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구조형식에 따른 강교의 분류 및 특성


1. 판형교

복부판과 상하 Flange로 구성된 I형 Girder가 주구조로 사용되는 교량형식

1) 단면이 구조상 단순하여 응력상태가 복잡하지 않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2) 좌굴에 약하며 복부에 보강재가 필요하다.


2. BOX GIRDER교

얇은 강판을 상자형 단면으로 결합하여 주구조로 사용하는 교량형식

1) 비틀림 강성이 커서 활하중 편심재하시 하중의 횡분배가 양호하여 역학적으로 효율성이 좋다.
2) I형 거더교에 비해 플랜지 폭을 크게 할 수 있어 휨모멘트에 대해 효과적인 단면이다.
3) 수직편심하중뿐 아니라 수평하중에 대해서도 입체적으로 외력에 저항함으로써 매우 효율적이다.
4) I형 거더교에 비해 거더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고 부드러운 외형성을 유지하여 미적으로 우수하다.
5) 가설시 압출, 블럭공법을 사용할 수 있어 가설공사의 능률화와 공기단축이 가능하다.
6) 개단면에 비해 부식등에 유리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3. RAHMEN교

교량상부구조와 하부구조를 강결로 연결함으로써 전체구조의 강성을 높임과 동시에 지간내에 발생하는 휨모멘트의 크기를 줄이는 대신 이를 교대나 교각이 부담하게 하는 교량형식

1) 신축이음이 필요없어 유지관리면에서 유리하다.
2) 교각의 높이가 높지않고 단경간의 교량에서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며 경사교량에서 유리하다.
3) 주형의 두께를 작게 설계할 수 있어 미관이 수려하다.


4. TRUSS교

몇개의 직선부재를 한평면내에서 연속된 삼각형의 뼈대구조로 조립한 Truss를 이용한 교량형식

1) 판형복부판의 높이는 경제성, 제작,운반,가설상의 제약이 있지만 Truss교의 높이는 사재의 제작, 운반 가능한 범위내에서 크게하는 것이 가능하다.
2) 구조물의 강성이 크다.
3) 하중은 축력만이 작용하는 관계로 구조가 단순하고 확실하다.
4) 상현재의 위치에 노면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 상하 Double-Deck 형식에도 좋다.


5. ARCH교

교량의 주체를 Arch구조로 하여 지점을 이동하지 못하도록 만든 교량이다. 수평반력에 의해 Arch Rib에
휨모멘트 감소시켜 단면을 결정하게 되는 주요인을 축방향 압축력이 되게 만든 구조이다.

1) 타교량형식에 비해 미관이 양호하다.
2) 교량아래에 선박등이 통과할수 있는 형하고를 확보하게에 유리하다.
3) 형교에 비해 단면을 유효하게 사용하기 때문에 장지간 교량형식에 유리하다.
4) 지점부 수평반력에 의해 가교지점의 지형의 제약을 받는다.


6. 사장교

교각이나 기초 위에 세운 주탑으로부터 비스듬히 뻗친 Cable로 주형 또는 Truss를 지지하는 교량형식

1) 현수교에 비해 Cable 강성이 크다.
2) Cable에 대한 응력조정이 가능하므로 설계시 많은 변화를 시킬 수 있다.
3) 강재중량이 가벼워 경제적이다.
4) Cable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관계로 가설이 용이하다.


7. 현수교

주탑 및 Anchorage로 Main Cable을 지지하고 이 Cable에 현수재를 매달아 보강형을 지지하는 교량형식
주 Cable을 Anchorage에 고정시키는 타정식(earth-anchored)과 보강형에 지지시키는 자정식(self-anchored)이 있다.

1) 중앙경간이 400m 이상일 경우 Truss나 사장교보다 경제적이다.
2) 활하중이나 풍하중에 의한 변형과 진동을 방지하기위해 상판에 보강이 필요하다.
3) 수심이 깊거나 하부구조를 설치하기 곤란한 지형에 유리하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