Light Coloured pavement) 일반 아스팔트 포장의 표층부분에 휘도를 높이기 위해 광선 반사율이 큰 백색의 골재를 사용.
모선(Leading wire, short firing cable) 발파모선을 말하여 전기발파의 경우 전기뇌관의 각선은 발파에 의해 소모되므로 필요 이상으로 긴 것을 쓰지 않고, 그 앞에 별도의 전선을 접속한다. 그 접속 전선중 각선에 가까운 것을 보조모선, 그 앞 즉 발파기와 접속한 부분을 발파모선이라 한다.
모래다짐말뚝(Sand compaction pile) 모래말뚝을 진동 또는 충격하중으로 연약지반에 시공하는 공법. 다져진 모래말뚝을 압입함으로서 지반의 밀도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모래말뚝을 이용하여 압밀촉진을 도모하는 지반개량공법. 연약한 점성토지반이나 느슨한 모래지반에 적용됨.
모래아스팔트(Sand asphalt) 현지 모래에 돌가루를 가하거나 가하지 않고 플랜트 또는 노상에서 역청재료를 첨가하여 혼합한 재료. 간이포장의 표층, 토층 노반에 이용되는 역청 안정처리토의 일종임.
모래치환법(-置換法, Sand cone method) 현장에서 흙의 건조밀도를 얻기 위하여, 건조밀도를 알고 있는 표준모래를 이용하여 시료의 부피를 구하는 현장시험방법.
몰드(Mould) 콘크리트 제품을 공장에서 제작할 때의 거푸집, 시험을 위한 공시체를 만들 때의 거푸집 등
미끄럼 마찰계수(Coefficient of friction) 도로에서 자동차가 급제동 하였을 때 도로바닥과 바퀴가 서로 닿아서 미끄러지는 정도를 수치로 나타내는 것을 계수로 표시.
미끄럼 저항(-抵抗, Skid resistance) 노면과 타이어 사이에서 발생하는 미끄럼 저항 현상의 물리적이고 정량적인 힘. 이 미끄럼 저항력(마찰력)을 타이어에 미치는 하중으로 나눈 것을 미끄럼 저항계수(미끄럼 마찰계수)라 하며 노면의 건조상태와 온도, 거침상태, 타이어의 마모상태 등에 영향을 받음.
미끄럼 흔적(Skid mark) 급제동을 하여 노면에 생기는 타이어의 흔적. 사고원인 분석과정에서 타이어 흔적의 길이. 급제동을 하기 전의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 포장(Non-skid pavement) ① 노면의 습윤시에 주행하는 자동차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처리를 한 포장. 견경하고 뾰족한 모가 많이 난 골재를 역청재료 또는 합성수지등의 접착제로 노면에 얇게 칠하거나 조립도의 혼합물로 하여 3~5cm의 두께로 포설한 것. ② 도로의 선형 및 시거가 장소 및 기후조건에 따라 변하므로 차량의 안전운행에 필요한 최소한의 노면과 타이어 사이의 마찰력도 변하게 된다. 즉, 시거가 불량하거나 우기시 노면과 타이어의 마찰력 감소 등으로 인한 제동거리의 단축과 곡선부 등에서 횡방향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노면에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시설을 말한다. 설치장소 - 선형이 양호한 직선구간 사이에 위치한 곡선반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구간. - 종단구배가 급한 내리막길에 위치한 곡선부 등의 굴곡도로. - 곡선부 내측에 시거를 차단하는 지장물이 위치한 구간. - 배수시설 불량으로 강우시 마찰력이 크게 감소하는 구간. - S곡선 지점으로 시거가 불량한 구간.
미주전류 갱내에는 전기 기기가 많고, 이들의 전원에서 전선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여러 악조건하에서 누설되어 갱내에 흐르는 전류. 미주 전류가 크면 전기뇌관이 발화될 수가 있으므로 취급 주의가 필요하다. 우리 나라 전기뇌관의 미주 전류에 대한 안전성은 최소 발화 전류 0.25A, 통전기산 30초 정도이다. 누설전류와 미주전류가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하여 명확히 구별되지 않는다.
믹싱 스태빌라이저(mixing stabilizer) 노상안정처리기계, 스태빌라이저 중에서 이는 중앙 혼합방식이라고 한다. 가루 또는 입자상의 재료는 벨트식 또는 스크루, 로터리식으로 정량을 보내고 연속 또는 배치식 믹서로 혼합한다.
믹싱 플랜트(mixing plant) 재료의 계량과 혼합을 겸하여 콘크리트를 만드는 설비
밀리세컨드(Milli-second) 1밀리세칸드는 1/1000초로서 지발전기뇌관의 초시를 나타내는 단위로 사용되며 MS로 나타낸다.
밀리주울(Mili-joule) 주울의 1/1000단위로 주울은 에너지(일)의 MKSA단위, 1 Newton의 힘이 물체에 작용해서 그 방향에 1m 움직이는 동안에 그 힘이 하는 일.
밀린균열(-龜裂) 아스팔트 포장에서 표층과 중간층, 표층과 기층 사이에 결합 불량으로 일어나는 현상. 차량이 급제동하거나 가속하는 부분에 반원형의 모양으로 균열이 나타난다.
밀입도 아스팔트콘크리트(密粒度-, Dense asphalt concrete) 잔골재, 굵은 골재, 전충재(塡充材) 및 아스팔트로 된 가열아스팔트 혼합물로 2.5mm 체를 통과하는 합성입도가 35~50%인 것으로 보통 표층용으로 쓰임.
밀장전(Tight loading) 발파에서 천공과 장전(장약)과의 사이에 틈을 주지 않고 천공내에 폭약을 꽉차게 장전하는 것.
바
바닥다짐(Subsoil compacting) 바닥의 침투수량을 작게 하기 위하여 롤러 등의 기구로 바닥을 다지는 공법
바닥다짐공(床固工, Groundsel, groundsill) 하상세굴(河床洗掘)을 방지하고 하도의 경사를 안정시키며 종횡단을 유지하기 위하여 하천을 횡단해 설치하는 공법.
바닥보호공(-保護工, Groundsill work) 하천에 보(댐)나 여수로를 설치할 경우 월류수에 의하여 하상이 세굴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하상바닥에 콘크리트나 블록, 사석을 포설하는 것.(교각주위에은 사석보호공을 설치한다)
바이패스(By-pass highway) 어느 지역을 우회시켜 통과 교통이 그 지역을 통과하지 않게 하기 위한 도로로 그 지역을 출발지 또는 목적지로 하는 지역간 교통을 원활하게 분산시키고 도입하는 역할도 함.
박락(剝落, Exfoliation) 층 사이에 박리가 생겨서 파괴되는 것.
박리(剝離, Spalling) 콘크리트 표면이 철근부식 등에 의하여 균열이 발생된 후 파손되는 것.
박리현상(剝離現象, Separation) 유체의 흐름을 구속하는 수로단면형이 변함으로 인해 벽에서 흐름방향으로 압력이 증가하여(역압력 경사, adverse pressure gradient) 흐름이 벽면을 따라가지 않고 벽에서 분리되는 현상.
박층포장(薄層鋪裝, Carpetcoat thin surfacing) 통상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을 두께 2.5cm 이하로 포장한 것으로써 표면처리의 일종.
반 길어깨(Partial shoulder) 고속도로에서 확보하고 있는 길어깨 폭의 1/2정도의 폭원을 가지는 것으로, 폭 1.25~1.75m로서 차량의 주행에 있어 큰 지장을 주지 않는 측방여유폭을 확보하고 승용차의 정차가 가능한 길어깨.
반단면 굴착(半斷面掘鑿, Half section excavation) 터널 굴착방식의 일종. 터널단면의 상하반(上下半分)의 어느 쪽이든 하나를 먼저, 나머지 반단면을 선행하는 것이 보통으로, 이 경우 하부 반분은 「벤치식 굴착」을 하는 경우가 많다. 「저설도갱(底設導坑)」을 선행한 뒤 상부 반단면을 굴착하는 것도 자주 쓰인다. 하부 반단면을 선행하는 것은 드물다.
반사식 도로(反射式 道路, Reflector button) 명색골재를 사용한 포장으로 아스팔트 포장에 노면을 밝게 할 목적임.
반응거리(反應距離, Driver reaction distance) 운전자가 전방의 장애물을 보고 제동의 필요함을 인지한 후부터 제동장치에 접촉할 때까지의 사이에 주행한 거리
반응시간(反應時間, Reaction time) 운전자가 장애물을 발견한 후 브레이크를 밟을 것인가를 판단하는 시간(1.5초)과 판단하고 나서 브레이크를 밟을 때까지의 동작시간(1.0초)으로 약 2.5초 정도.
반향곡선(反向曲線, Reverse Curve) ① 반경이 다른 두 개의 단심곡선이 접속점에서 공통접선이 되어 양 곡선의 중심이 그 접선 양측에 있는 것. ② 반대방향으로 연속한 S형의 곡선, 반향곡선은 본선로상에서 고속운전 열차에 위험을 주게 되므로 양곡선 사이에는 상당한 길이의 직선을 삽입하도록 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 직선까지를 포함하여 반향곡선이라 함(배향곡선)
받침(Bearing Support) 구조물과 평면 또는 곡면으로 접촉하여 연직력을 지지하는 부분.
발파공(發破孔, Blast hole) 폭약을 장전하기 위해 착암기 또는 수굴로 뚫은 구멍(Borehole). 천공이라고도 한다. 천공한 공의 직경을 천공경, 천공간의 거리를 공간격(Spacing), 천공한 공의 길이를 천공장, 발파 설계에서 최소저항선, 천공수, 천공장, 천공간격 등을 총칭하여 천공배치(Drilling Pattern)라고 한다.
발파기(發破機, Blast machine exploder) 전기발파를 하는 경우 전류를 통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휴대용 점화기, 국내에서는 콘덴서식 발파기가 사용되지만 염전식, 압하식, 바이브레이다식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콘덴서식 발파기는 상시 정격의 제발능력이 얻어져 조작도 간단하지만, 연전식, 압하식 등은 개인차가 커서 정류의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경우가 있다. 발파기에는 제발 전기뇌관수에 따라 10발용부터 1000발용 정도까지 여러종류가 있다. 또 갱내 검정품과 비검정품이 있다.
발화감도(發火感度, Ignition sensitivity) 보통 발화점을 말하며, 공기중에서 물질을 가열할 때, 점화하지 않아도 발화해서 연소를 계속하는 최저의 온도. 발화 온도와 동일. 발화점의 예를 다음과 같다. 초안폭약 200℃이상, 흑색화약 310-330℃, 흑카리트 320-330℃, 면약 195-205℃, 니트로글리세닌 205-215℃, TNT 300℃ 이상, 동다이나마이트 200℃이상, DDNP(기폭약) 170℃ 이상이다.
방 위(方位, Azimuth) 어느 측선이 자오선과 이루는 0°~ 90°의 각으로 표현하므로 측선의 방향에 따라 부호를 붙여줌으로써 몇 상한의 각인가를 알 수 있음.
방수막공(防水膜工, Bituminous membrane)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시 콘크리트 표면에 아스팔트 또는 타르를 도포 또는 침투시킨 방수 종이나 포(布)등을 몇겹으로 설치하여 보호하는 것.
방식(防蝕, Corrosion proofing) 금속재료의 녹슬음을 방지하는 것으로 목재의 방부처리는 표면타화법, 내수도료, 방충제(防蟲劑)의 침투도포 등이 있고 금속은 인공산화피막의 형성, 도장, 도금 기타 방식성이 있는 재료로 피복함.
방음문(防音門, Sound proof door,) ① 음향을 방지할 목적으로 만든 문 ② 일반적으로 방음재료의 층을 만들고 특히 그 효과를 내기 위해 문틈, 문지방에도 방음재를 붙여 개폐시 소리를 제한함.
방음식목(防音植木, Soundproof planting)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도로변 등에 나무를 심는 것
방음식재(防音植栽, Sound - proof planting) 도로 소음을 주변지역에 직접 확산시키지 않고 감음(減音)하기 위해 식재, 상록 광엽수의 밀식이 가장 물리적 효과를 발휘하나 그 효과를 위한 상당한 식재폭이 필요함.
방향각(方向角, Direction angle) 기준선으로부터 어느 측선까지 시계방향으로 잰 수평각을 말하며, 넓은 의미로는 방위각도 방향각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음.
방향별 설계시간 교통량(方向別 設計時間 交通量, Directional design hourly Volume) 양방향을 기준으로 한 설계시간 교통량에 방향별 분포비율을 고려하여 결정한 시간 교통량. 방호 울타리(Guard Safety fence) 주로 주행중에 진행방향을 잘못 잡은 차량이 길 밖으로 반대차선 또는 보도 등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도를 따라 설치하는 시설이며 가드레일, 가드케이블, 가드파이프 등이 있음.
방호벽(防護壁, Guard fence) 암반 발파시에 비산되는 암석 파편으로부터 시설이나 장비, 사람, 가축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벽.
방호시설(防護施設, Protector) 낙석, 붕괴, 파랑 등에 의하여 교통에 지장을 주고 또한 도로의 구조에 손상을 줄 우려가 있는 곳에 이들을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시설로 낙석붕괴 방지시설과 파랑시설 등이 있음.
배 수(排水 Drainge) 지표수, 또는 지하수를 수로로 유출시켜 유수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는 것. 지표수 또는 지하배수로 나누며, 배수의 방식에 따라 자연배수와 기계배수로 분류됨. 또 장마비나 호우에 따라 일시적으로 산수(山水)를 배제할 때와 상시 홍수를 배제할 때도 있음. 배 치(Batch) 현장에서 콘크리트 생산시 배처에서 나온 콘크리트의 1회 비빔분
배수면적(排水面積, Drainage area) 일반적으로 배수구역내 면적을 말하며 엄밀하게는 하수의 유출이 동반되지 않는 하천이나 호수 등이 차지하는 면적은 제외됨.
배수밀도(排水密度, Density drainage) 유역내의 유로(본류, 지류, 파류)수를 유역면적으로 나눈 값.
배수터널(排水-, Drain tunnel) 배수용 터널, 터널 시공시 발생되는 용수를 원칙적으로 배수시켜 용수에 대한 수압이 없는 터널을 말한다. 용수량이 특히 많은 경우 본 터널과는 별도로 배수나 수위 저하를 위하여 설치할 때도 있음.
배치모빌(Batch mobile) 간이 아스팔트 배합장치를 가진 소형차량
배칭 플랜트(Batching plant) 콘크리트 재료인 조, 세골재, 시멘트, 물, 혼화재를 1배치씩 계량 또는 계량비비기를 하는 설비. 각각 배처(batcher) 또는 배처와 믹서를 가지고 있다. 비비기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믹싱 플랜트라고 하며 전자동식과 반자동식이 있다.
배토판(排土板, Blade) 불도져의 전면, 그레이더의 중앙부 등에 장치된 토공작업시 밀어내는 흙과 접촉하는 판.
배향곡선(背向曲線, Reverse Curve) 도로의 평면선형에서 접속점에 공통의 접선을 가지고 서로 반대 방향인 두 개의 곡선으로 구성된 곡선. 통상적으로 S자 곡선이라 함.
배후지(背後地, Hinterland) 도시관계 용어로써 본래는 항구 배후의 육지로 항구에서 적출화물을 공급하는 범위를 뜻하였으나, 의미가 확대되어 도시에서 필요로 하는 물자의 수급이나 서비스의 수급관계로 연결되는 주변지역을 말하게 되었는데, 이는 도시나 도시지역을 둘러싸고 있는 교외 농경지를 포함하는 도시권을 뜻하는 말임. 오늘날 대도시권에서 배후지란 중심도시의 활동권, 교역권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구조면에서 점착 일화, 상호의존 체제로 개념이 변화되고 있음.
백태(白苔, Efflorescence) ①비바람에 바랜 콘크리트면에 자주 생기는 백색의 결정 표층. 콘크리트 중의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수산화칼슘 등이 물에 녹아 내려 공기 중의 탄산가스와 화합한 것. ②벽돌의 표면에 나타난 흰 가루.「백화」라고도 함.
백금선(전교)(Platinum Bridge) 전기뇌관 각선에 붙이는 백금선, 실제는 백금 80~90%, 이리듐 10~20%의 합금으로 선경은 0.03mm 정도. 전기저항은 300~400 ohm/n의 것이 일반적이다
버력(Muck, Rock waste, Mining / Tunneling Spoil) 터널굴착 현장이나 광산등지에서 갱도굴진, 채광, 선광등의 과정에서 발생되는 암석덩어리, 암석조각, 슬라임등 의 총칭으로 폐석이라고도 함.
버스전용차선(Exclusive bus lane) 도시내 교통관리 시스템의 하나로 대중교통인 버스만 전용으로 설치하는 시설.
번잡교차로(煩雜交叉點, Point of conflict) 여러개의 교통류가 교차 또는 합류하는 점 또는 지역
벌개제근(伐開除根) 토공의 굴착 또는 성토의 시공에 앞서 절취부, 토취장, 성토부에서 풀이나 나무뿌리의 제거, 표토깍기 및 이들의 처리 작업.
베딩작업(-作業, Bedding) 배수관 설치시 버림콘크리트 타설전에 기초지반 위에 배수관의 단면 형상에 맞게 적절한 재료를 이용하여 재단하는 작업으로, 베딩이 재료는 압축성이 적고, 다짐이 쉬운 자갈․모래, 물을 사용하도록 하며 충분히 다짐을 시행하여 지지력이 발휘되도록 한다.
베리어백(Barrier bag) 습기, 오릴, 열 등을 차단하기 위하여 특수 제조된 백을 말함. 비전기뇌관의 포장용으로 사용됨. 군용제품은 장기저장을 위해서 대부분 이 백을 사용함.
벤치(Bench) 벤치컷에 의해 만들어지는 단.
벤치마크(Bench mark, BM) 수준점
벤치발파(-發破, Bench cut blasting) 하나 또는 수개의 수평한 벤치에서 발파하는 채굴법, 계단 채굴법이라고도 한다. 보안의 확보, 조업의 안전성, 품질관리, 성력화, 발파석의 입도 조절의 면에서 종래의 발파보다 우수하여 석회석 채굴에서는 거의 이 방법으로 대체했다. 우선 표토를 제거한 후 대형 착암기로 벤치에 대하여 개략 수직으로 천공을 행하고 장약을 하여 발파한다. 시행벤치를 한 다음 하반으로 이동, 굴착을 진행한다. 벤치 카트 발파에서는 일반으로 ANFO폭약을 유입 장전, 또는 공기 장전을 한다. 용수가 많은 공이나 근절을 잘하기 위해서는 슬러리 폭약을 사용한다.
벤치컷(Bench cut) ① 경사면에 성토할 경우 수평면을 만들기 위하여 경사면을 계단식으로 절취하는 것. 층따기라고도 함. ② 터널굴착과 같은 암절취공사에 있어 상부단면을 선진굴착하여 수평면을 조성한 다음 하부단면을 절취하는 공법.
벤켈만변형량(-變形測量, Benkelman beam deflection) 벤켈만빔에 의해 측정한 노상 및 포장 각층면상(各層面上)의 변형량을 다이얼 게이지의 읽음에서 최대의 변형량을 구함.
벤켈만빔(Benkelman beam) Benkelman이 고안한 포장의 침하량을 측정하는 기구, 알루미늄의 전단을 일정한 윤하중을 가진 차량의 복륜간에 삽입하고 차량을 전진시켰을 때의 포장표면의 복원량을 다이얼게이지로 읽어내는 것.
변속구간(變速區間, Speed change section) 통과교통에 합류하거나 이탈할 때 필요한 속도까지 가속 또는 감속할 수 있는 통과차선에 인접한 부가차선 구간.
변속차선(變速車線, Speed change lane) 고속도로 주행하고 있는 본선 교통류 속으로 들어가거나 그 속에서 빠져나오려 할 때 본선의 교통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안전하게 가속 또는 감속하기 위해 설치하는 차선으로 앞의 것을 가속차선, 뒤의 것을 감속차선이라 함.
병목(Bottleneck) 도로망 또는 도로구간중 차로가 갑자기 감소하여 교통용량이 상대적으로 작아서 교통흐름을 방해하는 지점 혹은 구간으로써 교통체증과 교통혼잡이 심하게 일어나는 구간.
병렬터널(竝列터널, Twin tunnel) 도로의 다차로 도로에서 터널굴착시 불필요한 굴착공간을 줄이고 구조적 안정을 위하여 한 개의 대단면 터널 대신에 분리차로를 설치하여 두 개의 터널로 계획하여 병렬로 만든 터널. 터널 간격은 이상의 소단면 터널을 병렬로 만든 터널.
보도(步道, Sidewalk, walkway, Footpath) 차량의 통행과 분리하여 보행자(소아차 및 신체장애자용 의자차를 포함한다)의 통행에 사용하기 위하여 연석, 울타리, 노면표시 기타 이와 유사한 공작물로 구별하여 설치되는 도로의 부분.
보링 슬라임(Discharge slime of boring) 보링할 때 굴착 누수에 섞여 배출되는 것. 토층 판단에 참고가 됨.
보링주상도(-柱狀圖, Boring) 보링을 하여 얻어진 지층의 cm의 순서, 두께, 종류 등의 지식을 주상의 단면도로서 그린 것.
보조간선도로(補助幹線道路, Auxiliary street, subsidiary street) 간선도로와 간선도로 상호간 또는 지구(地區)의 중심지를 연결하는 도로
보조기층(補助基層, Subbase) 노상위에 놓이는 층으로 상부에서 전달되는 교통하중을 분산시켜 노상에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분.
보조기층배수(補助基層排水, Subbase drainage) 노상이 불투수성인 경우 노면에서 도로의 보조기층내에서 노면으로부터 침투한 우수나 인접지로부터의 침투수 등을 모아서 배수하는 것.
보조기층재료(補助基層材料, Subbase course material) 도로의 보조기층을 구성하는 재료. 함수량 변화의 영향, 동결융해의 작용을 쉽게 받지 않고 입경분포가 좋은 것이 쓰인다. 시멘트 또는 역청재료로 안정처리를 한 재료로 쓰인다. 강도특성은 보통 수정 CBR 표시됨.
보조차선(補助車線, Auxiliary lane) 도로의 본선에 인접하여 주차, 변속, 회전, 대기, 엇갈림, 트럭의 오르막 주행등 직진교통류의 보조통행을 위해 설치되는 차선.
보조표지(補助標識, Supplementary sign) 보조표지는 주의, 규제, 지시 또는 안내표시의 주기능을 보충하여 도로이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알리는 표지.
보행속도(步行速度, Pedestrian speed) 보행용량 산정 및 보행신호시간 결정에 사용되는 보행자들의 걷는 속도. 보통 초당 1.2m를 사용함.
보호길어깨(保護길어깨, Soft shoulder) 길어깨를 기능상으로 분류한 것 중의 일종. 보호길어깨는 도로의 가장 바깥쪽에 있으며, 포장구조 및 노체를 보호하기 위한 길어깨의 일부로써 건축한계내에는 포함되지 않음.
복토(覆土, Mudcap) 폭발물의 비산을 막기 위해 흙, 암분, 매트 등으로 덮는 것을 말한다. 표면지연발파를 하는 비전기뇌관 발파나 도폭선 발파에서 이것을 잘하면 칵오프 등을 막을 수 있다.
복공(覆工, Lining) 터널 굴착 후 라이닝을 설치하는 것. 재료는 현장타설 콘크리트가 보통이지만 벽돌, 돌쌓기, 프리캐스트라이닝 공법 또는 철제의 세그먼트 등도 있다
복단면도로(複斷面道路, Double formation road) 도로 기준면의 높이가 교통의 방향에 따라 분리되어 서로 다른 도로
복합곡선(複合曲線, Compound curve) 같은 방향의 커브를 가지며, 접합점에서 공통 접선 또는 완화곡선을 갖는 두 개 이상의 다른 반경으로 이루어진 곡선. 도로설계에 있어 큰 원과 작은 원과의 반경의 비가 크지 않을 때는, 두 개의 원곡선을 직접 접속시켜도 된다.
본선이행(本線移行, Lane shift) 교차점의 교통용량을 높이기 위해 회전차선이나 변속차선을 설치.
볼록곡선(-曲線, Crest curve) 볼록한 형태의 종단곡선.
볼록부(-部, Crest hump) 두 개의 경사부의 접속에 의하여 생기는 볼록한 부분
부도(副道, Frontage/service road) 일반적으로 측면도로(부체도로)를 뜻함. 출입제한이 없는 도로에서 입체교차에 설치하는 연결로 가운데 교차 또는 접속하는 도로 상호를 연결하는 교통처리 외에 해당 연결로에 직면하는 가옥에 대해서 직접 서비스를 하며, 또한 필요에 따라 주차장으로 대처할 수 있는 연결로를 말함.
부가차선(附加車線, Added lane, Auxiliary lane) 도로의 교차로나 인턴체인지 등의 지점에서 본선에 붙어 있는 회전차선(우회전차선, 좌회전차선), 변속차선(감속차선, 가속차선)을 말함. 교통용량의 증가 또는 사고감소를 목적으로 설치함.
부석포장(敷石포장, Stone pavement) 자연석을 블록 모양 생산하여 한 줄로 늘어놓은 포장이며, 블록의 크기에 따라 소격석 포장, 판석 포장등이라 함.
부하중(府荷重) 교량의 주요구조부를 설계하는 경우에 항상 또는 자주 작용하지는 않지만 내하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통상 다른 하중과 동시에 작용하는 하중으로서 하중의 조합에서 반드시 고려하여야 하는 하중의 총칭이다.
분기점(分岐點,JCT-junction) 우리 나라에서 사용되는 도로시설에 대한 용어로써 도로의 등급이 높은 고속도로, 도시고속도로 및 국도등이 상호간의 교통흐름상 차단이나 정지가 없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말함. 고속도로상에서는 호법분기점, 신갈 분기점, 회덕 분기점 등이 이에 해당한다.
분류구간(分流區間, Diverging section) 교통운용적인 측면에서 교통류의 특성상 분류할 필요가 있는 교통이 있을 경우에 분류를 원활하고 더욱 안전하게 실시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간. 유출램프의 경우 감속차선을 포함.
분류단노즈(分流端노즈, Nose of diverging end) 분류섬의 분류하는 쪽의 노즈. 노즈의 최소반경은 원칙으로는 0.5m로 하며 노즈 옵셋 및 세트백을 취함.
분류섬(分流섬, Diverging Island) 도류섬의 일종. 분류할 필요가 있는 교통류에 있어서 분류를 원활하고 더욱 안전하게 실시하기 위하여 교통의 흐름을 분리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것.
분리대(分離帶, Separator) 같은 방향 또는 대향 방향의 교통류를 두 개의 차로로 분리하기 위하여 도로 상하차선의 중심부에 설치한 시설.
분리도로(分離道路, Divided highway) 중앙분리대 등에 의해 교통류가 양방향으로 나누어져 독립적으로 차선이 설치된 도로.
분상장약(Deck charge) 일반적으로 폭약은 천공 내에 집중해서 장약, 발파하면 효과는 크지만 천공도중 점토층이나 주위 암반에 비해 몹시 약한 약층의 출현 또는 공동이 존재할 경우 비석(stone fly)의 문제가 발생됨.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약의 사이에 모래 등의 전색물을 충진시켜 분리하여 장약하는 방법을 말함.
분상폭약 미트로겔이 적기 때문에 교화되지 않은 분상의 다이나마이트, 니트로겔은 15~20% 이하에서 6% 이상(다이나마이트로서의 하한)이다. 세미젤라틴과 분상다이나마이트의 구별은 어렵지만 대체로 동일하다고 생각해도 된다.
분포모형(分布模型, Distribution model) 분포교통량(OD 교통량)의 장래 추계를 실시하기 위한 모형.
분포하중(分布荷重, Distributed load) 어느 넓이에 퍼져서 작용하는 하중.
불발(不發, Misfire) ①발파작업에 있어서 점화를 하였는데도 기폭약포(Primer : 뇌관이 삽입된 폭약이 폭발하지 않아 폭발이 일어나지 않은 것. ②뇌관은 폭발하였지만 폭약은 폭발하지 않은 것. ③뇌관의 일부는 폭발(반폭)하였지만 기폭력 부족으로 Primer가 불폭된 것.
불균형교통류(不均衡交通流, Unbalanced flow) 방향별로 시간대에 따라 교통량의 변화가 심한 교통류. 예를 들어, 오전 첨두시 도심방향으로 교통량이 집중되어 도로상에서 불균형을 이루는 교통류.
불균형통행도로(不均衡通行道路, Unbalanced flow street) 방향별, 시간에 따라 교통량의 변화가 심하게 나타나는 도로로써 가변차선 시스템 등이 설치되어 있는 통행도로.
불완전입체교차(不完全立體交叉, Partial grade sepa-ration) 평면으로 교차하는 교통류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입체교차를 말하는데, 다이아몬드형, 불완전 클로버형, 사지교차시의 트럼펫형 등이 이에 상당함.
불완전클로버형입체교차(Partial cloverleaf inter-change) 사지교차에서 가끔 사용되는 형식이며 다이아몬드형보다 건설비를 많이 들지만 그 특징을 살리면 교통용량은 더 좋아짐. 불완전 클로버형은 연결로의 배치방식에서 볼 때 기본적으로 세 가지 형식이 있음.
브라운 아스팔트(Blown asphalt) 석유 아스팔트의 일종. 파라핀계 석유의 감압 잔류유를 204~315℃로 가열하여 공기를 불어넣고 잔류유에 함유되어 있는 역청분에 중합, 축합반응을 일으켜서 탄력성을 크게 한 아스팔트. 용융점이 높고 내구성, 내충격성은 좋으나 신장성, 점착성, 방수성 등은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보다 못함.
브로큰백커브(Broken back curve) 브로큰 백 현상을 일으키는 도로. 브로큰 백 현상이란 같은 방향으로 굴곡하는 두 곡선 사이에 짧은 직선이 끼어 있는 것으로 평면선형의 경우는 직선부가 양단의 곡선과 반대방향으로 굴곡되고 있는 것처럼 보이고 또 종단선형의 경우에는 직선부가 떠오르듯이 보이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불쾌감을 주어 운전실수를 유발시킬 수 있어 주의하지 않으면 안됨.
블라인딩(Blinding) 표면의 공극을 메우거나 건조하고 평활한 작업바탕을 만들기 위해 강도가 낮은 콘크리트 등의 적당한 재료를 바르는 것. 또는 그물이나 체눈에 분리된 재료가 막히는 것.
블랙베이스(Black base) 기층으로 사용된 역청 혼합물로 그 색깔이 까맣다. 화이트 베이스(콘크리트)에 대응하는 용어 블랭킷(Blanket) 지반으로 물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해 수저면을 덮어 설치하는 불투수층
블로업(Blow up) 콘크리트 포장의 파손형태의 하나로써, 포장이 온도 변화에 의하여 팽창할때 압축력에 견디지 못하고 좌굴을 일으켜 부분적으로 솟아오르는 현상.
블록포장(Block 鋪裝, Block pavement) 고속도로의 휴게소 광장부에 주로 이용되는 포장으로 하부의 기층면위에 모래를 부설한후, 1변이 6~9cm 정도인 입방체 모양의 석괴나 콘크리트블록, 아스팔트블록 등을 깔고 다시 모르터나 모래, 역청재 등으로 채움한 포장으로 광장포장, 보도포장 및 간이포장에 사용됨.
블리딩(Bleeding)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 또는 모르터에서 재료가 분리되어 수분이 윗면으로 상승되어 올라오는 현상으로 이때 발생되는 부상수로 인하여 시멘트와 그 밖의 미립자가 표면에 노출되어 레이턴스를 형성하게 됨.
비씨(BC) 곡선시점 또는 시곡점. 직선으로부터 곡선으로 바뀌는 점에서 측점번호가 작은 쪽을 말함. 원어 : beginning of curve
비대칭형클로소이드(非對稱形클로소이드, Unsymmetric clo-thoid) 기본형 및 요철형 클로소이드로써 좌우의 클로소이드 파라메타(parameter)가 틀리는 것을 말함.
비상주차대(非常駐車帶, Emergency parking bay) 도로 주행시 우측 길어깨의 여유가 좁아 고장차등 비상시에 본선 차로에서 대피할 수 없는 도로에 있을 경우, 사고와 교통의 혼란을 막기 위하여 우측 길어깨에 접하여 임시적으로 정차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도로의 시설.
비오티 (BOT : Build operate and Transfer) 대형 Project 개발 방법중의 하나로 발주자가 재정능력이 없지만 소유권을 취득하려할 때 주계약자(Prime Contractor)를 선정하고, 모든 책임을 주계약자인 공급자(Suppliers)에게 부여하는 방식을 말한다. 공급업자는 해당공사의 재정과 소유권을 보유하며 R.F.P(Requests for Proposals) 작성 및 공사시행에 관한 조정을 해야 한다. 공급업자는 일정기간 소유권 및 운영권을 소유하고 계약기간 경과후 발주자에게 소유권 및 운영권을 이전하는 개발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대형 Project 개발방법은 재원조달과 소유권 유무에 따라 크게 직영사업, 턴키, BOT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 직영사업을 주지하는 바와 같이 발주자가 재정을 감당할 능력이 있을 때 발주자가 모든 책임을 지고 사업을 시행한다. - 턴키방식은 발주자가 재원조달능력이 있으나 공사에 대한 시행능력 및 경험이 부족할 때 주로 채택하는 방식으로 발주자가 시스템에 대한 재원조달을 책임지고 소유권을 보유한다.
비전기뇌관(Non-electronic detonator) 선경이 매우 가는 튜브(시그널튜브)를 전용점화기나 뇌관을 사용하여 발화시키면, 튜브는 2,000m/s의 속도로 폭굉하고, 컨넥타에 접속시킨 다른 튜브가 전폭한다.
비탈면 경사(斜面傾斜, Slope gradient) 절토 및 성토 비탈면의 안전성을 검토하면서 결정하는 경사. 단위 높이에 대한 수평거리로 표시하고, 절토 비탈면의 경사는 지형, 지질, 암석질, 토질, 지하수 및 용출수의 유해, 단층의 범위 등을 고려하여 정하며, 성토 비탈면의 경우는 토질, 성토높이, 용출수의 유해, 그리고 지반조건 등을 고려하여 결정함.
비탈면 배수(斜面排水, Slope drainage) 비탈면의 침식, 세굴 및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시설 등을 시행하여 표면수나 침투수를 비탈면으로부터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비탈면 보호(斜面保護, Slope protection) 토공 비탈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돌붙임, 떼붙임을 시공하는 것.
비탈면 보호공(斜面保護工, Slope protection work) 비탈면 침식이나 풍화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식생(植生)이나 옹벽, P.Y 블럭 및 돌붙임 등 구조물로써 비탈면을 보호하여 비탈면의 안정을 도모하는 것.
비탈면 보호식재(斜面保護植栽, Erosion control planting on slope) 비탈면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식재. 먼저 풀씨 등을 흩날려 급속녹화가 되도록 하며, 여기에 나무씨앗을 섞거나 꺽꽂이를 하거나 식재를 하는 일.
비튜민 안정공법(-安定工法, Soil stabilization with bitumen) 토질 안정처리 공법의 일종으로, 역청재료를 수량 변화에 의하여 영향을 받기 쉬운 점토질 흙에 첨가하여 방수성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공법
비티시(BTC) 완화곡선 시점. 원어 : beginning of transition curve
비피엔(BPN) 영국에서 개발된 포터블, 스키드, 레지턴스, 테이터에 의하여 측정된 노면의 미끄럼 저항치로써 British Portable (Tester) Number의 약어. 고속도로에는 BPN 60을 포장신설시의 목표치로 하고 있음.
사
30번째 시간계수(三十番째 時間係數, Thirtieth hi-ghest hour factor) 30번째 시간교통량을 평균일 교통량(ADT)으로 나눈 값(K30).
30번째 시간교통량(三十番째 時間交通量, Thirtieth hi-ghest hourly volume) 1년간(8,760시간)의 시간교통량 중 큰 것으로부터 30번째에 있는 것으로 설계시간 교통량으로써 계획목표년도에서의 30번째 시간교통량을 택하는 것을 표준으로 함.
C.A.L.S(Continuous Acquisition and lifecycle support) 생산, 조달, 운용지원 통합정보시스템을 말하며, 기획, 설계, 계약, 시공, 유지관리 등 건설생산활동 전과정의 정보를 발주자가, 건설관련자가 전산망을 통해 신속히 교환 공유하여 건설사업을 지원하는 통합정보시스템을 말하며, 미 국방성과 방위산업체가 복수의 시스템 개발, 제조, 지원을 통합할 목적으로 시작하여 현재는 미국방성과 방위산업체가 복수의 시스템을 개발, 제조, 지원을 통합할 목적으로 시작하여 현재는 미국 이외에 유럽 및 환태평양 국가에 있어서도 기업활동의 요체로서 받아 들여지고 있다.
COD(Chemical Oxygen Demand) 화학적 산소요구량. 물속에 녹아 있는유기물질이 과망간산칼륨에 의해 산화될 때 소비되는 산소량을 ppm으로 표시한다.
사재(斜材, Diagonal member) 트러스 구조물의 사재와 같이 경사지게 설치된 부재의 총칭
사갱(斜坑, Inclined shaft) 터널 암반 굴착시 발생되는 버력이나 재료의 운반을 위하여 설치한 것으로 입갱(立坑)과 같은 역할을 하는 갱
사교(Skew bridge) 교량의 보가 교축과 경사를 이루는 교량
사도(私道, Private road) ①일반적으로 개인의 목적을 위하여 설치한 길 ②도로법에 명시된 도로(고속도로, 일반도로, 특별시도, 지방도, 시도, 군도)나 도로법의 적용을 받는 도로가 아닌 것으로써 그 도로에 연결되는 길.
사면내파괴(斜面內破壞, Slope failure) 사면파괴의 한 형태로써, 사면의 중간을 통과하는 활동면을 따라 사면이 파괴되는 것. 절토사면과 같이 굳은 지반이 사면의 하부에 있을 때 발생하는 경우가 많음.
사면보호(斜面保護, Slope protection) 사면의 풍화 침식, 표층부의 낙석, 붕락(崩落)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식생공, 조경 블록설치, 콘크리트 피복 등과 같은 방법으로 사면을 보호하는 것으로 비탈면 보호와 동일한 개념이다.
사면붕괴(斜面崩壞, Slope failure) 사면의 급경사 부분이 무너져내리는 것. 사면활동 파괴에 의하여 무너져 내린 토사는 토괴의 원형을 유지하지 않는 경우가 많음.
사면선단파괴(斜面先端破壞, Toe failure) 사면의 하단을 통과하는 활동면을 따라 파괴되는 파괴.
사면안정(斜面安定, Slope stability) 사면이 활동이나 붕괴에 대한 저항하는 것
사면안정해석(斜面安定解析, Slope stability analysis) 사면파괴에 대한 안정성을 해석에 의하여 검토하는 것
사문암(蛇紋岩, Serpentine) 사문석을 주성분으로 한 암석. 감람암 등의 초염기성암이 대부분 진녹색의 무늬가 있어 외관은 아름다우나 강도가 약하고 풍화해서 흡수 팽창하며, 터널의 지압(地壓)이나 옹벽붕괴의 원인이 될 때가 있음.
사석(捨石, Riprap work) 주로 세굴방지용으로 사용되는 재료. 방파제나 방사제, 호안, 안벽, 교량의 교각 등의 기초 또는 내부에 투입되는 잡석으로 제방의 폭이 두꺼울 때는 내부에 작은 사석을 쓰고 파도나 유속의 영향을 받는 외부에는 세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큰 사석을 사용됨.
사석공(捨石工, Riprap work) 교량의 기초, 방파제, 방사제, 호안, 안벽 등의 사석마운드 등을 건설할 때 사석으로 공사하는 것.
사석기초(捨石基礎, Rubble base) 해안의 방파제나 호안 , 안벽, 방사제 등의 중량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해 마운식 기초를 설치하는 것.
사선법(斜線法, Triangulation) 입체 항공사진에서 사선 중심으로부터의 방향각을 측정 또는 이사(移寫)하여 표정점의 평면위치를 구하는 방법
사수공법(射水工法, Water jetting) 기초공법중 말뚝 또는 케이슨을 지반 중에 밀어 넣을 때, 지반의 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말뚝이나 케이슨의 끝이나 측면으로부터 물을 분출시키는 공법.
사용성(使用性, Serviceability) 사용중인 구조물 또는 구조부재에 하중이 작용함으로써 발생되는 처짐, 균열, 피로 등에 대하여 사용자 측면에서의 구조물 상태
사용자잉여(使用者剩餘, User's surplus) 사용자가 통행을 하므로써 지불하는 비용과 실질적으로 소요된 비용과의 차액을 말한다.
사용자통행편익(使用者通行便益, User travel benefit) 통행을 하므로써 이용자가 취할 수 있는 모든 편익을 말함.
사용하중(使用荷重, Service load) 구조물 설계시 사용하는 하중의 하나로써, 사하중 및 활하중으로 하중계수를 곱하지 않은 것. 작용하중이라고도 한다.
사용한계상태(使用限界狀態, Serviceability limit state) ①구조물 또는 부재가 과도한 처짐, 균열, 진동, 피로균열 발생 등에 의해 사용상의 건전성을 상실하는 한계상태로써 통상의 사용 또는 내구성에 관련된 한계상태. ②보통의 사용상태 또는 내구성에 관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한계상태. ㉠정상적인 사용상태에 대하여 일어나는 과대한 변형 ㉡과대한 균열. ㉢바람직하지못한 손상. ㉣평형을 잃지 않을 정도의 과대한 변위 ㉤과대한 진동
사운딩(Sounding) 지반 조사 방법의 일종으로써 지반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원위치 시험으로 로드에 붙인 콘, 샘플러 등의 저항체를 지중에 박고 관입, 회전, 빼올리기 등으로 지하층의 저항과 채취한 시료로 토층의 성상(性狀)을 탐사하는 것.
사이클 타임(Cycle time) 보통 시공시에 사용되는 용어로 1회의 작업을 끝내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말하며 정확한 예측을 통한 공기의 예측을 할 수 있다.
사이클(Cycle) 일반적으로 물체의 상태가 어느 변화 후에 다시 원래 상태와 똑같은 상태로 돌아가는 경우 이를 하나의 사이클이라 하며, 주기적 현상이다. 또 주기현상의 1초간에 일어나는 수를 말한다.
사이펀(Siphon) 관로의 일부가 동수경사선 위에 설치되어 있어서 일부 수압이 대기압보다 작은 부압을 받는 관수로
사인장(斜引張, Diagonal tension) 부재단면에 수직인 응려과 수평한 응력의 합성에 의해, 부재에 비스듬한 방향으로 발생하는 응력
사인장균열(斜引張龜裂, Diagonal crack) 부재의 인장연단에서 시작하여 부재의 45도 방향으로 발생하는 균열
사인장철근(斜引張鐵筋, Diagonal tension bar) 인장응력을 받는 철근. 스트럽과 절곡철근을 구성되며, 전단보강철근을 말함.
사일로(Silo)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굴뚝모양의 시설, 설, 곡식이나 시멘트 등을 저장함.
사장교(斜張橋, Cable stayed bridge) 주탑으로부터 인장된 케이블에 의해서 지지되는 교량
사전냉각(事前冷却, Precooling) 매스콘크리트나 댐구조물과 같이 규모가 큰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를 타설시 발생하는 수화열을 낮게 하기 위하여 미리 골재를 냉각시키거나, 온도가 낮은 물을 사용하여 냉각시키는 것. 콘크리트의 온도가 높으면 균열 발생이 우려되므로 콘크리트 타설시 온도가 25도 이하를 유지해야한다.
사질토(砂質土, Sandy soil) #200번체(75㎛)통과량이 중량비 50% 이하이고 이 중 #4번체(4.75㎛) 통과량이 50% 이상인 흙을 사질토라 함. 통일분류법에서는 SW, SP, SM, SC로 분류됨. 토성을 보면 배수성이 뛰어나고 동상가능성이 적으며, 다짐시 강도 발현이 잘되고 압축성이 적어 기초로 적합한 재료임.
사토장(捨土場, Spoil bank) 건설공사시 절토나 절취를 통한여 발생한 흙이 성토재나 기타 재료로 활용되어지고 남는 흙을 운반하여 버리는 장소
사회간접자본(社會間接資本, Social overhead capital) 인간의 경제적 활동에 간접적으로 기여하는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시설 및 조직활동을 포괄하는 복합적 개념으로, 사회 기반시설인 도로, 철도, 항만, 공항등의 시설과 각종 연료의 공급시설 및 상하수도, 통신망시설 등을 포함함. 약어 : SOC.
사회비용(社會費用, Social cost) 교통이 이루어지므로써 발생되는 직, 간접비용을 칭하는데, 통행에서 발생되는 직접적인 비용과 통행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환경오염, 시간지체비용, 소음 등의 제반적인 비용으로써 사회의 구성원 전체에게 발생되는 비용을 칭함.
삭도(索道, Cable way) 산악공사시 도로의 설치가 어려울 경우 자재운반이나 사람등의 수송을 위하여 산악지형에 적합하게 케이블을 설치하여 운반하는 장치를 말한다.
산성도(酸性度, Acidity) 용액의 산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기준으로, 수중에 포함되어 있는 산을 중화시키는데 필용한 알칼리량을 상응하는 탄산칼슘(CaCo3)의 양을 나타냄.
산소아세틸렌용접(Oxy-acetylene welding) 산소 아세틸렌을 사용하여 아세틸렌의 연소에 의해 생기는 열을 이용하여 하는 용접
산소아크절단(Oxy-arc cutting) 모재와 전극간에 발생하는 아크열로 모재를 가열해서 중공 전극봉으 중심으로부터 산소를 분출시켜 행하는 절단
산수소용접(Oxyhydrogen welding) 산소와 수소를 이용해서 수소의 연소열을 이용하여 하는 용접. 산소 아세틸렌 불꽃에 비해 화염온도가 낮음
산업폐기물(産業廢棄物-Industrial wastes) 산업활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폐기물로 건설현장의 아스팔트, 콘크리트 잔재, 공장 폐수, 재, 오니, 폐플라스틱 등의 각종 쓰레기를 말한다.
산업폐수(産業廢水-Industrial wastewater) 특수한 공정을 처리하는 시설을 갖추고 있는 공장등에서 배출한 폐수중에서 BOD가 높은 유기폐수와 수은, 납, 크롬등의 중금속의 함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무기폐수를 말한다.
살수차(撒水車, Road sprinkler) 도로의 다짐작업시 적절한 함수비를 유지하기 위하여 주행하면 물을 뿌릴수 있도록 제작된 차량
살포기(撒布機, Distributor) 포장공사에서 역청재료를 살포하는 기계로써, 역청재료 탱크를 갖고 있고, 기계 뒤쪽에 노즐을 설치하여 압력에 의해 살포하며 비교적 균일한 살포가 가능함.
삼각고저측량(三角高低測量, Trigonometric leveling) 각을 관측할 수 있는 측량기에 의하여 고저각과 거리 관측치를 삼각법으로 처리하여 고저하츨 구하는 측량으로 삼각측량이나 보조수단이나 직접고저측량이 곤란한 경우에 이용되는 정밀도는 떨어진다.
삼각망 트러스(三角網-, Triangle net truss) 트러스의 구성면을 여러개의 작은 삼각형으로 조립한 트러스.
삼각망(三角網, Triangulation network) 여러개의 삼각형으로 구성된 삼각형군을 말하며. 삼각형이 띠모양으로 연결된 것은 삼각쇄라 한다.
삼각점(三角點, Triangular point/station) 삼각측량 또는 삼변측량에 의해 수평위치가 구해진 점.
삼각측량(三角測量, Triangulation) 기선을 관측한 다음 각만을 관측하여 수평위치(x,y)를 구하는 측량방법으로, 넓은 범위에 삼각망을 설정하고 비교적 정확도가 높은 기준점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삼지분기기(三枝分岐器, Three throw turnout) 하나의 포인트에서 셋방향으로 나누는 분기기를 말함
삼차원 응력(三次元應力, Three-dimensional stress) 어떤 점에서 모든 방향의 응력선분이 존재하는상태
삼축롤러(三軸-, Three-axis roller) 축이 세 개인 롤러로 삼축탠덤 롤러라고도 한다.
삼축압밀시험(三軸壓密試驗, Triaxial consolidation test) 삼축압밀시험기를 사용하여 공시체에 가해지는 응력을 변화시키면서 시행하는 압밀시험
삼축압축시험(三軸壓縮試驗, Triaxial compression test) 원주상의 공시체에 측면에서 압력을 가한 다음에 축하중을 증가시켜 강도와 변형간의 특성을 알아보는 시험. 토질에 대한 첨착력과 내부마찰각을 구하므로써 전단강도를 알 수 있다.
삼축응력(三軸應力, Triaxial stress) 서로 직교하는 3방향으로 작용하는 수직응력
삼층여과(三層濾過, Three-layer filtration) 여과지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깊이에 따라 서로 다른 세 개의 여재를 사용하는 여과법.
상각비(償却費, Depreciation cost) 기계 등의 사용에 따른 가치손실분을 비용으로 환산한 것.
상대강도(相對强度, Relative stiffness) 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개개의 부재들으이 상대적인 강성
상대강도계수(相對强度係數, SN치) 아스팔트포장 설계시 사용되는 용어로써, AASHTO 도로시험에서 포장의 두께지수(SN)를 산출하기 위하여 도입된 것으로 포장기층을 구성하고 있는 재료의 강도를 나타내는 것. 포장구조의 각층에 사용된 재료에 관계된 적절한 층계수를 사용하여 가요성 포장층들의 두께로 환산되어지는 정량적 지수로서 교통량, 노반토의 상대 지역계수를 분석하여 얻어지는 포장재료와 두께결정을 위한 구조지수로서 추상적이 수치에 불과하다. AASHTO공용방정식의 결과값은 포장두께지수(SN)항으로 표시되며 여기에서 얻어지는 소요 SN치 보다 설계 SN치가 크도록, 실질적인 포장의 층두께를 포장두께지수로 전환할때 포장구조의 각층 재료에 대한 SN과 두께사이의 실험적 관계를 나타내는 재료의 상대적인 기능수행 정도값인 상대강도계수(또는 층계수 : layer coefficient)를 적용하게 되며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다. SN = 공식 : 재료의 상대강도계수 : 재료의 층두께
상대밀도(相對密度, Relative density) 간극비가 e인 어떤 모래의 최대 간극비를 emax, 최소간극비를 emin이라할 때 Dr=(emax-e/emax-emin)×100으로 계산되는 지수를 상대밀도라고 한다.
상부구조(上部構造, Upper structure) 구조물의 하부 및 기초 부분을 제외한 부분
상부노상(上部路床, Upper subgrade) 도로포장시 하부 보조기층 아래의 1m 높이부분인 노상 중 노상마무리면에서 40cm 깊이
상부노체(上部路體, Upper road bed) 도로포장시 노상하부에서 원지반까지인 노체에서 노체 마무리면 1m 깊이
상세(詳細, Details) 어떤 특정부분의 세부를 말함
상세도(詳細圖, Detail drawing) 특정부분의 세부, 세목을 나타내는 도면
상온 침투식 공법(常溫浸透式工法, Cold penetration macadam) 액체 아스팔트를 상온 또는 이에 가까운 온도로 살포 침투시키는 아스팔트 머캐덤 공법
상온 혼합식 공법(常溫混合式 工法, Cold mixing method) 아스팔트유제나 컷백아스팔트 등의 역청재료를 상온에 가까운 온도로 혼합하여 포설하는 공법.
상온용 포장타르(常溫用鋪裝-, Cold applied road tar) 상온 또는 100℃ 이하로 가열하여 사용하는 포장타르, 가열용에 비하여 휘발성분이 많고 점도는 낮다.
상자형 들보(箱子形-, Box beam) 상자모양의단면을 가진 들보
상자형단면(箱子形斷面, Box section) 상자 모형의 단면으로써 철판이나 형강등으로 만들어진 단면의 일종
상재하중(上載荷重, Suface load) 지표면의 흙의 자중에 의한 하중을 제외한 지반 위에 시설물 등 모든 형태의 하중을 가진는 것을 말함
상충조사(相衝調査, Conflict studies) 평면교차로의 상충 중에서 상충 이동류의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충의 형태, 상충되는 교통량, 상충이 발생하는 시기 및 위치, 그리고 상충 교통류의 평균속도 등을 분석하는 것.
상현재(上弦材, Upper chord) 트러스의 부재로써 외곽을 구성하고 있는 부재중 상부에 위치한 부재
새그(Sag) 현수 구조물에 있어서 주 케이블의 수직 처짐량을 표시하는 값. 케이블의 지점을 연결한 직선과 케이블 중심선간의 연직 최대 거리를 말함. 도로의 종단곡선에서 오목곡선에 해당하는 구간으로 종단경사가 하향경사에서 상향경사로 전환되어지는 저점구간.
새들(Saddle) ①현수교의 교탑에서 케이블의 받침으로, 가동새들과 고정새들이 있으며, 케이블을 안전하게 지지하고 또한 케이블의 반력을 충분히 교탑에 전달할 수 있어야 함. ②아치댐 건설시 댐 본체의 축조 이전에 미리 부드러운 곡면의 마름면을 갖는 인공어버트먼트(abutment)를 축조하는데, 이 인공어버트먼트를 의미함. ③교량의 지간 사이 등에 침목이나 각재 등을 우물정(井)자 형태로 쌓아올려 보나 중량구조물을 받쳐주는 가설받침대.
샌드드레인공법(Sand drain method) 연약지반 개량공법의 일종으로 지반에 지름 40~60cm, 간격 1~3m, 깊이 10m 정도의 모래기둥을 만들어 강제배수를 시킴.
샌드매트(Sand mat) 연약지반 개량공법에 사용되는 공법으로 원지반위에 1m 두께로 모래층을 부설하여 압밀효과를 증대시킴. 배수량이 많은 경우 샌드드레인공법과 병행하여 사용한다.
샘플러(Sampler) 흙의 성질을 파악하기 위한 흙 시료채취용 기구로서, 지반의 강도에 따라 여러 종류의 샘플러가 있으며, 보링 굴착기의 하단에 장착되어 사용되기도 함.
생물학적산소요구량(生物學的酸素要求量, Biochemical oxygen demand(B.O.D))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으로 이는 물의 오염정도를 표시하는 지표로써 호기성 박테리아가 일정기간(보통 섭씨 20℃에서 5일간) 수중의 유기물을 산화 분해시켜 정화하는데 소비되는 산소량을 ppm(1/00만)으로 나타낸 것. 물이 많이 오염 될수록 유기물이 많으므로 그만큼 박테리아 분해에 필요한 산소량도 증가한다. 따라서, BOD가 높을수록 오염이 심한 물이다. 1ℓ의 물에 1mg의 산소가 필요한 경우가 1ppm인데, 보통 하천의 경우 5ppm이 되면 자정(自淨) 능력을 상실하고 10ppm을 넘으면 악취를 풍긴다.
생석회(生石灰, Quicklime) 산화칼슘(CaO). 석회석을 1,000~1,200℃로 가열, 분해하여 만듬. 백색의 분말로서 물을 가하면 다량의 열이 발생되며 수산화칼슘으로 됨. 건조제, 탈수제, 석회비료, 소독제, 토양중화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음.
생석회말뚝공법(Quicklime pile method) 지반안정처리 공법의 일종으로 생석회를 지반에 주입하여 말뚝모양으로 만들어 물과 접촉하도록하여 고결시킴으로서 지반의 강도를 증대시킨다
서징(Surging) 수압관로내의 밸브조절에 의한 유량변동으로 조압?G 및 압력수로에 생기는 급격한 수위와 상승현상
서브실링(Subsealing) 콘크리트 포장 슬래브 하부의 펌핑액션으로 인하여 발생한 공극이나 공도에 슬러리를 주입하여 포장슬래브의 파손을 방지하는 공법으로 슬러리는 역청재료, 포틀랜드시멘트, 세사, 시멘트 분산제, 물 등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음.
서비스 시간(-時間, Service time) 서비스에 요하는 시간. 서비스 시간은 일반적으로 확률변수이고, 서로 독립인 경우가 많다. 보류시간(holding time)이라고도 한다.
서비스교통량(서비스 交通量, Service volume) 어느 일정구간의 도로를 주어진 서비스 수준에 따라 통과할 수 있는 최대의 교통류율. [ 서비스 교통량 산출식 ] - 2차로의 경우 : 공식 - 고속도로 기본구간 : 공식 - 다차선 도로 : 공식 - 신호교차로 : 공식 : 서비스수준 에서 주어진 교통조건 및 도로조건에서 양방향 교통량(대/시) : 서비스수준 에서 교통량 CH 용량비 : 방향별 분포 보정계수, : 차선폭 및 측방여유폭 보정계수 : 중량 보정계수 ① 평지일 경우 : 공식 ② 구릉지, 산지일 경우 ( : 트럭의 구성비, : 버스의 구성비, : 중차량 구성비, : 버스의 승용차 환산계수, : 트럭의 승용차 환산계수, : 중차량의 승용차 환산계수)
서비스교통류율(서비스 交通流率, Service flow rate) 어떤 서비스 수준이 유지될 수 있는 수준에서 도로를 통과할 수 있는 최대 교통류율.
서비스수준(서비스 水準, Level of service) 차선 또는 차도에 여러 가지 교통량을 통과시킬 때 발생하는 여러 교통상태 중 하나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속도, 여행시간, 교통장해, 주행의 자유성, 안전성, 쾌적성등 많은 인자의 영향을 정성적으로 표시한 척도로 미국에서는 도로설계에 적용시키기 위해 A, B, C, D, E, F의 6종이 있으며 이 수준은 운전속도와 교통량의 교통용량에 대한 비의 두 가지 인자의 관계로 표시함. 약어 : LOS.
서비스에리어(Service area) 도로의 부대시설로 도로 이용자의 휴게시설을 말하며, 휴게시설내에 자동차 정비소, 식당, 화장실, 주유소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서비스율(-率, Service ratio) 요구수량 중 납입기일 내에 납입되는 양이 차지하는 비율
서비스지수(서비스 指數, Present Serviceability index) 포장상태의 양호한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로서 0.0(통행 불가능상태)에서 5.0(이상적인 노면상태)까지의 숫자로 표시함.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노면평탄성(승차감), 균열, 소파보수, 바퀴자국패임 등이며 이중 노면평탄성이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함. 약어 : PSI. 포장의 서비스 능력은 자동차와 트럭교통에 높은 속도와 높은 용량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되며 AASHO 도로시험에서 그 절차는 포장의 서비스능력을 주기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현재 서비스능력 평가로 간주된 이절차는 도로의 사용자로서 도로공학 분야에 많은 경험을 가진 심사단에 의한 개인적인 평가를 평균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비스능력 평가를 위하여 사용불가능한 도로(PSI=0)에서 완전한 이상적인 도로(PSI=5)까지의 scale이 정립되었으며 그 절차는 포장의 물리적 측정자료를 조합하여 현재 서비스 능력의 등급을 추정하기 위하여 개발 되었다. 이 값들의 조합은 현재 서비스지수(P)로서 나타내며 AASHO에서의 포장설계원칙은 서비스능력-공용성개념(serviceability-perform ance concept)인데 공용성과 포장구조설계 사이의 관계를 정립함으로서 특정한 총 교통량에 대하여 포장을 설계하고 공용기간이 끝나는 시점에서 최소서비스 능력수준에 이르게 한다는 개념이다. 또한 AASHTO에서는 서비스 지수에 대한 개념을 도로 이용자가 주행시 느끼는 승차감에 기인하는 쾌적도를 시험을 통하여 객관적 평가 개념으로 설정하려 하였는데 AASHO 도로 시험연구에서 얻은 최소수준의 Pt에 대한 일반적 지침은 다음과 같으며, <표> 최저 허용 PSI 즉 최종서비스 지수(Pt)는 복구, 표층 재포설 또는 재포장을 하기전에 견뎌낼 수 있는 최저지수에 근거한 것으로 도로 이용자의 주관적인 요소에 근거한 객관적인 지표라는 다소 애매한 개념이라 하겠다.
서중콘크리트(暑中-, Hot weather concrete) 대기의 온도가 높은 여름철에 시공하는 콘크리트. 콘크리트 제작시 발열량의 감소시키기 위하여 골재의 온도를 낮추거나 물의 온도를 낮추어 사용한다.
석축(石築, Masonry retaining wall) 돌을 쌓아 만든 간이옹벽. 돌과 틈을 콘크리트로 충전한 것을 찰쌓기, 충전하지 않은 것을 메쌓기라 함. 석축옹벽(石築擁壁)이라고도 함.
석괴포장(石塊鋪裝, Stone block pavement) 일정한 크기의 석괴를 노반상에 부설하여 시멘트 모르터나 모래로 채운 포장
석면 아스팔트 모르터(Asbestos asphalt mortar) 용융 아스팔트에 석면을 혼합한 모르터. 보통 아스팔트에 교착용으로 쓰이며 방수효과도 겸하게 됨.
석산골재(石山骨材) 천연산의 골재가 아니고 석산에서 모암(母岩)을 쇄석기 등으로 깨어 생산한 골재
석유 아스팔트 유제(Emulsified asphalt) 가열 용융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계면 활성제를 함유한 알카리성 또는 산성의 수용액을 유화기에 넣어 수용액 중에 아스팔트를 미립자로 분산시킨 유액. 주로 도로포장용 재료로 사용됨.
석유 아스팔트(Petroleum asphalt) 석유원유를 증류해서 비등점이 낮은 휘발유, 나프타(naphtha), 등유 등의 성분을 정제하고 남은 잔유를 처리해서 얻은 흑색 또는 흑갈색의 반고체나 고체의 탄화수소 화합물. Straight 아스팔트와 Blown 아스팔트로 나뉘어진다. 도로포장 재료나 방수 절연재로 사용된다.
석회안정처리(石灰安定處理, Lime stabilization) 지반의 안정처리 공법중에 일종을 지반의 흙에 생석회 또는 소석회를 혼합하여 처리하는 화학적 지반안정처리. 소석회는 포조란반응에 의하여 개량효과를 기하염, 생석회는 함수비가 높은 점토의 탈수, 팽창, 경화방응의 성질을 이용한다.
선단레진정착(先端-定着, Point anchoring with resin) 록볼트의 정착 방법중에 하나로써, 천공 구멍의 선단에 레진을 넣고 록볼트를 밀어 넣어 레진에 의해 록볼트 선단이 정착되도록 하는 방법임.
선단정착형록볼트(先端定着型-, Point-anchored rock bolt) 록볼트 선단에 정착장치와 너트를 채워서 인장력을 가하여 굴착면에 반경방향의 압축력을 전달하는 록볼트 정착방법임. 쐐기형과 익스팬션 쉘형이 있음.
선단지지말뚝(先端支持-, Point(end) bearing pile) 말뚝의 선단부에 있는 지지층에서 얻을 수 있는 지지력을 선단지지력이라 하고, 말뚝이 선단지지력에 의하여 지지되는 말뚝을 말함.
선단파괴(先端破壞, Toe failure) 경사사면의 파괴시에 임계원이 사면끝을 지나가며 파괴되는 것을 급경사와 점착성이 있는 지반의 경사면에서 발생.
선단폐색효과(先端閉塞效果, Pile tip plugging effect) H형강 말뚝이나 강관말뚝을 지중에 타입할 때 관내토의 무게 및 벽면마찰력이 선단폐쇄면적에 대한 지지력과 같은 경우 말뚝선단부가 막혀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말함.
선단폐쇄말뚝(先端閉鎖-, Closed end pile) 강관말뚝의 선단부를 철판으로 막거나 슈(shoe)를 갖는 콘크리트말뚝과 같이 중공부가 선단에서 막혀있는 말뚝.
선팽창계수(線膨脹係數,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물체의 길이가 온도 1℃ 변화하는데 따른 신축량과 초기길이와의 비
선행보링(先行-, Preboring) 정밀조사가 행해지는 본조사 이전에 지반의 개략적인 토츨성질을 파악하기 위하여 행하는 보링
선행압밀공법(先行壓密工法, Pre-loading method) 연약지반에 구조물을 설치할 경우 지반의 침하로 인하여 구조물 붕괴의 원인을 제공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물 하중 및 그 이상의 하중을 미리 재하하여 압밀촉진과 지반강도 증대의 효과를 얻은 후 하중을 제거한후 구조물을 설치하는 공법.
선행압밀응력(先行壓密, Preconsolidation pressure) 현재의 유효응력 이상의 어떤 압력으로 압밀되었던 응력이력이 있는 경우
선형(線形, Alignment) 평면적으로 본 도로 노선의 형태를 일반적으로 말함. 선형의 질적 양부(良否)는 교통물의 속도에 영향이 있고 물류비와 건설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
설계 CBR(設計-, Design) 포장설계시 포장두께를 결정할 때 쓰이는 노상토의 CBR임. 설계CBR은 노상토가 거의 같은 구간내에서 도로연장 방향과 노상의 깊이 방향에 대한 구한 몇 개의 CBR 측정치로부터 그것을 대표하도록 결정한 값임.
설계(기준)차량(設計(基準)車輛, Design) 어느 도로를 이용하는 대표적인 큰 차량으로써 그 중량, 크기 및 운행 특성에 따라 설계요소가 결정됨. 도로설계시 설계기준 차동차의 적용은 주로 평면곡선반경, 확폭, 횡단구성 등 기하구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시거, 오르막차선, 종단곡선, 포장설계 등에 있어서 별도로 설계기준 자동차를 규정하는 경우에는 그 기준 자동차를 적용한다
설계강도(設計强度, Design strength) 설계상 가정된 허용응력을 기본으로 하여 산정된 부재의 내하능력 단면의 이론적 극한강도 산정의 기초가 되는 콘크리트 강도와 강재의 항복응력 정치(定置)
설계강우량(設計降雨量, Design storm/rainfall) 배수구조물을 설계할 때 계획 기준이 되는 강우량.
설계곡선(設計曲線, Design curve) 도로의 포장두께는 노상공(路床工) 지지력과 차량의 바퀴하중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포장두께를 설계하기 위하여 노상의 지지력 계수인 CBR 치와 차량의 설계윤하중과 포장두께와의 관계를 하나의 곡선으로 표시한 것.
설계교통량(設計交通量, Design capacity) 도로를 설계할 때 기준이 되는 교통량으로 시간당의 양으로 나타냄. 설계시간 교통량을 처리할 수 있는 설계 교통용량이 확보되어야 한다.
설계구간(設計區間, Design section) 도로가 존재하는 지역 및 지형의 상황과 계획교통량에 한해 동일 설계기준을 ① 도로의 성격이나 중요성, 교통량, 지역 및 지형이 대체로 같은 구간은 동일한 설계구간으로 설정 ② 하나의 설계구간은 자동차가 안전하고 쾌적하게 주행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가져야 한다 ③ 설계속도 차이가 20km/hr를 초과하는 설계구간은 교차부 또는 접속부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상호 접속시켜서는 안된다 ④ 설계구간 변경점의 선정시에는 - 지형이나 교통량이 현저히 변화하는 지점 - 주요 교차점, 장대교, 터널 등 큰 구조물이 있는 곳 - 운전자가 무의식적으로 도로의 상황변화를 느낄 수 있는 지점 등을 신중하게 고려하고 지형이 유사한 구간이나 교통량이 동일한 구간은 하나의 설계구간으로 선정한다.
설계기준(設計基準, Standard design) 구조물 등의 설계를 할 때 기본이 되는 여러 가지 기준을 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설계시방서를 작성한다. 우리나라는 건설산업기본법, 건설기술관리법 등의 법령에 따라 건설교통부가 제정 또는 감수한 기준이 있음
설계기준차량(設計基準車輛, Design criteria vehicle) 도로구조설계의 기초가 되는 자동차로써 소형자동차, 중․대형 자동차 및 세미트레일러 연결차의 3종류로 구분되며, 고속도로, 도시고속도로 및 주간선도로에 대하여는 세미트레일러 연결차를 기준으로 하고 그 외 도로에 대하여는 중․대형 자동차를 설계기준 차량으로 한다. 설계기준차량의 제원 <표> 설계적용은 소형자동차는 폭원, 시거의 기준이 되며 승용차가 해당되고 중․대형 자동차는 확폭, 폭원, 종단구배, 교차로 설계의 기준이 되며 뒷부분이 그 축을 갖는 차량이 이에 해당되며, 세미트레일러 연결차는 중․대형 자동차와 설계기준이 동일하며 전체 4축을 갖는 차량이 이에 해당된다.
설계기준휨강도(設計基準-强度, Design bending strength) 콘크리트 슬래브의 두께 설계에 있어서 기준을 하는 콘크리트 휨강도
설계내용기간(設計耐用期間, Design life period) 도로포장에서 포장공용 개시 후 포장의 대대적인 보수시점까지의 기간을 의미하며 포장의 수명과는 다른 의미임.
설계모멘트(設計-, Design moment) 콘크리트 부재의 설계시 하중계수를 적용하여 얻은 외부 극한 휨모멘트
설계배합(設計配合, Design mixing proportion) 시방서나 설계도서에 나타낸 시방배합을 근거로 사용 예상 재료를 사용하여 실내시험 등을 실시하고 현장배합을 결정하기에 앞서 결정한 배합을 말함. 시방배합으로부터 직접 현장배합을 결정하는 경우에는 생략함.
설계서비스교통량(設計-交通量, Design service traffic capacity) 서비스 수준 A~F 중에서 어느 수준을 선택해서 해당 도로의 기준을 정할 것인가를 결정한 후 그 결정된 서비스 수준에서의 교통량을 말한다. 먼저 설계서비스 수준을 결정할 때 생각할 점은 도로 설계자는 가능한 한 가장 좋은 서비스 수준을 설계서비스 수준으로 해야 한다
설계속도(設計速度, Design speed) 도로설계의 기초가 되는 자동차의 속도로서 다음과 같이 구분 정의 1) 도로의 구조적인 측면 : 자동차 주행에 영향을 미치는 도로의 물리적 현상을 서로 관련시키기 위해서 정해진 속도. 2) 차량의 주행측면 : 도로설계요소가 충분히 발휘되는 조건하에서 (교통량이 적고, 기후양호) 보통의 운전기술을 가진 운전자가 도로의 어느 구간에서나 쾌적성을 잃지 않고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는 속도. 도로의 구분과 설계속도 적용 <표> (km/hr)
설계시간교통량(設計時間交通量, Design hourly volume) ① 도로설계의 기초로 쓰이는 시간 교통량으로 계획목표 연차에 있어서의 30번째 시간 교통량을 사용함. 약어 : DHV. ② 설계시간 교통량은 계획 목표 년도에 있어서의 시간 교통량을 의미하며 그 값은 시간 교통량 순위도에 의해 얻어지는데 종축을 연중시간 교통량의 크기 순위, 횡축을 AADT에 대한 백분율로 하는 Graph로 곡선 기울기가 가장 급격히 변하는 지점이 대개 30번째에 해당하므로 이를 K30이라 하여 구한다. 건설부의 '도로교통량 통계연보'를 토대로 한 설계시간계수(K)는 지역별, 구간별, 교통량 순위별로 다르나 일반적으로 다음의 값을 가진다. <표> 산 식 : 공식 (양방향, 대/시) ③ 설계시간계수 K30의 특성 - AADT 증가에 따른 대상 도로의 K30은 감소한다. - K30이 높을 수록 교통량 변화가 심하다. - 대상도로의 인접지역 개발이 많을 수록 K30은 감소한다. - K30은 관광도로에서 가장 높으며, 지방지역, 도시외곽 도시순으로 감소한다. - K30의 값은 지방지역도로 : 12~18%, 도시지역도로 : 5~12% - 설계시간계수(K30)는 관광도로의 경우 150~200번째 대도시주변 도로의 경우 30~50번째 지방지역 주요도로의 경우 100번째를 추천하고 있다.
설계아스팔트량(設計-量, Design asphalt content) 포장공사에서 아스팔트 혼합물의 배합설계에 의하여 결정되는 아스팔트량으로 보통 마샬시험(Marshall Test)에 의해 결정하며 대규모 포장공사인 경우는 설계아스팔트량의 혼합물을 실제 아스팔트 플랜트에서 제조하여 그 혼합물에 대하여 마샬시험을 한 후 최종 배합량을 결정함.
설계용량(設計容量, Design capacity) 도로설계시 설계수준으로 결정한 서비스 수준에서의 차선당 시간당 최대 통과차량대수. 그 서비스 수준에서의 서비스 교통량의 상한치와 같음.
설계전단강도(設計剪斷强度, Design shear strength) 콘크리트부재의 설계시 공칭전단강도에 강도감소계수를 곱하여 산정한 소요전단강도.
설하중(雪荷重, Snow load) 하중의 일종으로 구조물에 눈이 쌓여 있을 경우의 가하여 지는 하중을 말함.
섬유콘크리트(纖維-, Fiber concrete) 콘크리트의 인장저항 능력의 증대, 국부적인 균열의 생성 및 성장을 억제하는 등 역학적 성질을 개선 보완하기 위하여 불연속적이고 단상인 섬유재료를 콘크리트 속에 불규칙적으로 분산시켜 넣은 콘크리트.
성토(盛土, Banking, filling) ①토공사에서 흙을 쌓아올리는 것으로 부지조성, 제방쌓기 등을 위해 다른 지역의 흙을 운반하여 지반 위에 쌓는 것. ② 철도나 도로 또는 토공구조물 공사를 할 때 설계높이까지 흙을 쌓는 것을 말함 → 흙쌓기
성토부(盛土部, Banking section) 도로나 선로의 신설개수 등 토공작업에서 토사를 성토했거나 성토할 부분
성토재료(盛土材料, Fill material) 성토에 사용되는 재료로서, 절토구간에서 발생하는 재료를 유용하거나 선정된 토취장에서 반입하기도 함. 성토재료로는 토사, 사력토, 혹은 암버럭 등이 있으며, 소정의 품질기준은 통과한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세굴(洗掘, Erosion) 바다나 하천에서의 파랑이나 수류에 의하여 하상, 해안, 해저, 제방 또는 테라스나 전환수로의 바닥이 침식되어 씻겨 없어지는 현상으로 구조물의 기초가 세굴이 발생하는 지점에 계획될 경우 철저한 세굴방지 대책이 강구되어야 하며, 세굴발생의 구조물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수가 있다.
세그먼트(Segment) 전체의 길이를 여러개로 나누었을 경우 한 개 구간 또는 부위
세레이션(serration) 강판과 골조부를 필렛 용접으로 연결할 때 물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골조부를 톱니모양으로 잘라내는 것.
세로보(stringer) 교량의 바닥틀 중에서 다로보에 지지되는 교축방향의 보
세립도아스팔트콘크리트(細粒度-, Fine graded asphalt concrete) 표층용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 가운데 밀입도 아스팔트 콘크리트보다 잔골재분이 많은 것. #8번체 통과량은 일반지역에서 50~65%, 적설지역에서는 65~80%임, 아스팔트량은 6~8% 범위임. 이들 두 개의 입도범위의 것은 이전에는 각각 수정토페카(modified topeka), 내마모토페카라고 하였음.
세립토(細粒土, Fine sediment) 실트질 흙이나 점토질 흙과 같이 작은 입경을 가진 흙을 많이 가지고 있은 흙으로 #200번체 통과률이 50% 이상인 것을 가르킨다.
세사비율(細沙比率, Fine fraction) 모래중에 포함된 입경이 작은 모래의 비율
세장비(細長比, Slenderness ratio) 주로 기둥등이 압축부재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부재의 길이를 단면 회전반경으로 나눈 값을 말하며, 100보다 크면 장주, 이하이면 단주로 구분한다.
세퍼레이터(Separator) 거푸집사이의 간격이나 철근과 거푸집 사의의 간격확보를 위하여 설치하는 것
소단(小段, Beranquette) 절․성토부의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사면에 소단을 설치한다. 발파암, 리핑암, 토사 등의 사면의 암질에 따라 설치가 변화하며, 절․성토고가 높을 경우 다단식 소단이 필요하다.
소성(塑性, Plasticity) 재료가 탄성한도를 넘어서 변형시키면 마치 점성이 큰 유체와 같은 성질은 나타내며 또 재료에서 「훅(HOOK)의 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데, 이 같은 성질을 소성이라고 말하며 이 경우 힘을 제거해도 변형은 본래대로 회복되지 않고 영구변형으로 남는다. 반대되는 개념은 탄성
소거시간(消去時間, Clearance time) 현시간격(change interval)과 같은 의미로서 신호등이 바뀌기 직전 또는 바뀐 직후에 교차로에 진입한 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할 수 있도록 부여하는 시간.
소결공법(燒結工法, Heating method) 연약지반이나 점토지반의 개량공법의 일종으로 지반에 연직 또는 수평으로 구멍을 뚫은 뒤 지반을 고결시킬 수 있는 재료을 삽입하여 주변의 흙을 고결시키는 지반 개량공법.
소류력(掃流力, Tractive force) 수로 또는 하천에서 물의 흐름이 하천바닥에 있는 토사를 이동하게 하는 힘. 소류력에 의하여 하천의 바닥이 변형이 생기며, 세굴이나 퇴적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소성변위(塑性變位, Plastic displacement) 소성재료에 하중을 가하여 변위가 발생하였을 때 하중을 제거하여도 변위가 회복되지 않고 남아있을 때의 변위.
소성영역(塑性領域, Plastic region) 응력-변형도 곡선에서 소성현상이 발생하는 부분
소성좌굴(塑性挫屈, Plastic buckling) 응력-변형도 관계가 소성상태일 때 발생하는 좌굴
소성파괴(塑性破壞, Plastic failure) 구조 부재에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 응력에 대하여 휨응력이 크게 발생하여 파괴되는 상태로 소성설계의 대상임
소성힌지(塑性-, Plastic hinge) 소성모멘트가 작용하여 구조 부재에 형성되는 항복한 부분. 보통의 힌지와 같이 회전이 가능하며, 또한 그 힌지에서는 소성모멘트가 보지(保持)되어 있다. 보통의 소성이론에서는 소성모멘트의 값을 어느 일정치로 보는 이상적인 상태의 것을 말함.
소울플레이트(Sole plate) 교량의 들보등에서 받침부의 밑에 붙여지며, 슈(shoe) 또는 베드 플레이트(bed plate)에 접하는 강관. 고정단용과 가동단용이 있다.
소일 스태빌라이져(Soil stabilizer) 흙을 분쇄하여 적당한 첨가재(골재, 모래, 시멘트, 아스팔트, 수지, 화학 약품 등)가하고, 이것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다짐 공정 속에 집어 넣어 처리하는 기계. 성토시 함수비 조절시에 사용된다.
소일시멘트 안정처리(Soil cement stabilization) 흙속에 시멘트를 혼합하여 원지반을 안정처리를 하는 것으로, 노반공사에 사용되며 지반강도를 높일 수 있고 함수량 변화에 따른 강도저하를 막을 수 있음
소일시멘트(Soil cement) 흙에 포졸란 시멘트나 고로 시멘트를 첨가하여 흙입자를 서로 결합시키는 흙의 안정처리토. 안정처리토를 충분히 다져서 고결시키는 사용법 이외에, 소성이 높은 흙에 수분을 첨가하여 시멘트와 혼합된 반죽을 비탈면, 수로, 라이닝 등의 표면처리에 이용되는 경우도 있음.
소켓연결(-連結, Socket joint) 주로 관이음의 한 방식으로 주철관, 강관 등의 직선 관이음에 사용되고, 삽구를 소켓속에 끼워 넣고 그 간격에 납, 고무, 시멘트 모르터 등을 채워 관을 연결하는 이음.
소프트너(Softner) 강재 또는 강부재를 슬링로프로 달아올릴 때 로프에 상처가 나지 않게 접촉부에 끼워넣는 약한 재료.
소할발파(Boulder blasting, Secondary blasting) 발파작업시 소기의 목적보다 큰 규모의 암석이 발생되면 여러 문제가 발생(적재의 어려움, 운반의 문제, 크리싱의 효율저하 등등)한다. 따라서 큰 규격의 암석을 재차 발파하여 원하는 크기로 만드는 발파를 말함. 소할 발파법에는 천공법, 사혈법, 복토법이 있으며 천공법이 가장 양호. 소할 발파시에는 불의의 비석발생으로 인한 사고가 많이 발생하므로 신중히 한다.
속도(速度, Speed) ① 단위시간당 주행한 거리로 나타내어지는 차량의 이동률. ② 교통류의 속도를 나타내는데는 대표값이 사용되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교통류내에서 관찰되는 자동차들의 속도가 광범위하게 분류되어 있기 때문이다. 속도는 측정대상구간의 길이를 먼저 측정하고 자동차가 이 구간을 통과한 평균주행시간(Average running speed)을 관측한 후 구간의 길이를 주행시간으로 나누어서 구한다. 예를들어 n대의 자동차가 길이가 L인 구간을 t1, t2, ……, tn의 시간으로 통행하였다면, <공식> S : 평균주행속도(km/hr) L : 도로구간의 길이 n : 주행시간 관측 횟수 ti : i번째 자동차가 이 구간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주행시간(시간)
속도검층(速度檢層, Velocity logging) 지반조사시 사용하는 보링공을 이용하여 지반의 탄성파속도를 측정하는 검층법. 탄성파의 속도를 검층하여 지반의 성질을 판단하는 자료로 사용된다.
속도변동(速度變動, Velocity fluctuation) 유속이 난류에 있어서 시간에 따라 변할 경우 평균유속은 시간에 따른 평균치를 취한다. 평균유속과 순간유속과의 차이를 속도변동 이라고 함.
속도수두(速度水頭, Velocity head) 유체공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유체가 움직일 때 지니고 있는 운동에너지를 유체의 단위중량 에너지 크기로 나타낸 것이다.
속도제한(速度制限, Speed limit) 도로의 기하구조, 교통 및 환경조건 등을 고려하여 차량의 안전과 효율적인 주행을 위하여 주변 여건에 맞는 적정 속도로 규제를 가하는데 이를 속도제한이라 한다.
속도제한구역설정및통제(速度制限區域設定및統制, Speed zoning and control) 도로 조건 및 교통공학적인 조사를 기초로 하여 특정한 장소에서 속도규제를 실시하는 것을 속도제한구역 설정(Speed zoning)이라 하며, 속도통제(Speed control)의 두 가지 기본적 형태는 법적인 효력을 가지며 단속이 가능한 규제 통제와 안전속도를 권고하는 역할을 하는 권장통제가 있음.
속도충격률(速度衝擊率) 차량이 주행중에 도로노면의 불량(접속부의 단차, 요철, 파상마모)으로 인하여 윤하중이 동적으로 증가하는데, 이러한 경우 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며 속도에 따른 윤하중의 증가경향을 속도충격률이라 한다.
속도측정구간(速度測定區間, Speed trap) 도로상에 루프를 설치하거나 속도측정 카메라를 설치하여 차량의 속도(주로 시간평균속도)를 측정하는 구간.
속채움(Fill) 우물통 케이슨 기초 등에서 케이슨의 침하가 완료된 후 케이슨 저면에 도달할 때 내부를 모래, 잡석 등으로 채우는 것.
손다짐(Rodding) 거푸집에 콘크리트 타설시 견실한 시공을 위하여 다짐을 시행하는데 기계 바이브레팅이 아닌 막대를 가지고 인력으로 다지는 것을 말한다. 손비비기(Hand mixing) 인력으로 하는 콘크리트 비비기
손실시간(損失時間, Lost time) 교차로의 정지선에서 차량이 신호가 녹색으로 변하자마자 출발할 때 생기는 출발손실시간과 황색신호 시간동안 교차로내에 있는 차량들이 완전히 빠져나가는데 필요한 시간인 진행연장시간을 뺀 소거손실시간의 합.
쇼울더(Shoulder) ①포장 등의 어깨에 해당하는 부분 ②활주로, 유도로 및 에이프런 포장 표면의 청결유지에 도움이 되고 항공기의 엔진에 이물이 흡입되어 손상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며 항공기의 오버런(over run)으로 포장 밖으로 나가더라도 손상을 입지 않게 포장면을 처리한 부분
숏크리트(Shocrete) 시멘트, 세골재 물의 혼합물을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호스로 운반 뿜어붙이는 콘크리트, 모르터 또는 그 재료를 시공면에 뿜어서 만든 콘크리트나 모르터. 거나이트(gunite)라고도 한다. 미리 반죽한 콘크리트 또는 모르터를 뿜어 붙이는 습식법과 시멘트, 골재의 혼합물과 물을 각각 다른 노즐(nozzle)로 뿜어 붙이는 건식법이 있다. 뿜어붙이기 콘크리트라고도 한다. 주로 터널작업에 사용되며 터널굴착면의 1차 지보재 역할을 한다.
수동살포기(手動撒布機, Hand sprayer) 대규모의 아스팔트 살포시에는 주로 아스팔트 디스트리뷰터(asphalt distributer)를 사용하는데 반해 소규모의 공사에서 사용하며 동력이 없이 인력으로 조작하는 소규모 아스팔트 살포기
수동상태(受動狀態, Passive state) 토압을 지지하는 옹벽과 같은 구조물에서 흙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변위가 커짐에 따라 수평토압이 점차 커져서 최종적으로 더 이상 커지지 않는 어느 한계치에 도달한 상태
수동토압(受動土壓, Passive earth pressure) 수동상태에 있어서 옹벽과 같은 구조에 작용하는 토압. 주동토압과 상반되는 개념
수두(水頭, Head) 단위무게의 유체가 가지는 운동에너지의 길이을 나타낸다. 수두에는 압력수두, 위치수두, 속도수도가 있으며, 이를 모두 합쳐서 총수두 또는 전수두라고 칭한다
수락간격(受諾間隔, Acceptance gap) 주행중인 운전자가 합류, 분류하여 끼어들기, 횡단주행, 추월 및 비보호 좌회전을 하거나 보행자가 도로를 횡단할 경우의 이용 차간시간.
수밀성(水密性, Water tightness) 구조물이나 재료의 성질이 물의 침투, 흡수, 투수의 정도를 나타내는 성질. 투수계수로 나타낼수가 있다.
수밀콘크리트(水密-, Water tight concrete)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조밀하게 만든 콘크리트로 투수계수가 작아 수밀성이 큰 콘크리트. 주로 수중구조물에 사용되어진다
수신호(手信號, Flag hand signal) 사람이 신호기 혹은 신호 등을 이용하여 신호를 나타내는 것으로 대용 수신호기, 통과 수신호기, 임시 수신호기 등이 있다
수정CBR(修正-, Modified CBR) 기층, 보조기층 재료의 강도를 표시하는 것으로 KS F 2320(시험실에서의 노상토 지지력비 시험방법)에 표시된 방법에 준하여 3층으로 나누어 각 층을 93회 다졌을 때의 최대건조밀도에 대한 소요의 다짐률에 상당하는 수침(水浸) CBR
수정토페카(修正-, Modified topeka) 굵은 골재, 잔 골재, 충진재 및 아스팔트의 가열 혼합물로서 2.5mm 합성입도 통과율이 50~60%인 것으로 세립도아스팔트콘크리트에 사용된다.
수준망(水準網, Leveling network) 수준환이 두 개 이상으로 결합한 망형태로 수준노선의 전체를 말함. 즉 수준점을 연결한 수준노선이 원출발점으로 돌아가거나 다른 표고의 수준점에 연결하여 망을 이룸
수준면(水準面, Level surface) 개개의 위치들이 중력방향에 직각으로 이루어진 곡면.
수준원면(水準原點, Original vertical datum) 평균 해수면은 일종의 가상면으로써 수준측량에 직접 사용할 수는 없으므로 평균해수면과 관계된 높이의 기준점으로써 지상에 영구표석으로 설치한 점. 고저기준원점이라고도 함. 수준(고저)측량의 최초의 출발점임.
수준점(水準點, Bench mark) 기준 수준면에서의 고저를 정확히 구해 놓은 점으로 고저(수준)측량의 기본이 되는 점. 국가 수준점의 경우에는 수준원점을 기준으로 하여 관측된 높이로 각종 고저(수준)측량의 기준이 됨. 약어 : BM
수중단위중량(水中單位重量, Submerged unit weight) 흙의 단위중량의 한 종류로 포화단위중량에서 토립자 부피와 동일한 부피의 물의 무게(부력)을 제외한 중량. 지하수위 이하에서의 흙의 유효응력 계산에 사용된다.
수중발파(水中發破, Underwater blasting) 물속에서 암반을 발파하는 것으로 지상에서 발파하는 방식과 다른점이 없으나, 사용장약량이 4~5배 많으며 발파공의 직경이 크고 발파공 간격이 작음.
수중콘크리트(水中-, Underwater concrete) 하천수나 바닷물 아래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서 물속에서 치는 콘크리트.
수직갱도(垂直坑, Shaft) 터널공사 등에서 터널내의 환기를 위하여 설치한 시설물 굴착해 놓은 갱도로써 수평갱, 경사갱에 대응하는 용어. 터널 연장이 긴 경우 제트팬으로 환기가 불가능 할 경우에 일정거리별로 수직갱을 시공하여 양방향에서 굴착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
수직력(垂直力, Normal force) 임의의 단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
수직변형도(垂直變形度, Normal strain) 임의의 단면에 수직으로 작용한 하중에 의하여 발생한 변형
수직보강재(垂直補强材 Vertical stiffener) 주로 강교 박스의 수직보강재를 말하는 것이며, 복부판 좌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함. 또한 보의 지점 및 바닥보 , 종항, 수직브레싱을 연결하는 부분의 하중집중점에는 힘의 전달을 확실히 하기 위해 수직보강재를 반드시 설치한다.
수직응력(垂直應力, Normal stress) 임의의 단면에 작용하여 발생하는 응력중 수직방향 성분의 응력
수직이음(垂直-, Vertical joint)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시공상 또는 거푸집의 형편에 따라 두는 수직의 시공이음.
수직자세(垂直姿勢, Vertical position) 용접이 되는 부재의 위치에 따라 용접자가 용접하는 자세를 말한다. 용접축이 연직인 이음이나, 위 또는 아래에서 연직으로 비드를 만드는 용접자세이다.
수직재(垂直材, Vertical member) 트러스 구조형태의 부재 가운데 현재에 대하여 연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부재.
수축균열(收縮龜裂, Shrinkage crack, Constriction crack) ①재료에 생기는 수축이 구속되면 재료가 늘어나는 능력이 수축량에 따르지 못하여 발생하는 부재의 붕괴현상 ②아스팔트 포장의 표층이 건조에 의한 체적변화, 아스팔트 함량부족, 아스팔트 경화 등 포장용 혼합물의 결함으로 인하여 모서리같은 부분에 큰 다각형이 형성되어 있는 것. ③콘크리트의 수축에 의하여 생기는 균열. 지나친 다짐에 의해 시멘트 페이스트가 떠오르거나 공기가 건조하고 바람이 강한 경우 등은 시공 직후의 콘크리트 표면의 급격한 건조에 의해 균열이 생기기 쉬움.
수축응력(收縮應力, Cotriction stress) 재료의 수축에 의하여 발생하는 응력. 철근 콘크리트에서 콘크리트의 수축에 의하여 콘크리트에는 압축응력, 철근에는 인장응력이 발생한다.
수축이음(收縮-, Contriction joint) 수축으로 인한 균열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 또는 포장내의 예정된 위치에 두는 이음
수치도화(數値圖化, Digital mapping) 해석도화기 또는 좌표입력장치가 부착된 도화기에 의하여 측량용 사진 또는 위성영상의 지형, 지물을 수치자료로 관측하고 이를 전산기에 수록하고 자료를 이용하여 정위치편집, 구조화편집 또는 도면제작편집을 실시하는 것.
수치지형모형(數値地形模型, Digital terrain model) 적당한 밀도로 분포하는 지점들의 위치 및 표고의 값을 수치화한 후 그 수치값을 이용하여 지형을 수치적으로 표현하는 모형임. 약어 : DTM.
수치표고모형(數値標高模型, Digital elevation model) 수치지형모형 중에서 지반고만을 다루는 모형. 약어 : DEM.
순발뇌관(Instantaneous electric detonator) 각선에 전류를 통하는 순간에 폭발하는 전기뇌관. 실제로는 점화약이 연소하는 점화시간과 그로부터 폭발이 일어나 회로가 절단할 때까지의 점폭시간의 합계(1.5~2ms)만큼 통전후 폭발한다. 점화기구에는 전교의 주위에 점화약을 도포한 형식과 전교 주위에 분상 점화약을 그대로 장전한 것이 있다.
순행속도(巡行速度, Cruising speed) 대중교통수단의 운행거리를 정거장에서의 정차시간을 제외한 시간으로 나눈 값으로서, 정차시간을 제외한 대중교통수단의 속도. 주행속도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함.
순현재가치(順現在價値, Net Present Value : NPV) 사업에 수반된 모든 비용과 편익을 기준연도의 현재가치를 할인(割引)한 후 총 편익에서 총 비용을 뺀 값을 말하며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공식> 순 현재가치가 양(+)인 사업은 자본비용을 회수하고도 잉여가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투자의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지표는 상대값이 아니라 절대값이므로 둘 이상의 대안을 비교할 때 유용한 지표로 이용될 수 있다. 쉬스(Sheath) 덕트를 형성하기 위한 통. 즉 포스트 텐션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에 있어서 프리스트레스 도입시에 프리스트레싱 강재와 콘크리트를 분리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금속제의 통.
쉴드 공법(-工法, Shield tunneling method) 쉴드라고 부르는 강재로 된 통을 지중에 굴진시켜 토사의 붕괴나 유동을 방지하면서 터널 굴착작업을 진행하는 공법. 쉴드 후방에는 한 구간씩 복공을 설치하고 이 복공을 지점으로 하여 쉴드를 전진시킴. 연약지반에서 적용되는 대표적인 터널공법임.
슈(Shoe) ①교량의 지점에서 보에 연결되는 부분. 때에 따라서는 지점 전체를 지칭하는 수도 있음. 즉, 교량에서 지점의 일부로서 직접 상부구조에 설치한 부분으로 주로 가동지점으로서 평면의 지점보다 활절기능을 도모할 수 있어 지간 15m 이상의 긴 다리나 겔버의 활절과 같이 높이의 제한 있는 곳에 사용되고 있음. ②말뚝 끝의 장치되는 원추형 쇠붙이.
슈밋트 해머(shumit hammer) 경화한 콘크리트의 비파괴 시험용 기구. 콘크리트에 충돌시켰을 때 해머의 반발이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비례한다는 원리를 응용한 것이다
슈트(Shute) ①물체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미끄러져 내려 갈 수 있게 만든 홈통이나 관모양의 구조물 ②콘크리트 타설시 높은 곳에서 타설할 때 좁은 쪽에 타설하기 위한 관 또는 홈통과 같은 것.
스캘럽(Scallop) 강구조물에 있어서 필릿 용접(Fillet weld)이 서로 교차하는 경우 및 필릿 용접과 맞대기 용접이 교차하는 경우, 종(從)필릿 용접 부재에 노치(notch)를 만들어 주(主)필릿 용접 또는 맞대기 용접이 통과하도록 하는 데 이 노치를 스캘럽이라 한다. 이것은 용접의 교차에 의해 응력의 집중을 막거나 전주(全周) 용접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스키드넘버(Skid number) ASTM에서 규정하는 방법으로 측정한 노면의 종방향 미끄럼마찰계수. 진행방향에 평행하고, 노면에 직각인 실물크기의 자동차 바퀴에 어떤 하중을 가하고 어떤 속도로 젖어 있는 노면을 견인할 때 록크된 차륜에 걸리는 안정상태의 마찰력을 측정하여 구함.
스타터(Starter) 비전기뇌관의 발파기로 안전하게 폭약을 기폭시키기 위하여 50m 또는 100m이상 시그널 튜브를 길게 연결하여 1개의 뇌관이 달린 컨넥타를 Surefire 또는 피스톨을 이용하여 점화시키는 화공품이다. 슬롯(Slot) 부재를 통과시키기 위해 판 거더 등에 설치한 구멍
슬립바 어셈블리(Slip bar assembly) 홈줄눈의 경우 한 개의 슬립바와 체어를 조립함 것. 팽창줄눈의 경우는 슬립바, 체어 및 줄눈판을 조립한 것을 말한다 슬립바(Slip bar) 콘크리트 포장의 팽창줄눈에서 하중을 전달하고 포장판을 될 수 있는 대로 동일 평면에 두는 것을 목적으로 포장판 중심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한 강봉.
슬립폼(Slip form method) 콘크리트 치기 작업시 단계적으로 거푸집을 끌어올리면서 이음부분 없이 연속적으로 콘크리트 벽면을 완성시키는 거푸집으로 교량이 교각, 아파트의 외벽, 사일로 벽면, 댐 등에 많이 사용되며 슬라이딩폼(sliding form)이라고도 함.
슬립폼공법(Slip-form paving)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슬립폼을 사용하여 시행하는 공법
승용차환산계수(乘用車換算係數, Passenger car eq-uivalent factor) 실제 현장의 교통 및 도로조건하에서 한 대의 버스, 트럭등 중차량이 용량에 미치는 영향을 승용차대수로 환산하는데 사용하는 값. 약어 : PCE.
승용차환산대수(乘用車換算臺數, Passenger car unit) 승용차환산계수를 이용하여 혼합 차량대수를 승용차단위로만 계산한 대수. 약어 : PCU.
시거(視距, Sight distance) ①운전자가 도로상에서 전방의 위험한 물체 또는 충돌 가능성이 있는 차량을 볼 수 있는 거리를 진행방향으로 측정한 거리를 말하며 그 도로의 설계속도에 따라 필요한 길이를 전구간에 걸쳐서 확보하여야 하는 정지시거와 양방향 2차로 도로에서 그 도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그 도로의 설계속도에 따라 필요한 길이를 적정한 간격으로 확보하여야 하는 앞지르기 시거가 있다.
시간가치(時間價値, Value of time) 통행에 소요되는 시간을 다른 가치있는 활동에 투자했을 때 거둘 수 있는 기회가치를 화폐단위로 나타낸 것. 일반적으로 수단선택모형이나 임금율법에 따라 설정할 수 있음. 약어 : VOT.
시간비용(時間費用, Time cost) 통행시간을 비용으로 환산했을때의 비용을 시간비용이라 하고 통행시간의 단축을 위하여 지불할 의사가 있는 비용을 통행시간 비용이라고 하며, 수단선택모형이나 임금율법 등의 방법으로 추정할 수 있음.
시간적효용(時間的效用, Time utility) 교통의 중요한 역할로써 시간을 단축시켜서 각 이용자 및 상품의 효용을 증진시킨다는 개념. 교통의 다른 중요한 기능으로 공간적 효용과 형태적 효용을 있음.
시간편익(時間便益, Time benefits) 도로 개량이나 정비로 인하여 증감되는 시간비용
시간평균속도(時間平均速度, Time mean speed) 도로상의 일정지점을 통과하는 관측차량의 산술평균속도을 의미한다. 이것은 평균 통행의 어느 지점을 일정 시간 내에 통과하는 차량속도의 산술 평균치.
시거트기(확보)(視距-, Daylighting of cut) 도로의 평면선형중 곡선부에서 시거를 늘리기 위하여 곡선의 안쪽 비탈을 절개하는 것.
시공관리(施工管理, Construction management) 공사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조사, 계획, 설계를 하고 가능한한 좋은(品質), 빨리(施工), 값싸게(費用) 그리고 안전(安全)하게 공사를 추진해야 하는 바 이에 품질관리, 공정관리, 원가관리, 안전관리 등 4대 관리를 총칭하여 시공관리(CM)이라고 한다
시공관리시험(施工管理試驗, Control test) 공사현자에서 공사의 시공을 관리할 목적으로 실시하는 시험
시공기면(施工旗面, Formation level) 설계도서에서 표시한 시공의 기준이 되는 높이 도로공사의 경우는 도로 중심의 포장면의 높이
시공도(施工圖, Working diagram) 공사의 시공, 구조물의 제작 및 가설 등에 있어 그 방법, 순서 등 필요사항을 나타낸 도면
시공상세도(施工詳細圖) 현장에서 종사하는 기능공 및 기술직원들이 설계도면 및 시방서 등에 불명확한 부분을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시공시의 유의사항 등을 포함한 도면 및 자료를 말하며, 가시설 구조 계산서 및 설치도, 특수비계, 동바리, 가교 및 특수가도의 설치도, 기타규격, 치수, 연장 등이 불명확하여 시공상 어려움이 예상되는 부분의 상세도.
시공연도(施工軟度, Workability of concrete) 콘크리트 작업시 부어넣기 작업의 난이(難易)에 관계되는 콘크리트 묽기의 정도 시공이음(施工-, Construction joint) 콘크리트는 연속해서 타설하는 것이 좋지만 시공상이나 기상조건 또는 기타 이유로 콘크리트 치기를 중단해야 할 때가 있는데, 이때 이미 친 콘크리트와 새로 치는 콘크리트 사이에 생기는 이음을 말함. 시공줄눈 이라고도 한다.
시공줄눈(施工-, Construction joint) 콘크리트 포장 슬래브와 장대 콘크리트 옹벽 등의 시공중에 강우 등에 의해서 콘크리트 치기를 중단할 경우 줄눈을 만들 예정이 아닌 개소에 부득이 설치하는 줄눈 또는 보수공사로 슬래브를 시공할때 설치하는 줄눈 등을 말함. 줄눈구조는 맞댐줄눈 형식으로써 타이바를 사용함. 보통 콘크리트 슬래브의 1일 시공량은 설계에서 결정되어 있는 팽창줄눈 또는 수축줄눈의 개소에서 끝나도록 계획되어 있으므로 1일 작업이 끝날 때마다 반드시 시공줄눈을 두는 것은 아님.
시굴(試掘, Test pitting) 지질조사, 지하매설물 등의 조사를 목적으로 표토를 벗기거나 조사공을 파는 것. 표토제거, 수평보도 만들기, 트렌치 파기, 구덩이 파기, 횡갱굴착, 코어보링 등의 방법이 있다. 도로, 댐, 터널 등의 조사에 흔히 쓰인다. 도로에서는 노상의 지지력값을 구하기 위한 CBR치 산정의 근거가 된다.
시그널튜브(Signal tube) 비전기뇌관에 사용되는 화공품으로, 뇌관 또는 전기불꽃에 의해 점화되는 Tube. 도폭선처럼 긴 끈 모양으로 되어 있으나, 도폭선과는 달리 심약이 완전히 충전되어 있지 않고 튜브의 내면에 작은 량의 화약이 코팅되어 있다. 외경은 3.0~3.2m/m, 내경은 1.0~1.2mm이며 약량은 15~25mg/m, 폭속은 평균 2000m/sec이다
시멘트안정처리(Cement stabilization) 시멘트를 재료로하여 안정처리를 한 것을 말한다. 토질 안정처리공법 현지 재료또는 이에 보충재료를 가한 것에 몇 %의 시멘트를 첨가하여 최적 함수비 가까이에서 다져 노반을 만드는 공법
시선유도표지(視線誘導標識, Traffic delineator) 도로의 내외측에 설치하여 도로선형을 명확하게 하고 주간 및 특히 야간에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시설.
시설한계(施設限界, Clearance) 도로위에서 차량이나 보행자의 교통안전을 보호하기 위하여 어느 일정폭, 일정한 높이 범위내에서는 장애가 될만한 시설물을 설치하지 못하게 하는 공간확보의 한계를 말하는데 시설 한계 내에서는 교각이나 교대는 물론 조명시설, 방호울타리, 신호기, 도로표지, 가로수, 전주등의 제시설을 설치할 수 없다.
① 건축한계 높이 H는 설계기준차량의 높이 4.0m에 0.5m를 더한 4.5m로 한다. 그러나, 실제 시공을 할 때에는 장래 포장의 Overlay, 겨울철 절석 그리고 터널내에서의 추가공간 확보의 어려움등을 고려하여 건축한계높이에 0.3m를 여분으로 취하여 4.8m이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도로의 구조․시설기준 : 4.7m)
② 길어깨 등에 있어서는 구조물의 설계시공상의 필요에 따라 제일 낮은 높이를 3.8m로 하여 헌치(Hunch) 절취부를 두고 있다. (H = 3.8m이하인 경우 헌치를 두지 않음) 차도의 시설한계(도로의 구조․시설기준에 관한규칙해설 및 지침 참조)
③ 철도와의 교차시에는 철도의 복선화 계획을 고려한 폭원 결정 및 장래 전철화를 고려하여 한계높이 6.8m이상을 적용.
④ 길어깨, 중앙분리대 및 교통섬을 설치하는 도로의 시설한계 길어깨를 설치하는 도로(터널 및 교량 100m이상 도로 제외) - 길어깨에 노상시설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설치된 유효폭만큼 길어깨에 가산하여 시설한계 적용 설계. - 터널, 100m이상 장대교 및 고가도로에서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폭을 좁히는 경우에는 턱을 설치할 수 있도록 시설한계를 규정. 길어깨를 설치하지 않는 도로 길어깨를 설치하지 않는 도로에서는 외측에 턱을 형성하고 간격을 0.25m로 함.
⑤ 시설한계를 잡는 법 (도로의 구조․시설기준에 관한규칙해설 및 지침 참조)
시야협착(視野狹窄, Visual Field Restriction) 속도가 높아질 경우 운전자의 시야 범위가 좁아지는 것을 말한다.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 운전자는 가까운 거리에 있는 물체와 노면이 급속히 지나가서 확인하기 어려워지므로 운전자의 주시점은 전방의 먼 곳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운전자의 시야는 좁아지고 소위 터널시(Tunnel 視)의 상태로 된다.
시크리프트공법(Thick-lift 工法, Thick-lift method) 아스팔트 혼합물의 포설과 다짐에 있어서 1회의 포설과 마무리 두께를 통상적인 경우보다 두껍게 하여 완성두께를 4인치 이상으로 하는 시공법이며, 디프리프트공법이라고 함. 통상적인 경우 1층의 마무리 두께는 표층, 중간층에서 7cm이하, 역청안정처리기층에서는 10cm를 넘지 않는 것으로 하고 있음.
시험발파(Test blasting, Trial blasting) 폭약의 위력이나 암석의 발파에 대한 저항성을 알고 그 암석을 파괴하기 위하여 필요한 장약량을 산정하기 위한 기본 자료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행하는 발파를 시험발파라 하며, 누두공의 형상, 크기에 의한 폭약의 과소여부, 암석의 균열, 퐈쇄모양 등에 의하여 폭약의 맹도를 판정한다. 발파에 의한 파쇄도, 비석의 정도, 발파 진동치 측정, 소음측정, 비석방지망의 적합여부, 인근 주민의 반응등을 종합적으로 check 하는 사항등의 일부도 포함되며 종합적으로 각 사항을 포함시켜 검토하는 것은 발파환경영향평가라고 한다.
시험편(試驗片, Test piece) ①재료시험을 할 때 각종 재료의 일정치수의 공시체.
②표본으로부터 시험을 위하여 특정한 모양으로 마무리한 공시품.
식생공(植生工, Landing treatment, sodding) 주로 절토사면에 식물을 식재함으로써, 표층토를 식물의 뿌리로 고정시켜 우수에 의한 사면침식을 방지하고, 지표면의 온도변화를 완화시켜 동상붕괴를 억제하며, 녹화에 의한 미관효과를 도모하는 공법. 종자살포, 녹생토공, 떼붙임 등의 공법이 있음.
신도(伸度, Ductility) 아스팔트를 규정된 모양으로 다져 공시체를 만들고 이것을 규정온도의 물속에서 일정한 속도로 끌어당기면 실 모양으로 늘어난 시료가 절단될 때 길이를 측정하여 cm단위로 표시한 것. 시험온도는 일반적으로 25℃, 15℃, 10℃ 등으로 하고, 인장강도는 매분 5cm로 함. 공시체의 인장방향의 최소단면은 1변 10mm 인 정방향이며, 시험은 KS M 2254(역청재료의 신도시험방법) 규정에 의함. 신도는 아스팔트와 골재와의 접탁성이나 아스팔트 혼합물의 변형특성에 관계하는 등 많은 의견이 있으나 포장의 실용성과의 상관성에 대해서는 분명하지 않음. 그러나 아스팔트의 점성특성을 나타내는 하나의 지수로서 아스팔트의 품질규격으로 정하고 있음.
신축이음(伸縮-, Expansion joint) 콘크리트로 성형된 교량 등의 각종 구조물은 온도변화에 따라 신축을 하게 되며 하중이 재하됨에 따라 각 단면은 변형을 받게 됨. 이러한 온도변화에 의한 신축작용과 하중재하에 의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길이마다 이 힘들을 흡수할 수 있도록 단면을 횡단하여 설치하는 이음을 말함.
신호교차로(信號交叉路, Signalized intersection) 직진, 좌우회전등 차량의 출발과 멈춤이 교통신호에 의해 통제되는 교차로.
실용교통용량(實用交通容量, Practical capacity) 실제의 도로조건과 교통조건에서 부당한 지체, 위험, 운전장해가 있을 정도로 교통밀도가 크지 않을 때의 차도 또는 차선의 특정 지점을 한 시간에 통과할 수 있는 최대 차량수.
실코트(Seal coat) 아스팔트 포장에 있어서 보수공법의 일종으로 포장 위에 시공하는 얇은 표면처리의 일종임. 역청재료를 살포한 다음 골재를 살포하여 한 층으로 마무리하는 공법. 이것을 반복하여 2, 3층 시행하는 것은 2중역청표면처리 또는 아마코트라 하여 실코트와 구분하고 있음. 실코트는 표층의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노화방지와 내수성의 증진, 균열의 실, 미끄럼 방지, 또는 마킹을 지우기기 위해 시행함.
씨비알(CBR) California bearing ratio의 약어로 노상이나 노반토의 지지력 특성을 나타내는 지수로써, 직경 5cm의 관입봉을 흙에 일정한 속도로 관입시켜 관입량 2.5mm(또는 5mm)일 때의 하중강도와 표준하중강도와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값. 노상지지력비하고 한다.
아
A.S.T.M 규격(ASTM standards) 미국시험, 재료학회(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에서 정한 규격. 우리 나라의 재료와 시험법에 관한 기준은 이 규격에 많이 따르고 있음
AN-FO(Ammonum Nitrate Fuel Oil) 프릴상의 초안(Ammonium Nitrate)과 연료유를 각각 94~95%, 5~6%로 혼합 제조한 입자상의 폭약 비중 0.95, Gas 발생량 970ℓ/kg, 폭발온도 1,900℃, 폭발열 760㎉/kg, 비에너지 7,990kgf/㎠, 폭속 2,600~3,500m/sec이다
ATMS(Advance traffic management systems) 첨단교통관리시스템을 말하여, ATMS의 한가지는 Non-Stop으로 통행요금이나 피크시의 혼잡료 등을 징수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다른 예는, 감응형 신호에 의한 효율적인 교통제어나 교통상황에 대응시킨 교통유도 등 주로 도로측의 기반구조(Infrastructure)로 설치된다
EPS성토 공법 EPS 블록(Expanded Poly - Styrene)은 석유정제 과정에서 생기는 Styrene monomer의 중합체로 얻어지는 폴리스틸렌과 발포제를 주원료로 한 대형 발포 폴리스티렌이라고도 하며, 이를 성토 재료 및 구조물 뒤채움 재료로 토목공사에 적용하는 공법을 EPS 성토공법이라 한다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섬유강화 플라스틱, 합성수지 속에 섬유기재를 혼입시켜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킨 수지의 총칭. 수명이 길고 가볍고 강하며 부채하지 않는 등의 특징을 살려 욕조, 요트, 골프크럽, 공업용 절연자재 등 폭 넓게 사용된다. 화학적으로는 유리섬유를 혼입하는 G-FRP와 탄소섬유를 혼입하는 C-FRP로 구별되며 기초가 되는 수지에 따라 실리콘계, 페놀계 등으로 나뉜다
I.A.B.S.E(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Bridge and Structure Engineering) 국제교량구조공학협회의 약칭. 토목. 건축의 구조물 일반에 관한 기술의 진전과 정보 교환을 목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국제 협회 기구.
I.P(Intersection point, intermediate point) 두 개의 직선교점, 중간점
I.R.F(International Road Federation) 국제도로연맹이 약칭. 경제발전에 따른 도로교통의 중요성을 고려, 미국 실업계의 기부에 의해 1984년 Washington D.C에서 결성된 세계도로 및 도로교통의 발전에 기여할 것을 목적으로 하는 비영리 민간단체. 그 후 제네바에 본부가 설치되고 각국의 도로 관련단체가 가맹하여 세계적이 조직이 되었음. 4년마다 세계회의를 개최하여 도로에 관한 광범위한 문제를 토의하며, 도로정보 수집, 제공, 연수 등 폭 넓은 활동을 하고 있음.
I.S.O(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국제표준화기구의 약칭. 국제간의 무역, 기술, 정보 등의 교류를 하기 위하여 국제규격을 제정하는 등 국제협력증진을 위한 기구로 1946년에 창설됨. 스위스의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음.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지능형 교통시스템을 의미하며, 종래의 IVHS(Intelligent vehicle highway systems)는 첨단 도로교통체계보다 포괄적인 개념이다. ITS는 자동차 및 이용환경(도로, 주차장 등)을 인텔리전트화, 하이 테크화하여 안전하고 쾌적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사람과 자동차 도로를 일체화하는 시스템으로서, ITS는 도로건설,교통, 통신, 전기, 전자, 자동차 정보서비스, 소프트웨어, 운영 등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있으며, 종래의 육상, 수상 및 공중 교통체계에 전자, 전산, 통신, 제어 등 첨단기술을 접목하므로써 신속, 정확한 교통정보를 제공하고 효율적인 교통관리를 가능하게 하며, 안전한 자동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LCC(생애주기비용-生涯週期費用-Life cycle cost) 시설물을 건설하여 이용하기 위해서는 기획․설계․건설․운용관리 및 폐기에 이르는 각각의 단계에서 비용이 발생한다. 전과정비용(LCC : Life cycle cost 이하 LCC)이라는 것은 시설물의 기획 단계에서부터 폐기 처분시까지의 기획 단계에서부터 폐기 처분시까지의 모든 비용, 측 기획․설계비, 건설비, 운용관리비, 폐기물 처분비용을 합한 것으로써 시설물의 생애에 필요한 모든 비용을 의미한다. LCC를 구성하는 비용에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기획, 설계비용 : 기획단계에서 드는 비용, 부지매입비용, 설계비 등이 포함 - 건설비용 : 시공업자의 선정, 입찰도서 작성, 현장설명, 시공 등에 드는 비용 을 말한다. - 운용관리비 : 시설물을 운용하는 데 필요한 노임과 연료비 등의 운용 비용과 정기적인 점검․개조․유지관리에 필요한 보전비용, 공간의 기능을 변경할 때 소요되는 개조비용과 구조물의 기능을 초기 수준으로 복원하기 위한 개체비용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 폐기처분비용 : 해체 공사 비용과 해체공사를 수행하기 위한 가설 건축물 건설비 등이 포함된다. 폐기처분비용의 계산에 있어서는 잔존가치(Salvage value)를 고려해야 한다.
LCCA(Life cycle cost analysis) 건축물 혹은 시설구조물들의 건설에 있어서 하나의 설계 대안 또는 복수의 대안에 대해서 경제적 주기(economic life cycle)에 걸쳐서 발생하는 비용을 체계적으로 결정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경제수명 범위 내에서 각 설계 대안들의 경제성을 일정한 기준으로 정하여 등가 환산한 값으로 평가하는 수법이다
LMC(Latex Modified Concrete) 교면 포장공법의 일종으로 콘크리트에 라텍스 재질을 첨가하여 유동성(Fluidity) 및 접착력(Adhesion) 증가, 미세균열의 충진효과로 균열확산 억제, 침투성(Permeability)감소로 방수효과 우수, 바닥판 콘크리트에 비하여 압축강도 및 휨강도 증가로 내구성 증진, 유지관리비의 절감등의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LP(DS)뇌관 초시단차가 100~500ms로 제조된 뇌관을 말하여 전기뇌관, 비전기뇌관은 같다
MS뇌관(MSD) 초시단차가 20ms 또는 25mm로 제조된 뇌관을 말하며 전기뇌관, 비전기뇌관은 같다
MS컨넥타 도폭선 발파를 할 때, 각공과 공사이의 시간단차를 주어 지연발차를 할 때, 지상에서 트렁크라인(trunk line) 사이에 연결하여 시간 단차를 주는 화공품. 약 70cm의 시그널튜브 양쪽에 뇌관 및 컨넥타가 달려있다. 0ms, 17ms, 25ms, 42ms, 67ms, 109ms 등이 있다
N 치(N - VALUE) 표준관입시험에서 중량 64Kg의 해머를 75cm 높이에서 자유 낙하시켜 표준관입시험용 샘플러(외경 5.1cm, 내경 3.5cm, 길이 81cm의 스플릿 스푼형)를 30cm 박는데 필요한 타격 횟수. 이것으로 지반의 지지력, 구성토질, 모래지반의 상대밀도, 점토지반의 컨시스턴시(Consistency) 등을 추정함
NTL(New tunnel linning) 이 공법은 터널의 지보공법의 하나로써 일본에서 개발되었으며, 터널 굴착직후에 특수 형틀과 특수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굴착지반과 지반에 밀착된 형틀사이에 콘크리트를 주입시키는 방법으로 굴착지반을 보강하는 라이닝 공법이다. 즉, 이 공법은 특수하게 제작된 형틀을 사용함으로써 직접 지반을 보강하는 공법이라 할 수 있다. 이 공법 적용시 다음가 같은 장점이 있다. 1. 굴착후 조기에 지보할 수 있으므로 굴착면의 풍화, 붕락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콘크리트의 초기 강도발현이 우수하므로 지반의 이완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2. 지반에 밀착한 평활한 마무리면을 갖는 지보재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굴착벽면의 응력집중을 막을 수 있다. 3. 분진의 발생이 없기 때문에 양호한 작업환경에서 시공이 가능하다. 4. 특수형틀을 사용하므로 콘크리트의 리바운드 손실이 없다. 5. 작업의 자동화, 로봇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하거나 고된 작업을 해소할 수 있다.
O - D 조사(-調査, Origin and destination survey(OD survey)) 개인의 통행 기․종점, 사회경제적 특성, 목적, 수단 및 통행 기․종점의 토지이용 형태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기․종점 교통량 조사로써 장래 교통수요예측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또한, O-D 조사에는 그 지역내의 평균일에 일어나는 모든 이동의 표본적인 단면조사이며, 그 기간, 시간에 평균통행수요를 대표하는 것이어야 하며 교통연구에 가장 기초가 되는 자료이다. O-D 조사의 종류로는 외부경계선조사(Cordon line)와 내부-외부 경계선조사(Screen line - Cordon line 조사), 주차조사, 자동차 번호판 조사, 가구․면접조사, 대중교통조사, 승객 O - D 조사, 화물 O - D 조사등이 있다
O/W, W/O(Oil in water, water in oil) 함수폭약에는 두가지가 있다. water gel형 폭약과 에멀젼형 폭약이다. water gel형 폭약은 연소되는 물질을 물이 포함된 산화제층이 연속상으로 연결되어 있은 형태로 대기에 물층이 노출되므로 영하의 온도에서 동결되어 사용이 어렵다. 그러나 에멀젼형 폭약은 물이 포함된 산화제층을 연소제인 oil 감싸고 있어 마치 기름덩어리 모양의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영하의 온도에서도 동결되지 않으며 -25℃에서도 사영이 가능하다(기폭된다)
Y형 교차(-形交叉, Y-intersection) 3지(三支) 교차의 도로교차 중 전체의 형태가 Y자를 닮은 것으로 각도는 75°이하 또는 105°이상일 것
아마코트(Armor coat) 침투식 표면처리의 일종으로 역청재료 및 골재를 2회 이상 살포하여 마무리를 하는 공법. 1회만 살포하여 마무리하는 것은 실코트라 함.미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로, 미국 아스팔트협회 등에서 정식으로 채용하고 있음.
아쇼도로시험(AASHO 道路試驗, AASHO road test) 미국 각주 도로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Officials : AASHO)에 의해 1956~1960년에 걸쳐 미국 일리노이주의 오타와 근교에서 실시된 주로 포장구조에 관한 도로시험의 계획에서 보고까지 10년이 넘는 기간과 300억원 정도의 거액이 투입되었으며, 그 성과는 포장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 왔음.
아쉬토(AASHTO) 미국 각주 도로 및 도로교통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의 약자. AASHO가 1973년에 도로교통 전반을 취급하게 되면서 AASHTO로 개칭되었음.
아스팔트 중간층(-中間層, Asphalt binder course) 콘크리트 포장에서, 콘크리트 슬래브에 접하는 기층의 최상부에 기층의 일부로 놓여지는 비교적 얇은 아스팔트 혼합물의 층을 말함. 기층의 내구성, 내수성을 향상시킬 목적외에 슬래브 두께를 균등하게 할 수 있고 강우 후의 작업휴식 시간이 단축되는 등 시공상의 개선에도 좋음. 최대입경 20mm 이하의 주로 밀입도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4cm 두께에 부설함. 콘크리트의 치기에 앞서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표면에 석분을 바르거나 또는 종이 등을 깜.
아스팔트 콘크리트(Asphalt concrete) 좋은 입도의 조골재, 세골재 및 휠러에 아스팔트를 첨가한 가열 혼합물을 충분히 다진 것. 보통 2.5mm체 통과량이 50% 이하인 혼합물을 말 할 때가 많음. 여기에는 개입도, 조입도 및 밀입도 아스팔트가 있음. 경우에 따라서는 최대입경이 작은 것이나, 2.5mm 체 통과량이 많은 것을 세입도 아스팔트 콘크리트라 할 때도 있음
아스팔트 피니셔(Asphalt finisher) 아스팔트 혼합물의 포장용 기계를 말함. 일반적으로 주행용의 트랙터 부분과 부설을 위한 호퍼, 스크리드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음. 혼합물을 트럭에서 호퍼로 받아, 스크리드 부분에서 평탄하게 포설. 보통 가볍게 다짐하기 위하여 탬퍼 또는 진동식 스크리드를 장착함. 부설폭은 기계의 크기에 따라 1.8~4.8m이 보통이고 초대형의 것으로는 8.5m 또는 11m인 것이 있고, 부설능력은 20~200t/h임.
아스팔트기층(Black base) 역청재료를 사용하여 골재와 결합시킨 기층
아이스렌즈(ice lens) 동결선 상층부에 비교적 큰 간극에 물이 있다면 온도 하강에 따라 얼음결정을 형성함. 이 얼음결정은 인접한 간극의 물을 끌어들여 부피가 더욱 커지고 모관압력으로 지하수를 흡상하여 부피가 큰 얼음결정을 형성하는데, 이를 말하며 동상 및 연화작용의 원인이 됨
아치(Arch) 구조체의 기본적인 형식중에 하나. 하중이 작용하면 면내에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쪽으로 면내압축응력이 발생하여 볼록한 곡선 형상을 갖는 구조물. 외부응력을 주로 압축력에 의하여 지점으로 전달함.
아치교량(Arch bridge) 교량의 주구조가 아치구조로 이루어진 교량.
아치리브(Arch rib) 리브
아칭액션(Arching action) 구조물의 슬라브에 서서히 하중이 작용할 때 슬라브가 휨모멘트보다 면내압축력에 의해 저항할 때 이를 아칭액션 작용이라 하며, 경험적 교량바닥판 설계법의 이론적 배경이 된다.
안내표지(案內標識, Guide sign) 도로 이용자에 대하여 지명, 거리, 방향 또는 노선명 등을 알려주는 것과, 여행자의 편리를 위해 각종 도로에 관한 안내로 교통을 원활히 목적지가지 유도함을 목적으로 한다.
안식각(安息角, Angle of repose) 토사 등을 쌓거나 깍아냈을 때 자연 상태로 생기는 경사면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
안전가드레일(安全-, Safety guard rail) 탈선한 차량이 궤도 외로 벗어나 전도 혹은 탈선에 따른 큰 사고를 막기 위해 본선 레일을 따라 주행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부설한 레일임. 탈선방지 가드레일과는 다름. 위험이 큰 측의 반대측 레일 궤간 내방에 부설함.
안전율(安全率, Safety valve) 구조물이 가직 있는 극한 저항강도의 설계하중에 대한 비, 구조물의 붕괴하중을 설계하중으로 나눈값, 또는 구조물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한계치를 설계치로 나눈값. 지반 전단파괴를 일으키려는 힘, 응력 또는 모멘트에 대한 저항력, 전단강도 또는 저항모멘트의 비
안전정지시거(安全停止視距, Minimum nonpassing, sight distance) 차량의 주행도중 차로상의 장애물이 운전자의 전방에 보이기 시작한 순간부터 차량이 정지할 때 까지 주행한 거리
안전추월시거(安全追越視距, Minimum passing sight distance) 어느 차가 반대방향에서 오는 차와 만나기 전에 앞 차를 완전히 앞지르기 위하여, 앞지르는 차와 반대방향에서 오는 차의 운전자가 서로 볼 수 있는 최단거리
안정도(安定度, Stability) 역청혼합물(아스팔트콘크리트)의 유동에 대한 저항성 등을 일반적으로 나타내는 말로 다른 재료에서는 강도라는 표현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강도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 우리 나라에서는 안정도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마샬안정도시험에서 얻어지는 안정도를 말하는 경우가 많음
안정도시험(安定度試驗, Stability test) 역청혼합물의 안정도를 정하여 아스팔트 콘크리트 배합을 결정하기 위한 시험으로 하버드필드법, 비므법, 스미스삼축법, 일축압축법, 마샬법 등이 있음. 우리 나라에서는 마샬법을 사용하고 있음
안정성시험(安定性試驗, Soundness test) 동결융해 등의 외기 환경에 노출된 골재의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으로 KS F 2507골재의 안정성 시험방법에 의하여 시험함. 유산나트륨 또는 유산마그네슘의 포화용액 중 물에 씻어서 건조한 시료를 16~18시간 담궈둔 후 공기중에서 105~110℃로 건조시킴. 이 작업을 여러 번(보통5회) 되풀이한 후 물에 씻어서 건조시켜 체가름하여 손실중량 백분율을 구함. 이 시험에서는 골재의 공극 속에 성장한 유산염의 결정이 동결수와 흡사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 있음
안정처리(安定處理, Stabilization) 지반의 내구성, 지지력 등을 증가시키기 위해 흙에 시멘트와 아스팔트등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안정처리. 도로의 노상 또는 기층에서 내구성과 안정성 등을 개선하기 위해 재료의 토립자, 골재 크기, 배합을 조정하여 입자간의 마찰, 결합성을 증대시키며 또는 시멘트, 아스팔트, 석회 등을 가하여 결합을 증대시키는 공법
알아이(R. I) 포장시공시 노면의 평탄성을 나타내는 지표의 하나임. 측정륜의 상하의 어느 한쪽의 일 방향의 변동량을 계기로 기록한 총화를 측정거리로 나눈 것으로서 단위는 cm/km임. 원어 : roughness index
알칼리 골재반응(-骨材反應, Alkali aggregate reaction) 골재에 포함되어 있는 실리카질 물질이 포틀랜드 시멘트 중의 알칼리와 화학방응을 일으켜서 알칼리 실리케이트를 생성하는 작용. 알칼리 실리케니트가 물을 흡수하면 팽창하여 콘크리트에 균열을 생기게 하고 심할 때는 붕괴시킨다
알큐디(RQD) 시추작업(Boring)에서 회수한 암석의 길이를 근거로 암질을 평가하는 방법인데, 외경이 74.61mm인 코어바렐비트(NX구경)를 사용하여 암석을 채취했을 때 100mm(4in)와 같거나 이보다 큰 길이의 회수된 코어 길이의 합계를 코어바렐이 진행된 길이, 곧 굴착된 암석의 이론적 길이의 비로 나타냄. 암질은 RQD=0~0.25일 때 매우불량, 0.25~0.5이면 불량, 0.5~0.75이면 보통이고 0.75~0.9이면 매우 양호하다고 함. 원어 : rock quality designation
암반등급(岩盤等級, Rock mass rating) 터널 굴착을 위한 기준보다는 암반의 일반적인 공학적 분류 방법으로써 암반을 평가할 때 6가지 변수 즉, 신선한 암반으로서의 일축 압축강도, RQD, 불연속면의 상태, 불연속면의 방향 등의 변수에 점수를 주어 암반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약어 : RMR
암반분류법(岩盤分類法, Rock mass classification system) 암반을 공학적인 목적에 적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분류하는데 절리간격, 풍화도, RQD, NGI 및 RMR 에 의한 분류법 등이 있음
암반터널(岩盤-, Rock tunnel) 경암, 연암 등의 암반지역에 계획되어 천공 및 발파굴착을 필요로 하는 터널. 산악터널이나 대심도 지하 터널 등이 이에 해당됨
암반하중(岩盤荷重, Rock load) 터널 굴착시 지표로부터 굴착시까지의 암반이 상재하중이 형태로 터널에 작용하는 힘
액상화현상(液狀化現像, Liquefaction) 포화된 느슨한 모래가 진동이나 지진 등의 충격을 받으면 입자들이 재배열 되어 약간 수축하면 큰 과잉간극수압을 유발하게 되고 그 결과로 유효응력과 전단강도가 크게 감소되어 지반내에서 모래가 유체처럼 흐르는 현상
액성지수(液成指數, Liquid index) 세립토의 수분 포함상태를 소성한계 기준으로 나타낸 지수
액성한계(液成限界, Liquid limit) 세립토의 컨시느턴시 한계의 일종으로 흙이 소성상태와 액상의 경계에 있을 때의 함수비
앵커(Ancher) 지반이나 콘크리트에 인장을 받는 강재의 끝부분(단부)을 묻어 느슨함, 인발 등이 생기지 않도록 정착시키는 것 야장(野帳, Field note) 현장작업을 할때 측량결과를 기입하는 공책
약포(葯胞, Cartridge) 산업용폭약을 지통, 약포지, 폴리에틸렌 등에 포장한 것. 다음과 같이 나뉘어 진다. 지통에 포장한 것 : 분상폭약, 분상다이나마이트, Emulsion계 폭약 약포지에 포장한 것 : 교질다이나마이트, Emulsion계 폭약 플라스틱Tube에 포장한 것 : ANFO, 슬러리 폭약, Emulsion계 폭약
약액주입공법(藥液注入工法, Chemical grouting method) 지반을 불투수화(차수, 지수) 또는 강도를 증진시키는 공법의 일종으로 지반내에 삽입한 관을 통하여 화학약품을 지붕에 압입 또는 충진시켜 일정시간을 경과 시키면 지반이 고결시키는 공법.
양생(養生, Curing) 콘크리트 또는 모르터를 친 후 충분히 강도발현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또는 모르터를 보호하는 것. 즉 햇빛이나 비바람등에 대하여 콘크리트를 보호하고 충격이나 과대한 하중을 받지 않도록 하며, 충분한 습기와 적당한 온도를 유지시켜 주는 등의 일
양방좌회전차선(兩方左回傳車線, Tow-way left -turn lane) 좌회전 차량 처리를 위해 중앙차선을 좌회전 전용차선을 설치하는 경우로, 양방향 모두에 대해 좌회전이 가능함. 인접 교차점 사이의 거리가 짧고 좌회전을 통한 접근을 계속적으로 허용해야 하는 경우, 차선의 수가 홀수인 위치에 적용함
양보차선(讓步車線, Turnout) 2차선 도로의 한쪽 차선에 설치하여 저속 운행차량의 양보를 유도하기 위한 시설로 오르막 경사구간과 내리막 경사구간은 물론 평지구간에서도 서비스 수준을 높이기 위해 설치됨
양보통제(讓步統制, Yield control) 주운행 방향의 통행에 우선권을 주는 통제방식으로 주도로와 부도로가 만나는 교차로 또는 합류부에 설치되어 운영됨
양생기간(養生其間, Curing period) 콘크리트를 양생하는데 걸리는 시간
양생지연(養生遲延, curing delay) 콘크리트를 친 후 콘크리트 경화 때까지 콘크리트를 충격에서 보호하고 소요강도를 갖도록 충분한 습기를 가하는 양생시간을 인위적으로 강도와 품질조절 등을 목적으로 지연시키는 것
양생포(養生布, Curing blanket) 콘크리트 양생시 사용되는 재료로 수분을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임. 마포, 거적, 짚, 방수지 등이 사용된다
어프로치 슬래브(Approach slab) 교량과 토공부의 포장이 접속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접속슬래브. 교량의 교대나 박스컬버트 등 구조물과 접속되는 포장의 이음부가 침하되었을때 발생하는 단차로 인한 포장부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한쪽 끝은 구조물(교량, 박스)에 지지되게 하고 다른 한쪽 끝은 토공위에 지지되게 하는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언더실링(Under sealing) 콘크리트 포장의 보수에 이용하는 주입공법의 일종. 콘크리트 포장 아래 특히 줄눈 아래는 부분적으로 소규모 공동이 생기는 경우가 많음. 이 때문에 아스팔트 혼합물로 덧씌우기를 하여도 곧이어 줄눈 부위에 균열이 발생하는데, 이를 방지 할 수 있는 유효한 공법
언터컷(Undercut) 용접선을 따라서 모재가 파여져 용착금속이 채워지지 않고 홈이 남아 있는 부분
엇갈림(Weaving) 거의 같은 방향을 가진 두 개 이상의 교통흐름이 적은 각도로 교차하고 있을 때, 하나의 교통흐름이 다른 교통흐름을 서서히 가로지르는 동작
에이이콘크리트(AE concrete, air entrained concrete 콘크리트의 재료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혼화제이다. ①AE 공기를 함유하고 있는 콘크리트. 적당한 공기량을 갖고 있는 AE콘크리트는 AE제를 쓰지 않는 콘크리트에 비하여 워커빌리티 또는 기상작용에 대한 내구성이 매우 우수함. ②AE제를 사용해서 비빈 콘크리트. ③AE제, 감수제 등에 의해서 내부에 미세한 기포를 갖고 있는 콘크리트. 공기 연행에 의해 워커빌리티가 좋아지고, 재료분리나 블리딩 또는 레이턴스가 감소함과 동시에 경과 후 기상작용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됨.
에코브릿지(Eco-Bridge) Ecology와 Bridge의 합성어로 개념의 근원은 Ecop-Corride로서 도로개발 등으로 인하여 단절된 양쪽의 생태계를 다리로 연결하여 동물등의 이동을 위한 연결로를 말한다
에코코리더(Eco-Corridor) 울타리, 방풍림 등 자연 혹은 인공적으로 띠꼴을 갖춘 식생림을 주로 지칭하는데 서식공간을 연결하여 생물의 이동을 가능케 한다
여행시간(旅行時間, Journey time) 승객이 출발지에서 최종목적지까지 통행하는데 소요되는 총시간으로써 대기, 보행 및 환승시간도 포함됨
역기폭(Indirecting priming, inverse initiation, bottom firing) 발파에서 폭약을 천공경에 장전시 뇌관을 공밑에 장전하는 방법
역내교통(域內交通, Internal trip) 특정지역 내의 내부에 기종점(起終點)을 갖는 교통. 도시교통의 기본적 특색은 역내교통이 전체 교통에서 점하는 비율이 놓은 것임
역세권(驛勢圈, Station influential area) 여객과 화물의 이상상태를 알기 위하여 역을 중심으로 한 지리와 거리에 의하여 상정한 구역
역암(礫岩, Conglomerate) 기존 암석의 모서리가 없어진 자갈이 점토 또는 모래, 석회질, 규질의 교질물질로 고결된 퇴적암의 일종, 자갈의 대소, 종류, 교질물질의 종류와 양에 따라 여러 가지 성질을 갖는다. 단일 역(礫)으로 된 것도 있으나 대부분 2종 이상의 역으로 이루어짐
역청 머캐덤(瀝靑-, Bituminous macadam) 결합재로 아스팔트나 타르의 역청재료를 사용하는 머캐덤 공법
역청(瀝靑, Bitumen) 천연 탄화수소, 인조 탄화수소 또는 이들의 비금속 유도체 내지 이들의 혼합물로 가스상, 액상, 반고체 또는 고체의 형태로 이황화탄소에 용해하는 물질
역청시멘트(瀝靑-, Bituminous cement) 이황화탄소 또는 휘발성의 액상 탄화수소에 상온에서 녹는 흑색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물질이며, 석유 정류시의 잔유분 혹은 석탄, 목재 등의 건류 부산물임
역청안정처리(瀝靑安定處理, Bituminous stabilization) 역청 재료를 혼입한 안정처리공법 도는 이에 쇄석 등의 보충재료를 가한 것에 아스팔트 등을 혼합하여 포설하는 기층공법. 재래의 자갈 노면이나 노상 흙 등을 이용할 때는 노상 혼합방식으로 혼합하고 신규재료를 사용할 때는 아스팔트 플랜트로 혼합하여 반입 포설함
역청재료(瀝靑材料, Bituminous material) 비튜민(bitumen)을 주성분으로 하는 재료를 말한다. 비튜민이란 2유화탄소(二硫化炭素)에 용해되는 탄화수소의 혼합체로서 상온에서 고체 또는 반고체의 것이며, 도로용 역청재료로서는 아스팔트나 타르 등이 있다
연석(緣石, Curb, Curbstone, Kerb) 도로포장 또는 길어깨의 가장자리 혹은 보도나 분리대와 차도와의 경계에 접하여 설치하는 경계석으로 차도의 경계를 표시하고, 보행자나 자전거를 자동차로부터 보호하며 차도를 이탈한 차량의 진행방향을 변환시키고 복원시키는 등의 역할을 함
연암(軟岩, Soft rock) 풍화암과 경암 중간의 성질을 보이며, 특유의 열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정확한 물성 평가시에는 강도와 변형 특성 이외에도 함수상태나 불연속면의 조건들을 충분히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음
연간 교통량 순위도(年間交通量順位圖, Yearly traffic pattern) 1년간(8,760시간)의 모든 시간 교통량을 크기 순위로 표시한 도면. 교통량은 실체 교통량 또는 연평균 일교통량에 대한 비율로 표시함
연간 교통량의 변동(年間交通量-變動, Variation in yearly traffic) 특정 도로의 1년간에 있어서 교통량의 변동. 계절별 또는 월별의 평균 일교통량과 연평균 일교통량과의 비율 혹은 연간교통량 순위도 등으로 표시함,. 연간교통량 변동의 특성은 노선의 성격, 지역, 지형 및 기상 등에 의하여 변동하고 있음
연간비용법(年間費用法, Annual cost method) 비용, 편익, 분석에 있어 평가기준의 한 방법으로 도로 정비에 관한 비교안을 평가하는 경우 연간 도로비용과 연간 도로이용자 비용과의 합이 최소가 되는 사업을 선택하는 방법임
연결로(連結路, Ramp) 입체교차에 있어서 도로가 서로 입체적으로 교차할 때 2개의 도로를 진․출입시킬 목적으로 서로 연결하는 도로
연경도(軟硬度, Consistency of oil) 흙이 함수량에 의하여 나타나는 연하고 딱딱한 정도 또는 성질. 일반적으로 점성토는 함수량에 따라 그 성질이 달라진다. 즉, 물이 자나치게 많으면 흙 입자는 수중에 떠있는 상태로 되며, 함수량이 차차 감소하면 점착성이 있는 풀과 같은 상태(slurry)로 되고, 함수량이 감소함에 따라 소성을 나타내며 더욱 건조하면 반고체로부터 고체로 된다
연단거리(椽端距離, Edge distance) 볼트, 리벳 등의 이음재를 사용한 이음부에서 재편의 연단에 가장 가까이 설치된 이음재의 중심으로부터 재편의 연단까지의 거리
연성(延性, Ductility) 금속이 인장에 따라 파단될 때까지의 늘어나기 쉬운 정도. 인장시험에서의 늘음의 백분율로 나타낸다. 강재의 가공성은 어느 정도 그의 연성에 따라 좌우되므로 일반구조용 압연강재의 경우 그 늘음은 16~30% 이상으로 한정되어 있음
연성재료(延性材料, Ductile material) 연강과 같이 탄성한도를 넘으면 큰 소성변형을 일으키면서 파괴하는 성질의 재료
연성파괴(延性破壞, Ductile failure) 강재재료에 인장력을 주었을 때 큰 변형을 일으켜 파단면은 어떤 면에 따라서 큰 파괴가 일어나고 또 파단면은 큰 요철(凹凸)을 갖는 파괴
연속교통류(連續交通流, Uninterrupted flow) 차량의 흐름을 방해하는 신호등, 정지표지 또는 양보표지등의 고정된 교통시설이 없는 곳에서의 교통흐름으로 교통류 흐름의 단절 및 단속이 없이 연속적인 교통이 가능한 도로시설에서 통행하는 교통류임
연속보(連續-, Continuous beam) 두 스팬 이상에 걸쳐 연결된 보 또는 3개 이상의 단순 지점을 가진 한 개의 보
연속슬래브(連續-, Continuous slab) 2개 이상의 스팬에 걸친 슬래브 또는 연속된 슬래브를 나란한 3이상의 보로 지지된 슬래브
연속철근콘크리트포장(連續鐵筋 Con'c鋪裝,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콘크리트 포장슬래브에 시공줄눈 이외에 가로줄눈을 두지 않은 것으로써 이로 인하여 생기는 슬래브의 수축 균열을 종방향의 연속철근으로 분포시켜서 개개의 균열의 폭을 좁게 하여 하중응력에 견디게 하고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포장공법의 일종
연약점토(軟弱粘土, Soft clay) 파괴와 변형에 대한 저항력이 낮으며 일축 압축강도가 0.25~0.5kg/㎠정도로써 컨시스턴시(consistency)가 특히 낮은 점토
연약지반(軟弱地盤, Soft foundation, poor ground, poor subsoil) 구성 토층이 일반적으로 표준 관입시험의 N치가 0~4 정도이고 또한 압축성이 큰점토, 실트, 이탄토(泥炭土) 등으로 되어 있어 구조물의 기초지반으로서 충분한 지지력을 갖지 못하는 지반
연직 배수(鉛直排水, Vertical drain) 점토층의 압밀 시간을 단축할 목적으로 인공적으로 연직배수재를 필요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상재하중을 가함으로써 점토층내에 발생하는 간극수압을 소산시켜 압밀을 촉진시키는 배수방법
연평균일교통량(年平均日交通量, Annual average daily traffic) 어느 지점에 있어 연간의 전체 교통량을 1년간의 일수로 나누어 얻어지는 값. 약어 : AADT
연행공기(連行空氣, Enterained air) AE 제에 의하여 콘크리트 속에 생긴 기포로 치수가 극히 작고 직경 0.25~0.025mm 정도이다. →AE 공기
염해(鹽害, Salt damage) 구조물이 해안이나 바닷속에 설치될 때 염분으로 인해 철근 콘크리트 속에 들어 있는 철근(강재) 등이 부식되어 콘크리트가 균열되거나 박락(剝落) 등의 손상을 입는 것. 염해의 정도가 심하면 구조물이 붕괴될 수 가 있다
예고표지(豫告標識, Advanced sign, advanced direction sign) 도로의 분기점 전방에 입구, 출구, 목적지, 방향, 노선명 등을 사전에 알려주기 위한 안내표지. 도로의 분기점에서 안내표지를 보고 필요한 정보 습득을 하여 안전한 운전을 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거리를 운전자에게 주는 역할을 함
예비조사(豫備調査, Preliminary investigation) 기초의 형식을 결정하고 본조사의 계획을 세우기 위한 기초적인 지반조사로써 자료조사, 현지답사, 시추와 사운딩을 포함시킬 수 있다
오거보링(Auger boring) 인력으로 행하는 지반조사 방법으로 굴착심도는 보통 10m 까지 가능하지만 사질토의 경우 굴착공이 붕괴가 우려되므로 3~4m 정도가 한도임
오르막차선(登坂車線, Climbing lane) 도로의 오르막구간에서 속도 감소가 큰 대형차의 혼입율이 커 교통용량의 감소가 크게 예상되는 경우 부가차선으로써 주행방향 오른쪽편으로 주행차선에 붙여서 설치하는 차선으로서, - 대형차의 혼입율이 커 교통용량이 감소할 때 - 대형차의 최저속도 주행을 위하여 필요할 때 - 고속차량의 안전하고 원만한 주행을 확보하고자 할 때 등에 설치한다. 오르막차선 설치시에는 교통용량(고속차량과 저속차량의 구성비), 경제성(종단구배조정과 오르막차선 설치와의 비교), 교통안전(주행속도 차이에 의한 교통사고)등을 검토하며 설치제원으로는 폭은 3m로 하고, 본선차도에 붙여서 설치하며, 본선구배 5%이상(고속도로 3%이상) 구간중 속도 - 구배도에 의해 허용최저속도이하 구간에 설치한다.
형태:고속도로에서는 '97년 6월부터 225 Ib/hp의 중량대 마력비의 표준트럭을 적용하며 오르막차로의 최소연장을 500m로 하고 있다. 또한, 오르막차로의 횡단제원은 차로폭 3.6m, 길어깨 1.5m를 적용하고 있으며, 본선차도와 오르막차로간 구분선(B = 50cm)을 일반차선으로 설치.
오버 콤팩션(Over compaction) 과다한 다짐상태. 흙을 다질 때 흙의 함수비의 크기에 대응하여 최대강도가 얻어지는 최적 다짐에너지가 있는데, 그 이상 다짐에너지를 증가하면 강도저하를 일으키게 됨
오버레이(Overlay) 포장보수공법의 일종으로 공용중인 아스팔트 포장,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위에 3~5cm의 두께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포설하는 것.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을 할 경우도 있으며 오버레이를 함으로써 포장의 지지력 증가, 노면의 평탄성, 미끄럼 저항성 회복 등의 효력을 목적으로 함
오탁방지막(汚濁防止膜) 해역, 호소 등에 퇴적된 오니(슬러지)의 제거 또는 준설공사로 인하여 오니를 함유한 탁수가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 준설, 매립시의 여수처리를 위하여 여수 배출구 부근에 설치하여 깨끗한 부분의 오탁을 방지하는 막으로 오염을 차단시켜 환경보존에 기여함
오토크레이브양생(Autoclave curing) 고압증기양생을 말하며 콘크리트 제품의 증기양생
오프셋 교차(-交差, Offset intersection) 두 도로가 교차할 때 한쪽 도로를 어긋나게 한 교차점. 십자 교차에 비해 교통처리가 양호하지만, 교통량이 많아지게 되면 신호 표시가 복잡하게 되는 경우가 있어 현재는 많이 이용되지는 않는다
오프셋(Off set) 신호제어 요소의 하나로 기준시점에서 각 신호등의 녹색신호 개시시점의 시간 또는 인접 신호등간의 녹색신호 개시시점의 시간 차이를 의미하며 보통 시간(초) 또는 주기의 백분율(%)로 표시함
온도 철근 (溫度鐵筋, Temperature bar) 온도변화에 따른 콘크리트 수축에 의한 균열을 줄이기 위하여 배근하는 보강철근. 흔히 용접철망을 사용한다
온도균열(溫度龜裂, Temperature crack)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의 균열의 하나로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응력의 증대와 온도변화에 의한 신축의 반복으로 발생한 피로 때문에 도로의 횡방향, 종방향으로 규칙적으로 생기는 균열. 아스팔트가 단단하고 아스팔트량이 적은 곳에서 발생한다
온도균열지수(溫度龜裂指數, Temperature cracking ratio)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온도응력으로 나눈 값. 매스콘크리트의 균열발생 검토에 쓰임
온도제어양생(溫度制御養生) ①콘크리트를 친 후 일정기간 콘크리트 온도를 제어하는 양생 ②콘크리트가 정상적으로 경화하고, 경화후에 균열이나 큰 내부응력이 발생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각 부의 온도를 억제시킨다. 이 양생방법을 쓰는 경우에는 부재의 크기나 시공환경의 영향 등을 고려해야 한다
온도침투(溫度浸透, Thermal osmosis) 모관수의 장력에 의하지 않고 토층중의 높은 곳으로부터 얕은 곳으로 공극수가 옮겨하는 현상
완속차량(緩速車輛, Slow vehicle) ①속도가 느린 차량 교통물로 우마차, 손수레, 경운기 등 ②4차선 이상의 도로에서 내측의 추월차선을 주행하는 차량에 대응하여 외측차선을 주행하는 차량
완속차선(緩速車線, Slow lane) 1방향 2차선 이상의 도로에서 속도가 느린 차량을 속도가 빠른 차량과 분리하기 위하여 설치한 차선
완전입체교차(完全立體交叉, Highway grade separa-tion) 평면교차가 없고 교차하는 모든 방향의 도로에 접속램프를 갖는 교차방식
완전출입제한(完全出入制限, Full control of access) 본선 교통을 우선시키기 위해 특정 공공도로만 출입로를 설치하고 평면교차 또는 부체도로, 개인적인 목적의 도로는 직접 접속을 금지함
완충식재(緩衝殖栽, Cushion) 차도에서 이탈한 차량의 사고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도로변의 식재료(植材料). 보통 지엽(枝葉)이 밀행한 탄력성이 있는 키가 얕은 나무를 밀식함
완충종단곡선(緩衝縱斷曲線, Vertical curve for smoothing pavement edge) 노면에 횡단경사를 두는 경우 그 설치의 시종점에 있는 차도선에는 절곡점이 생기는데 이 절곡도(차도선에 연한 종단선의 구배 대수차)가 어느 한도 이상 경우 절곡을 없애기 위해 삽입하는 종단곡선
완충지대(緩衝地帶, Buffer zone) 차로에서 차량이 이탈했을 경우 차로측면에 차로의 level과 비슷한 지역을 설치하여 차량이 복원되어 다시 운행할 수 있도록 설치한 지역
완충층(緩衝層, Sand bedding course, Sand cushion) 콘크리트 포장에서 슬래브와 보조기층과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하여 보조기층면에 살포하는 얇은 모래층. 블록포장에서는 기층면에 깐 모래, 모르터등의 호칭이기도 함
완화곡선(緩和曲線, Transition curve, Easement curve, Spiral) 도로 및 철로의 평면선형에서 직선부와 곡선부 또는 큰 곡선과 작은 곡선 사이에 삽입하여 곡률이 점차로 변하게 만들어 갑작스런 변화없이 자동차가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한 곡선. 도로에서는 클로소이드, 렘니스케이트, 3차포물선등이 철로에서는 3차포물선, 사인 반파장 곡선등이 쓰임
완화곡선장(緩和 曲線長, Length of Transition curve) 완화곡선의 시점부터 종점까지의 거리
완화구간(緩和區間, Transition part) 도로의 굴곡부, 특히 도로가 직선으로부터 원곡선으로 또는 반지름이 큰 원으로부터 작은 원으로 이행하는 구간에서 자동차를 원활히 주행시키기 위하여 완화곡선으로 접속시키는 구간
완화절선(緩和切線, Transition tangent) 곡선부에 있어서 곡선의 안쪽으로 확폭하는 경우 곡선의 안쪽에 원곡선에 접하는 직선으로 접속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직선을 말함. 이 완화절선은 편의적인 것으로 일반적으로 완화곡선을 사용함
완화조명(緩和照明, Adaption lighting) ①운전자가 안전시거를 확보할 수 있도록 빛의 밝기(광도(光度))를 서서히 변화시키기 위해 배치한 조명. 터널입구와 출구 조명은 그 한가지 예 ②터널에서 주간의 자동차 운전에서 터널의 출입구(특히 입구)부에서 생기는 명암의 급격한 시간적 변화에 따라 과도적으로 일어나는 시각의 저하 및 불쾌감을 경감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조명.
왕복분리(往復分離, Directional separation) 도로의 양방향을 서로 분리하는 것. 정면충돌의 방지, 교통류의 원활화 등을 도모하기 위하여 대량교통을 분리한 것이며 4차로 이상의 간선도로는 보통 중앙분리대에 의해서 왕복분리됨
용량(容量, Capacity) 교통시설이 주어진 조건하에서 처리할 수 있는 최대 교통량
용적율(容積率, Floor area ratio) ①건축물의 연면적을 부지면적으로 나눈값. 건축물에 의한 토지의 이용도를 나타내는 척도 ②건축물 연면적의 대지면적에 대한 비율. 도시계획구역 내 지역지구제에 따라 확보하여야 할 최소한의 도시공간을 규정하는 것으로 일조, 채광, 통풍이나 방화상 유효한 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토지이용의 고도화를 기하는 데 목적이 있음
용지가격평가(用地價格評價, Right of way apparisal) 현지실태조사에 의하여 어느 특정한 지점의 손해배상을 포함한 소유지 등의 매매가격을 결정하는 것
용지경계표(用地境界標, Right of way boundary post) 도로의 용지경계를 나타내는 말뚝
용지보상(用地補償, Indemnity for area) 토지의 수용 또는 사용에 대하여 지불되는 보상.
우물통(井筒, Well) 보통 교량 구조물의 기초로 설치되는 철근 콘크리트제의 우물 모양의 구조물. 밑도 뚜껑도 없는 우물통을 지반 위에 만들고 그 내부의 사토를 파내면서 우물통 중력에 의해 소정의 지지층까지 도달 시킴. 우물통 내부는 보통 콘크리트나 모래로 채움
우물통기초(井筒基礎, Well foundation, open caisson) 우물통과 같이 뚜껑이나 바닥이 없는 통 모양으로 된 원형 구조물을 소정의 위치에서 어떤 높이까지 건조한 다음 통내의 흙을 크램쉘 등으로 수중굴착하여 침하시키고 차례로 이어서 소정의 지지 지층 깊이까지 도달시킨 기초임. 저부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그 속에 모래, 자갈, 빈배합 콘크리트 등을 채우고 상부에 슬래브를 설치함
우선 서비스(于先-, Priority service) 고객의 종류, 기다리는 시간, 서비스 시간 등에 관하여 특정 고객에게 서비스 순서를 우선적으로 하는 방식
우선도로(優先道路, Through highway) 본 도로와 교차하거나 접속되는 도로에 일시정지 표지나 기타 교통제어 시설을 설치함으로 횡단 또는 진입의 자유로운 교통을 제한하여 본선 교통을 우선하도록 한 도로
우수거(雨水渠, Storm sewer) 가정하수나 공장폐수를 제외한 우수, 지표수, 도로나 기타 세척수 등을 배수하도록 한든 하수관거. 분류식 하수관망에서는 우수거와 오수거가 따로 존재하나 합류식 하수관망에서는 하나의 하수관거만이 존재한다
우수받이(雨水-, Street inlet, storm water) 도로 측구, 공지, 가옥 기타로부터 유입하는 빗물을 모아서 하수관거에 유입시키기 위하여 설치하는 물받이통 - 빗물받이
우직결램프(Right-turn direct ramp) 인터체인지의 연결로의 기본형식으로 우회전을 위하여 본선차도의 우측에서 분류하여 그대로 우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한 연결로
우회로(迂廻路, Detour) 도로공사나 사고등 임시적으로 본선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우회하도록 만들어진 대체 도로
운행속도(運行速度, Operating speed) 실제 현장의 도로 및 교통조건에서 운전자가 구간별 설계속도에 따른 안전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주행할 수 있는 최대구간속도. 정지시간은 제외됨
워시보링(Wash boring) 토층에 대한 보링방법의 일종. 속이 빈 로드의 끝에 사수공이 있는 비트를 달아서 이 비트의 극히 작은 회전운동을 동반하는 상하운동과 로드내를 통하여 보내지는 압력수로 구멍 밑의 흙을 굴진하는 것. 파내는 흙은 로드와 케이싱 사이를 통하여 순환하는 물로 밖으로 씻겨져 나옴. 이것을 관찰하여 흙의 종류를 판단함
워커빌리티(Workability) 반죽질기의 여하에 따르는 작업의 난이도 및 재료의 분리에 저항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
원곡선 시점(圓曲線始點, Beginning of circular curve) 원곡선이 시작되는 점
원곡선 종점(圓曲線 終點, End of circular curve) 원곡선이 끝나는 점
원곡선(圓曲線, Circular curve) 도로 및 철로의 평면 선형 설계에서 긴 곡선부의 중간부분에 주로 사용되는 원형의 곡선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遠心力鐵筋-管, Centrifugal reinforced concrete pipe) 일반적으로 흄관이라고 한다. 철선을 종횡 그리고 사(斜)방향으로 감아서 바구니 처럼 만들어 틀 속에 넣고, 고속회전시키면서 비빈 콘크리트를 틀 속에 넣어, 소위 원심력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관. 주로 도수관으로 쓰인다. 내면이 평활하고 내구성은 있으나 고수압에 견디지 못하며, 특히 이음부에 누수가 많다
원심력(遠心力, Centrifugal force) 차량이 곡선을 통과할 때 곡선외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말함. 차량중량과 원심력의 합력이 차량중심에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 그 방향은 차량의 속도가 균형속도보다 높으면 차량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속도가 낮으면 차량의 내측으로 작용하게 됨
원심하중(遠心荷重, Centrifugal load) 곡선궤도를 갖는 철도교에서 주행하는 열차의 원심력에 의한 하중. 도로교에서는 특별한 경우 외에는 원심하중을 고려하지 않음
원위치 시험(原位置 試驗, In-situs test) 원위치인 자연상태의 흙 등을 시험하는 것으로 흙 중에서 채취한 표본시료를 가지고 실내시험하는 것에 대응하는 말. 표본시료를 사용한 토질실험에 비해 시료가 자연상태이므로 장점이 되나 시험중 응력 상태, 배수조건 등이 명확치 않은 단점도 있다. 시험방법에는 콘 관입시험, 베인시험, 스웨덴식 사운딩, 기타 사운딩 시험방법 등이 있다
원형터널(圓形-, Circular tunnel) 터널 단면의 모양이 원형으로 되어 있는 터널로서 TBM(tunnel boring machine) ,shield 등의 기계굴착에 의한 굴착방법에 의해 계획되는 터널. 연약지반상의 안정성 확보 목적에서 유리함
웨징(Wedging) 터널부의 아치 최상부의 복공을 시공하는 것. 터널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아치에서도 좌우 부분의 시공이 진행되고 아치의 축력(軸力)이 전체 아치에 전달되도록 아치 크라운부는 맨뒤에 압입 시공한다
위빙(Weaving) 거의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는 교통의 흐름이 적은 각도로 교차하고 있을 때 두줄의 교통류가 서로 교통선을 바꾸어 주행하는 현상
위빙 교차부(-交叉部, Weaving section) 교차부에서 교통정리를 안하고 위빙 구간장을 적절히 설정하여 위빙상태를 원활하게 한 교차 형식
위빙 인터체인지(Interchange with weaving section) 위빙구간이 발생하는 인터체인지로 로터리형 직결, Y형, 인터체인지의 변형 등이 있음
위빙구간(-區間, Weaving section) 적은 각도로 교차하는 위빙교차로에서 두줄의 교통류가 서로 교통선을 바꾸어 주행할 수 있도록 합류된 구간
유달시간(流達時間, Time of arrival/concentration) 강우로 인하여 발생한 빗물이 우수받이로 흘러들어가기까지의 유입시간과 가장 멀리 떨어진 우수받이에서 최하류 관거에 이르기까지의 유하시간의 합을 말함
유동성 파괴(流動破壞, Flow failure) 흙이 비교적 장거리를 액상으로 이동하는 형태의 파괴
유동성(流動性, Mobility) 아스팔트의 유동성을 말함. 고온이 됨에 따라 아스팔트는 부드러워지는데 그 유연성의 정도를 유동성이라고 부르며 침입도(針入度)로 표시한다
유로도로(有料道路, Toll road, toll way) 유로도로법에 의하여 수익자 부담원칙에 따라 통행료를 지불하는 도로. 통행 또는 이용자에 대하여 요금을 징수 하는 도로. 「도로법」에 의한 도로의 시설인 유료의 교량, 도선(渡船)시설, 지하도 또는 삭도와 유료 도로법에 의하여 설치된 유료도로가 있음
유발교통량(誘發交通量, Induced Traffic) 신설 또는 개량후 타 노선을 이용하거나 이용하게 되는 교통량(1~2년내에 주로 발생)과 세력권 자체가 개발되어 발생하는 교통량.(장기간에 걸쳐 증가)
유용 생애(有用生涯, Useful life) 시설물의 성능이 확립된 성능 기준을 만족시킬때까지를 생애로 보는 개념
유입교통(流入交通, Inbound traffic) 교외로부터 도시로 유입하여 오는 교통 유입램프(流入-, Entry ramp) 일반 도로에서 출입제한된 도로 등에 진입하는 자동차가 통과하는 램프
유지(維持, Maintenance) ①시설물과 부대시설의 기능을 보존하고 이용자의 편익과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반복해서 시행하는 일상적인 손질. ②도로 구조를 현재의 상황으로 유지하기 위한 행위. 구체적으로는 살수, 제초, 제설, 자갈보충 등 되풀이 작업으로 가벼운 도로 보존행위를 말함
유지빈도(維持頻度, Maintenance frequency) 도로 노면 등의 정상적인 유지를 위하여 보수공사를 시행하는 횟수
유출교통(流出交通, Outbound traffic) 도시로부터 교외로 유출하여 나가는 교통
유출램프(流出-, Exit ramp) 출입 제한된 도로에서 다른 도로로 유출되는 자동차가 통과하는 램프
유출입 제한(流出入 制限, Exit and entrance) 출입제한 도로에서 교통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그 통로로 들어오는 차량이나 밖으로 나가는 차량을 제한하는 것
유출입부(流出入部, Turning road terminal) 전향차도가 통과차도에 접합하는 지점
윤하중(輪荷重, Wheel road) 차륜의 타이어를 통해서 차도에 미치는 하중. 일반적으로 윤하중의 1/2의 크기를 말함
이정(移程, Shift) 완화곡선을 부설할 때 원곡선의 양 접선을 곡선의 양쪽으로 이설하는 것
이방성(異方性, Anisotropy) 물질 구성요소의 성질이 방향에 따라 다른 것. 그 성질이 방향성이 없으면 등방성(等方性)이라고 함
이상적인 도로조건 도로를 더욱 좋게 개선하여도 용량이 더 이상 증가되지 않는 상태를 말하며, 실제 적용시에는 이상적인 도로조건을 표준으로 하여 상이한 현장조건에 대해서는 보정해가는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다. ① 연속 교통류의 이상적인 조건 - 3.5m 이상의 차선폭 - 1.5m 이상의 측방여유폭 - 승용차로만 구성된 교통류 - 다차선 도로의 경우 100kph 이상의 설계속도 유지 - 2차선 도로의 경우 80kph 이상의 설계속도 유지 ② 단속 교통류의 이상적인 조건 - 3.5m이상의 차선폭 - 평지부 - 모든 차량의 진행은 직진방향 - 교차로 접근로에서의 도로변 주차금지(정지선내에서 75m이내) - 승용차로만 구성된 교통류 - 항상 녹색신호
이중분리고속도로(二重分離高速道路, Dual-divided freeway) 각 방향별로 두 개씩의 일방통행도로를 갖는 고속도로
이차변속차선(二次變速車線, Secondary speed change lane) 버스정차대 등에서 감속차선의 종점부터 정차선의 시점까지 또는 정차선의 종점부터 가속차선의 시점까지의 구간을 말한다
인성(靭性, Toughness) 재료가 파단되기 전까지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재료의 성질. 파괴에 이르기 까지 높은 응력에 견딜 수 있고 또 큰 변형을 나타내는 재료를 인성이 큰 재료하 하며 압연강이나 고무 등이 이러한 특성을 보임
인간공학(人間工學, Human Engineering) 인간의 행동 및 능력 한계를 파악하여 인간의 특성에 맞는 기계장치 또는 환경을 만들어 내기 위한 공학의 한 분야. 예를 들면 인간이 접하는 환경 또는 조작하는 기계․계기 등이 유효하게 그 목적을 달성하도록, 인간의 행동, 능력 한계를 파악하여 인간의 특성에 맞는 환경 및 기계장치를 만들어 내는 응용과학분야를 말한다. Ergonomics와 동의어이다
인버트 아치(Inverted arch) 터널에서 좌우 양측벽을 잇는 아래의 凹형(역아치형) 콘크리트 라이닝을 말함. 터널을 페단면(폐합)으로 하는 경우나 수로 터널의 통수(通水) 부분을 만들 때 쓰임
인버트(Invert) ①터널에서 좌우 양 측벽을 잇는 밑바닥이 요형(凹形) 또는 아치형의 라이닝. 토압이 크고 터널을 폐단면으로 하는 경우나 수로 터널의 통수 부분을 만들 때 쓴다. 인버트 아치의 약칭 ②하수의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맨홀 등의 저부에 설치한 도수로 및 직사각형거, 말굽형거의 저면을 요형으로 한 수로
인지통행비용(認知通行費用, Perceived travel cost) 특정 통행에 대한 금전적 통행비용, 시간적 통행비용, 쾌적성, 편리성, 정시성 등과 같은 정성적 통행비용 혹은 여러 비용을 함께 내포하는 일반화 통행비용 등 통행에 대한 저항정도를 나타내는 비용을 실제 측정치와 다르게 이용자가 감각적으로 인지하는 통행저항의 정도로 나타낸 비용
인터체인지(Interchange) 입체교차 구조와 교차도로 상호간의 연결로를 갖는 도로의 부분으로 주로 출입제한 도로와 타도로와의 연결 혹은 출입제한도로 상호의 연결을 위하여 설치되는 도로의 부분을 말한다. 지방지역 간선도로의 인터체인지의 배치는 다음 기준에 따라 계획되어야 한다. ①국도 등 주요 도로와의 교차 또는 접근 지점 ②항만, 비행장, 유통시설 중요 관광지 등으로 통하는 주요 도로와의 교차 또는 접근지점 ③인터체인지 간격이 최소 2km, 최대 30km 이하가 되도록 배치 ④인구 30,000명 이상의 도시 부근 또는 인터체인지 세력권인구가 50,000~100,000명 정도가 되도록 배치 ⑤인터체인지의 출입교통량이 30,000대/일 이하가 되도록 배치 ⑥ 본선과 인터체인지에 대한 총비용 편익비가 극대가 되도록 배치
일반국도(一般國道, National highway) 도로법에 의해서 대통령령으로 노선을 지정하고 건설교통부 장관이 관리하는 주요도시, 지정항만, 중요한 비행장 또는 관광지 등을 연결하며 고속국도와 함께 국가 기간도로망을 이루는 도로
일방우선도로(一方優先道路, One-way preference street) 양방통행도로에서 교통량이 많은 어느 한쪽 교통에만 항상 차선수를 많이 할당하는 도로운영방식으로 일방통행과 양방통행의 장점을 취함과 동시에 두 방식의 단점을 제거할 수 있는 방식
일방통행로(一方通行路, One-way street) 일반적인 양방통행로와는 달리 한쪽 방향으로만 도로를 통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 운영방식. 회전교통류에 의한 상충, 보행자와 차량의 상충등에 의한 교통류 장애를 해결하는 적극적인 통제기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차라이닝(一次-, Primary lining) 터널의 구조적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시공하는 콘크리트 구조체를 말하며, 터널의 내부기능을 위해 시공하는 2차 라이닝과 용도차이를 구분할 때 적용되는 라이닝을 의미함
일차원부재(一次元部材, One dimensional member) 부재 단면의 치수가 길이 방향의 치수에 비하여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아서 부재의 모든 역학적 성질이 단면의 도심에 집중되어 있다고 가정할 수 있는 부재. 들보, 트러스 부재, 라멘 부재 등이 해당됨
일축압축강도(一軸壓縮强度, Unconfined compression strength) 구속응력 σ=0 인 상태에서 일축 압축시험에 의해 얻어지는 공시체의 최대 압축응력도
일축압축시험(一軸壓縮試驗, Unconfined compression test) 원통상의 공시체에 구속압력을 가하지 않고 축방향으로 압축하여 최대 압축 응력을 구하는 시험
일축응력(一軸應力, Uniaxial stress) 일 방향으로만 응력이 작용하는 경우
임계 v/c비(臨界-比, Critical v/c ratio) 신호교차로에서 교차로 전체의 포화도를 나타내는 것
임계교통량(臨界交通量, Critical flow) 어떤 현시(신호)에서 동시에 진행하는 이동류들 중에서 차선당 교통량이 가장 큰 이동류의 교통량
임계밀도(臨界密度, Critical density) 도로구간에서 최대 교통량이 통과할 때의 밀도
임계속도(臨界速度, Critical velocity) ①정상적인 차량과 운전자가 교통환경이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는 최고속도 ②어느 도로에 대하여 최대 교통량(가능교통량)이 얻어질 때의 평균속도
임계이동류분석(臨界移動流分析, Critical movement analysis) 용량분석중 운영분석에서 어떤 현시내의 이동류들 중에서 차선당 평균교통량이 큰 이동류를 기준으로 교차로의 용량 및 서비스 수준을 분석하는 것
임계접근속도(臨界接近速度, Critical approach velocity) 교차점에서 이 속도 이상으로 교차도로의 차량과 충돌하지 않고 정지함에 충분한 거리를 확보할 수 없는 속도
임계차간시간(臨界車間時間, Critical gap) 상충교통류와 합류하거나 교차할 때 어떤 값보다도 작은 차간시간임에도 불구하고 그 차간시간을 수락할 확률과, 이 값보다 큰 차간시간임에도 불구하고 수락을 거부할 확률이 같게 되는 차간시간의 크기
임계차선분석(臨界車線分析, Critical lane analysis) 교통용량분석중 운영분석에서 어떤 현시내의 이동류들 중에서 차선당 교통량이 큰 차선을 기준으로 교차로의 용량 및 서비스수준을 분석하는 것
임의도착(任意到着, Random arrival) 교차로등에서 차량의 도착이 불규칙적으로 이루어지는 형태, 프와송 도착이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음
임의지체(任意遲滯, Random delay) 일반적으로 Webster의 독립교차로 지체모형의 두 번째 항을 지칭함. 입상재료(粒狀材料)
입체교차(立體交叉, Grade separated crossing) 도로와 도로, 철도와 철도가 입체적 분리․철도에 있어서 입체교차는 철도와 도로의 입체교차와 철도 상호간의 입체교차로 대별되며, 어느 경우에나 평면교차보다 바람직함
입체분리(立體分離, Grade separation) 교통류의 평면교차를 없애기 위해 입체적으로 분리한 교통시설물
입체횡단시설(立體橫斷施設, Grade separation facilities(for pedestrian)) 차도를 횡단하는 보행자를 차도로부터 입체적으로 분리하여 횡단 보행자의 교통사고를 방지하고 아울러 자동차의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을 확보하기 위한 도로 횡단 시설. 횡단보도교 및 지하 횡단보도 등이 있음. 또한 학생이나 일반 보행자의 횡단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도 포함됨
자
GIS(Geographic Intelligent system) 토지, 지리에 관련되는 모든 공간정보를 인간이 효율적으로 수집, 저장, 갱신, 처리분석 표시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 및 지형지리 정보자료의 일체를 의미함. GIS의 기본체계 이용분야 : 교통 및 도로, 토지계획, 환경, 군사정보, 지질, 인구조사 등.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미국 국방성에 의해 개발된 24개(3개 예비위성)의 인공위성에서 보내지는 신호는 지상의 특수한 수신기를 통해 정확한 위치(1m이내까지)의 결정에 사용된다. 수신기에는 크고 작은 여러종류의 것이 있으며, 사용목적에 따라 정확도의 차이가 있다. 데이터에는 위치뿐 아니라 수신점의 고도와 이동속도도 포함된다
자 중(自重, Self weight) 구조물 자체의 하중
자동차전용도로(自動車專用導路, Motorway) 도로법 제54조의 3 자동차 전용도로의 지정(관리청은 교통이 현저히 폭주하여 차량의 효율적인 운행에 지장이 있는 도로 또는 도로의 일정한 구간에 있어서 교통의 원활을 기하기 위하여 필요할 때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자동차 전용도로 또는 전용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에 근거하는 자동차전용의 도로를 말하며 도로교통법에 의한 교통규제로 자동차 이외의 차량의 통행을 금지시킨 도로와는 구별된다. 다만, 기능에 있어서 자동차 전용도로는 일반도로와 달리 출입이 완전 제한되거나 일부 제한됨으로서 제한된 유․출입구를 통해서만 자동차 전용도로와의 연계가 가능하다
자본회수기간(資本回收其間, Pay-Back Period : PBP) 총편익이 총비용을 상쇄시킬 수 있는 기간을 찾는 방법으로 <공식> 을 만족시키는 N이 바로 자본회수기간이 된다. 자본회수기간이 짧을수록 투자의 우선순위가 높다고 볼 수 있으나 대안에 따라 편익의 발생이 사업직후에 집중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고, 매년 평균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전 평가기간에 걸친 적절한 지표는 되지 못한다.
자연방식(自然方式, Natural system) 암거의 배치에서 토지의 자연적 지형과 똑같은 모양으로 배치하는 방식. 즉 배수 대상지역이 좁고 길거나 굴곡이 있어 중앙부가 저습지인 경우 지형에 따라서 얕은 부분은 집수거를 배치하는 방식
자연배수(自然排水, Natural drainage) 지반의 자연경사를 이용하여 행하는 배수. 펌프를 이용하는 기계력에 의하지 않는 배수방법
자연증가교통량(自然增加交通量, Normal growth traffic) 새로운 시설물 건설 또는 도로의 신설 등으로 급격히 유발 또는 전환되는 교통량이 아닌 소득의 증대, 그리고 자연 인구증가에 의하여 발생 증가하는 교통량
자연함수비(自然含水比, Natural moisture content) 흙이 자연상태에서 포함하고 있는 함수량. 자연함수비는 토질, 토성, 지하수위의 상대위치 등에 의해 건조상태로부터 포화상태까지 넓은 범위로 변화함
자유단(自由斷, Free end) 지점이 없는 부재의 끝. 자유단에서는 부재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함
자유면(自由面, Free surface) 암석이 외계(공기 또는 물)와 접하고 있는 면. 면의 수에 따라 1~6개의 자유면이 있다. 자유면의 수가 많을수록 동일한 장약량으로 발파할 경우 파쇄효과가 좋아진다. 자유면이 확보될수록 진동의 감쇄가 양호하다. 6자유면의 경우 1자유면의 25% 정도의 폭약으로 동일 발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자전거도(自轉車道, Bicycle path) 자전거의 통행에 사용하기 위하여 연석, 울타리, 노면표시 기타 이와 유사한 공작물로 구별하여 설치되는 도로의 부분
자정작용(自淨作用, Self-purification) 자연의 힘에 의한 수질의 회복작용. 하천. 호소, 해역 등의 자연수역에 인위적 또는 자연적 요인에 의해 가해진 오염뭉질이 그 수역 속에서 자연히 그 농도가 감소되는 작용. 유기물질에 의해 오염된 하텅수 등이 회기성 미생물들에 의하여 서서히 정화되거나 흙의 여과에 의한 지하수의 청정화 등이 그 예임. 자연정확작용(natural purification)
작용길이(Rivet length) 리벳이 저항할 수 있는 길이
잔류응력(殘溜應力, Residual stress) 외부에서 주어지 하중을 제거한 후?o 재료내에 남아 있는 응력
잔류침하(殘溜沈下, Residual settlement) 주로 연약지반 등에서 구조물이나 성토등으로 하중이 발생했을 때 일어나는 전침하량이 완료된 후에 일어나는 침하
잔존가치(殘存價値-Salvage value) 여러 가지 대안중 하나의 대안을 최종 결정을 할 때 경제성 분석시 사용되는 요소로 대안의 생애 주기가 다했을 때에 각 대안이 가지고 있는 경제적 가치
잔존율(殘存率, Survival rate) 보통 기계의 경제적 내용연수가 완료된 시점에서 기계의 취득가격에 잔존가치에 대한 비율. 그 값은 0.1이다
잔토(殘土, Spoil surplus earth) 지하구조물이나 관로 등의 매설을 위한 깎아내기, 파내기로 생긴 흙 중 흙쌓기 또는 되메우기 등에 사용하고 남은 흙
잠열(潛熱, Latent heat) 고체가 용해하거나 기체가 기화할 때 외부에서 흡수하는 열량으로 온도 상승의 효과를 나타내지 않고, 단지 물질의 상태 변화에만 쓰이는 열. 숨은 열 이라고도 함
잡석지정(雜石地定, Rough stone foundation) ①기초파기를 한 밑바닥에 크기 12~20cm. 정도의 잡석을 세워 평평하게 깔고 틈서리는 틈막이 자갈을 채워 넣고 가장자리부터 중앙부로 충분히 다져서 하는 지정법. ②비교적 경제적이고 시공하기 쉬우며 견실한 지정법이므로 간단한 기초밑 또는 콘크리트 바닥밑 지정에 많이 이용된다
장약(裝藥, Charge) 암을 발파굴착하기 위해 화약을 설치하는것
장기처짐(長期-, Long time deflection) 지속하중으로 인한 콘크리트의 크리프 및 건조수축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일어나는 처짐
장기하중(長期荷重, Longtime load) 구조물의 자중, 적재하중 또는 적설하중과 같이 오랜 기간 동안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
장래교통량(將來交通量, Future traffic volume) 장래의 어느 시점에서 있어 특정 도로를 이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추정교통량. 「현재교통량」,「전환교통량」,「전이교통량」으로 되는 기본교통량과 자연증가교통량, 유발 교통량, 개발교통량으로 되는 증가교통량으로 이루어짐
장애물제거구역(障碍物除去區域, Clear zone) 도로변에 운전자의 시거확보와 차량의 안전주행을 위해 확보해야 할 장애물 없는 구역으로써 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설정함
재령(材齡, Age) 주로 제조된 후부터의 시간에 따라 성질(강도 등)이 변화하는 재료(콘크리트, 모르터 등)의 만들어진 후부터의 기간을 일수 또는 주수(週數)로 나타낸 것.
재료분리(材料分離, Segregation) 비빈 콘크리트가 운반할 때 또는 타설할때 시멘트 모르터, 골재 등 각 재료가 분리하여 균일한 혼합상태가 무너지는 것
재시공(再施工, Reconstruction) 포장보수공법의 하나로써 파손된 포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고 다시 교통조건에 맞추어 포장을 새롭게 시공하는 공법
재하시험(載荷試驗, Long test, load test) ①구조물, 기초말뚝, 지반 등에 일시적으로 정적하중을 가해서 이것들에 미치는 영향, 즉 「응력」, 「변형」, 「파괴강도」 등을 조사하는 시험 ②실제의 지반에 직접하중을 가하여 지반의 지지력을 구하는 시험
재하판(載荷板, Loading plate) 「재하시험」에 사용되는 판으로 이 위에 재하된 하중을 일정한 면적으로 분포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함
재현기간(再現其間, Return/recurrence period) 구조물의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중의 하나로써, 강우, 홍수, 파랑, 풍속, 적설량, 지진도의 강도 등의 풍수해가 구조물에 미치는 환경조건의 가혹성과 그 발생의 변동을 통계적으로 표시하는 지표의 하나. 이미 관측한 값에 대해서는 각년의 최대치가 정상적으로 독립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어떤 크기의 이상 연(年) 최대치가 몇 년에 한 번 출현할 확률이 있는지를 정해서 그 연수를 재현기간이라 함. 설계에 있어서는 구조물의 중요도, 내용년수, 유지보수의 난이, 경제성 등을 판단해서 설계용의 재현기간(통상 50~120년)을 규정함 잭(Jack) ①공작물이나 구조물을 들어올리는데 사용하는 기구. 스크류잭, 너클구동잭, 수압 또는 유압잭 등이 있음. ②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서 PS 강재를 긴장하기 위한 장치
저부선진도갱(底部先進道坑, Bottom heading) 터널 굴착공법의 일종으로, 터널 단면의 중앙 하부에 소단면의 도갱을 먼저 굴착한 후, 남은 단면을 순차적으로 확장 굴착하여 터널을 완성하는 공법임. 용출수가 많은 터널에서는 지하수위 저하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저부파괴(底部破壞, Base failure) 토질사면 중에서 단순유한사면의 활동면은 일반적으로 원호에 가까운 곡면으로 가정하며 점성토 사면경사가 완만하고 암반 또는 견고한 지층이 비교적 깊은 곳에 있으면 원호활동 파괴면이 깊게 형성되는데, 이를 저부파괴라함. 보통 연약점토층 위에 성토할 경우에 발생함 전 노견(全 路肩, Full shoulder) 모든 차량이 일시 주차 가능한 폭을 가진 「길어깨」(갓길)
전폭(Propagation) 폭약이 기폭되었을 때 연결된 폭약이 계속적으로 연결되어 전파되는 것.
전감응 제어(全感應制御, Traffic signal of inductive control) 교통류의 교차점인 십자(+)로에서 전 유입부에 설치한 감응장치가 통과 교통량을 감지하여 차량 통행량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신호 제어장치. 반감응(半感應)제어장치는 교통량이 빈번하지 않은 T 자 교차로(점)에서 쓰임
전기뇌관(電氣雷管, Electronic detonator) 도화선 대신 전선에 저압전류를 흘려서 기폭시키는 뇌관
전기탐사(電氣探査, Electrical prospecting) 물리탐사의 일종으로 지반전류의 물리현상을 대상으로 하여 자연전위, 비저항을 측정하며 지반구조, 지하수 탐사 등에 이용됨
전단강도(剪斷强度, Shear strength) 흙의 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지반이 자중 또는 외력의 작용으로 인하여 그 내부에 전단응력이 발생하면 전단변형을 일으키고, 전단응력이 증가하면 변형도 증대하여 지반이 전단파괴에 도달하며 이때의 최대 전단저항을 전단강도라 한다
전단면 보수(全斷面補修, Full depth maintenance) 콘크리트 포장의 보수공법으로 줄눈부의 하중 전달 장치가 파손되거나 균열 부분의 심각한 경우에 사용하는 공법으로, 슬래브의 파손된 부분을 슬래브 깊이만큼 걷어내고 새로운 시멘트 콘크리트로 대체하는 공법을 말한다
전달길이(傳達-, Transfer length)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부재에 있어서 부재단으로부터 소정의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단면까지의 거리. 도입부착길이라고도 함
전용도로(全容道路, Single purpose road) 교통의 안전, 쾌적, 효율 등의 관점에서 보행자, 자전거, 자동차 등 각각 특정의 교통에만 전용되는 도로. 「보행자 전용도로」,「자동차 전용도로」,「자전거 전용도로」, 자전거․보행자 전용도로가 있음
전용로대중교통(수단) (專用路大衆交通(手段), Rapid transit) 전용 통행로상에서 다른 교통이나 보행자의 영향을 받지 않고 고속으로 운행되는 대중교통수단. 일반적으로 철도에 많이 적용되나 버스전용도로(Busway)를 이용하는 버스(Bus rapid transit)가 여기에 해당된다
전이교통(轉移交通, Converted traffic) 도로의 개수, 포장 등으로 철도나 항공 등 다른 교통기관으로부터 옮겨오는 교통
전축거(全軸距, Total wheel base) 차량의 전후 양단에 있은 차축의 수평중심거리
전폭약포(Priming explosive) 약포에서 사용한다. 이때 사용하는 약포는 뇌관기폭성폭약(cap-sensive)을 사용해야 한다. 기폭약포라고도 한다
전환교통량(轉換交通量, Shifted/Diverted traffic) ① 기존 도로가 개량되었을 때 다른 도로나 철도와 같은 다른 교통수단으로부터 전환해 오는 교통량. ② 전환교통량 추정을 위해서는 대상도로와 타교통수단의 여행시간 및 실거리를 비교하여야 하며, 전환율 곡선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 1개를 예로 들면 대상도로와 타교통수단(또는 경쟁도로)와의 주행 시간차를 비교하여 전환율 결정. - 주행거리, 주행시간이 길어지면 통행자가 그 노선을 택할 확률은 그만큼 적어짐
절․성경계 슬래브(切盛境界슬래브) 도로의 콘크리트 포장에 있어 절․성경계 지점의 단차 발생으로 포장침하가 발생하여 포장파손으로 발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슬래브로써, 설치위치는 기존의 콘크리트 슬래브나 린콘크리트층에 설치하던 것을 동상방지층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동상방지층의 두께가 적어 설치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린콘크리트 보조기층에 설치토록 규정하고 있다
절리(節理, Joint) 암반중에 발달되어 있는 비교적 일정한 방향을 가지는 갈라진 틈이며, 그 양측 암석의 상대 이동량이 없는 것. 절리면의 상태에 따라 암반전체의 활동, 낙반, 붕락원인이 되기 쉬우므로 방향성, 면의 조도가 함께 파악되어야 한다
점검구(點檢口, Access hole) 공사, 유지관리를 위한 점검등에 사용될 수 있도록 사람이 통행할 수 있도록 구조 부재에 설치하는 구멍
점화장치(點火裝置) 전기뇌관의 점화제로써 두 개의 동선에 전교(백금선)을 붙이고 여기에 점화약을 붙인 것. 점화옥식과 컵식점화장치가 있는데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컵식을 주로 사용하고 외국에서는 점화옥식을 주로 사용한다
접근성(接近性, Accessibility) 한 도로와 도시의 교통유발시설간의 연결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써 이동성과 함께 도로의 기능을 나타냄
접도구역(接道區域, Adjacent area) 도로의 손괴 방지, 미관 보존 또는 교통에 대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 경계선으로부터 일정폭의 구역(일반도로 20m, 고속도로30m)을 정하여 도로법 및 고속도로법에 의하여 도로관리청이 지정 토지의 형질을 변경하는 행위, 건축물, 기타 공작물의 신개축 및 증축과 죽목(竹木)의 식재나 벌채 행위를 제한하는 구역. 도시계획구역 및 공원구역 등에서는 접도구역의 적용이 배제됨
정착(碇着, Anchorage, anchoring) ①앵커볼트, 케이블의 단부, 철근의 끝 등을 콘크리트 등의 속에 고정하는 것 ②프리스트레스 강재에 도입된 프리스트레스 힘이 늦춰지도록 부재 또는 규조체의 단부에 정착기구를 고정시키는 것
정거대(停車帶, Stopping lane, parking lane) 주로 차량의 정차를 위하여 설치되는 대상(帶狀)의 도로 부분. 도시 내의 도로에서 주정차가 많은 구간에 1.5~2.5m의 폭으로 설치됨
정거장(停車場, Station, railway station) 여객의 승강, 화물의 적사(積 ), 차량의 입환, 열차의 조정, 대피, 행선 분별에 사용하는 장소 및 정치(定置) 신호기를 취급하는 장소, 각종 선로, 여객 설비, 화물 취급설비, 차량설비, 수륙연결설비 등이 설비된다
정기폭(Direct priming, Collar firing) 폭약을 천공에 장전할 때 뇌관을 최대로 공구에 가까운 위치에 장전하는 방법.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고 탄광에서 검정폭약을 사용할 때에는 안전성의 견지에서 정기폭약을 의무시하고 있다
정상교통량(正像交通量, Normal traffic) 현재 교통량과 자연증가 교통량을 합한 량
정전기(靜電氣) 전하의 분포가 시간적으로 변하지 않을 때의 전기현상을 말한다. 이때 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쿨롱의 힘이다. 전하가 완전히 정지하는 것이 아니고 공간 각 점의 전하밀도 평균치가 각각 시간적으로 일정하며 전류밀도의 평균치가 0인 경우에도 정전기 현상으로 취급된다. 도체의 내부전기장이 0이라 말할때는 이상의 평균전하분포에서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결정되는 전기장이 0인 것을 뜻한다. 실제로는 이 외에 극히 불규칙하고 심하게 변화하는 전기장이 가해진다
정전기측정장치(靜電氣測定裝置) 화약류의 제조 소비에서 정전기 사고 방지를 위해 대전 상태를 점검하는 기기. 누름 버튼을 눌러 지침을 0으로 조정후 집진부를 피폭정물에 접근시키면 대전위를 지침이 나타낸다
정전용량(Static electricity capacity) 절연된 도체에 전하(e)를 주었을 때 그 전위가 φ가 되는 경우의 e/φ, 또는 콘덴서의 양극판에 전하 +e와 -e를 주었을 때 그 전위차가 φ1-φ2가 되는 경우의 e/(φ1-φ2)를 말한다. 도체의 모양이나, 주위의 유전체에 따라 결정되는 상수이며, 도체계에서는 용량계수가 사용된다. MKSA단위는 패러드(F)이다
정지시거(停止視距, Stopping sight distance) 운전자가 같은 차로상에 있는 고장 차 등의 장애물 또는 위험요소를 알아차리고 제동을 걸어서 안전하게 정지하거나, 혹은 장애물을 피해서 주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길이를 설계속도에 따라 산정한 것이다. 실제로 그 도로의 확보된 정지시거를 측정하는 방법은 운전자의 위치를 진행하는 차로의 중심선상으로 하고, 운전자의 눈 높이를 도로 표면으로부터 100cm로 하여, 장애물 또는 물체의 높이 15cm를 볼 수 있는 거리를 같은 차로 중심선으로 측정하여야 한다. AASHTO에서는 정지서거 계산시 눈의 높이를 107cm, 물체의 높이를 15cm 로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정지시거는 다음의 두 가지 거리를 산정하여 각각의 거리를 합함 값이다. ①운전자가 앞쪽의 장애물을 인지하고 위험하다고 판단하여 제동장치를 작동시키기까지의 주행거리(반응기간 동안의 주행거리) ②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기 시작하여 자동차가 정지할 때까지의 거리(제동정지거리) 이때 정지시거를 산정하기 위하여 적용하는 속도는 우리나라 운전자의 주행특성을 고려하고 주행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주행속도와 설계속도가 동일한 것으로 보고 계산한다
정지지체(停止遲滯, Stopped delay, Stopped time delay) 차량이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의 지체
정차대(停車帶, Stopping lane) 차량의 정차에 상용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띠 모양의 차도의 부분
정착길이(碇着-, Anchorage length) ①설계단면에서 철근의 설계강도를 전달하기 위하여 필요한 철근을 묻어 넣은 길이 ②철근 콘크리트 구조에서 철근을 정착하는데 필요로 하는 길이. 콘크리트의 허용부착응력에 의해 정해지며, 부착길이라고도 함
제발(諸發, Simultaneous blasting, instantaneous shot) 다수의 발파공을 동시에 기폭하는 것. 각 폭파공에서 폭발의 위력이 서로 중첩해 효과를 높이거나, 큰 지반 진동이나 폭발음을 발생시켜 과도의 파괴에 의한 백 브레이크나 비석 등이 발생하기 쉽다
제동거리(制動距離, Braking distance) 운전자가 전방의 장애물을 발견하고 제동을 걸었을 때부터 차량이 정지할 때까지 주행거리 조닝(Zoning) 교통조사의 기본되는 교통량 예측, 교통계획의 입안을 함에 있어 대상이 되는 지역의 내외를 몇 개의 지구로 분할하는 작업. 그 지구에 발생, 집중하는 교통은 모두 그 지구를 대표하는 한점으로부터 발생, 집중하는 것으로 취급하는데 이 분할된 지구를 존(zone)이라고 함
조합응력(組合應力, Combine stress) 두 가지 이상의 부재력에 의하여 발생한 각각의 응력을 합산한 응력
종거(從距, Parallel distance) 「측선」의 중점에서 횡좌표 동선에 내린 수직선의 길이
종단곡선(縱斷曲線, Vertical curve) 경사의 변화가 발생하는 곳에 설치하는 수직면내의 곡선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종곡선(縱曲線)이라 함
종단측량(縱斷測量, Logitudinal leveling) 도로 등의 노선측량에서 설치한 중심 말뚝의 지반고, 주요 구조물의 표고 등을 관측하는 측량법
종보강재(縱補强材, Longitudinal stiffener) 부재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하는 수평보강재
좌굴(挫屈, Buckling) 기둥과 같은 압축부재에서 압축력의 크기가 증가되면서 평형상태가 파괴되어 부재의 수직방향으로 변위가 크게 일어나는 현상
주동토압(主動土壓, Active earth pressure) 토류벽이 횡방향의 압력으로 뒷채움 흙쪽으로부터 멀어져 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토압
주동토압계수(主動土壓係數, Coefficient of active earth pressure ) 토류면의 뒷채움 흙이 주동상태에 있을 때 수직하중에 대한 정지토압의 비
주류교통(主流交通, Main traffic) 도로교차 접속부에서 교통이 분류할 경우 주된 흐름 방향의 교통. 십자교차에서는 일선적(一線的)으로 직진하는 교통임
주차이용율(駐車利用率, Parking turnover rate) 일정시간 중에 하나의 주차구획이 이용되는 횟수. 통상 평균이용률은 주차한 대수를 주차구획으로 나눈 것
주차정비지구(駐車場整備地區, Parking place readjustment district) 도로의 효용을 유지하고 도로 교통의 원활한 유통과 주차장의 정비를 위하여 지정한 지구
주하중(主荷重) 교량의 주요 구조부를 설계하는 경우에 항상 또는 자주 작용하여 내하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하중의 총칭이다
주행비용(走行費用, Travel costs) 자동차 운행에 소요되는 비용으로 연료비, 유류비, 타이어비, 차량 유지 수선비, 인건비 및 일반관리비를 합산한 총액
주행속도(走行速度, Running speed) 교통류의 내외부 마찰에 의한 지체와 가감속 지체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 속도로써 주행거리를 시간으로 나눈 값
주행시간(走行時間, Running time) 일정 도로구간을 주행하는데 실제로 움직이고 있을 때의 시간(통행시간에서 정지지체를 뺀 값)
주행차선(走行車線, Nearside lane) 차량이 통상적으로 주행하여야 하는 차선. 차량 통행대가 설치되어 있는 도로에서는 맨 좌측의 차량통행대이며, 편도 3차선 이상의 도로에서의 가장 좌측차선(추월선)이외의 모든 차선
주행편익(走行便益, Travel Benefits) 도로의 신설 또는 개축으로 인하여 도로연장이 감소하거나 교통체증이 해소됨으로써 도로이용자가 부담하는 연료비, 유류비, 타이어튜브비, 차량수선비등 주행경비가 절약됨에 따라 얻어지는 편익
준설(浚渫, Dredging) 보통 바다나 하천 등에서 수면아래에 퇴적된 토사나 암석을 굴착하는 작업. 교량이나 건물등의 구조물의 기초를 위하여 수중에서 굴착하는 것은 수중굴착이라고 하며, 준설은 항구의 수심을 유지하거나 하천의 유수의 흐름을 개량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줄눈(目地, Joint) ①구조물의 이음부 ②콘크리트 포장슬래브에서 팽창․수축을 어느 정도 자유롭게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균열 발생을 방지하거나 시공상의 여건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이음. 종류에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팽창, 수축을 쉽게 하도록 만드는 팽창줄눈, 콘크리트 슬래브의 수축 응력의 발생을 경감시키고 불규칙한 균열 발생을 최소로 줄이거나 막을 수 있도록 만드는 수축줄눈, 콘크리트슬래브 타설을 일시 중지해야 할 때 만드는 시공줄눈, 줄눈부에서 하중전달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슬래브의 한 쪽에 볼록(凸)부를 닿는 다른 쪽에 오목(凹)부를 만드는 교합줄눈, 경화된 콘크리트 슬래브에 맞대서 서로 이웃한 콘크리트 슬래브를 쳐 만드는 맞댄줄눈, 수축줄눈의 일종으로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에 깊이 7cm 정도의 홈을 만들고 주입 줄눈재로 실(seal)한 맹줄눈,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 커터(cutter)로 잘라서 만드는 커터 줄눈, 맹줄눈의 일종으로 콘크리트 슬래브가 아직 굳지 않은 동안에 슬래브 상부에 홈을 내어 만드는 타설줄눈 등이 있다
중 교통(中交通, Intermediate) 아스팔트 포장두께 결정에서 설계 교통량의 정도를 나타낸 말로 CBR 설계법에서는 계획자동차 교통량이 2,000~7,500대/일(설계윤하중 5.0t) 인 교통량을 말하여 미국아스팔트 협회 설계방법에서는 8.2t 단축으로 환산한 설계일평균 환산교통량이 10~100대/일 인 교통량을 말함
중 교통(重交通, Heavy traffic) 어느 도로를 통행하는 자동차가 아주 많은 교통상태
중간층(中間層, Binder course) 아스팔트 포장에 있어서 기층위에 위치하여 기층의 요철을 고르게 잡고 표층에 가해지는 하중을 균일하게 기층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층. 통상 조립도의 아스팔트 혼합물로 이루어짐
중공콘크리트제조법(中空-製造法, Cellular construction) 중공콘크리트 제조방법으로 바닥두께의 중앙에 공간을 만든 콘크리트의 제조법
중력식 교대(重力式橋臺, Gravity-type abutment) 토압 등에 수평하중에 의하여 교대에 휨모멘트가 작용하여도 교대 자중(自重)에 의한 압축응력도가 크고 구체(驅體)내에 휨인장 응력도가 발생하지 않는 교대
중력식 옹벽(重力式擁壁, Gravity retaining wall) 토압 등의 외력에 대해 옹벽의 자중으로 저항하도록 만들어진 옹벽을 말함
중심대(中心帶, Center trip) 터널 내에 있는 포장되지 않은 토지. 분리대를 만들기도 하고 초목을 심는 일도 있음
중심선 측량(中心線測量, Center line survey) 도로나 터널의 양 갱구의 중심선상에 기준점을 설치하고 이 두 점의 좌표를 구하여 노선 설치나 터널을 굴착하기 위해 방향과 거리를 계산하기 위한 측량방법
중심선(中心線, Center line) 비분리 도로에서 도로 중심을 나타내는 구획선
중심차선(中心車線, Center lane) 기수차선을 가진 비분리 도로의 중심에 있는 차선으로 어느 방향의 교통에도 이용될 수 있는 차선. 중앙차선
중앙도갱굴착(中央道坑式掘鑿, Core method of tunnel construction) 먼저 터널의 중앙 위치에 도갱을 굴착 관통시키고 그 다음 이 도갱을 이용하여 단면주변에 방사방향으로 천공하여 동시에 폭발시켜 전단면을 한번에 굴착하는 방식. 역권식(逆券式)과 전단면(全斷面式)이 있다
중앙분리대(中央分離帶, Median strip) 차선을 방향별로 분리하게 하고, 측방여유를 확보하기 위하여 도로 중앙부에 설치되는 띠 모양의 측대를 말함. - 중앙분리대 형식과 구조(中央分離帶-型式-構造) 중앙분리대의 형식과 구조는 연석의 형성, 분리대표면의 형상, 분리대 표면의 처리방식 등 세 가지가 중앙분리대 설계의 기본요소이다. 연석에는 자동차가 넘어갈 수 있는 형태와 넘어갈 수 없는 형태의 2가지가 있으며, 대개 전자는 넓은 중앙분리대, 후자는 좁은 분리대에 사용된다. 중앙분리대에 사용되는 분리대의 표면형상은 오목형(凹型) 또는 볼록형(凸型)으로서 전자는 배수상 조건으로 넓은 분리대에, 후자는 좁은 중앙 분리대에 사용되고 있으며, 분리대의 표면처리는 잔디를 입히거나, 포장을 하든가 하는데 잔디는 넓은 분리대에, 포장은 좁은 분리대에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잔디는 미관상 좋고, 차도와 색상조화도 좋으나 유지관리에 비용이 많이 들며 특히 좁은 분리대에서는 위험성도 높다. 우리나라에서는 중앙분리대를 넓게 확보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연석으로 형성된 볼록형(凸型) 분리대와 잔디 분리대를 많이 사용하여 왔으나 진행 방향을 이탈한 분리대 진입으로 인하여 대형사고의 원인과 잔디나 수목관리의 유지에 대한 어려움 등으로 측대를 여유 있게 활용할 수 있는 시설물을 이용한 중앙 분리대 쪽으로 전향되고 있다. 그리고 시가지 도로에서는 도시의 감각과 지형의 조화를 고려하여 연석을 사용한 잔디분리대를 사용하고 있다. 분리대는 설계속도, 시가지화 정도, 경제성, 도로의 구분 등에 따라 적합한 형식과 구조를 선택해야 한다
중앙분리대방호책(中央分離帶防護策, Median barrier) 도로상에서 대향하는 교통류를 분리시킬 목적으로 설치하는 가드레일이나 콘크리트 벽과 같은 물리적인 시설
중앙분리석(中央分離石, Median curbstone) 왕복교통의 도로에서 방향이 다른 교통류를 분류하여 안전하고 원활한 통행을 확보하기 위하여 중앙분리대에 설치하는 경계석
중앙종거(中央從距, Middle ordinate) 도로선형에서 단곡선에 속하는 명칭으로 곡선의 중앙지점에서 호와 현의 거리를 말함
중앙플랜트혼합방식(中央-混合方式, Central plant mixing) 중앙혼합 방식에 의하여 기층재료를 혼합하거나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것. 연속식 믹서나 배치믹서를 설비한 중앙플랜트에 재료를 반입하여 계량․혼합한 것을 현장에 운반하여 타설함
중용열포틀랜트시멘트(中庸熱-, Moderate heat portland cement) 보통 포틀랜트시멘트보다 실리카를 많이 포함하고 산화칼슘을 적게 함유한 시멘트. 수화열을 적게 할 목적으로 제조됨
중차량(重車輛, Heavy vehicle) 대형차
지 체(遲滯, Delay) 운전자의 제어 외의 요인에 의해 야기되는 시간손실. ② 주어진 통행을 할 때 합리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시간보다 추가로 운전자, 승객, 보행자가 경험하게 되는 시간
지각반응거리(知覺反應距離, Driver perception distance) 운전자가 주행중 어떤 사태를 인식하고 여기에 반응하여 차량의 움직임을 조절하기 위하여 동작을 시작할 때까지 주행한 거리(도로시설 규칙에서 2.5초 동안 주행한 거리로 정하고 있다)
지각반응시간(知覺反應時間, Perception reaction time) ①운전자가 동작의 필요함을 인지한 시간으로부터 실제동작에 옮길 때까지 걸리는 시간. ②운전자가 어떤 사태를 깨닫고 여기에 반응하여 차량의 움직임을 조절하기 위하여 동작을 시작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보통 2.5초)
지구내도로(地區內道路, Local road) 국지도로
지구분할(地區分割, Zoning) 도시계획상의 토지이용 계획에 따른 기능별 토지이용 배분으로서 효율적 토지이용을 위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음. 교통분야에서는 통행실태조사, 대중교통실태조사등에 있어서 조사대상지역을 조사내용에 맞추어 어떤 규모로 구분할 때, 그 구분단위를 교통지구(zone)라고 하며, 그 설정작업을 지구분할(zoning)이라 함. 조닝
지면배수(地面排水, Surface drainage) 강우, 융설 등에 의한 도로의 포장면위의 노면수를 가능한 한 빨리 측구로 유도하여 포장체 하부나 노상 속으로의 침투를 방지하고, 또한 인접 지대로부터의 유입수도 측구로써 차단하는 것. 노면의 경사, 측구의 형태, 단면 및 경사에 의하여 영향을 받음
지반개량(地盤改良, Ground improvement) 지반 안정화라고도 하며 토질공학적으로 어떠한 지반의 흙도 이상적인 조건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없으므로 지반의 특성을 변화시켜 지반의 공학적 능력을 개선하는 것. 그 방법으로는 강도를 증대시키는 방법, 압축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투수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등이 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연약지반 의 개량이라고 할 수 있다
지반손실(地盤損失, Ground loss) 굴착된 터널과 원지반의 경계선에서 이에 연직되게 일어나는 지반 변위량의 합을 말하는데 터널의 막장 전․후․측방에서 발생하며 터널 주변 지반변위의 가장 큰 원인이 됨
지반침하(地盤沈下, Land settlement) 외력에 의한 토립자 형상의 변화와 체적의 변화 등에 의한 지반의 변형을 지반침하라 함
지발발파(遲發發破, Delay blasting) 각 발파공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발파하는 방법을 말한다 보통 지발발파법은 MS발파법(20~25ms단차)과 LP발파법(100~500ms 단차)이 있다. 지발발파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지발전기뇌관의 시차가 짧을수록 암석은 적게 파쇄되고 멀리 비산된다. 따라서 대발파의 경우에 파쇄 암석편이 멀리 비산하여 부근의 가옥에 피해를 끼칠 경우에는 시차가 짧은 MS발파법은 적당하지 않다. ②MS발파에서는 각공이 폭발과 폭발사이에 극히 미소한 기간차가 나므로 처음 먼저 일어난 발파진동이 가라앉기 전에 다음의 진도이 일어나고 이것이 서로 작용하여 제발발파의 경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방교통(地方交通, Rural traffic, local traffic) 이동거리가 짧은 경우에 해당되며, 출발지, 목적지가 모두 동일지역에 있어 그 지역 내에서만 이동되는 교통. 즉 국지 교통.
지보공(支保工, Tunnel support, timbering centring) ①지보공은 터널을 굴착한 후 콘크리트 라이닝을 하기까지 시간 사이의 터널내 토압을 지지하여 굴착작업시 위험을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말함. 지보공에는 목재 지보공, 강아치 지보공(steel arch support), 록볼트(rock bolt), 숏크리트 등이 있고, 지질․단면의 크기, 시공법 등을 고려하여 작업상의 안전과 경제성이 있도록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함. ②공사에 있어서 토압, 수압, 자중, 형틀 등에 작용하는 하중과 같은 시공시의 하중을 지지해서, 형상을 확보하기 위한 가설구조물, 지주식 지보공, 아치식 지보공, 형틀 지보공, 흙막이 앵커 등이 있음.
지보패턴(支保-, Tunnel support pattern) 터널의 지반상태와 터널 천단부 및 그 상부의 지반상태, 시공성 등을 고려하여 터널의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미리 설정해 놓은 터널 지보형태로써 터널굴착 후 조기에 설치하여 터널의 안정을 도모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숏크리트, 강지보공, 록볼트 등을 조합한 지보 방법으로 도로터널의 경우 굴착암반의 신선도에 따라 1~6 TYPE의 지보형태를 적용하고 있다
지불선(支佛線, Pay line) 터널공사의 계약 등에 있어서 굴착 및 라이닝 콘크리트 수량의 지불한도를 터널단면에 표시한 선을 말함. 즉 터널공사시 여굴, 라이닝 두께 등 실제 시공에 있어서 설계라이닝 두께선을 넘은 굴착량이나 라이닝 콘크리트량이 생기는 것이 보통이며, 공사 도급계약의 경우 이 여분의 공사수량에 대하여도 공사비에 견적하여야 하지만 대금지불의 한도를 표시하기 위하여 설계 라이닝 두께선의 외측에 설정되는 선을 말함
지속교통류율(持續交通流率, Sustained volume rate) 교통량의 유출입이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 변화를 보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지될 때의 교통류율을 의미함
지시표지(指示標識, Indicatory sign) 도로에 설치되는 교통표지의 일종으로써 도로의 통행방법, 통행구분 등 도로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필요한 지시를 하는 경우에 도로이용자가 따르도록 알리는 도로표지
지점속도조사(地點速度調査, Spot speed study) 본선교통류가 통과하는 도로의 한 지점에서의 차량속도 조사.
지중침하(地中沈下, Subsurface settlement) 터널을 굴착할 때 인접지반은 침하를 하게 되며 터널 천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지표로 갈수록 각 지층의 침하량은 깊이별로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지반중의 침하를 말함
지체시간(遲滯時間, Lag time) 강우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첨두유량에 이를 때까지의 시간 또는 계속된 강우의 중심에서부터 총유출용적의 중심까지의 거리. 우량주상도의 질량중심에서 이로 인한 수문곡선의 중심까지 시간으로 정의되나 단순히 수문곡선의 첨두까지의 시간으로 함
지체현상(遲滯現象, Retardation) 집수구역의 빗물이 동시에 출구지점에 모이는 일은 없음. 집수구역의 출구지점의 가까이에 내린 강우와 먼 지점에 내린 빗물이 출구지점에 도달하는 데 시간 차이가 나는 현상을 말함
직교(直橋, Square bridge0 교량의 평면선형을 경사지게 하지 않고 직각으로 만든 것
직각주차(直角駐車, Ranking) 차량주차 방식의 하나로 차량을 도로 방향에 직각으로 주차 하는것
직결Y형 입체교차(直結Y形 立體交叉, Direct Y-inter-change) 3지 입체교차의 한 형식으로서 3방향 모두의 접속이 직결램프에 의한 것이며,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상호접속에 이용됨
직결램프(直結 ramp, Direct ramp) 교차하는 도로를 접속하는 램프형식중의 일종으로 우회전 램프에서는 본선차로의 우측에서 분류하여 그대로 우회전하는 것이고, 좌회전 램프에서는 본선차로의 좌측에서 직접 분기하여 좌회전하는 것
직결형인터체인지(直結形 - , Directional interchange) 인터체인지내의 교통류 처리를 위해 직접 연결로를 사용한 인터체인지로써 루프방식 연결로에 비해 높은 교통서비스 수준을 확보할 수 있으나 넓은 도로부지와 많은 건설비용이 요구됨
직결형입체교차(直結形立體交叉, Directional interchange) 직결형 인터체인지.
직행교통(直行交通, Direction route) 중간의 정류장이나 다른 우회도로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목적지로 향하는 교통.
진동제어발파(振動制御發破, Vibration controlled blasting) 발파시 발생되는 지반의 진동을 제어하면서 발파를 시행하는 방법임. 진동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발파 대상지역에서의 지발당 장약량, 폭원과의 거리 및 암반 조건등으로부터 진동속도 추정식을 결정함. 이런 방법으로 진동추정식이 결정되면 허용진동속도치 범위내에 들도록 폭원과 건물 또는 시설물과의 이격거리로부터 지발당 최대 장약량을 구하여 발파를 시행함
진동하중(振動荷重 Excitation force) 진동현상으로 인해 가해지는 하중. 하중의 크기는 시간적으로 변하고 정 및 부의 방향으로 번갈아 작용함. 지진이나 바람과 같은 자연현상으로 발생되거나 중차량이나 대형기계의 가동등으로 발생되는 인공적인 진동이 있다
진행대(進行帶, Through band) 연속된 신호교차로에서 적색시간에 의한 정지없이 진행할 수 있는 시간대. 시공도에서 연동 이동류를 한정하는 한 쌍의 평행속도선 사이의 영역
진행식신호체계(進行式信號體系, Progressive signal control system) 교차로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도로에서 연동화 신호체계의 한 방법으로 신호등의 녹색시간 직후에 그 교차로를 연속진행방향으로 출발한 차량이 그 다음 교차로에 도착할 때에 맞추어 그 교차로의 신호가 녹색으로 바뀌어 차량의 흐름이 정지없이 계속적인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신호체계
집산로(集散路, Collector/distributer street) 이동성과 접근성이 혼재된 도로로써 간선도로와 국지도로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함
집산가로(集散街路, collector or distributer street)다른 주요 가로로부터 모아지는 교통을 통과시키는 주요가로. 이것을 통과하는 교통은 각각 목적지로의 적당한 진입로에 분산된다. 집산가로는 이동성과 접근성이 혼재된 도로로써 간선도로와 국지도로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도로의 기능인 이동성과 접근성이 각각 중간정도인 도로이다.
차
차 도(車道, Roadway, Traffic lane) 차량의 통행에 사용되는 도로의 부분(자전거도를 제외한다)을 말하며 차선으로 구성한다.
차로(車路, Lane) 차 선.
차선(車線, Lane) 1종렬의 자동차를 안전하고 원활하게 통행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띠 모양의 차도의 한 부분을 말하며, 이 경우 차선수는 왕복차선을 합한 것을 말함.
차군(車群, Bunching, grouping) 운행중인 차량들이 저속차에 대하여 추월할 기회가 없어서 부득이 무리를 형성하여 주행하는 상태
차량(車輛, Rollon, stock) 한 쌍의 차 바퀴를 갖춘 두 조 이상의 차축 위에 차체를 실어 전용궤도 위를 주행할 수 있는 구조물로써 여객이나 화물의 운송을 목적으로 하는 차량과 이들 차량과 이들 차량을 견인하기 위하여 동력을 장비하고 주행하는 차량을 총칭
차간거리(車間距離, Gap spacing) 연속하여 운행중인 두 차량에서 앞 차량의 뒷부분부터 뒤 차량의 앞부분까지의 거리를 거리단위(m)로 나타낸 것
차간시간(車間時間, Gap) 연속하여 운행중인 차량 사이를 시간으로 표시한 것으로 정확히 앞차의 뒷부분부터 뒤 차의 앞부분까지의 시간간격을 말함.
차단녹지(遮斷綠地, Buffer green tract) 각 지역간의 이미지를 살릴 목적으로 가로변과 건물, 주택지와 다른 용도지간을 차단(buffer)시키는 공간 녹지. 그 예로 공업단지와 주거지간의 공간분할을 하여 환경보전을 위해 설치하는 것이며, 우리나라에서도 각 산업공단에 차단녹지를 의무화시키고 있음
차단십자로(遮斷十字路, Intercepted cross road) 주 도로의 중앙분리대가 교차점을 통과하여 연속되어 있기 때문에 교차교통의 직접 횡단이 차단되어 있는 교차도로
차단층(遮斷層, Filter layer, filter course) 도로포장시 지하수가 포장층으로 스며드는 것을 막고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하여 양질의 토사로 노상을 개량한 층. 일반적으로 노상토의 설계 CBR 이 2.5이하일 때에 15~30cm의 차단층을 설치하며, 노상 위에 모래층 마무리 두께 10cm의 층을 둘 수 있음
차도기면(車道基面, Roadway formation) 차도․보도 및 자전거 도로로 점용되는 기면으로 성토 또는 절토(깎아낸) 경사면과 같은 부분은 제외
차도부(車道部, Carriage area) 차도 및 중앙대, 교통섬, 길어깨의 전부 또는 일부로 구성되는 도로의 주요부분을 통틀어 차도부라고 함
차도부분(車道部分, Roadway part) 자동차가 물리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부분
차도의 구성(車道-構成, Composition of roadway) 차도는 차량 통행에 공여하려는 목적으로 설치된 도로의 부분(자전거도 제외)으로서 차선으로 구성되며 직진차선, 회전차선, 변속차선, 오르막차선, 양보차선 등이 이에 포함된다. 기능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①한 줄로 선 자동차를 안전하고 원활하게 주행시키기 위하여 설치된 띠모양의 도로 부분인 차선이며, 오르막 차선, 회전차선 및 변속차선을 포함한다. ②차량의 정차, 비상주차를 위하여 설치된 도로 부분으로써 정차대 주차장에 있어서 정차 및 주차의 수요를 위한 기능을 가진 부분이다. ③기타 도로부분으로써 ②항 이외의 부분인 교차로, 분리대의 절개, 부가차선 구간, 차선수 증감 또는 도로가 접속되는 구간을 말한다. 그리고 차도를 구성을 정하는데 있어서는 다음의 사항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계획도로의 기능에 따라 횡단면을 구성하며, 설계속도가 높고 계획교통량이 많은 노선에 대해서는 높은 규격의 횡단구성요소를 갖출 것. - 계획목표연도에 대한 교통수요와 요구되는 계획수준에 적응할 수 있는 교통처리 능력을 가질 것. - 교통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검토하여 구성할 것. - 교통상황을 감안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자전거 및 보행자 도로를 분리할 것. - 출입제한방식, 교차 접속부의 교통처리능력, 교통처리방식도 연관하여 검토할 것. - 인접지역의 토지이용 실태 및 계획을 충분히 감안하여 도로 주변에 대한 양호한 생활환경보전에 노력할 것. - 도로의 횡단구성 표준화를 도모하여 도로의 유지관리, 양호한 도시경관 확보, 유연한 도로기능을 확보할 것.
차도폭(車道幅, Carriageway width) 차량이 통행하는 부분의 폭. 차선만이 아니고 정차대, 비상주차대, 정류소, 대피소 등을 포함한 폭
차두간격(車頭間隔, Spacing, Space headway) 같은 방향으로 주행하는 두 대의 차량이 어느 지점을 통과할 때의 시간간격을 차량의 앞부분을 기준으로 나타낸 것
차두거리(車頭距離, Spacing) 연속적인 두 차량에서 앞 차량의 뒷부분부터 뒤 차량의 앞부분까지(또는 앞 차량의 뒷부분부터 뒤 차량의 뒷부분까지)의 거리
차두시간(車頭時間, Headway) 한 지점을 통과하는 연속된 차량의 통과시간 간격을 말함. 즉, 앞 차량의 앞부분(또는 뒷부분)과 뒷차의 앞부분(또는 뒷부분)까지의 시간간격.
차량 감지기(車輛感知機, Vehicle detecter) 차량의 교통흐름을 양적으로 검지할 수 있는 검출기로서 교통량 검출형, 교통시간 점유율 검지형, 속도검출형, 공간점유밀도 검출형 등이 있다.
차량군분산(車輛郡分散, Platoon dispersion) 정지선에서 모여 있던 차량들이 녹색신호에 의한 차량군이 링크를 주행하는 과정에서 차두거리가 확산되는 현상을 말함. 차량군 분산 이론은 Trandsyt모델의 교통류 모형에서 사용됨.
차량군이동(車輛郡移動, Platoon movement) 도로상에서 차량들이 무리를 지어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연동 효율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
차량접촉한계(車輛接觸限界, Fouling point, Clearance of track) 본선과 측선 또는 측선과 측선의 각 선상에 동시에 차량이 진입할 때 차량의 접촉을 피할 수 있는 거리 및 위치.
차량한계(車輛限界, Car gauge, Car limit, Rolling stock vehicle gauge) 차량제작시 일정 규격을 결정하기 위하여 규제해 놓은 수치로서 차량의 어떤 부분도 이 한계에 저촉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 한계. 도로법에 근거를 둔 차량한계령에 의하면 무게 20ton 이상, 폭 2.5m이상, 길이 12m이상, 높이 3.8m이상의 차는 도로관리자의 허가를 받지 않으면 도로법상의 통로를 통행할 수 없음. 이 경우, 특히 인․허가를 받을 때 제한외의 차량을 특수차라 함.
차륜하중(車輪荷重, Wheel load) 교량설계시 사용하는 표준 트럭하중(DT하중)으로서 종방향으로는 차선당 한 대, 횡방향으로는 재하 가능한 대수로 재하하는 설계활하중.
차선군(車線群, Lane groups) 신호교차로 용량분석에서 사용되는 용어로써, 같은 현시에 움직이는 이동류(들)의 차선별 v/s비가 평형을 이룰 수 있어 그 이동류(들)의 v/s비를 단일 값으로 나타낼 수 있는 차선 묶음
차선용량(車線容量, Lane capacity) 현저한 지체를 일으키지 않고 어떤 속도로 차량이 주행할 수 있는 1차선당 최대 교통량
차선표시선(車線表示線, Lane marking) 노면표시로써 차선의 경계를 나타내는 도로연장 방향의 선.
차선하중(車線荷重, Lane load) 교량설계시 사용하는 설계 활하중으로써 각 지간에서 한 개의 차선당 한 개의 집중하중과 등분포하중으로 구성됨.
차음도(遮音度, Noise insulation factor) 트랜스미턴스(transmittance)와 실(室)의 전흡음력의 실주벽(室周壁)의 방음 성질에 대한 효능을 수로 표시한 것
차음벽(遮音壁, Noise barrier) 방음벽으로 표현되며 공기 전파음을 감쇠시킬 목적으로 음원과 수(受)음원 사이에 설치된 벽.
차음재료(遮音材料, Sound insulating material) 소음 발생원을 차단하여 음을 적게 하는 재료. 구비조건은 ①통기성이 없을 것. 이는 대단히 중요한 성질로 흡음재료와 근본적으로 상이한 것임. ②중량이 클 것. ③ 내부 점성이 클 것 등임.
착암(鑿岩, Drilling) 터널공사등에서 암반에 구멍을 뚫는 것.
착색마무리(着色-, color finish) 콘크리트 또는 모르터로 콘크리트의 표면을 착색하여 마무리하는 방법. 시멘트에 착색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거나 콘크리트의 표면을 벗기고 착색한 모르터을 발라 나무 흙손으로 마무리함
착색포장(着色鋪裝, Colored pavement) 미관상(도보, 교면(橋面) 등,) 교통안전상 또는 도로의 기능을 높이기 위하여 시공하는 것. 착색방법으로는 유색 골재를 사용하는 방법과 아스팔트 대신 안료나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있음
찰쌓기(Wet masonry) 줄눈에 시멘트 모르터를 채워 넣는 돌쌓기 또는 벽돌쌓기
채움재(-材, Filler, mineral filler) 주로 가열 역청혼합물에 이용되는 미립골재로써 NO. 200체(75μm)를 통과하는 광물질 분말. 보통 석회암을 분말로 만든 석분이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나 석회암 이외의 암석을 분쇄한 석분, 소석회, 시멘트, 회수 더스트, 플라이 애쉬, 제강 슬래그 더스트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채움재는 아스팔트의 점도를 높이고 동시에 골재로서 혼합물의 공극을 채우는 역할을 한다
채터바(Chatter-bar) 노면표지시설의 이종으로 가늘고 긴 대형의 도로못으로 시선유도기능과 자동차가 그 위를 통과할 때 충격․진동을 받음으로써 운전자에게 차선이탈을 경고하는 기능을 가짐.
천공(穿孔, Boring) 발파하기 위하여 폭약 장전용의 구멍을 착암기 등으로 뚫는 것. 천공수, 위치, 방향, 깊이 등은 폭파효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침. 구멍뚫기 라고도 함.
천단지지공(天端支持工, Fore poling) 터널 굴착시 터널 막장 전면에 파쇄대 등이 나타나 발파 후에 붕락이 예상되는 경우 붕락을 방지하고 지반의 이완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터널 천단부에 강재를 삽입하여 보강하는 작업.
천단침하(天端沈下, Crown settlement) 터널 천장부의 처짐량을 말하여 터널 주변 원지반의 안정확인과 록볼트, 뿜어붙이기 콘크리트 등의 지보공 효과를 파악하고 내공단면 유효높이를 파악하는데 이용됨. 터널 천단에 측점을 적당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천공하기 전, 천공한 후,콘크리트 뿜어붙이기 후, 록볼트한 후 등으로 구분하여 측정하고 침하가 수렴될때까지 측정을 실시함.
첨두시간계수(尖頭時間係數, Peak hour factor) ① 15분 첨두교통량을 한 시간 단위로 나타낸 값(교통류율)에 대한 한 시간 교통량의 비로써 교통량의 안정성(변동)을 나타내는 것임. ② 한 시간동안의 교통량을 한 시간동안 최대 15분 교통류율로 나눈값으로 국내고속도로는 0.87~0.92 도시간선도로는 0.94의 값을 가진다. <공식> V : 1시간 교통량(Vph) V15 : 15분 첨두교통량(Vph/15분) 일반적으로 PHF가 크면 교통변화가 적고 첨두시간 교통량이 시간당 교통량을 초과하면 병목현상을 초래한다. PHF는 교차로의 용량분석 등에 이용되며 PHF를 너무 작게 잡으면 비경제적이고 너무 크면 교통혼잡을 초래한다.
첨두시간교통량(尖頭時間交通量, Peak hourly volume) 하루중 교통량이 가장 큰 한 시간 교통량.
첨장약(Base charge) 공업뇌관, 전기뇌관의 하부에 장전한 폭약, 기폭약이 폭발한 충격을 확대하여 본체 폭약을 확실히 폭굉시키기 위해 쓰인다. 테트릴, 펜트리트, 헥소겐과 같이 폭속이 크고 안전도가 높은 폭약을 사용한다.
초기동결(初期凍結, Initial freezing) 초기에 온도가 저하하여 액상이 고체상으로 변화하는 것. 특히 물이 얼음으로 되는 현상을 지칭함. 일반적으로 동결에 의하여 체적이 팽창하므로 구조물 파손의 한 원인이 됨.
초기양생(初期養生, Initial curing) 표면마무리가 끝난 후 계속해서 콘크리트 슬래브의 표면을 거칠게 하지 않고 작업할 수 있는 정도로 콘크리트가 경화할 때 까지 실시되는 양생.
초기일 평균 교통량(初期日平均交通量, Initial daily traffic(I.D.T)) 포장 공용개시 첫해에 통행이 예상되는 양방향 일평균 교통량
초기전압(初期轉壓, Breakdown rolling)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을 포설한 후 다짐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실시하는 다짐공법으로, 혼합물이 변위를 일으키거나 헤어크랙(hair crack)이 생기지 않을 한도에서 가능한 높은 온도에서 실시함. 일반적으로 "1차 다짐"이라고 하며 로드 롤러를 사용하여 2회(1왕복) 실시함.
초기침하(初期沈下, Initial settlement) 지반의 탄성침하와 투수성이 큰 모래층이 압축침하와 같이 지반 하중을 가하면 즉시 일어나는 침하.
총통행시간(總通行時間, Total travel time) 여행시간.
최고속도(最高速度, Maximum speed) 차량운행 최고속도로 설계최고속도와 영업최고속도가 있음.
최대서비스교통량(最大 service 交通量, Maximum service flow) 도로․교통조건 아래에서 주어진 서비스 수준을 유지하며 도로 또는 차로의 구간이나 지점을 통과할 수 있는 최대교통량.
최대시간교통량(最大時間交通量, Maximum hourly traffic volume) 교통량을 시간단위로 관측한 결과, 최대의 교통량을 나타낸 것.
최대오르막속도(最大 - 速度, Crawl speed) 상당히 긴 상향경사의 도로에서 충분히 감속된후 나타나는 차량성능 한계속도.
최대축중(最大軸重, Maximum axial load) 한 개 차량이 부담할 수 있는 최대의 중량으로 차량 최대허용하중을 축수로 나눈 것.
최소곡선길이(最小曲線長, Minimum curve length) 도로의 설계상 최소의 곡선장. 자동차 운전자가 핸들 조작에 곤란을 느끼거나 원심 가속도의 변화율이 크지 않도록 정하여짐.
최소곡선반경(最小曲線半徑, Minimum radius of curvature) ① 최소 원곡선 반경은 도로의 곡선부를 주행하는 자동차에 가해지는 원심력등의 횡방향력과 타이어 노면간의 마찰력이 상쇄된 힘이 일정한 한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고, 쾌적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규정한 최소도로 곡선반경 값. ② 기본 원리는 주행시 원심력등의 횡방향력이 Tire 노면 마찰에 의해서 주행하는 자동차가 횡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힘의 평형이 이루어져야 한다. <공식> : 횡방향 미끄럼 마찰계수(0.05), : 편구배(6%) ③ 설계시에는 곡선반경을 차도의 각 차선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고, 선형은 차도 중심선이므로 차선 중심으로 환산하며, 지형에 여유가 있으면 선형의 균형유지를 위해 최소곡선반경의 1.5배 사용. ④ 바람직한 최소 원곡선 반경의 계산값과 규정값
최소곡선장(最小曲線長, Minimum curve length) ① 자동차 운전자가 핸들조작에 곤란을 느끼지 않고 원심가속도의 변화율이 크지 않게 하며, 교각이 작은 경우 곡선반경이 실제보다 작아 보이는 착각을 막을 정도의 길이로써, 도로의 선형상 각 설계속도에 따라 필요한 최소의 곡선길이.
② 자동차가 도로의 곡선부를 주행하는 경우, 곡선부의 길이가 짧으면 핸들조작을 빨리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원심가속도가 급변하여 주행궤적이 나빠지고 특히 고속도로인 경우에는 사고의 위험이 있다. 도로 교각이 작은 경우 운전자에게는 원곡선의 길이가 실제보다 짧게 보이고 도로가 절곡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므로 속도의 저하를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최소 원곡선 길이를 규정한다.
③ 최소 원곡선 길이
④ 최소 곡선길이의 계산시 고려사항 - 운전자가 핸들조작에 곤란을 느끼지 않을 것. - 도로의 교각이 작은 경우 원곡선 반경이 실제보다 작게 보이는 착각을 막을 정도의 길이로 할 것.
⑤ 적용상의 주의 도로교각이 5°이상인 경우 여기에서 규정한 최소곡선길이는 최소 완화구간 길이의 두배이다. 즉, 완화곡선이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 곡선의 길이가 여기에서 규정한 곡선의 최소길이와 같을 경우 클로소이드(Clothoid)로만 구성된 선형이 된다. 이 경우 운전자가 핸들조작에 필요한 조건을 만족하고는 있지만 곡선반경이 최소가 되는 점에서 급하게 핸들을 조작해야 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완화곡선 사이에 반드시 적절한 길이(설계속도로 주행시 적어도 2 sec 이상이 소요되는 길이)의 원곡선을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2 sec간 소요되는 길이를 취하면 실제로 설치되는 곡선의 최소길이는 최소완화곡선 길이의 3배이다.)
최소저항선(最小抵抗線, minimum resistance line) 장약의 중심에서 자유면까지의 최단거리를 지칭
최소차두간격(最小車頭間隔, Minimum spacing) 실제적으로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차량이 앞차에 가급적 접근하여 주행할 때의 차두 간격
최소차두시간(最小車頭時間, Minimum headway) 실제적으로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차량이 앞차에 가급적 접근하여 주행하는 차두 시간
최소회전반경(最小回傳半徑, Minimum turning radius) 자동차가 최소로 원선회할 경우 앞바퀴 외측궤적의 반지름
추월시거(追越視距, Passing sight distance) ① 같은 방향의 진행차량이 있는 경우 전방차량을 안전하게 추월하는데 필요한 거리. 일반적으로 1.0m의 눈높이에서 높이 1.2m의 차량을 확인할 수 있는 도로중심선상의 거리.
② 앞지르기를 하기 위하여는 충분한 시거가 확보되어야 하나 경제적인 면을 고려하여 전 구간에서 앞지르기 시거를 확보할 수 없으며, 필요한 앞지르기 시거를 적정한 간격으로 확보하게 된다. 이러한 앞지르기 시거는 다음과 같은 가정아래 계산하게 된다. (1) 앞지르기 당하는 자동차는 일정한 속도로 주행한다 (2) 앞지르기하는 자동차는 앞지르기를 하기 전까지는 앞지르기 당하는 자동차와 같은 속도로 주행한다. (3) 앞지르기가 가능하다는 것을 인지한다. (4) 앞지르기를 할 때에는 최대 가속도 및 앞지르기를 당하는 자동차보다 빠른 속도로 주행한다. (5) 마주오는 자동차가 설계속도로 주행하는 것으로 하고 앞지르기가 완료되었을 때, 대향자동차와 앞지르기한 자동차 사이에는 적절한 여유거리가 있으며 서로 엇갈려 나간다.
추월차선(追越車線, Passing lane) 해당 도로의 원활한 교통소통과 통과통행의 효율화를 위하여 고속주행차량이 저속주행차량의 방해을 받지 않고 안전하게 주행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차선
추출교통조사(抽出交通調査, Transportation survey of sampling) 교통조사의 대상이 되는 모집단에서 일정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이 추출된 견본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는 것. 일정 비용, 시간, 조사원으로 효율적인 조사를 하기 위하여 많은 교통조사에 채용되고 있음.
추출시험(抽出試驗, Extraction test) 아스팔트 혼합물에 포함되는 아스팔트분을 정량하기 위한 시험. 일반적으로 사염화 탄소, 벤젠 등의 용제로 아스팔트를 용출하고 남은 골재의 중량과 수분량을 처음의 중량에서 빼 아스팔트분을 구한다. 원심분리법, 가열법, 기타 방법이 있다.
축하중(軸荷重, Axial load) 차량의 1차축에 작용하는 하중. 차량의 종축에 직각인 하나의 평면내에 중심을 갖는 차륜, 또는 이러한 평면에서 최대의 차륜직경 이상 떨어져 있지 않는 차륜에 의하여 평활한 차도에 미쳐지는 윤하중의 합계를 말함. ② 축방향 하중.
출발지연시간(出發遲延時間, Start-up delay) 정지선의 첫 번째 차량부터 몇 대의 차량이 통과한 후에는 출발반응 및 가속의 영향이 사라지므로 그 다음 차량들은 비교적 일정한 차두시간을 나타냄. 이처럼 처음 몇 대의 차량이 일정한 차두시간 이상으로 진행한 증가분을 의미함.
출입제한(出入制限, Access control) 도로인접지의 소유자, 임대자 등의 도로에 관련된 출입권이 공공권한에 의거 완전 또는 부분적으로 유․출입이 특정지점으로 제한되는 것을 의미한다. 출입제한의 종류로는 완전출입제한(Full control of Access)과 부분출입제한(Partial control of Access)으로 구별되며 완전출입제한이라함은 통과교통을 우선처리하기 위하여 출입을 제한하는 권한이 특정의 공공도로만으로 출입로를 설치하고, 평면교차 혹은 인접차도의 직접접속을 금지하도록 행사하는 것을 의미하고 "불완전 출입제한" 이라함 출입을 제한하는 권한이 특정의 공공도로 출입로를 설치한다는 것 외에 약간의 평면교차 및 인접도로의 접속을 허용하는 정도로 행사는 되는 것을 의미한다.
충격파(衝擊波, Shock wave) 폭발시에 발생하는 충격적인 압력파, 음파보다 빠른 전파속도를 갖는다. 음파와 달리 극히 초기에의 압력은 급격히 변화하나 긴 거리를 전하는 도중 압력변화는 완만하게 되어 음파로 된다. 넓은 공간에서의 폭약이 폭발하면 충격파는 급속히 약해지나 고체내를 전파하는 것은 그다지 감소하지 않는다. 음파가 어떤파로 되어 그 주파수가 음의 높이를 압력의 크기가 음의 강도를 넘는데 대해 충격파는 단일파로 되어 최초 부분의 압력변화가 격렬하므로 음색을 정하는 주파수는 생각할 수 없다. 음은 고속도로 가까이 비행하여 날개의 표면에 나타나는 충격파와 같이 흐름이 직각일 경우 정상적인 충격파(Normal shock wave), 첨두탄환이 두부파와 같이 경사진 것을 경사충격파(Oblique shock wave)라 한다
취락계획(聚落計劃, Rural planing) 농경지, 기타를 포함하는 취락지의 개량 또는 소단위 개발계획
취토장(取土場, Borrow pit) 흙쌓기에 필요한 흙을 파오는 장소
측구(側溝, Side ditch/gutter) 노면 위의 강수를 유도하기 위하여 도로 또는 철도선로의 가장자리에 설치한 L자형이나 U자형의 시설.
측대(側帶, Marginal stripe) 자동차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게 하고 측방여유를 확보하도록 하기 위하여 차도에 접속하여 중앙분리대 또는 길어깨에 설치되는 띠 모양의 부분
측도(側道, Frontage road) 고속도로나 주간선도로의 교통류를 보호하고 인접한 도로의 접근성을 통합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설치된 고속도로나 주간선 도로변 도로. 일반도로 또는 도시지역 도로에서 그 도로가 연도와 고저차가 있거나 또는 환경대책상 차음벽을 연속하여 설치해서 차량이 연도와의 자유로운 출입이 불가능한 경우에 차량이 연도와의 출입을 확보하기 위하여 본선차도에 병행하여 설치함.
측심(測深, Sounding) 로드에 붙인 저항체를 지중에 넣고 관입, 회전, 빼올리기 등의 저항으로부터 토적으로 또는 성상을 탐사하는 것으로, 흙속에 시험기를 정적으로 또는 동적으로 관측정하고 그 위치에서 토층 상대적 밀도 또는 컨시스턴시를 추정하는 조사방법의 총칭.
측방여유(側方餘裕, Lateral clearance) 도로와 도로변의 물체들과의 이격거리.
측방유동(側方流動, Lateral flow) 측방유동현상은 토압, 수압, 수평하중, 지반활동, 진동에 의한 수평방향 변위와 경사로 나눌 수 있음. 측방유동에 대한 측정 방법은 일반적으로 두 점간의 상대적 수평거리의 변화를 구하는 방법과 경사각을 측정하여 변위량으로 환산하는 방법으로 대별됨.
측벽고갱선진상부반단면공법(側壁導坑先進上部半斷面工法, Side drift method) 산악 터널 굴착공법의 일종으로서 터널 측벽부에 도갱을 선진 굴착하여 측벽 콘크리트를 친 후 상부 반단면 굴착, 아치 콘크리트 치기, 지보공의 순서로 터널을 굴착하여 완성하는 공법.
측벽도갱선진공법(側壁導坑先進工法, Side wall drift excavation) 터널의 굴착공법중에 하나로 측벽 도갱굴착과 콘크리트 치기를 반복 수행하여 복공을 완성한 후에 내공토사를 굴착하는 방법임. 굴착순서는 우선 양측의 측벽 도개을 선진시키고 다음에 측벽 콘크리트를 침. 다음에 아치링을 굴착하여 측벽 콘크리트를 토대로 해서 강아치 지지공을 세우고 최후에 아치의 핵과 중심부분을 동시에 굴착하여 아치콘크리트를 침.
측벽효과(Channel effect) 폭약을 천공에 장전할시, 약경과 공경과의 차이가 크게 되면 기폭 말단부터의 폭굉 압력이 폭약내에 전파됨과 동시에 공극중에서도 충격파가 전달되기 때문에 빈공간에 전파되는 충격파 속도가 폭약내를 통하는 속도보다 빠르게 되어 공밑쪽의 폭약에 폭굉이 아직 전달되지 않았는데 공기중으로 전달된 충격파 때문에 미리 압력을 받아서, 그 부분의 폭약이 둔감하게 되어 완폭이 되지 않고 잔약이 남는 현상이 저폭속 폭약에서 특히 현저하다. 측벽효과, 공극효과라고도 하고, 또 플라즈마 효과라고도 한다.
층따기(層-, Bench cut) 높은 절취를 여러 단으로 나누어서 계단상으로 굴착하는 것. 절토면을 따라 성토를 할 경우 성토부의 침하 및 슬라이딩을 방지하기 위하여 계단상으로 층따기를 함.
치핑(Chipping) 끌에 의한 경화콘크리트 표면의 마무리 방법
치환공법(置換工法, Replacement method) 연약지반 및 동상의 염려가 있는 지반의 지지력 및 내구성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재래지반을 양질의 재료로 치환하는 공법
치환기초(置換基礎,displaced foundation) 기초지반을 개량할 목적으로 비교적 대량의 해저 연약토를 준설하여 그 후에 양질토사로 되메움한 기초, 터파기한 해저를 되메움을 하여 구조물 기초면이 안정된 지반과의 접속을 보전하기 위하여 하는 경우도 있으며, 지지력의 증가, 저면반력의 분산, 침하량의 감소등의 점에서 효과가 있음.
침식(侵蝕, Erosion) 침식에는 주로 풍화된 암석이 빗물, 유수, 바람, 눈, 빙하 등의 외력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깎이는 작용 및 빗물이나 지하수가 암석을 화학적으로 용해시키는 작용이 있음.
침윤(浸潤, Seepage) 흙이나 도로 이루어진 하천의 제방이나 저수지를 통해 스며나오는 침루. 흙이나 암석 덩어리를 느리게 통과하는 물의 경로. 침윤은 재료의 성질, 그 조건과 위치 그리고 다른 요소에 의해 변함
침사지(沈砂池, ①Grit chamber, ②sand basin) 일반적으로 물속의 토사나 부유물을 가라앉히는 작업을 하는 곳으로 토사의 침적, 펌프의 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중에 포함된 토사를 침전법에 의해 제거하는 시설, 흐르는 물의 유속을 늦추어 그 속의 부유토사를 침전시키기 위해 취수구 가까이 만든 인공못.
침입도 시험(侵入度 試驗, Penetration test) 아스팔트 경도는 침입도로 표시하는데 침입도시험(KS M 2254)은 하중시간, 온도를 지정된 상태에서 일정시간에는 표준침이 시료에 관입하는 깊이로 표시된다. 침입도는 1/100mm를 단위로 한다
침입도 저항(侵入度 抵抗, Penetration resistance) 모르터나 시멘트풀의 경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표준상태에서의 플런저침에 의한 침입도를 kg/㎟으로 나타낸 값.
침입도 지수(侵入度指數, Penetration index) 아스팔트 침입도와 연화점에서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아스팔트의 감온성(感溫性)의 특정치임. 침입도 지수 = 30/(1+50A)-10, A={log800 - log침입도(25℃)}÷{연화점(0℃)~25} 이 값이 작은 아스팔트의 감온성은 높다. 보통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의 침입도 지수는 -2~+2 범위임.
침입도(侵入度, Penetration) 아스팔트나 시멘트 등의 경도를 나타내는 수치, 규정된 온도․하중․시간에 규정된 침을 재료 속으로 수직 관입시켰을 때의 길이로 나타낸
침하도(沈下度, Settlement limit) 포장 콘크리트 반죽질기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KS F 2427의 진동대에 의한 콘크리트 컨시스턴시(반죽질기) 시험방법(포장용)으로 얻은 시험치를 초로 표시한다
카
카펫코트(Carpet coat) 포장공법으로써 가열혼합식 표면처리공법으로 오버레이공법과 같이 쇄석, 모래, 석분 및 아스팔트를 아스팔트 플랜트에서 가열 혼합하여 재래 포장위에 1.5~2.5cm의 두께로 부설하는 공법. 칼라 이음(Collar joint) 관이음의 일종. 주로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흄관이라 함)의 접속에 사용되며, 철근콘크리트제의 접환 속에 두 개의 관단을 끼워 넣고 접합 후 된비빔한 모르터를 그 공극에 넣어 접속함. 접환이음이라고도 함. 캐츠 아이(Cat's eye) 도로표지명. 야간이나 악천후시 운전자의 시선유도를 위하여 중앙분리대, 차선분리구간 등에 설치되는 도로시설물. 캔트(Cant) 선로 또는 도로의 곡선부분을 열차 및 차량이 통과할 때 원심력이 작용하여 차량이 곡선외측으로 벗어나려는 경향이 있음. 그 까닭에 곡선부에서는 외측레일 또는 도로면을 내측보다 높이 하여 원심력에 대항시켜 차량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높게 하는 정도를 말함. 도로에서는 편경사라 하며, 최대 편경사를 결정함에 있어 다음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①주행의 쾌적 및 안전 ②적설, 결빙 등의 기상조건 ③지역 구분 ④저속 주행자동차의 빈도 ⑤시공성 및 유지관리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할 때 모든 도로에 획일적으로 최대 편경사를 적용하는 것은 비합리적이므로 그 도로가 갖는 조건들을 감안하여 최대 편경사를 6~8%로 결정하였으며, 도시부 도로에서는 교차로의 접속, 횡단보도, 연도이용 및 자동차의 빈번한 정지 등을 고려하여 편경사를 설치하지 않거나 작은 편경사를 두도록 함. 컨트롤 포인트(Control point) 도로의 평면선형 또는 종단선형을 설정한 경우 그 선형을 제약하는 것. 예로 하천, 부락, 문화재, 또는 유적 등 사진측량의 표정에 필요한 위치와 달라진 점. 컬링(Curling) 처음에 직선 또는 평면이었던 부재가 곡선상으로 휘는 것. 예를 들면 크리프 또는 상하부간의 온도차에 의한 들보의 휨과 같은 것. 컬드삭(Cul-de-sac(佛)) 한쪽 끝이 막혀 있고 자동차가 끝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된 도로. 주로 주택지에 많이 사용되며, 주택지의 주거환경 유지와 자동차의 통과교통을 배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컬러포장(色-, Colored pavement) 미관상 또는 교통의 안전대책상 도로의 기능을 높이지 위해 착색한 포장 컷백 아스팔트(Cut-back asphalt) 침입도 60~120의 비교적 연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적당히 휘발성 용제를 타서 묽게 하여 점도를 낮게 하고 유동성을 좋게 한 아스팔트. 일반적으로 가솔린을 혼합한 것을 RC, 케로신을 혼합한 것을 MC, 중유를 혼합한 것을 SC라 함. 상온 혼합식 공법, 침투식 공법, 프라임 코트, 택코트 등에 사용함. 컷오프(Cut off) 갱도발파와 같이 천공이 서로 인접해 있으면 다음단의 발파공이 점폭되기 전에 먼저단의 폭발로 천공의 일부가 떨어져 절단되는 현상. 불발의 원인이 되는 외에 탄광에서는 가스 폭발의 위험을 수반한다. 케이에이(KA - Clothoid beginning) 도로의 선형에서 직선과 곡선 사이에 설치되는 완화곡선인 클로소이드의 시점. 즉, 클로소이드와 직선의 접점. 약어 : KA. 케이이(KE - Clothoid end) 클로소이드 곡선과 원호, 또는 다른 클로소이드 곡선과의 접점. 약어 : KE. 코든(Cordon) 어느 지역을 완전히 둘러싸는 것과 같은 가상의 선 코어(Core, impervious core) ① 필댐의 침투수를 차단하기 위하여 제체(堤體) 내부에 토질재료로 축조되는 불투수영역, 중심(중앙)코어, 경사코어 등이 있음 ②지반조사시 코어파이프를 이용하여 채취된 시료 ③터널굴착중 ring cut을 실시할 때 중앙에 남기는 핵 코든 O.D조사(-調査, External study) O.D 조사의 일부로 코든과 교차하는 주요도로의 노측 면접조사점에서 행하는 조사 코든 내지역(-內地域, Cordon area) 코든으로 둘러싸인 지역 코든 라인(Cordon line) 교통조사 대상지역 주변에 설치한 조사지점을 연결한 선. 대상지역과 그 주위와의 교통량 관계를 분석할 경우 설정함. 코든 조사(-調査, Cordon count) 표준이 될 만한 어느 1일간의 코든 지역내의 출입하는 모든 차량 및 인원수를 조사하는 것. 코르게이션(Corrugation) 역청포장의 표층이 포장온도가 높을 때에 유동하고 노면이 파상으로 되는 현상. 아스팔트의 표면이 물결모양의 형상으로 변형된 것을 의미함. "노면의 파상"이라고도 함. 코어채취율(-採取率, Core recovery ratio) 코어보링에 있어서 코어보링 추진길이에 대한 채취된 전 코어 길이의 비를 백분율로 표시한 비율. 암반의 상태를 평가하는 지표의 하나로, 풍화부, 갈라진 틈(균열)이 많은 부분 및 단층파쇄대 등의 채취율이 낮음. 코어회수율이라고도 함. 콘크리트 블록포장(-鋪裝, Concrete block pavement) 일정한 크기의 콘크리트 블록을 깔고 시멘트 모르터 또는 모래로써 "이음부"를 메우는 포장 콘크리트 포장(-鋪裝, Concrete pavement) 강성포장의 일종. 차량의 하중을 주로 콘크리트 슬래브의 휨강도로 지지하는 포장, 노반과 콘크리트 슬래브로 구성됨. 콘크리트포장 슬래브(-鋪裝-, Concrete pavement slab) 콘크리트 포장의 가장 윗부분에 쓰이는 30 ~33cm의 두께로 만든 슬래브 콜드 조인트(Cold joint) ①계속적으로 콘크리트를 칠 때, 먼저 친 콘크리트와 나중에 친 콘크리트 사이에 완전히 일체화가 되지 않은 시공불량에 의한 이음. ②댐 콘크리트 타설이 중단되어 다음 배치의 콘크리트를 이어치기 전에 먼저 친 콘크리트 표면이 경화했을 때 생기는 이음. 이러한 이음은 방지해야 한다. 크라운선( - 線, Crown line) 도로의 엇갈림 구간에서 진입돌출부의 끝과 진출돌출부의 끝을 연결하는 경계선 크러셔런(Crusher-run) 암석 또는 호박돌을 크러셔로 쇄석하고 체가름을 하지 않은 상태의 입도 범위가 넓은 도로포장용 재료. 크레스트(Crest) 볼록형(凸) 종단선형에 있어서 상향경사와 하향경사의 접속에 의해 생기는 마루의 부분. 크리프 한계(-限界, Creep limit) 재료를 장시간 일정한 응력하에 놓아두면 변형은 시간의 경과와 함께 크리프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증가하여 결국은 파괴에 이르지만 일정한도 이상의 응력하에서는 변형의 진행이 중단되어 이르지는 않음. 이때 응력의 최대값을 크리프 한계라 함. 크리프(Creep) 응력이 일정할 때도 연구변형도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는 형상. 예를 들어 콘크리트 부재나 높은 온도에서 금속재료의 부재에 일정하중을 가해 그대로 두면 하중을 가한 순간에 생기는 탄성변형 외에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형도가 증가하는 현상. 클로버형인터체인지(- 型 -, Cloverleaf interchange) 크로버형의 「인터체인지」. 교차부 4개의 상한(象限)에 좌회전을 위한 각각의 루프램프가 있고 그 외측에 가각 우회전을 위한 직결 연속램프가 있는 「인터체인지」 클로소이드(Clothoid) ① 클로소이드는 곡선장에 역비례하여 곡률 반지름이 감소하는 성질의 곡선으로 자동차가 일정한 속도로 주행하고 그 전륜의 회전각 속도가 일정한 경우, 이 자동차의 운동궤적은 클로소이드가 됨. 원점부터의 곡선장을 L, 그 점에 있어서의 곡률반경을 R로 할 때, R․L = A2 = 일정으로 되는 곡선. ② 등각속도로 주행하고 있는 자동차의 핸들을 등각속도로 회전시켰을 때의 주행궤적을 Clothoid 곡선이라 하며, Clothoid 곡선길이(L)와 그 점에서의 반경 R과는 반비례한다는 특성에서 A2 = R․L로 표기할 수 있는바, 여기서 'A'를 Clothoid Parameter라 한다. Clothoid Parameter의 특성으로는 길이의 Dimension을 갖으며, Clothoid의 크기를 결정한다. 클로소이드곡선( - 曲線, Clothoid curve, Euler-spiral) 도로의 평면, 선형설계시 완화구간에 사용하는 완화곡선의 한 형태. 클로소이드의 파라미터(Parameter of Clothoid) 클로소이드 일반식, 즉 R․L = K(일정)에 있어서 K = A2으로 할 때 A(단위 : m)를 클로소이드 변수화 하고, 이 A는 클로소이드의 확대율로서 A가 커지면 곡선장 L에 대하여 클로소이드 곡선이 완만해지며, 클로소이드 전체의 크기도 커짐. A = 1의 클로소이드를 단위 클로소이드라 부르고 파라미터 A의 클로소이드의 각 요소는 단위 클로소이드 각 요소에 A를 곱함으로써 구할 수 있음. 클로소이드표(-表, Table of the clothoid) 클로소이드 곡선에 대한 각 요소를 계산하여 표에 정리한 것. A의 클로소이드곡선에 대한 각 요소를 계산하여 표에 정리한 것을 단위 클로소이드표라고 함. 클리어런스(Clear -head, head-room, over-head clearance, upper clearance) 교량(橋珩) 등의 하면으로부터 수면 또는 노면까지의 유효높이.
타
타당성조사(妥當性調査, Feasibility study) 상위 계획에 대한 검토와 투자 우선 순위 결정과 같은 도로 정책적인 결정 과정을 거쳐 일단 사업 대상 노선이 선정되면, 해당 노선에 대한 경제성 검토를 통해 최적 노선을 결정하게 되는데, 이 단계에서 행해지는 조사를 타당성 조사라 한다. ① 사전계획 수립과정에서 사업실현의 가능성을 연구․조사하는 것. 타당성 조사는 댐, 고속도로, 도시재개발등 개발사업을 추진함에 있어서 기술․경제적인 면에서 그 타당성이 분석되고 있음. ② 타당성조사 단계는 사업대상 노선이 결정된 후 먼저 1/50,000 정도의 지도위에 개략적으로 지나갈 초기노선을 결정하고, 1/5,000 정도의 지도에 초기노선을 따라 비교노선을 설정한 후 각각의 비교노선을 평가하여 최적노선을 결정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타이로드(Tie rod) ① 널말뚝 흙막이공에서 널말뚝을 지지하기 위하여 널말뚝 상부 배면지반에 설치된 앵커판과 연결시키는 봉 ② 나사 등에 의해 미리 장력을 주도록 한 인장봉
타이바(Tie-bar) ①콘크리트포장 슬래브의 줄눈을 횡단하여 묻는 직경 13~16mm, 길이 70~120cm의 강봉으로 줄눈이 벌어지지 않도록 두 개의 슬래브를 연결하고 또한 줄눈부에서 요철의 발생을 방지하는 작용이 있음. ②「줄눈」에 접하여 있는 두 포장판이 서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판 두께의 1/2 깊이에 매설하는 철봉. 세로줄눈 등의 맞댄줄눈, 교합줄눈 등을 횡단하여 콘크리트 슬래브에 집어넣는 이형철근으로 줄눈이 벌어지거나 층이 지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타이어롤러(Pneumatic tire roller) 여러 개의 공기 타이어로 흙 또는 부설한 아스팔트 포장을 다지는 기계이며, 자주식과 피견인식이 있으며, 타이어의 공기압을 변화시킴으로써 접지압을 가감할 수 있음. 또 고무타이어의 점착계수는 철륜에 비해서 크므로 경사진 장소나 뿌려진 연한 흙 위에서의 작업이 용이하고, 표층전압에 편리하며, 다소 함수비가 많은 흙의 전압에도 사용할 수 있음.
탄성(彈性, Elasticity) 물체에 하중을 작용시킨후 제거하면 하중이 작용하기 전의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재료의 성질
탄성받침(彈性-, Elastic support) 반력에 비례해서 변위를 일으키는 「받침」
탄성변형(彈性變形, Elastic deformation) 탄성체에 힘을 가하면 변형이 발생되나 힘을 제거하면 그 변형이 완전히 소멸되는데 이 변형을 탄성변형이라 함.
태퍼차선( - 車線, Tapered lane) 고속주행하는 자동차가 감속해서 다른 도로로 유입할 경우와 또는 저속의 자동차가 고속주행하고 있는 자동차군으로 유입할 경우에 본선상에 다른 고속차의 주행을 방해하지 않고 안전하게 감속 또는 가속하기 위해서 설치하는 차선. 일반적으로 전자를 감속차선, 후자를 가속차선이라 하며, 설치형식에는 평행식과 직접식이 있으며, 설계속도나 종단선형, 평면선형, 교통조건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변이구간을 설정하여야 한다.
태피셔블(Tapisable) 포장의 표면처리공법 가운데 카펫 코트의 일종으로 최대입경 5mm의 부순모래, 강모래, 필요에 따라서는 석분을 가하고 침입도 180~220의 아스팔트, 특수첨가재로 된 가열혼합물임. 혼합부설의 작업성이 좋고 노면과의 접착성, 가요성, 미끄럼저항성등이 우수함. Tapis(카펫)과 Sable(모래)의 합성어.
택코트(Tack coat) 역청재료 또는 시멘트 등을 사용한 하층과 아스팔트 혼합물로 된 상층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하층 표면에 역청재료를 소량(30~50 ℓ/100㎡) 살포하는 것.
탠덤롤러(Tandom roller) 도로용 2륜 롤러. 머캐덤 롤러보다 윤하중이 작고, 주로 쇄석의 다짐과 아스팔트 포장 마감에 쓰임
탬퍼(Tamper) 진동을 이용한 소형 다짐기계로써 대형 롤러의 주행이 불가능한 좁은 장소에서 다짐작업을 하는데 적합하다.
터널 청소차(-淸掃車, ,Tunnel cleaner) 터널 벽면의 청소기계임. 터널 단면에 연하여 원호형으로 작동하는 붐(boom)과 회전브러시(brush)로 이루어진 청소장치 물탱크, 물 및 세제분사장치를 트럭새시(truck sash)에 장치한 것임. 터널 벽면에 브러시를 접착시키고 회전시키면서 물과 세제를 분사키켜 청소하며 노면보다 4m 이상의 부분은 압력수만으로 청소하는 경우가 많음. 작업을 저속으로 하기 위해서 새시에는 미션(mission)을 구비하고 조작실은 차량 후부에 장치되어 있음.
터널보링머신(Tunnel boring machine) 기계식 터널 굴착기계로써 재래의 공법과는 달리 폭약을 사용하지 않고 기기 전면을 절삭 또는 파쇄하여 굴진하는 기계임. 대체로 지반이 연약한 지역에 사용된다. 터널 보링머신은 본체, 후속설비 그리고 부대시설의 크게 세 가지로 대별되면 본체는 커터, 커터헤드, 추진 시스템, 클램핑 시스템, 후속설비는 컨베이어벨트, 광차 그리고 부대시설은 버력처리장, 정화시설, 환기시설, 수전설비, 급수설비, 배수설비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
터미널 구역(-區域, Terminal area) 공항에서 항공기가 직접 사용하는 비행장 시설과 이를 제외한 나머지 시설을 연계시키는 구역으로 항공여객과 수하물 취급시설, 화물처리 시설, 공항시설 보수 및 관리시설 등이 설치됨
터미널 비용(-費用, Terminal cost) 총 교통비용 중에 포함되는 비용의 한 가지로써 터미널에서 소요되는 하역비용, 집배비용, 창고비용, 수속비용 등을 통칭함
터미널계류장(-繫留場, Terminal apron) 터미널 전면에 설치되어 여객의 승강, 급유 등을 하는 데 사용되는 계류장 넓이는 항공기의 주기 방식, 항공기의 종류 및 첨두시의 발착(發着)횟수와 계류장상의 계류 시간에 좌우됨.
터프니스시험(-試驗, Toughness tenacity test) 주로 고무를 넣은 아스팔트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규정된 큰 금속반구를 구면을 아래로 하여 시료중에 넣고 이것을 규정온외 속도로써 꺼낼 때 반구에 걸리는 하중과 변위를 기록함. 하중은 처음에는 높은 산 모양 부분의 면적을 터프니스, 산둘레 부분의 면적을 테나시티(점착력)라 각각 부르며 kg․cm 단위로 표시함. 스트레이트 아스팔트(pen 80~100)의 터프니스테나시티는 각각 40kg․cm 전후, 8kg․cm 이하, 고무아스팔트에서의 55kg․cm 전후, 25kg․cm 이상의 값을 나타냄
턴키(Turn key) 플랜트 수출이나 대형공사, 해외건설공사 등에서 계약방식의 일종으로 일괄수주 계약이라고도 한다. 즉, 키를 꽂아 돌리면 모든 설비가 가동되는 상태로 인도한다는 뜻으로 조사, 설계, 기기 조달, 건설, 시운전까지 모두를 행하는 방식. 토목공사부터 공장건물, 부대시설 등 모든 것을 포함하는 것을 강조해서 풀(full) 턴키라고도 한다.
테이퍼(Taper) ① 들보 등과 같은 일차원 부재에서 부재의 단면이 변하는 것. ② 본선에서 합류 또는 분류하는 변속차선 등이 본선과 접속하는 부분으로 너비가 변하는 부분.
텐던(Tendon) 긴장재
토취장(土取場, Borrow pit) 토공에 있어 흙이 부족한 경우 흙을 채취하는 장소.
토페카(Topeca) 세립식의 아스팔트 혼합물에 속하고 골재의 최대입경 10~13mm, 2.5mm체 통과량 65~80%인 것. 조골재가 입수 곤란한 지방에서 아스팔트 포장의 표층에 이용되지만 중교통 포장에는 적합하지 않음.
통행(通行, ① Travel ② Trip) ① 승객이나 화물이 목적지에서의 활동을 위해 출발지에서 출발하여 목적지에 도달하는 행위인 통행(트립)의 묶음을 의미함.
② 승객이나 화물이 목적지에서의 활동을 위해 출발지에서 출발하여 목적지에 도달하는 행위의 한 단위를 의미함.
통기대(通氣帶, Zone of aeration, underated zone) 지표면과 지하수면 사이의 토양층으로써 토양공극내에 공기와 수분이 함께 함유되어 있는 불포화수대를 말하며, 이는 다시 토양수대, 중간수대 및 모관수대로 나눌 수 있음
통과 신호기(通過信號機, Passing signal) 출발신호기에 종속하는 원방신호기로 장내 신호기의 하위에 설치하며 장내 신호기의 위치에서 그 열차에 대하여 그 정차장의 통과 가부를 예고하는 신호기
통과검사선(通過檢査線, Screen line) 연구대상 지역을 가로지르는 가상적인 선으로써 이 선과 도로가 만나는 지점에서 교통량 조사 및 노측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통행 조사자료의 정확도를 검증함.
통과교통(通過交通, Through traffic) 어느 교통지구 혹은 도로에 기․종점의 어느 한쪽도 가지지 않는 교통. 즉, 해당구간의 도로를 통과만 하는 교통. 교차로 접근부에서는 직진교통을 의미하기도 함.
통과높이(通過高 , Clearance) 도로 위에서 차량이나 보행자의 교통안전을 보호하기 위하여 어느 일정한 높이의 범위내에서 장애가 될만한 시설물을 설치하지 못하게 규정한 높이
통일분류법(統一分類法, Unified soil classification system) 흙의 판별분류법의 일종으로써 A. Casagrande가 비행장 노상토의 분류를 위해 고안한 AC 분류법에서 발달된 분류법. 분류의 기준은 입도와 컨시스턴시가 있음. 우선 조립토는 입도에 따라서 8종류, 세립토는 컨시스턴시에 의해 6종류로 분리되고 그 밖의 다른 관찰에 의해 판별되는 유기질토 1종류 등 모두 15종류의 흙으로 구분되고 있음. 각각의 명치은 알파벳의 두 문자를 조합시켜 표시하며 첫 번째 문자는 흙의 종류를, 두 번째 문자는 흙의 입도, 소성, 압축성 등을 나타냄.
통행-시설비용절충(通行-施設費用折衝, Trade-off be-tween travel and facility cost) 통행시간비용과 통행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설비용의 절충을 분석하여 비용효과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기법
통행가치(通行價値, Trip value) 통행에서 얻어질 수 있는 효용을 화폐단위로 환산한 개념.
통행교차모형(通行交叉模型, Trip-interchange model) 교통수단 선택모형의 한 종류로써 통행이 배분된 상태에서 교통수단의 서비스 특성에 의해 교통수단 선택을 추정하는 모형.
통행길이(通行 - , Trip length) 사람이나 화물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통행한 거리(혹은 시간)를 말함.
통행단(通行端, Trip end) 통행은 하나의 출발지(기점)와 목적지(종점)를 가지게 되는데 이 출발지와 목적지를 통행단이라 함.
통행단모형(通行端模型, Trip end model) 교통수단 모형의 한 유형으로 통행발생 후 바로 교통수단을 선택한다는 개념을 사용한 모형.
통행료 재정(通行料財政, Toll financing) 통행료를 징수하여 도로시설을 위한 재원을 확보하는 것. 또는 확보된 재원
통행료 책정(通行料策定, Toll pricing) 유료도로 통행료를 정책적으로 결정하는 것. 또는 결정되는 정책.
통행료(通行料, Toll) 교통시설의 자금조달 또는 통행수요 억제의 수단으로 특정 교통시설을 공급한 집단이 해당 시설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부과하는 일정 금액을 말함. 통행목적(通行目的, Trip purpose) 통행을 하는 주요한 이유(통근, 통학, 업무, 친교, 퇴근, 오락 등)
통행발생(通行發生, Trip generation) 특정 지점이나 지역을 기점 또는 종점으로 하는 통행의 수 또는 이를 산정하는 것.
통행배분(通行配分, Trip assignment) 각 기․종점간 통행량을 주어진 교통망(도로망, 대중교통노선망등)상의 어떤 경로(path) 또는 노선(route)에 할당하는 것.
통행분포(通行分布, Trip distribution) 각 교통지구에서 유출되는 통행량(Trip production)을 유입될 수 있는 교통지구에 할당하는 것.
통행비용(通行費用, Travel cost) 통행에 수반되는 제반 비용. 통행시간비용을 포함시키기도 함
통행속도(通行速度, Travel speed) 통행한 총거리를 통행시간으로 나눈 값으로써 전 구간에 걸친 평균속도
통행수요(通行需要, Travel demand) 개인이나 사회 또는 특정 건물이나 지역의 통행 요구량.
통행시간(通行時間, ① Travel time ② Trip time) ① (차량) 차량이 어느 구간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총시간(정지 및 지체시간 포함). ② (이용자) 여행시간.
통행시간지체(通行時間遲滯, Travel time delay) 실제 총통행시간과 혼잡하지 않은 상태에서 평균속도로 주행할 때의 소요시간의 차이.
통행예측(通行豫測, Travel forecasting) 교통계획에서 장래의 사회․경제적인 여건변화. 즉, 장래인구, 인구구성요소, 토지이용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따른 교통수요의 변화를 예측하는 기법.
통행유입(通行流入, Trip attraction) 어떤 지점이나 지역에서의 현재 및 장래 토지이용에 의해 그 지역으로 들어오는 1일 통행의 수.
통행유출(通行流出, Trip production) 어떤 지점이나 지역에서의 현재 및 장래 토지이용에 의해 타지역으로 나가는 1일 통행의 수. 또는 통행유입까지를 포함한 통행의 수.
통행저항(通行抵抗, Impedance) 교통 링크상의 교통량을 제한할 수 있는 용량제한, 높은 통행비용, 거리등의 조건.
통행지불(通行支拂, Travel payment) 통행료, 유류비 등 통행에 실질적으로 소요되는 비용
통행패턴(通行-. Travel pattern) 승객이나 화물의 통행형태, 지역이나 부류에 따라 구분될 수 있으며, 유사하거나 구별될 수 있는 통행형태를 통행패턴이라 함.
통행행렬(通行行列, Trip Matrix) 출발지(Origin)와 도착지(Destination)별로 통행량을 구분․정리해 놓은 표로, 일명 O/D표라고도 함.
통행효용성(通行效用性, Trip utility) 통행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각 개인의 효용을 총칭함. 경제학의 효용함수에서 기인한 것으로 효용을 최대로 할 수 있는 통행수단을 선택하는 수단선택모형의 기반을 제공함.
퇴적암(堆積岩, Sedimentary rock) 흐르는 물이나 바람, 조류 등에 의하여 운반된 암, 암편, 생물 등이 수면 아래, 육상에서 침적되어 생성된 암석, 수중에서 화학적 침적작용에 의하여 침전된 암석을 포함. 운반력에 따라 수성암, 풍성암으로 구분되며 구성입자의 입도에 따라 역암, 사암, 이암으로 구분됨. 또한 침적장소에 따라 육성암, 호성암, 해성암으로 구분됨.
퇴적토(堆積土, Transported deposit/soil) 흙은 주로 암석의 풍화물로부터 형성되지만 이들 가운데 원위치로부터 유수, 중력, 바람, 빙하 등의 운반작용에 의하여 모암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퇴적된 흙을 말함. 퇴적토는 이동방법에 따라 사면에 붕락되어 퇴적되는 붕적토, 하천에 의해 운반된 충적토, 빙하에 의해 운반된 빙적토, 바람에 의해 운반된 풍적토 등으로 세분됨.
투수성아스팔트(透水性-, Porous asphalt) 특수한 포장의 일종으로써 투수성 포장을 위한 아스팔트 혼합물로써 10~2cm/sec 정도의 높은 투수계수를 갖고, 일반적으로 공극률을 높이기 위하여 잔골재를 거의 포함하지 않는 비교적 단립도의 혼합물임.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개질 아스팔트를 사용하기도 함.
투수성포장(透水性鋪裝, Porous pavement) 투수성 포장이란 포장체를 통하여 빗물을 노상에 침투시켜 흙속으로 환원시키는 기능을 갖는 포장을 말함. 이 포장은 보도, 자전차도, 경교통이 통과하는 차도 및 주차장, 구내포장 등에 이용됨.
트래피커빌리티(Trafficability) 작업구간에서의 장비의 작업성에 관계되는 말로써 흙 또는 지반이 연약하면 차량의 주행성이 나빠지므로 기계작업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흙의 능력이 필요한데 이를 흙의 트래피커빌리티라고 함. 토공에 있어서 지표면의 강도가 시공기계의 주행에 견디는 정도로서 일반적으로 지표면을 콘지수에 의하여 판정함.
트랜싯믹스트콘크리트(Transit mixed concrete) 배치플랜트에서 계량된 재료를 트럭믹서에 싣고, 목적지 까지 운반하는 도중에 또는 도착시에 비비기를 완료한 콘크리트.
트러스아치교(-橋, Trussed arch bridge) 아치리브가 트러스 형태로 이루어진 아치 교량
트럼펫형입체교차로( -形 立體交叉路, Trumpet inter-change) 3지교차의 대표적인 형식중의 하나인 입체교차로로 트럼펫 모양을 하고 있음.(트럼펫형, 2중 트럼펫형, 트럼펫형 + Y형 등이 있음.)
트렌치(Trencfh) 지중에 폭보다도 깊이가 깊고 좁고 길게 굴착한 도랑.
특수하중(特殊荷重) 교량의 주요구조부를 설계하는 경우에 교량의 종류, 구조형식, 가설지점의 상황 등의 조건에 따라 특별히 고려하여야 하는 하중의 총칭이다.
티씨알(TCR) ①도로의 평탄성을 표시하는 지표의 하나로써 Total Cumulative Roughness의 약어 색인식 측정륜 상하의 변동량을 카운터로 가산 기록하여 총 합계를 측정거리로 나눈 것으로써 단위는 cm/km 이며 고속도로에서 사용할 수 있음. ② Total Core Recovery Ratio(코어회수율)
티알알엘(TRRL - Transport and road research laboratory) 영국의 환경청 부속연구소로 도로 및 교통에 관한 시책의 입안을 위한 정보제공과 기술개발 등 도로, 도로교통, 구조물, 교토안전, 교통체계, 교통운영의 각 부문에서 뛰어난 연구성과를 올리고 있음. 티에이(TA) 포장을 표층용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로 환산한 두께
티형 입체교차( -形 立體交叉, T - junction) 주교통량을 고가 또는 지하차도로 처리하여 좌회전 교통량과의 상충을 없앤 3지 교차형식.
티형 평면교차( -形 平面交叉, T - intersection) 주교통과 좌회전 교통을 분리하지 않고 신호등 체계로만 교통을 처리한 3지 교차형식.
파
파괴(破壞, Failure) 극한강도를 초과하는 하중이 구조물이나 부재에 재하될 경우 부재가 분리되거나 큰 변형이 발생하여 구조물의 기능을 상실하는 것.
파괴강도(破壞强度, Ultimate strength) ①파괴시의 응력, 즉 파괴시의 하중을 공시체의 처음 단면적으로 나눈 값. ②인장시험시 시험편이 파단된 때의 하중을 파단되기 전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
파괴계수(破壞係數, Modules of rupture) 재료가 파괴할 때까지의 탄성체로 보아 보통 탄성공식으로 계산한 최대응력. 파괴점에서의 파괴응력과 구별할 때 사용한다.
파괴안전률(破壞安全率, Safety factor for ultimate load) PC 부재가 파괴되는 하중과 설계하중의 비(比). PC부재에서는 하중과 응력이 비례하지 않기 때문에 설계하중 작용시 응력도를 검토, 파괴안전률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파괴포락선(破壞包絡線, Failure/reputure envelope) 재료가 파괴될때 응력을 나타내는 모어(Mohr)응력원의 포락선으로 재료에 가해질 수 있는 응력의 상태는 이 포락선내에 존재함. 흙의 경우는 삼축압축 시험결과로 얻을 수 있음.
파괴하중(破壞荷重, Breaking load) ①물체가 파괴된 때의 하중. ②하중이 허용하중을 넘어서 점점 증가하면 응역도는 소성의 범위에 들어가고 따라서 변형도 크게 되며 파괴되고 만다.
파단(破斷, ①Rupture, ②spilt web at rail end) ①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가 파괴되어 연속성을 잃게 되는 상태. ②응력 집중의 현상에 의하여 이음매 볼트 부근에서 발생하는 방사선형 균열.
파라핀방수(-防水, Paraffin waterproofing) 파라핀(백색 반투명의 납상 고체, 비중 약 0.9, 융점 45~65℃, 메탄계 탄화수소의 혼합물)을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하는 물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공법. 지상 구조물의 방습 및 방수공으로 쓰인다. 파라핀을 열로 용해하여 사용하는 방법, 벤진 또는 벤젠으로 녹여서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파상표면(波狀表面, Corrugation) 아스팔트 포장의 파손형태의 포장의 표층이나 기층 통과하중의 상태 등 여러 가지 불합리한 요인에 의하여 횡 방향의 요철(凹凸)이 연속하여 있는 것. → 「코루게이션(corrugation)
파쇄골재(破碎骨材, crusher run aggregate) 파쇄기로 파쇄한 채 아직 체가름을 하지 않은 골재
파쇄대(破碎帶, Fractured zone) 단층에 따르는 폭 수cm~수십 m의 암석이 파쇄된 대상부 또는 암석의 파쇄․압쇄된 폭 수백~수천m의 대상부를 말함. 전자의 소규모 파쇄대는 댐 등 구조물 기초의 지지력, 힘전달, 또는 절토의 안정 등에 유송토사, 땅깎기, 흙쌓기의 안정성 등에 문제가 발생되며 파쇄대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고 파쇄대내의 각부에서 상이한 특성을 나타내며 주로 하천에 연하여 존재하는 수가 많음.
파쇄시험(破碎試驗, Aggregate crushing value test) 정적인 하중으로 압축시킬 때의 골재의 파쇄에 대한 저항성을 평가하는 시험임. 내경 15cm 정도의 강제원통에 시료를 다진 다음 플랜저를 끼우고 약 40t의 하중을 가함. 파쇄 후의 2.5mm 체 통과분을 백분율로 표시하여 파쇄치로 함.
파쇄암(破碎岩, Clastic rock) 지질분리면 즉 절리, 층리, 균열 등이 발달하고 있는 경우 이들 분리면이 연속적으로 존재하며 암반이 독립된 암괴집합체로 생각할 수 있는 경우의 암반으로 암반은 인장강도가 존재하지 않고 전단강도는 흙에서와 같이 점착력과 내부마찰각으로 표시
파열(破裂, ①Repute ②bursting) ①물체에 외력을 가하면 변형이 생기며 외력을 차츰 증가시키면 결국 재료의 일부가 몹시 변형되거나 파단되는 현상. ②내압에 의한 원주방향의 응력에 의해 용기 또는 관이 찢어지는 것.
파이버콘크리트(Fiber reinforced concrete) 모르터 또는 콘크리트 속에 강섬유를 분산시키는 복합재료 콘크리트, 섬유보강 콘크리트로는 강섬유보강콘크리트, 유리섬유, 석면, 유기섬유, 탄소섬유 등이 있으며 강섬유나 유리섬유를 사용한 보강콘크리트는 주로 강도와 인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대하여 유기질의 합성섬유를 사용한 보강콘크리트는 엷은 부재의 건조수축, 균열의 제어 및 내충격성의 형상이 목적임
파이지표(-指標, Ø - index) 어떤 호우(豪雨)의 우량주상도(雨量柱狀圖)상에서 총강우량과 손실우량을 구분하는 수평선에 대응하는 강우강도로 이는 곧 이 호우가 발생한 유역에 있어서의 평균 침투능을 의미함
파이프루프공법(Pipe roof method) 지반에 대한 보강공법의 일종으로 터널이나 지중굴착 전에 일정 규모의 강관을 지중굴착 예정단면 주위에 소유 보링방식에 의한 소구경관을 일정간격으로 천공, 설치하고 일련의 강관 보강층을 형성시켜 강관의 빔작용에 의하여 지반의 이완 및 하중 경감효과를 얻어 굴착면의 붕락 및 지반변위 등을 미연에 방지하는 공법임.
파크웨이(Parkway) 도로 또는 연도지대를 공원처럼 꾸미고 때로는 공원간을 연결한다. 산책용 또는 자전거, 승용차의 회유용 도로. 출입제한이 전면적 또는 부분적으로 행해진다.
파킹미터(Parking meter) 주차된 차의 주차시간을 기계적으로 측정하는 장치. 주차가 시작될 때 동전을 넣어 작동시킨다.
파킹에리어(Parking area) 휴게시설의 일종으로 단시간에 걸친 차량의 점검, 정비 및 운전자의 피로회복을 위한 시설.
파형강관(波形鋼管, Corrugated steel pipe) 아연도금한 구조용 강판에 일정 규격의 골을 성형하여 제작하였으며 내구성과 유연성이 뛰어나고 시공성이 우수하여 지중암거, 배수 및 오수관, 여수로, 저류설비 등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열연강판에 용융아연도금처리를 할 수 있는 산세도금설비(PGL)를 갖춘 후부터 파형강관을 생산하고 있으며, 도로 암거 및 단지의 배수시설물 등으로 이용하고 있다.
판형(鈑珩, Plate girder) 강판만으로 또는 강판과 L형강으로 합성된 I형 단면의 보 - 플레이트 거더.
판단시간(判斷時間, Driver judgement time) 운전자가 어떤 사태를 지각하면서부터 반응하기까지 속도와 교통조건을 고려하여 그 사태를 판단하는 것에 소요되는 시간.
판단시거(判斷視距, Decision sight distance) 운전자가 전혀 예측하지 못했거나 인식하기 어려운 장애물 혹은 교통정보를 감지하여 적절한 속도 및 주행경로를 결정하여 차량을 안전하게 조작하는데 필요한 거리.
패러핏(Parapet, breast wall, parapet wall) ①교량구조에서 교대의 상부 내외측 본체에 이어서 만든 벽체. ②해안에서 파도의 비말(飛沫)이 육지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설치한 흉벽
패칭(Patching) 포장의 작은 구멍이나 균열 등의 파괴가 생긴 부분을 파헤쳐 역청 혼합물, 콘크리트, 모르터 등이나 침투식 공법으로 메워서 포장의 평탄성을 회복하여 파손을 수리하는 공법
팩 드레인공법(Pack drain method) 연약지반 개량공법의 일종으로써 가장 안정적인 공법으로 평가받는 샌드드레인공법(sand drain method)은 타 공법에 비하여 공사비가 매우 비싸며, 30m 이상의 대심도 연약지반 개량시 배수모래기둥이 절단 또는 유실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만일 절단 또는 유실되었을 경우 지반자체의 개량이 부실한 시공이 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공법이 배수모래기둥 주변을 토목섬유(팩망)로 보호해주는 팩드레인(Pack drain) 공법이다. 이 공법은 배수모래기둥이 팩망으로 보호를 받으므로 샌드 드레인(sand drain) 공법에 비하여 작은 직경의 배수모래기둥이 가능하고, 연약지반 개량시 절단 또는 유실의 가능성이 거의 없는 우수한 공법이다.
팻 페이퍼시험(-試驗, Pat paper test) 아스팔트량의 적부를 현장에서 조사하는데 이용하는 시험방법. 포장전의 아스팔트 혼합물을 종이 한 장에 싸서 두들겨 조사함.
팽상(膨上, Heaving) 연약한 점성토지반을 굴착할 경우 굴착된 외측의 흙의 중량으로 인하여 굴착부 저면의 흙이 활동 전단파괴를 일으켜 굴착된 내측방향으로 이동하여 굴착저면의 흙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말함.
팽창균열(膨脹龜裂, Expansion crack) 시멘트의 안정성 시험에서 유리석회 및 산화나트륨으로 인한 팽창에 의하여 용기에 생기는 균열
팽창성 지반(膨脹性地盤, Swelling ground) 공기 또는 물과 접촉하여 화학반응을 하거나 팽창현상 등에 잘 부상(浮上)되는 지반을 말함. 팽창성 지반은 물을 흡수하여 결정되는 광물, 산화되기 쉬운 광물, 그리고 팽창성을 갖는 점토광물을 함유하는 경우가 많음. 일반적으로 팽창성을 나타내는 암종으로는 혈암, 이암, 온천여토, 장석, 운모, 휘석 등을 함유한 풍화암, 사문암으로써 그 팽창성의 크기와 방향은 다양함.
팽창시멘트(膨脹-, Expansive cement) 경화할 때 팽창하는 시멘트. 이 시멘트를 사용하면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을 방지시킬 수 있음. 특히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서는 콘크리트의 팽창에 의해 프리스트레싱 강제에 임의의 방향의 프리스트레스를 줄 수 있음.
팽창압력(膨脹壓力, Swelling pressure) 점성토와 같은 흙이 팽창하면 간극비는 증가하는 반면 전단저항은 저하하게 됨. 이와 같이 팽창하는 점토의 체적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필요한 압력을 팽창력이라 함. 이 압력은 수 kg/㎠ 이상이 되는 경우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입자배열이 불규칙한 구조의 경우가 배향구조의 경우보다 높음.
팽창제(膨脹劑, Expansion agent/admixture) 시멘트에 혼합되는 혼화재로써 시멘트풀로 공극을 메울 때 빈틈없이 메우고 블리딩에 의해 생긴 물을 밀어 없애는 것이 좋음. 이 때문에 그라우트에 팽창성을 줄 때가 있으며 팽창제는 일반적으로 시멘트풀로 공극을 메울 때 알루미늄 분말 등과 같이 팽창성을 주기 위하여 사용한다.
팽창줄눈(膨脹-, Expansion joint) 콘크리트 포장슬래브가 팽창, 수축할 수 있도록 만든 줄눈. 도로에서는 가로줄눈으로 만드는 경우가 많고 줄눈간격은 30~120m, 줄눈폭은 10~20m 이다. 슬립바로 보강하여 응력의 완충과 지수(止水)를 위하여 줄눈판과 주입 줄눈재료를 삽입함.
팽창토(膨脹土, Expansion/swelling soil) 물과 접촉하여 화학반응을 일으키거나 잘 부상되는 흙. 이 흙은 물을 흡수하여 포함된 광물, 산화되기 쉬운 광물이나 팽창성을 갖는 점토광물을 함유하는 경우가 많음.
펀칭 전단(-剪斷, Punching shear) ①기둥의 상단 또는 하단의 슬래브 두께와 기둥둘레의 곱, 또는 슬래브 두께의 1/2의 거리만큼 기둥 주위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의 둘레와 슬래부 두께의 곱으로 기둥의 하중을 나누어 산출한 전단응력. ②대단히 느슨한 모래지반에 기초를 설치한 경우 흙이 가라앉기만 하고 부풀어오르는 현상은 나타나지 않는 파괴가 일어나는데 이를 펀칭전단파괴라 함. -관입전단파괴.
펌핑(Pumping, mud pumping) 보조기층이나 노상의 흙이 우수의 침입과 교통하중의 반복에 의해 이토화하여 줄눈 또는 균열을 통해 노면으로 뿜어져 나오는 현상.
페데스탈말뚝(Pedestal pile) 현장치기 콘크리트 말뚝의 일종. 내외의 이중강관의 끝에 콘크리트제 또는 수제슈(shoe)를 끼워서 소정의 깊이까지 때려 박은 다음 외관과 내관 사이로 콘크리트를 다지면서 외관을 빼내 말뚝을 만듬.
페이퍼드레인공법(Paper drain method) 연약점토층 중에 종방향으로 종이 드레인(drain)을 삽입하여 압밀을 촉진시키는 지반개량공법으로 샌드매트 공법과 병행하여 시공하면 효과적이다.
페인트코트(Paint coat)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시 아스팔트 혼합물을 부설하기 전에 다이크 등의 인접구조물 또는 기설 혼합물층의 측면에 접착과 방수를 위해 아스팔트 유제 등을 도포하는 것. 콘크리트 구조물에 부착하지 않도록 미리 석분에 물을 타서 도포해 둘 것.
편경사변이구간(偏傾斜變移區間, Superelevation runoff) 도로배수를 위해 양측으로 횡단경사를 가진 포장면이 평면 곡선부에 설치된 편경사로 점차 바뀌기까지의 또는 그 반대인 경우의 변이구간.
편구배(경사)(片句配, Superelevation, cant) 도로의 포장면 등 노면의 배수를 위하여 도로 중심선에서 갓길을 향해 1.5~2% 정도의 횡단경사를 준다. 곡선구간에서 차량이 주행할 때 주행속도에 따라 원심력을 받아 차량은 노면과 타이어의 마찰력에 의거 주행을 계속할 때 차내의 사람은 곡선의 외측으로 힘을 받아 불안정해진다. 따라서 원심력과 차량 자중의 합성방향으로 차량의 기울기를 잡아주기 위해 노면의 일정방향으로 편경사를 주게 된다. 편경사를 주었을 때에는 실제속도보다 현저히 서행하면 오히려 차량은 안쪽으로 들어가게 된다. 조건에 따라 많은 곳은 6~10% 까지 주며, 곡선 완화구간에서는 횡단경사에 덧붙이는 경우도 있다.
편리(片理, schistosity) 변성암, 특히 결정편암에 현저히 발달한 평행구조로 암석이 박판 혹은 렌즈모양의 판으로 평행하여 벗겨지기 쉬운 성질을 가짐. 결정편암이나 천매암과 같은 광역변성암에 발달된 좁은 간극의 분리면이며 표면에 어느 특정 방향에 선상으로 늘어선 가는 주름을 말함. 변성암에서 편상조직이라고도 하며 운모, 녹니암, 흑연, 활석, 각섬석 등의 인편상태 또는 장주상태의 광물이 층상 또는 렌즈상으로 되어 평행배열하는 조직을 말함.
편마모(片磨耗, Partial side wear) 곡선이 급한 부분에서 노면과 차륜이 접촉면적이 적은 상태에서 곡선 외측 노면에 발생하는 마모
편심압축재(偏心壓縮材, Eccentrically loaded comprression member) 편심 축하중을 받는 압축부재로써 축방향 압축력과 휨모멘트가 동시에 발생함.
편심하중(偏心荷重, Eccentric load) 단면의 도심으로부터 편심을 가지고 작용하는 하중
편압(偏壓, declinating pressure) 좌우대칭이나 평형이 아니고 한쪽으로 기우러져 작용하는 압력을 말함. 터널의 지보공이나 라이닝은 좌우대칭 하중에 유효한 형상으로 설계되어 있으므로 편압에 대하여는 그 대처에 주의를 요함. 피복이 얕고 지표면이 경사져 있는 경우나 지층이 경사져 있을 때, 그리고 팽창성 지반에 일어나기 쉬우므로 필요에 따라 압성토(壓盛土)나 보호절취(保護切取), 편압보강(偏壓補强) 콘크리트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함.
편익 / 비용비율(便益費用比率, Benefit cost ratio : B/C) 편익/비용비율은 할인된 총편익과 총비용의 비율을 말한다. <공식> B/C의 값이 1.0이상이면 경제성이 있다고 평가되지만 비용과 편익항목의 구분여하에 따라 비율이 다르게 나타난다. 이론적으로 반복비용(annual cost)은 비용항목으로 취급되지만 I년도의 순편익은 편익에서 반복비용을 뺀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편입/비용비율과 순편익/비용비율(Net Benefit cost ratio)은 다르며 이 같은 차이는 반복비용이 클 경우 크게 나타난다.
편익(便益, Benefit) 투자사업을 시행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여러효과중 수송비용 또는 국가경제적 비용의 절약이나 만족감의 증대와 같은 이익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직접편익과 간접편익, 이용자 편익과 비이용자 편익, 계량화가능 편익과 계량화불가능 편익이 있다.
편익비용분석(便益費用分析, Benefit cost analysis) 어떤 사업을 완성하는데 소요되는 비용과 사업 완성 후에 예상되는 편익을 계산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그 사업의 경제성을 분석하는 기법.
편익비용비(便益費用比, Benefit cost ratio) 공공사업의 비용편익 분석에 널리 이용되는 평가기준의 하나로써 사업대안을 시행후 발생한 편익과 시행하는데 필요한 비용에 대한 비율.
편절편성(片切片盛, Cutting and embankment) 도로를 비탈면에 건설한 경우 횡단면에서 높은 비탈면을 절토하고 그 절토량을 얕은 비탈면에 성토하는 것.
편책공(編柵工, Net hurdling) 식생(植生)으로 비탈면을 안정시키고자 할 경우 식생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비탈면에 편책을 설치하여 보강하는 공법. 편책으로는 나무말뚝, 파이프 등의 여러 가지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평균도로속도(平均道路速度, Average highway speed) 각 구간별 설계속도를 그 구간길이에 대해 가중 평균한 값. 설계속도가 변하는 긴 구간의 설계속도를 대표함.
평균부착응력(平均附着應力, Average bond stress) 철근에 작용하는 힘을 철근의 주장과 묻힌 길이의 곱으로 나눈 값.
평균일교통량(平均日交通量, Average daily traffic) 도로의 한 지점에 대한 24시간 평균교통량으로서 1년중 일부기간에 조사한 교통량을 기준으로 하여 산출함. 약어 : ADT.
평균정지지체(시간)(平均 停止遲滯(時間), Average stopped-time delay) 한 접근로 차량의 총 정지지체(시간)을 차량수로 나눈 값으로써, "초/대"의 단위로 표시되며 신호 교차로의 서비스 수준을 평가하는 지표로 사용됨
평균주행속도(平均走行速度, Average Running Speed) 구간평균속도(Space Mean Speed)라고도 하는데 일정도로 구간을 주행하는 차량통과시간 관측에 의한 교통류의 속도 측정방법으로 구간거리를 평균주행시간으로 나누어 구한다. 주행시간이란 차량이 움직이고 있은 시간만을 의미하며 멈춤으로 인한 지체시간은 포함하지 않는다.
평균통행(운행)속도(平均通行速度, Average travel speed) ① 도로구간의 거리를 일정시간동안 통행한 차량의 평균통행시간(혼잡, 지체시간 포함)으로 나눈 값으로서, 공간평균속도와 같음. ② 어떤 도로구간의 길이를 이 구간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평균통행시간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이 때 평균통행시간은 자동차가 통행중에 정지하는 것까지 포함한 시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평균통행속도의 계산에는 고정된 교통방해시설(교통신호등, 정지표지, 양보표지등)이나 교통혼란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통행시간이 포함된 총 통행시간을 사용한다. 교통혼란이 없는 상태에서 평균통행속도와 평균주행속도 (Average running speed)는 같다.
평떼(平芝, Turf) 폭20cm, 길이 20cm를 최소로 하고 두께 5~7cm를 표준으로 하여 산지의 부식토와 함께 잘라낸 떼. 경사면 보호에 쓰인다.
평면곡선반경(平面曲線半徑, level crossing radial) 자동차가 평면곡선부를 주행할 때에는 원심력에 의하여 자동차는 곡선 바깥쪽으로 힘을 받게 되며 이때 원심력은 자동차의 속도 및 중량, 평면곡선반경, 타이어와 포장면의 횡방향 마찰력 및 편경사와 관련하여 자동차에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평면곡선부를 주행하는 자동차에 작용하는 힘의 요소들에 대하여 주행의 안전과 쾌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횡방향미끄럼마찰계수와 편경사의 값으로 설계속도에 따른 평면곡선반경을 산정하게 된다. 이때 직선부에서와 같이 안전하고 쾌적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횡방향미끄럼마찰계수와 편경사 값이 결정하게 되므로 두 요소는 주행의 안전과 쾌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기본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평면교차(平面交叉, Level crossing) 도로가 접속도로등과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교차하는 것을 말하며 평면교차로를 계획할 때 교차로의 인지성, 조망성, 이해성과 통행성 등의 기본적인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한다.
평면구조물(平面構造物, Plane structure) 각 부재 및 이것에 작용하는 외력이 모두 한 평면 내에 있는 구조물. 구조물은 거의 입체지만 이것을 3차원적으로 취급하기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수반되는 수가 많으므로 그 내하(耐荷)기구에 따라 주체 구조물을 평면구조로 분해하여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평면선형(平面線形, Horizontal alignment) 도로의 중심선이 평면적으로 그리는 연속된 형상. 도로의 평면선형은 경제적 여건이 허락하는 한도내에서 주행의 안전, 쾌적 및 연속성을 고려하여야 하며, 그 도로의 설계속도에 따라 자동차가 주행하기에 무리가 없도록 직선, 원곡선, 완화곡선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 세가지 요소는 적절한 길이 및 크기로, 연속적이며 일관성이 있는 흐름을 갖도록 하여야 하며, 특히 평면곡선부인 원곡선과 완화곡선 구간에서는 설계속도와 평면곡선반경의 관계는 물론 횡방향미끄럼마찰계수, 편경사, 확폭 등의 설계요소들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평면주차장(平面駐車場, Parking lot) 장외 주차장의 한 유형으로 넓은 공지에 평면으로 여러 대의 차량을 주차시키기 위한 시설.
평지부(平地部, Level terrain) 종단경사, 평면선형 및 종단선형의 조합에서 중차량이 승용차와 거의 같은 속도로 주행할 수 있는 지형으로, 일반적으로 종단경사가 2% 이하의 짧은 경사구간을 포함함.
평탄성(平坦性, Evenness, roughness, surface irregularity) 노면이 얼마나 평탄한 지를 나타내는 값으로써 도로에서의 승차감을 표현하는 척도 사용.
평판재하시험(平板載荷試驗, Plate bearing test) 지반의 원위치에 있어서 평활한 재하판을 통하여 하중을 가하고 이 하중의 크기와 재하면의 변위와의 관계에서 지반계수나 지반강도를 구하는 시험. 구조물의 기초, 도로의 노상 등의 지내력을 구하는 시험.
평행주차(平行駐車, Parallel parking) 주차방법의 하나로써 인접 교통류의 방향에 대하여 차량의 주차방향이 평행한 주차형태를 말하며, 다른 형태로는 사각(斜角)주차와 직각주차가 있음.
평형철근비(平衡鐵筋比, Balanced steel ratio) 허용응력설계법으로 설계된 철근콘크리트 부재에서는 콘크리트 및 철근의 응력이 동시에 각각의 허용응력에 도달하도록 한 철근비이고, 극한강도설계법에서는 콘크리트의 압축변형률이 0.003에 도달함과 동시에 철근이 항복하도록 한 철근비임. → 균형철근비.
평형토공(平衡土工, Balanced earthworks) 토적곡선에 볼록한 곡선부나 오목한 곡선부의 기선과 만나는 평형점 사이의 코공량으로 곡선의 꼭지점에서 기선에 이르는 연직선의 크기로 나타냄. 토공사에 있어서 절토와 성토가 균형을 이루는 것.
포그실(Fog-seal) 노후된 아스팔트 포장표면의 소성과 작은 균열 등을 메울 목적으로 아스팔트유제만을 엷게 살포하는 공법으로 가장 일반적인 방법임. 특히 교통량이 적은 곳에 사용시 효과가 있음.
포그코트(Fog coat) 물로 2~4배 묽게 한 아스팔트 유제를 0.8L/㎡ 이하의 비율로 살포하는 공법. 주로 오래된 포장의 실(seal)이나, 노상혼합식 공법의 실에 사용됨.
포설(鋪設, Paving) 포장재료를 펴 고르고, 전압 등의 마무리로 포장을 구성하는 층을 만드는 일.
포설기(鋪設機, Spreader) 포장재료를 펴 고르고 전압 등의 마무리로 포장층을 만드는 기계류의 총칭. 일반적으로 스프레더, 페이버(표면마무리기 부착), 거친면 마무리 및 양생재 살포기 등을 통틀어 일컬음
포스트텐셔닝방법(-方法, Post-tensioning system)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빔 제작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경화가 된 뒤에 긴장재에 인장력을 주고 그 끝부분을 콘크리트에 정착시켜서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방법. 포스트텐셔닝이라고도 함.
포아송비(-比, Poisson's ratio) 탄성체를 한 방향으로 잡아당길 경우 축방향 신장과 동시에 횡방향 수축이 발생됨. 이때 축방향 신장량의 변화에 대한 횡방향 수축량 변화의 비로써 재료마다 고유한 값을 가짐
포장관리체계(鋪裝管理體系, Pavement management system) 도로망의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포장관리를 위한 일종의 의사결정지원체계(Decision making supporting system)로서 조사대상구간 선정, 객관적인 포장상태조사,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보완, 자료분석, 보수 우선순위 및 공법선정, 경제성 분석등이 포함됨. 약어 : PMS., 포장의 시공, 유지관리, 개량 등의 일련의 포장과 관련된 작업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
포장두께(鋪裝 - , Thickness of pavement) 포장의 마모층, 표층, 중간층, 기층, 보조기층을 합친 두께로 시공지역 및 기후, 교통량등에 따라 그 두께가 결정됨. 일반적으로 동상방지층이나 차단층은 이에 포함하지 않으나. 동상방지층을 포함한 두께는 해당지역을 통과하는 도로의 노상동결관입허용법에 의하여 산출된 동결심도보다 커야 한다.
포장등급번호(鋪裝等級番號, Pavement classification number) 항공기 하중이 표준 단축 하중으로 작용한다고 가정하여 공항 포장의 지지강도를 숫자로 나타낸 값. 포장의 종류 노상의 지지력, 허용 타이어 압력, 평가 방법이 표시되며 이 값보다 같거나 작은 항공기등급번호(ACN)를 가지는 항공기는 포장위 통과가 허용됨. 약어 : PCN
포장률(鋪裝率, Rate of paved road) 어떤 특정 지역의 도로 중 포장이 된 도로의 정도를 백분율로 계산해 놓은 값
포트홀(Pot hole)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의 파손형태의 하나로써 포장의 노면에 생기는 조금 파인 곳을 말함. 동일한 재료로 팻칭으로 수리함.
포틀랜드고로시멘트(-高爐-, Portland blast furnace slag cement) 주로 포틀랜드시멘트 클링커와 입상 고로슬래그를 잘 분쇄시킨 혼합물, 또는 포틀랜드시멘트와 입상의 고로슬래그를 균등하게 혼합하여 얻은 혼합물. 어느 것이나 슬래그의 함유율이 규정한도내에 들어가야 함.
포틀랜드시멘트(Portland cement) 1824년 영국인 아스프딘이 제조법의 특허를 받은 시멘트로써 최초의 인공시멘트. 주로 수경성 칼슘규산염으로 된 클링커를 분쇄해서 얻어진 제품. 보
포화교통류율(飽和交通流率, Saturation flow rate) 단속류 시설 용량 결정의 기본개념으로 차량이 포화상태(교통류가 연속적으로 진행할 때)로 교차로를 통과할 때의 교통류율.
폭속(Detonation Velocity) 폭굉속도의 준말이며 폭굉파의 속도. 폭속은 용기, 장전비중, 약경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 예를 들면, TNT는 지통에서는 4.57m/sec, 장전비중이 1.0이면 4,930m/sec 이다. 장전비중이 1.2이면 5,630m/sec, 1.6이면 6,930m/sec이다. 신동다이나마이트는 약경 10mm일 때 폭발하지 않고 20mm일 때 1,275m/sec, 30mm일 때 3,100m/sec로 된다. 또 뇌관의 위력, 폭약의 흡습도에 따라서는 폭속은 변화한다. 폭속시험법에는 도트리쉬, 전기적 방법, 사진법이 있다.
폭약(爆藥, Explosive) 폭약은 화약보다는 훨씬 폭발반응이 빠르기 때문에 그 파괴작용력을 이용하여 최근 도시내의 구건물의 파괴나 인가, 도로, 철도부근의 발파용으로 사용됨. 폭약은 보편적으로 비중이 클수록 폭속도 빠르고 파괴력도 큼. 교질 다이너마이트는 대체로 비중이 1.4~1.5이고, 특수한 것은 1.1의 것도 있으며 분상 폭약은 0.7~1.1임. 폭약의 종류에는 다이너마이트, 카리트, 암몬폭약, TNT, ANFO폭약, 슬러리폭약, 액체산소폭약 등이 있음.
폴리머시멘트콘크리트(Polymer cement concrete) 포틀랜트시멘트 콘크리트에 고무라텍스 등의 폴리머를 혼합제로 사용한 것. 타 플라스틱 콘크리트와 달리 혼합제로 사용한 것. 타 플라스틱 콘크리트와 달리 압축강도에 대한 폴리머의 영향이 적고 인장강도와 늘음능력이 현저하게 개선되면 공기 연행성이 있어 내후성, 방수성, 내마모성이 큰 성질이 있음.
폼드아스팔트(Foamed asphalt) 아스팔트를 거품상태로 만들어 노면에 분사한 후 다짐하여 안정시키는 방법으로 아스팔트의 기포(거품)가 소실되면 본래의 아스팔트 성질로 돌아가며, 추운지역에서 포장시공에 효과가 있다.
폼타이(Form tie) 벽체구조물의 양면 거푸집 사이에 걸쳐서 강결한 철봉으로서 거푸집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하고 거푸집을 단단하게 설치하는데 사용
표면마무리(表面-, ①finishing, mechanical float, ②surface texturing) ①콘크리트 표면에 원하는 외관, 색깔및 성질을 갖도록 하기 위한 콘크리트 표면 처리방법. ②콘크리트 포장에 있어서 표면의 미끄럼 저항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표면을 거친면으로 마무리하는 것.(조면마무리라고도 한다)
표면처리(表面處理, Surface treatment) ①자갈 도로면 또는 포장표면에 역청재료를 얇게 살포하고, 이것을 쇄석으로 덮어 두께 2.5cm 이하의 표층을 만드는 공법. ②일반적으로 금속재료의 표면을 목적에 맞는 성질로 만드는 처리를 말하며, 표면경화, 도금, 방식 등을 위하여 실시하는 여러 가지 처리법이 있음.
표준관입시험(標準貫入試驗, Standard penetration test) 지반의 상태 및 지지력등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으로써 보링공을 이용하여 로드 끝에 중공의 표준샘플러(외경 5.2cm, 내경 3.5cm, 길이 81cm의 스플릿 스푼형)를 장치하여 무게 64kg의 해머를 76cm의 높이에서 자유낙하시키는 타격에 의하여 30cm 관입시키는 데 요하는 타격회수 N을 측정하여 토층의 경연을 조사하는 원위치시험임. 측정된 N값은 로드길이, 토질, 상재하중 등에 따라 수정하는 것이 필여하며 지반의 상대밀도, 내부마찰각, 연경도, 일축압축 강도 등의 추정에 사용됨.
표층(表層, Surface course) 아스팔트 포장에 있어서 최상부에 있는 층으로 보통 밀입도 아스팔트 콘크리트 등의 가열아스팔트 혼합물을 사용하지만 간이포장에서 상온 혼합물이나 침투식 공법 등도 사용됨. 차량의 차륜이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다.
표토(表土, Top soil) 지표 근처에 존재하는 유기물질을 함유하는 암색의 흙인 표토는 식물의 낙엽, 죽은 나무토막 등이 분해작용이나 탄화작용 등을 받아서 형성된 것으로서 유기질토를 많이 함유하고 있음
표토제거(表土除去, Striping) 암반을 덮고 있는 표토를 제거하는 것. 구조물 기초로서의 암반을 지표에 노출시키기 위하여 또는 지질조사의 목적으로 표토하의 암을 관찰하기 위하여 실시함. 도로 성토시 표토에 성토를 시행할 경우 표토자체에 함유된 유기물질들의 침하로 인하여 지지력이 감소되고 평탄성에 저해가 될 우려가 있으므로 표토를 제거하는 것.
푸딩(Pudding) ①다짐봉을 사용해서 콘크리트 또는 모르터를 다지는 것. ②숏크리트의 시공에서 공기압이 감소하여 수량이 증가하는 것과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시공
풀트레일러(Full trailer) 도로의 평면선형 설계시 기준이 되는 차량의 일종. 트레일러의 앞부분에 연결고리가 있어 이것을 트럭의 견인고리에 연결하여 주행하는 형식. 길이 : 19.81m, 폭 : 2.59m, 최소회전반경 : 13.72m
풀프리스트레이싱(Full prestressing) 설계하중하에서 단면의 어느 부분에도 인장응력이 일어나지 않도록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것. 완전프리스트레싱이라고도 함
풍화(風化, Weathering) 지표 또는 지표 부근의 상온, 상압하에서 대기, 지표수, 지하수, 동식물 등에 의하여 암석이 받는 물리적 또는 기계적 풍화와 화학적 풍화의 총칭이며 지반이 풍화될 경우 지반의 강도는 저하된다. 기계적 풍화는 온도차에 의한 암석의 팽창수축, 광물의 종류에 따른 열팽창계수의 차이에 의한 차별적 팽창지수, 지표면의 침식으로 상재하중의 제거에 의한 지반의 이완, 공극수의 동결에 의한 히빙, 콜로이드의 현탁액이 겔화되는 과정의 인장응력, 식물 모근의 발육력 등의 요인으로 암석 또는 조암광물이 세립화되는 과정이며, 화학적 풍화는 주로 흡착수의 작용으로 수화, 가수분해, 산화, 환원, 탄산염화, 염기이완 등에 의하여 조암광물이 현탁물, 용액, 점토광물 등으로 화학적 변화를 일으키는 과정.
프라임코트(Prime coat) 입도조정공법이나 머캐덤공법 등으로 된 기층의 방수성을 높이고, 그 위에 포설하는 아스팔트 혼합물층과의 부착이 잘되게 하기 위하여 기층위에 역청재료를 살포한 것.
프로파일미터(Profile meter) 노면 요철 측정기. 포장노면이나 노상, 노반 등의 평탄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측정기. 긴 프레임의 앞뒤에 여러 개의 차륜이 있고 그 중간부에 노면의 요철에 따라 오르내리는 계측자료를 가지고 이차륜의 상하를 기계적으로 종이 테이프에 기록하여 연속적으로 노면요철을 측정하는 장치
프로파일인덱스(Profile index) 노면의 요철 측정지수. 프
루프롤링(Proof rolling) 노상이나 노반의 지지력이 그 균일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일정하중의 차량이나 롤러를 주행시켜서 윤하중에 의한 표면의 침하량을 관측 또는 측정하는 것. 노상이나 노반의 시공관리에 쓰이며 넓은 면적을 능률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이 특성임.
프리로딩공법(Pre-loading method) 구조물 또는 높은 흙쌓기 전에 연약점토층을 미리 압밀하는 것으로, 넓은 지역에 걸쳐 지표면에 미리 흙을 쌓아서 선행하중을 가하여 실질적으로 구조물 또는 흙쌓기 후 침하를 없애기 위한 방법.
프리스트레스(Prestress) 외력에 의해서 일어나는 인장응력을 소정의 한도로 상쇄할 수 있도록 미리 계획적으로 콘크리트에 주는 응력.
프리스트레스강선(-鋼線, Prestressing wire)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고강도의 강선
프리스트레스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 외력에 의하여 일어나는 응력을 소정의 한도까지 상쇄할 수 있도록 미리 인공적으로 그 응력의 분포와 크기를 정하여 내력을 준 콘크리트, PS 콘크리트로 약칭하기도 함.
프리스트레스콘크리트널말뚝(Prestressed concrete sheet pile) 기성 말뚝의 일종이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널말뚝.
프리스트레싱강봉(-鋼捧, Prestressing steel bar)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하여 스이는 고강도의 강봉. 일반적으로 지름이 10~33mm의 것으로 포스트텐션방식에 쓰임.
프리스트레싱강연선(-鋼練線, Prestressing steel strand) 프리스트레스를 주기 위하여 고강도의 강선을 꼰 것. 가는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두 줄기 또는 7줄 꼬기로 한 가는 강꼬임 선과 19줄, 36줄 꼬기 등의 굵은 강 꼬기 선이 있음. 후자는 프리텐션방식에 쓰임.
프리스트레칭(Prestretching) 프리스트레싱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프리스트레싱 강재를 최초의 예정 인장응력보다 10% 정도 더 큰 인장응력으로 몇 분간 긴장해 두었다가 예정 인장응력으로 낮추어 놓으면 리랙세이션이 몹시 작아짐. 이와 같은 인장을 프리스트레칭이라고 함.
프리웨이(Freeway) 완전진출입이 제한된 도로(Fully access controlled highway). 즉, 인터체인지를 통해서만 진출입이 가능한 등급이 가장 높은 주간선 고속도로.
프리캐스트(Precast) 콘크리트가 굳은 후에 제자리에 옮겨 놓거나 또는 조립하는 콘크리트 부재, 즉 공장 등에서 미리 제조된 콘크리트 제품으로써 현장에 운반하여 사용하는 콘크리트 부재로, 공기의 대폭 단축이 가능하며 공사공해의 방제 관리비 절감 등을 제시할 있음.
프리캐스트세그먼트공법(-工法, Precast segmental method) 미리 공장 등에서 대규모로 제작한 기성 콘크리트 제품을 현장에서 운반하여 조립해서 사용하는 공법.
프리텐셔닝방법(-方法, Pretensioning system) 긴장재를 먼저 긴장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가 굳은 다음 긴장재에 가해 두었던 인장력을 긴장재와 콘크리트의 부착에 의해서 콘크리트에 전달시켜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방법.-포스트텐셔닝과 상반되는 개념이다.
프리팩트콘크리트(Prepacked concrete) 소정의 밀도를 갖는 굵은 골재를 미리 거푸집 속에 채우고 그 공극에 특수한 모르터를 적당한 압력으로 주입시켜 만드는 콘크리트. 침하수축이 적기 때문에 구 콘크리트 및 철근과의 부착이 좋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리, 개선 등에 유리하여 콘크리트의 수중시공을 안전하게 할 수 있음
플라스틱수축균열(-收縮龜裂, Plastic shrinkage crack) 콘크리트 표면의 수분의 증발속도가 블리딩(bleeding) 속도보다 빠를 경우 마무리면에 생기는 가늘고 얇은 균열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마무리를 지나치게 해서는 안되고,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고, 콘크리트 표면에 급격한 온도변화가 생기지 않도록 함.
플라이애쉬(Fly ash) 콘크리트에 성질개선을 위해 사용되는 혼화재이다. 분탄 등을 보일러내에서 연소시켰을 때, 그 회분이 용융상태로 폐가스내에 유리하여 비교적 저온의 굴뚝내로 유도되어 응집된 구상의 분말로 됨. 이 분말중 전기집진기에 의하여 포집되는 미분의 부분. 플라이애쉬의 분자는 부드러운 구상이기 때문에 콘크리트에 혼입하면 워커빌리티가 개선되는 이점도 있고 양환 규산질 혼화재료(포조란)로 이용됨.
플래시 용접(-容接, Flash welding) 저항용접의 일종으로 통전시 처음에 가압을 강하게 하지 않고 단순히 접촉시키는 것으로 용접전류를 통하게 하여 접촉부가 불꽃이 되며 녹아 용접면 전체가 충분히 가열되었을 때 강하게 가압하는 용접.
플래시(Flash) 아스팔트 포장의 온도가 상승하였을 때 표층 혼합물로부터 스며나온 아스팔트나 실코트의 아스팔트가 연화되어 차량의 타이어에 부착되는 현상.
플래시코트(Flash coat) 콘크리트 표면의 적은 흠집을 감추기 위해 사용하는 숏크리트의 피막
플랜지(Flange) ①I형 또는판형의 상하부에서 복부판과 연결되어 주로 휨모멘트에 저항하는 부분. ②L형강, 구형강, 플레이트 거더 등의 단면의 상하 양두부, 관이음의 양 돌출부 등.
플로 콘(Flow cone) 그라우트의 컨시스턴시를 측정하는 기구. 일정량의 그라우트가 일정치수의 오리피스를 유출하는 시간으로
플로값(-値, Flow value) ①역청 혼합물의 마샬 안정도 시험에서 공시체에 재하하였을 때 최대 하중시의 변형도. 1/100cm 또는 1/100in 단위로 표시한다. ②플로 시험에서 측정된 콘크리트, 모르터 흐름치
플로시험(-試驗, Flow test) 모르터 또는 콘크리트의 컨시스턴시 시험방법의 하나. 원판상에 성형한 절두원추형의 모르터 또는 콘크리트에 소정의 상하 운동을 준 후 옆으로 퍼진 양에 의해 "반죽질기"를 측정하는 시험. 모르터, 콘크리트 등에 대한 유동성을 측정하는 시험.
플로트(Float) 「콘크리트포장 슬래브」 포설에서 표면 「마무리」에 사용하는 기구. 포장슬래브 세로 방향에 약 3m 되는 매끈한 판을 대고 표면을 쓰다듬듯 횡단방향으로 움직이며 표면을 평탄하게 마무리함.
피니셔(Finisher) 콘크리트 포장의 마무리를 하는 기계. 콘크리트 치기, 다짐, 마무리의 전부를 하는 것이 좋다. 간이 피니셔는 포장슬래브의 양측 거푸집에 걸친 강재보에 진동기를 고정시킨 것으로, 진동을 가하면서 콘크리트 표면을 소정의 횡단형으로 마무리 한다.
피니셔빌리티(Finishability)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 잔골재율, 잔골재의 입도, 반죽질기 등에 따르는 마무리 작업의 난이(難易)의 정도를 나타내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
피로(疲勞, Fatigue) 재료에 반복응력을 작용시키면, 그 응력이 정적 극한강도보다 낮은 경우에도 반복수를 증가시키면 파괴되게 됨. 이와 같이 구조물이나 재료의 강도가 반복응력을 받아 감소하는 현상
피로강도(疲勞强度, Fatigue strength) 지정된 하중 반복횟수까지 견딜 수 있는 응력 혹은 응력변화폭의 상한치. 항상 하중의 작용횟수와 연계하여 표시되며, 피로한계강도보다는 큰 값을 가짐.
피로설계(疲勞設計, Fatigue design) 반복하중을 받는 구조물 또는 부재에 대하여 내용기간중의 피로손상을 고려한 설계
피로한계강도(疲勞限界强度, Fatigue limit strength) 무한회의 반복에 대하여 견딜 수 있는 응력 혹은 응력변화폭의 상한치.
피로허용응력(疲勞許容應力, Allowable fatigue stress) 하중에 의한 응력변화폭 및 그 반복회수가 모두 큰 경우에 피로파괴에 대한 안전을 고려하여 정한 허용응력 혹은 허용응력변화폭
피씨에이법( - 法, Portland cement association method) 공항의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두께 설계법의 일종. 미국 포틀랜드시멘트협회가 제시한 방법으로 K값, 항공기 기어 하중, 타이어압 및 콘크리트 휨허용응력에 의하여 포장두께를 결정함.
피주거리(避走距離, Escaping distance) 2차선 또는 3차선 도로에서 차량이 대향하여 주행하고 있을 때, 대향차를 확인한 위치로부터 대향차까지의 거리.
피주시거(避走視距, Escaping sight distance) 피주시거는 동일 차선상에 고장차등이 있는 경우 인접차선등으로 피해서 주행할 수 있는 길이로 차선의 중심을 따라 측정.
필러(Filler) ① 채움재 ② No. 200체를 통과하는 광물질 분말
필링(Peeling) 거푸집을 떼어낼 때 표층의 모르터가 거푸집에 붙어 있거나 노화로 인하여 모르터의 얇은 층이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떨어지는 현상.
필터(Filter) ①침투수의 침두를 도우며 동시에 토립자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한 투수성의 단일층 또는 복합층 ②어느 정도 크기의 미립자만 통과시킬 수 있는 층
필렛 용접(-鎔接, Fillet weld) 용접하고자 하는 재료를 겹치거나 혹은 빈틈없이 맞대어 두고 양자간에 생기는 우각부(60~90°)에 용착금속을 붙이는 용접 방법
하
하 중(荷重, Load) ①부재, 구조물 등에 작용하는 외력, 반력은 제외한다.②구조물 또는 부재에 응력 및 변형의 증감을 발생시키는 일체의 작용.
하도급(下都給, Sub contract) 경제적, 기술적으로 약간 낮은 위치에 있는 중소기업이 특정 대기업에 종속(예속)하여 그 지배와 통제 아래 주문을 받아 생산하는 일로서 하청(下請)이라고도 함. 일반적으로 하도급을 이용하는 이유는 대기업이 중소기업의 저임금을 우회적으로 이용하여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고, 중소기업을 경기변동의 안전판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자본절약과 설비의 고정화를 피하는 등의 이점이 있다. 우리 나라는 1981년 4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서 하도급거래상의 불공정거래행위(부조리)를 규제하고 있다. 즉, 하도급 대금을 2개월 이상 지연 지급하거나, 그 대금을ᄅ 계약 때 하청업자에게 물품을 강제로 구매하게 하는 행위, 선급금을 지급하지 않는 행위, 납품물건을 부당하게 영수거부하는 행위, 부당반품행위, 하도급대금을 지급기일까지 지급하지 않는 행위 등이 적발되면 시정권고 또는 시정명령을 내리고 위법 조치할 수 있게 하였다.
하부 노상(下部路床, Lower subgrade) 도로포장시 보조기층 아래 1m 까지의 부분을 노상이라 하며, 이중 아래 60cm 부분
하부 노체(下部路體, lower road-bed) 포장도로의 층 분류에서 노상 밑의 부분을 노체라고 하고 노체 마무리 면에서부터 1m 깊이까지를 상부노체, 그 이하의 부분을 하부노체 라고 한다.
하부구조(下部構造, Substructure) 교량의 상부구조를 지탱하는 지반과 연결시키는 부분 구조계를 총칭하는 말로 교대와 교각 등이 이에 해당한다.
하중 계수(荷重係數, Load factor) ①구조물 또는 단면에 대한 「파괴하중」과 「설계하중」과의 비. ②하중의 공칭치와 실제 하중간의 불가피한 차이, 하중을 작용외력으로 변환시키는 해석상의 불확실성, 예기치 않은 초과하중, 환경작용 등의 변동을 고려하기 위하여 사용하중에 곱해 주는 안전계수.
하중-침하곡선(荷重沈下曲線, Load-settlement curve) 보통의 지반에 적용되는데 가해진 하중의 변화에 따라 발생되는 침하량을 도식적으로 표현하는 곡선.
하중경사계수(荷重傾斜係數, Load inclination factor) 기초에 작용하는 하중이 연직하중 외에 수평하중이 작용할 경우 합력하중이 경사지게 되므로 Meyerhof와 Hansen의 지지력 공식으로 기초의 지지력 계산을 함에 있어서 이 영향을 고려하기 위한 계수
하중계(荷重計, Load cell) 파일, 스트러트 또는 어스 앵커의 하중 및 인장력을 측정하는 장비로써 공사시지반상황을 예측하기 위하여 사용됨. 그리고 적용범위로는 어스앵커의 하중 및 인장력 측정, 파일의 하중측정, 록볼트의 하중측정, 스트러트 축력 및 굴착시의 하중측정 등이 있음.
하중계수 설계법(荷重係數設計法, Load factor design) 재료의 비선형의 성질을 고려해서 구한 부재단면의 내력이 그 단면에 작용하는 설계 단면력 이상이 되도록 하는 설계법. 이 때 설계 단면력은 실하중에 적당한 하중계수를 곱한 하중(설계하중)으로 구한다. 우리나라의 통계자료는, 시공기술 및 여건 등을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정하여야 하는데 하중조합 및 하중계수에 대해서는 도로교에 재하되는 하중 작용의 특성을 감안하여 합리적으로 결정한 후, 그 안전수준이 외국의 규정과 거의 유사하도록 하중계수를 정함. 하중계수에는 하중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된다.
하중곡선(荷重曲線, Load cuve) 시간의 경과에 따라 하중의 크기가 변화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곡선
하중변위도(荷重變位圖, Load-displacement diagram) 구조물 또는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의 변화에 따른 변위를 도식적으로 표현한 그림.
하층 보조기층(下層 補助基層, Under sub-base course) 보조기층의 설계두께가 두꺼워 그 층 이상으로 포설할 때 노상 위에 먼저 포설하는 층. 하층 노반
하층토(下層土, Subsoil) 표토 아래 있는 토층이며 표층에서 용탈된 물질이 집결되어 있는 토층 또는 노상지역은 성토 밑의 토층
한계고(限界高, Critical height) 비탈면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비탈면의 높이. Terzaghi의 식에서 <공식> 여기서, H0 : 한계고 Ns : 안전계수 C : 흙의 점착력 γt : 흙의 단위체적 중량
한계상태(限界狀態, Limit state) 구조물 또는 그 일부가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되거나 의도했던 조건을 만족하지 않게 되는 특별한 상태. 구조물 또는 그 일부가 한계상태에 달하면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극한 한계상태와 사용 한계상태로 대별된다.
한계상태설계법(限界狀態設計法, Limit state design) 구조물의 극한 한계상태와 사용 한계상태를 검토함으로써 「안전성」과 「한계성」을 합리적으로 확보하려는 설계방법.
한계하중(限界荷重, ① Margin load, ②limit load, ③critical load) ①구조물, 기계 등의 사용시에 허용되는 최대하중. 이것을 사용한계하중이라고 함. ② 구조부재의 응력이 미리 설정된 재료의 강도에 달했을 때의 하중. 탄성한계하중 또는 파괴한계하중 등이 있음. ③ 구조물이 한계상태에 달했을 때의 하중.
한중콘크리트(寒中-, Winter concreting, cold weather concreting) 콘크리트 부어넣기 후의 양생기간에 콘크리트가 동결될 염려가 있을 때에 시공되는 콘크리트(1일 평균기온 4℃ 이하인 때).
할렬강도(割裂强度, Splitting strength) 원주시공체를 가로 놓고 직경방향으로 가압하는 할렬시험에 의하여 구한 콘크리트의 강도 현재까지는 콘크리트의 인장시험 방법이 없기 때문에 이 할렬강도를 인장강도로 본다.
할인율(割引率) 시간의 가치를 나타내는 개념으로써, 할인율을 결정할 경우에는 프로젝트로 말미암아 포기하여야 할 투자의 수익률, 즉 기회수익률(opportunity rate of return)로 할인율을 결정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 대신 다른 데에 투자하여 20%의 수익률만 올릴 수 있다면, 할인율 20%가 된다.
할증계수(割增係數, Required overdesign factor) 설계인자를 넘어서 요구되는 값. 콘크리트 배합설계에서 목표로 하는 배합강도와 설계기준강도와의 비. 재료에 대한 불가피한 손실이 예상될 때 이를 보전하기 위하여 적ᄋᄋ하는 안전률
합성기둥(合成柱, Combination) ①나선철근기둥 속에 구조용 강재를 축방향으로 넣어 양자가 공동으로 「하중」을 받게 한 기둥 ②H형강 및 I형강, 강관 등과 철근콘크리를 합성한 기둥
항복(降伏, Yield) 재료시험에 있어서 응력-변형률 관계는 처음에는 비례관계에 있지만 응력이 어느 일정치에 도달하면 응력이 증가하지 않아도 변형만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남. 즉, 재료가 탄성을 상실하고 소성상태로 들어가는 상태
항복강도(降伏强度, Yield strength) 재료의 인장시험에서 응력이 단성한계 이상으로 증가하면 변형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소성변형이 일어나는데 이때의 공칭응력을 항복응력이라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의 재료의 강도를 항복강도라고 함
항복모멘트(降伏-, Yield moment) 휨을 받는 부재의 단면의 중립축으로 가장 멀리 떨어진 점에서의 응력이 발생하는 최대응력이 항복응력에 도달하였을 때의 휨모멘트. 특히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대해서는 인장측의 가장 먼 철근이 항복할 때의 휨모멘트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으나, 압축측 연단의 콘크리트에 최대 압축응력에 도달하였을 때의 휨모멘트도 이에 포함됨.
항복응력(降伏應力, Yield stress) 재료의 응력이 어느 한도를 넘어서 가해지면 재료의 변형일부는 원상으로 되돌아가지 않고 변형이 영구히 남게 됨. 이것이 탄소성 상태이며 영구히 남는 변형 즉, 소성변형을 일으키게 하는 응력을 항복응력이라 함.
행거(Hanger, suspender) 현수교와 아치교 등에서 바닥틀, 주형의 사하중 및 활하중을 현수케이블이나 아치리브로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수직부재
허용모멘트(許容-, Allowed moment) 구조물이 계획된 수명기간중 하중에 대하여 파손 또는 과다한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구조물의 각 부분에 대해 작용하는 모멘트에 일정한도 이하의 제한을 두어야 하는데 이 모멘트를 허용모멘트라 함.
허용수축량(許容收縮量, Shrinkage allowance) ①용접부가 온도 강하에 따라 수축하므로, 그 영향을 부재 전체의 치수에 미리 예상한 양. ②주물이 주조 후에 수축하므로 그 영향을 제품의 치수에 미리 예상한 양.
허용응력(許容應力, Allowable stress) 허용응력 설계법에 사용되는 설계기준응력으로써, 재료의 기준강도 즉 항복응력또는 극한응력을 안전율로 나눈 응력값.
허용응력설계법(許容應力設計法, Allowable stress design, working,stress design) 설계하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구조물 각 부재의 응력을 탄성이론에 기초하여 구하고, 각 부재의 응력이 재료의 항복응력 또는 극한강도를 안전율로 나눈 허용응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치수를 설계하는 방법.
허용지지력(許容支持力, Allowable bearing capacity) 지반의 전단파괴 또는 침하에 의해서 구조물에 피해를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서 허용되는 단위면적에 대한 최대의 하중. 극한 지지력을 소정의 안전율로 나눈 지지력. 기초재료 강도로써 정하여지는 지지력 및 허용변위량으로써 정하여지는 지지력 중 최소값.
허용하중(許容荷重, Allowable load) 지반의 전단하중 또는 침하에 의해서 구조물에 피해를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허용되는 최대하중. 작용하중 이라고도 한다.
헌치(Haunch) 보와 슬래브의 단부에서 부재의 높이를 증가시킨 부분. 연속판, 고정판, 연속보 등에 있어서 지지하는 부재와의 접합부에서 응력집중의 완화와 지지부의 보강을 목적으로 단면을 크게 한 부분.
헤어 핀(Hair pin) 어떤 종류의 거푸집 타이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쐐기. 굳지 않은 콘크리트 속의 소정 위치에 묻어 놓은 머리핀 모양의 앵커. 작은 보 속의 전단강도 철근, 기둥의 연결 또는 조립 기둥머리의 전단강도 등에 사용하는 머리핀 모양의 보강철근.
현시(顯示, Phase)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신호간격 동안에 동시에 진행하는 교통류에 할당되는 신호주기의 한 부분으로 차량군이나 통행인의 통행우선권을 의미함.
현수교(懸垂橋, Suspension bridge) 교량의 양쪽 끝에 교탑을 설치하고, 그 위로 주케이블을 설치하여 교량의 주형을 행거에 의하여 주케이블에 연결한 교량. 장대교에 적합함.
현수구조(懸垂構造, Suspension structure) 케이블을 주구조로 사용하고, 구조물의 주요부를 지점 또는 지주에 매다는 구조형식. 장력구조의 일종으로써, 공간을 형성하는 주요한 부재가 인장재로 됨. 대경간의 교량이나 대장간의 건축곡면구조등에 유효하게 사용됨. 휨저항을 갖도록 강성을 부가해서 설계함.
현시간격(顯示間隔, Change interval) 소거시간(Clearance time)과 같은 의미로서 현시가 바뀔 때 통과허용 교통류가 통행을 중단하고 교차로 정지선에 안전하게 정지할 수 있도록 부여하는 시간. 일반적으로 황색과 전적시간(All red)으로 부여함.
현장계측(現場計測, Field instrumentation) 터널굴착에 따른 주변 원지반, 주변 구조물 및 각 지보 부재의 변위와 응력의 변화를 알고 원지반의 변형과 응력상태 및 각 지보재의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공사의 안전성 및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현장계측을 수행하게 됨. 또한 현장계측은 터널 본체, 주변 지반 및 인접 구조물의 변위 거동에 관하여 이론, 경험, 측정결과를 이용하여 터널 건설과 관련한 공학적 문제 해결에 필요한 정량적, 정성적인 정보를 제공함. 현장계측 항목으로는 갱내관찰, 내공변위, 지표침하, 전단침하, 지중변위, 록볼트 인발 및 축력, 라이닝 응력, 강지보공응력, 버팀대 응력, 앵커판 인발 등이 있음.
현장밀도(現場密度, Field - density) 노상, 보조기층의 다짐정도를 표시하기 위하여 현장에서의 모래 치환법에 의한 흙의 단위중량시험방법(KS F 2311)에 의하여 얻어진 현황의 밀도
현장배합(現場配合, Job mix) 시방배합에 맞도록 현장에서의 재료의 상태와 계량방법에 따라 정한 배합.
현장재하시험(現場在荷試驗, Field load test) 지반, 시험말뚝 또는 시공된 기초구조물 등에 현장에서 직접 시험하중을 가하여 하중과 변위와의 관계를 구하는 시험. 지반 및 말뚝의 지지력이나 변형특성, 기초구조물의 안정성 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함.
현장치기콘크리트말뚝(現場-, Cast-in-place concrete pile) 기성 콘크리트 말뚝을 박는 대신에 미리 말뚝을 박을 현장에 소정의 깊이로 구멍을 뚫고 그 속에 콘크리트를 채워서 만든 말뚝, 보통 철근을 삽입한 철근콘크리트 말뚝으로 함.
현재가치법(現在價値法, present method) 시설물의 생애 주기에 발생하는 모든 비용을 일정한 시점의 기준으로 환산하는 방법이다.
형하공간(珩下空間, Clearhead, Overhead clearance) 교량 본체의 최하단에서 수면 또는 노면까지의 유효높이를 말함. 항로한계, 건축한계 등을 침해하지 않도록 결정함.
혼잡도(混雜度, Degree of congestion) 도로 혼잡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일교통량의 교통용량에 대한 비율을 표시함.
혼잡밀도(混雜密度, Jam density) 교통이 혼잡하여 정체가 발생한 때. 즉, 속도와 교통량이 0일때의 밀도.
혼합교통(混合交通, Mixed traffic) 모든 차량의 종류와 보행자가 혼합하여 같은 노면을 통행하는 교통의 상태
혼합량(混合量, Amount of mixing) 콘크리트 또는 모르터의 성분재료를 혼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믹서 기능의 시방. 고정믹서의 경우는 혼합시간을 말하고, 트럭믹서의 경우는 시멘트, 물, 골재 혼합 후의 드럼의 회전수에 의한 혼합속도를 말함.
혼화재(混和材, Additive) 콘크리트 배합시 첨가되는 혼화재료 중 그 사용량이 비교적 많아서 그 자체의 부피가 콘크리트 배합 계산시 영향을 미치는 재료. 포졸란, 플라이애쉬 등을 말함
혼화제(混和濟, Admixture) 혼화재료 중 사용량이 비교적 적어 그 자체의 용적이 콘크리트의 배합계산에서 무시되는 것으로 AE제, 감수제, 지연제, 경화촉진제, 방수제 등이 있음.
화이트베이스(White base) 아스팔트 포장의 기층으로 사용하는 시멘트 콘크리트의 판. 중교통장소에서 포장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기층 또는 보조기층에 해당되는 부분을 시멘트 콘크리트판으로 설치한 것. 화이트베니스의 두께는 교통량에 따라 20~25cm를 표준으로 하고 있음.
화학적산소요구량(化學的酸素要求量, Chemical oxygen demand) 수중유기물의 화학적 산화시 소비되는 산소량. 산화제로는 과망간산칼륨 또는 중크롬산칼륨을 사용하며 이를 시료에서 섞어 가열한 후 소비된 산화제의 양을 구함. 흔히 COD라 하며 생화학적산소요구량(BOD)과 함께 널리 쓰임.
확공(擴孔, Reaming) 미리 뚫은 리벳구멍을 더 크게 만들어 상대되는 재편의 구멍과 서로 맞게 하는 작업
확대기초(擴大基礎, Spread footing/foundation) 상부구조로부터의 하중(연직력, 수평력, 회전모멘트)을 전달하는 기둥이나 벽의 하부에 지반과 직접 접하는 기초부를 확대시켜 설치하는 기초.
확대모멘트(擴大-, Magnified moment) 압축력과 모멘트를 동시에 받는 구조물에서는 축방향 압축력으로 인하여 재단모멘트가 선형 뼈대 구조해석에서 구한 재단 모멘트에 비하여 커지기 때문에 이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선형 뼈대 구조해석에서 얻는 재단모멘트에 모멘트 확대계수를 곱해서 구한 모멘트
환기(換氣, Ventilation) 터널의 환기는 공사중의 환기와 공사 후의 환기로 나눌 수 있음. 시공 중에는 임시적인 환기장치가 필요하고, 시공완료 후 공용 중에는 영구적인 환기장치가 필요하게 됨. 특히 자동차 교통이 많음 도시터널은 배기가스가 큰 문제가 되기 때문에 도로터널의 연장이 500m 이상이면 환기설비가 필요함.
환경시설대(環境施設帶, Furning lane) ① 교통량이 많은 도로연변의 주거지역, 방음을 필요로 하는 시설 또는 공공시설의 환경보존을 위해 설치하는 시설로 식수대, 방음둑, 방음벽 등이 이에 속함. 방음시설로는 방음벽과 차음림이 이에 속함. ② 간선도로 및 고속도로의 연도에 생활환경을 보전하고 도로용지의 확보 및 관리를 위하여 도로외측에 설치하는 녹지대 등의 시설. 효 과 - 소음, 배기가스, 진동에 대한 거리 감쇄 효과. - 연도주택의 일조권 확보. - 식수에 의하여 대기의 정화 및 도로경관 향상. 폭 원 - 자동차 전용도로 : 20m - 일반도로 및 고가도로 : 10m
환경영향평가(環境影響評價) 사업대상 주변지역의 자연환경, 생활환경 및 사회경제환경,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의 저감방안과 불가피한 환경영향, 사후환경관리계획, 대안선정 및 평가등으로 구성하며 환경영향 평가시에 주민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 사항을 포함한 환경영향 평가서 초안을 작성하여야 하며 (환경정책 기본법 시행령 제8조) 초안에는 사업의 개요, 환경영향의 조사내용, 환경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 환경에 미치는 영향의 저감방안에 관한 일반적인 사항등을 포함한다. 환경영향평가대상(환경정책 기본법 시행령 제7조) - 도로법 제11조의 규정에 의한 고속국도, 일반국도, 지방도중 4km 이상의 도로신설 및 2차선 이상으로서 10km 이상의 도로확장사업. - 도시계획법 제2조 제1항 제4호의 도시계획사업중 그 결정에 있어서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의결을 거쳐야 하는데 4km 이상의 도로건설사업. (특별시, 직할시의 경우 폭 30m이상, 기타시의 경우 폭 25m이상인 도로)
환경오염(環境汚染, Environmental pollution) 대기, 수계, 토양 등 자연환경이 인간활동에 의해, 자연적으로 치유되기 어려울 정도로, 파괴, 훼손된 상태. 산업활동과 도시의 인구집중이 주원인이며 오염물은 폐수, 배출가스, 폐기물, 폐열 등임.
환경용량(環境容量, Environmental capacity) 대기, 수계, 토양 등 자연환경은 각종 동식물 및 미생물의 서식처가 되면 동시에 먹이사슬에 따라 순환하는 영양물을 수용, 저장, 분해하기 위한 공간이 되는데 이들 동식물 및 영양물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의 범위.
환산단면(換算斷面, Transformed section) 두 가지의 재료로 된 단면을 같은 탄성적 성질을 가지는 하나의 재료로 된 것으로 치환한 단면
환상도로(環狀道路, Ring road) 일종의 순환도로로써 도심을 중심으로 원을 형성하는 도로로 주로 대도시의 경우 내부순환 및 외부순환으로 형성하여 도심을 통과하지 않고 목적지로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가짐.
활하중(活荷重, Live load) 구조물에 작용하는 자동차 하중, 열차하중, 군중하중 등의 이동이 가능한 비영구하중, 재하위치, 재하시간 및 재하범위가 자유롭게 변할 수 있으므로 충격효과를 동시에 고려하는 경우가 많음.
회전차선(回轉車線, Turning lane) 교차로 등에서 자동차를 우회전시키거나 좌회전시키기 위하여 직진하는 차선과 분리하여 설치되는 차선.
횡갱(橫坑, Cross tunnel, adit) 터널 시공에 있어서 본갱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설치된 대개 수평한 갱도(坑道)로 수평터널 사이의 짧은 횡단터널 혹은 산허리 터널에서는 경사면까지의 터널임. 도로터널에서 터널의 연장이 1000m 이상일 경우 차량용 피난연락갱을 설치함.
횡단면수평화구간(橫斷面水平化區間, Tangent runout) 도로배수를 위해 양측으로 횡단경사를 가진 포장면이 완전히 수평한(편경사=0%) 상태로 점차 바뀌는 데까지의(또는 그 반대인 경우의) 변이구간.
횡방향미끄럼마찰계수(Side friction factor : f) 자동차가 평면곡선부를 주행할 때 편경사의 설치여부와 관계업이 곡선 바깥쪽으로 원심력이 작용하게 되며 그 힘에 반하여 노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이 횡방향력으로 작용하게 되며, 타이어와 포장면사이에 횡방향의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포장면에서 작용하게 되는 수직력이 횡방향마찰력으로 변환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 횡방향미끄럼마찰계수다. 그 값은 자동차의 속도, 포장면의 형태 및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횡방향마찰계수의 성질은 다음과 같다. ①속도가 증가하면 횡방향미끄럼마찰계수의 값은 감소한다. ②습윤, 빙설상태의 포장면에서 횡방향미끄럼마찰계수 값은 감소한다. ③타이어의 마모 정도에 따라 횡방향미끄럼마찰계수 값은 감소한다. (1) 실측하여 구한 값 횡방향미끄럼마찰계수의 실측치는 조사연구자료에 의하면 노면의 재질 및 상태에 따라 다음과 같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 0.4~0.8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 0.4~0.6 노면이 결빙된 경우 : 0.2~0.3 (2) 쾌적성을 고려한 값 평면곡선부를 주행할 때 운전자는 원심력에 의하여 불쾌감을 느끼게 되며, 주행의 방향을 바로 잡기 위하여 속도를 줄이거나 핸들조작에 주의를 기울이게 된다. 따라서 횡방향미끄럼마찰계수의 값은 운전자가 충분히 안전하고, 동시에 주행의 쾌적함을 만족할 수 있도록 결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횡방향마찰계수의 한계값을 구하기 위한 많은 조사연구가 있었으며, 대체적으로 쾌적성을 고려할 경우 그 값은 속도에 따라 0.1~0.16 정도가 타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효과척도(MOE : Measures of Effectiveness) 각 시설의 서비스수준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파라메터라 할 수 있으며, 각 시설의 서비스수준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MOE는 다음과 같다. 도로구분에 따른 MOE(효과척도)
후광효과(Halo Effect) 교통단속을 실시할 때 그 규제효과가 파급되는 범위(원래 Halo는 성자의 얼굴 뒤에 나타나는 후광을 나타내는 말임). 예를 들면 속도단속을 실시하는 경우 그 지점을 통과했다고 해도 다음에 또 단속되지나 않을까 하는 걱정 때문에 마음놓고 속도를 높일 수 없는 것과 같이 그 단속효과가 파급되는 범위를 말한다.
휴게소(休憩所, Rest area) 주로 장거리 통행이 많은 지역간 도로변에 휴식, 주유 또는 간단한 정비 등을 위한 시설이 제공되는 장소.
흄관(-管, Hume pipe) 철선을 종, 횡으로 조립한 것을 몰드에 넣고 회전하면서, 혼합한 콘크리트를 몰드 속에 넣어 원심력에 의해 제조하는 관,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이라고도 함.
흡음처리(吸音處理, Acoustic treatme ①외부로부터 침입한 소음이나 실내에서 발생한 소음이 실내에서 성장하여 소음레벨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함. ②잔향에 의하여 실내 발생음이 길게 남아서 크게 느끼게 되는 것을 방지함. ③반복반사에 의하여 소음이 원방까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
'토목사전/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레이저 측량 (0) | 2009.12.04 |
---|---|
시공 능력 평가 제도 (0) | 2009.12.01 |
장기전세주택(Shift) (0) | 2009.07.29 |
터널 용어 (0) | 2009.07.27 |
토질 및 암의 분류 (2) | 2009.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