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건설공사비지수 동향
○ 2023년 2월 건설공사비지수(2015년 기준)는 150.93(P)로 전월 대비 0.06% 상승하였으며, 전년 동월대비로는 6.00% 상승
<표 1> 연도별 2월 및 최근의 월별 건설공사비지수 동향 (2015년 기준)
연도별 2월 동향 | 최근의 월별동향 | |||||||||
2020 | 2021 | 2022 | 2023 | 09 | 10 | 11 | 12 | 2023 01 | 02P) | |
지 수 | 118.30 | 124.84 | 142.38 | 150.93 | 148.47 | 148.66 | 148.84 | 148.56 | 150.84 | 150.93 |
전 월 비 | 0.00% | 0.58% | 0.33% | 0.06% | 1.09% | 0.13% | 0.12% | -0.19% | 1.53% | 0.06% |
전년동월비 | 2.04% | 5.53% | 14.05% | 6.00% | 8.50% | 7.48% | 7.37% | 6.96% | 6.29% | 6.00% |
전년동기비 | 2.03% | 5.23% | 14.19% | 6.14% | 11.92% | 11.45% | 11.06% | 10.70% | 6.29% | 6.14% |
주) 2015년으로 기준연도 변경에 따라 모든 월별 지수 수치가 변경되었으며, 최근 월 공표지수는 잠정지수(Provisional의 ‘P’ 표기)로, 익월 확정지수가 되면서 수치가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
○ 동향분석
- 2023년 2월 건설공사비지수는 150.93(P)로 기타 화학제품(9.13%), 자동조정 및 제어기기(6.08%), 중유(2.23%), 합판(1.23%), 산업용 운반기계(1.08%) 등의 가격 상승과 등유(-4.79%), 경유(-4.76%), 내연기관 및 터빈(-0.67%), 나사 및 철선 제품(-0.58%), 제재목(-0.56%) 등의 가격 하락을 종합하면 전월 대비 0.06% 상승(전년 동월대비로는 6.00% 상승)
∘ 기타 화학제품(9.13%), 자동조정 및 제어기기(6.08%), 중유(2.23%), 합판(1.23%), 산업용 운반기계(1.08%), 휘발유(0.9%), 전선 및 케이블(0.79%), 구조물용 금속제품(0.72%), 산업용 가스(0.43%), 직물제품(0.24%), 산업용 고무제품(0.22%), 공기조절 장치 및 냉장 냉동 장비(0.21%), 강선(0.17%) 등의 가격은 상승
∘ 등유(-4.79%), 경유(-4.76%), 내연기관 및 터빈(-0.67%), 나사 및 철선 제품(-0.58%), 제재목(-0.56%), 하수, 폐수 및 분뇨 처리(국공립)(-0.37%), 전기회로 개폐 및 접속장치(-0.17%), 플라스틱 1차제품(-0.02%), 강화 및 재생목재(-0.02%), 건축용 플라스틱제품(-0.02%) 등의 가격은 하락
○ 기여도(%p)가 큰 품목
- 구조물용 금속제품(0.045), 전선 및 케이블(0.029), 산업용 운반기계(0.017), 기타 화학제품(0.016), 자동조정 및 제어기기(0.015), 합판(0.011), 레미콘(0.002), 공기조절 장치 및 냉장 냉동 장비(0.001), 강선(0.001), 중유(0.001)
- 경유(-0.041), 제재목(-0.008), 나사 및 철선 제품(-0.004), 전기회로 개폐 및 접속장치(-0.002), 내연기관 및 터빈(-0.001), 건축용 플라스틱제품(-0.001)
○ 전월대비 등락폭이 큰 세부품목
- 상승(%) : 센서(21.5), 화약및폭약(9.1), 증기발생보일러(8.2), 온도자동조절장치(6.1), 냉각탑(5.7), 일반합판(2.7), 엘리베이터(2.5), 에스컬레이터(2.5), 벙커C유(2.3), PVC수지(2.2), 조립식건축물용금속패널(2), 동봉(1.9), 절연코드및코드세트(1.9), 폴리에스터수지(1.8), ABS수지(1.5), 냉연봉강및냉연형강(1.4), 직물포대(1.2), 동판(1.1), 절연전선(1.1), 산업용변압기(1), 휘발유(0.9), 권선(0.9), 폴리프로필렌수지(0.8), 동관(0.8), 방진고무(0.7), 디지털도어록(0.6), 냉간압조용강선(0.6), 고무호스(0.5), 질소(0.5)
- 하락(%) : 갈바륨강판(-6.5), 경유(-4.8), 고정식축전기(-4.1), 페놀수지(-2.9), 재생유(-2.8), 아연도금강판(-1.3), 알루미늄봉(-0.9), 폴리스티렌발포제품(-0.8), 중유(-0.8), 각재(-0.8), 볼트및너트(-0.7), 커넥터(-0.7), 폴리스티렌수지(-0.7), 배합고무(-0.7), 파티클보드(PB)(-0.6), 하수처리(-0.5), 폴리프로필렌필름(-0.5), 산업및상업용냉장고(-0.4), 송배전변압기(-0.2), 플라스틱장판(-0.1)
2. 하위지수 동향
○ 건설공사비지수는 15개의 기본 시설물지수(소분류지수), 7개의 중분류지수, 2개의 대분류지수, 건설공사비지수(최종지수)로 분류되며, 건물건설 및 건축보수지수는 전월 대비 0.06% 상승하였고, 토목건설지수는 전월 대비 변동없음
- 건축건설 부문의 하위 지수 중 주거용건물지수는 전월 대비 0.07% 상승하였고, 비주거용건물지수는 0.06% 상승하였으며, 건축보수지수는 0.00% 상승하였음
- 토목 부문의 하위 지수 중 도로, 철도, 항만 등을 포함하는 교통시설건설지수는 전월대비 0.01% 상승하였고, 하천사방, 상하수도, 농림수산토목, 도시토목 등을 포함하는 일반토목시설건설지수는 0.04% 하락하였고, 환경정화시설, 통신시설, 전력시설, 산업플랜트 등을 포함하는 산업시설건설지수는 0.18% 상승하였고, 기타건설지수는 0.03% 하락하였음
* 상위분류 지수는 하위분류지수와 다른 세부품목 및 가중치를 갖는 독립적 모델이며 각 하위지수의 가중치가 다르므로 하위지수 등락율 평균이 상위지수의 등락율이 되는 것은 아님
<표 2> 최근의 월별 건설공사비지수 동향
건설공사비지수 (2015년=100) | 2022년 9월 | 2022년 10월 | 2022년 11월 | 2022년 12월 | 2023년 1월 | 2023년 2월 (잠정) |
|||
건설 | 148.47 | 148.66 | 148.84 | 148.56 | 150.84 | 150.93 | |||
건물건설 및 건축보수 | 147.25 | 147.32 | 147.54 | 147.39 | 149.60 | 149.69 | |||
주거용건물 | 147.18 | 147.31 | 147.63 | 147.56 | 149.80 | 149.90 | |||
주거용건물 | 147.18 | 147.31 | 147.63 | 147.56 | 149.80 | 149.90 | |||
비주거용건물 | 147.25 | 147.32 | 147.51 | 147.29 | 149.46 | 149.55 | |||
비주거용건물 | 147.25 | 147.32 | 147.51 | 147.29 | 149.46 | 149.55 | |||
건축보수 | 147.59 | 147.32 | 147.19 | 147.08 | 149.34 | 149.35 | |||
건축보수 | 147.59 | 147.32 | 147.19 | 147.08 | 149.34 | 149.35 | |||
토목건설 | 150.85 | 151.28 | 151.39 | 150.83 | 153.24 | 153.34 | |||
교통시설건설 | 150.58 | 150.91 | 151.22 | 150.57 | 152.49 | 152.51 | |||
도로시설 | 151.60 | 151.93 | 152.20 | 151.44 | 153.18 | 153.18 | |||
철도시설 | 148.75 | 148.99 | 149.33 | 148.95 | 151.20 | 151.26 | |||
항만시설 | 148.26 | 148.98 | 149.52 | 148.90 | 151.09 | 151.15 | |||
일반토목시설건설 | 150.40 | 150.97 | 150.81 | 149.76 | 152.15 | 152.08 | |||
하천사방 | 145.23 | 145.73 | 146.26 | 145.75 | 148.12 | 148.04 | |||
상하수도시설 | 151.77 | 152.73 | 151.66 | 150.59 | 152.93 | 152.96 | |||
농림수산토목 | 153.42 | 154.59 | 154.47 | 153.73 | 156.52 | 156.44 | |||
도시토목 | 150.39 | 150.69 | 150.78 | 149.55 | 151.89 | 151.79 | |||
산업시설건설 | 151.04 | 151.48 | 151.58 | 151.40 | 154.20 | 154.48 | |||
환경정화시설 | 152.06 | 152.40 | 152.61 | 152.23 | 154.71 | 154.81 | |||
통신시설 | 150.07 | 150.56 | 150.62 | 150.54 | 153.65 | 153.90 | |||
전력시설 | 151.27 | 151.65 | 151.92 | 151.90 | 154.88 | 155.29 | |||
산업플랜트 | 150.75 | 151.25 | 151.16 | 150.82 | 153.42 | 153.58 | |||
기타건설 | 153.44 | 154.05 | 154.04 | 153.21 | 155.85 | 155.80 | |||
기타건설 | 153.44 | 154.05 | 154.04 | 153.21 | 155.85 | 155.80 |
□ 건설공사비지수의 개요 및 활용
1.1 정의
◦ 건설공사비지수란 건설공사에 투입되는 재료, 노무, 장비 등의 자원 등의 직접공사비를 대상으로 한국은행의 산업연관표와 생산자물가지수, 대한건설협회의 공사부문 시중노임 자료 등을 이용하여 작성된 가공통계로 건설공사 직접공사비의 가격변동을 측정하는 지수임
1.2 개발배경 및 목적
1.2.1 작성목적
◦ 건설공사 물가변동 분석을 위한 기준 제공
- 기존에는 생산자물가지수나, 소비자물가지수 등을 이용하여 건설공사에 투입되는 물가변동을 간접적으로 추정하였으나, 이들 지수는 편제품목이나 가중치 구조가 건설산업의 특성과 상이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물가변동분을 파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건설에 특화된 물가지수를 제공하고자 함
1.2.2 활용목적
◦ 기존 공사비 자료의 현가화를 위한 기초자료
- 기존 공사비자료에 대한 시차 보정에 건설공사비지수를 활용할 수 있음
◦ 계약금액 조정을 위한 기초자료의 개선
- 물가변동으로 인한 계약금액 조정에 있어서 투명하고 간편하게 가격 등락을 측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음(계약에서 정해야 유효한 사항임에 유의)
1.3 법적근거
◦ 통계법 제18조, 동법시행령 제25조
- 제18조(통계작성의 승인) 등에 의한 일반통계 승인번호 제397001호
◦ 건설기술진흥업무 운영규정(국토교통부 훈령)
- 제89조(건설공사비 지수의 관리 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설계서 > 설계기준&품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설공사 중기기초단가(환율 및 유류) 안내(2023.04.04.), 조달청 (0) | 2023.04.04 |
---|---|
환경관리비의 산출기준 및 관리에 관한 지침 (국토교통부, 2019.03.) (0) | 2023.04.04 |
시설공사 중기기초단가(환율 및 유류) 안내(2023.03.28.), 조달청 (0) | 2023.03.27 |
지하도로 설계지침 (국토교통부, 2023.02) (0) | 2023.03.17 |
건설공사 노무비율(고용노동부고시 제2022-112호, 2023.01.01.) (0) | 2023.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