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거 (街渠, gutter)
차량과 보행자의 물리적 분리 및 노면보호를 위해 설치되는 연석과 가장자리차선 경계선 사이의 시설물.
가계약 (假契約, provisional contract)
도급공사에서 계약이 정식으로 이루어지기 이전에 체결하는 임시계약.
가공경화 (加工硬化, work hardening)
금속을 상온에서 소성변화시켰을 때, 재질이 경화되고, 연성이 저하하는 현상.
가공삭도 (架空索道, aerial ropeway)
공중에 건너지른 강선에 운반차를 달고 사람 또는 물건을 운반하는 장치.
가공선 (架空線, overhead line)
전력의 배전용 또는 송전용으로 사용하는 전선로. 지중케이블을 매설한 지중선식에 대하여 그 구조가 가공식인 것. 즉, 전주 또는 철탑에 전선로를 가설한 것. 가공선로 또는 가공전선로.
가공전차선 (架空電車線, overhead trolley line, trolley wire)
궤도의 상공에 가설하여 전기차에 전류를 급전하는 전선. 이 선의 하면을 트롤리폴 또는 팬터그래프(pantorgraph)가 접동(摺動)하여 집전함. 집전자와의 접촉으로 일어나는 마모 또는 손상에 지탱할 수 있도록 경동선, 카드뮴 동선 등이 사용됨.
가교 (假橋, temporary bridge)
공사용이나 공사중의 우회로로서 일시적으로 설치되는 교량 또는 간이교량.
가구 (架構, bent)
2개 이상의 다리를 갖고 보통 지지할 구조물의 긴 쪽에 직각으로 거는 2차원의 뼈대로서 이 평면 내에서는 자립하는 구조.
가는 모래 (“細砂”, fine sand)
가는 입자(75~425 μm)를 많이 포함한 모래. 입자크기 규정은 국가 및 기관별로 다소 차이가 있음. 잔모래 또는 세사라고도 함.
가능강수량 (可能降水量, precipitable water)
공기 중에 있는 수증기를 모두 응결시켰을 때 생기는 물의 총량. 단위면적당 강수깊이(mm, in)로 표시함.
가능용량 (可能容量, possible capacity)
실제의 도로 및 교통조건하에서 어느 일정한 시간동안에 하나의 차선 또는 차도의 한 단면을 통과할 수 있는 차량 또는 보행자의 최대 교통류율.
가능채수량 (可能採水量, potential yield)
지하수에서 일정 수면하강고 등과 같은 일정한 조건을 유지하면서 대수층으로부터 채취할 수 있는 최대 양수량.
가능최대강수량 (可能最大降水量,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어떤 지역에서 가장 극심한 기상 조건하에서 일정한 기간동안 내릴 수 있는 강수량의 상한값. 기상학적 또는 통계적 방법으로 추정할 수 있음. 약어 : PMP.
가능최대홍수량 (可能最大洪水量, probable maximum flood)
가능최대강수량으로 인한 홍수량. 수공구조물을 설계할 때 구조물의 중요성이 대단히 큰 경우에 설계홍수량으로 채택됨. 최대가능홍수량이라고도 함. 약어 : PMF.
가단주철 (可鍛鑄鐵, malleable cast iron)
주철 가운데 흑연화가 작은 백주철을 거듭 열처리하여, 단조 등의 가공이 가능하도록 한 주철.
가도교 (架道橋, over bridge)
도로를 횡단하여 그 상부에 설치하는 다리.
가동교 (可動橋, movable bridge)
선박 등의 항해의 편리함을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 교량의 상부구조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 다리. 도개교. 승개교. 선회교. 전개교가 있음.
가동구간 (可動區間, movable section)
장대레일 구간에서 온도변화에 따라 레일이 신축하는 부분을 가동구간이라 함. 가동구간의 길이는 도상저항력, 레일온도 변화 등에 따르며 통상 장대레일 양단의 약 100 m가 됨. 도상저항력을 일정하게 하면 가동구간의 길이는 le = AEβ△t/r가 됨.
가동노즈크로싱 (??可動鼻端轍叉??, movable nose rail frog, swing-nose crossing)
크로싱 노즈 일부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노즈의 선단부가 양측 윙레일면에 밀착하여 결손 부분을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개통시키고 연결시켜 차량통과를 원활하게 함. 이 경우 타측 윙레일에서는 완전분리가 됨.
가동단 (可動端, movable end)
가동지지부를 가지는 단부.
가동댐 (可動 - , movable dam)
댐의 전부 또는 일부가 수문 등에 의하여 댐수위의 조절이 가능한 댐.
가동둔단크로싱 (可動鈍端 - , movable stub crossing)
천이포인트라고도 하며 깎아 다듬지 않은 전단면 그대로의 단척레일을 사용한 둔단식 가동크로싱으로 일단은 크로싱의 교점위치에서 제자리 회전만이 가능케 하고 타단은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여 차량의 진로방향으로 개통시켜 연속된 레일 위를 주행할 수 있도록 한 것임. 이 경우 다른 방향의 레일은 단척레일의 길이만큼 완전 분리되어 절선부분을 발생케 함. 따라서 신호의 오동작이나 열차운전 부주의로 사고를 발생시킬 염려가 있음. 가동둔단식은 가동하는 단척레일 부분에 충격을 많이 받아 보수가 곤란하므로 근래에는 잘 사용하지 않음.
가동웨어 (可動 - , movable weir)
고정웨어에 대조되는 용어. 강재 등을 사용한 게이트 구조의 둑으로, 홍수시에는 개방하여 하천의 장해가 되지 않는 형식. 종종 하구부에 설치됨. 인양식과 기복식이 있음.
가동지지 (可動支持, movable bearing)
보통은 일정 방향으로 변위가 생기는 1자유도의 지지부. 2자유도인 것도 있음.
가동 K자 크로싱 (??可動 - 字轍叉??, movable center frog crossing)
K자크로싱의 일종으로 차량의 주행시 주행 레일의 결선부를 없애고 이선 진입을 막기 위해 4개의 가동 레일과 2개의 팔자형(八字形) 레일에 의해 구성된 것을 말하며 번수가 넓은 경우에 사용됨.
가동크로싱 (??可動轍叉??, movable / continuous rail frog)
크로싱의 일부가 움직이도록 되어 분기부에서 궤간선의 결선부를 없게 하여 차량통과시 소음과 진동을 적게 하고 차륜이 안전하게 주행하도록 한 크로싱으로 주로 고속열차가 운전되는 선로에 사용됨.
가드 레일 ( - , guard rail)
① 차도와 보도의 경계나 도로의 끝에 설치하는 띠판상의 방호공.
② 철도선로중 교량이나 축제 또는 경사구간에서 열차의 탈선을 방지하고, 만일 열차가 탈선했을 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로 본선레일 내측 또는 외측에 본선 레일과 평행하게 소정의 격으로 설치한 레일. 보통레일 또는 형강을 사용하며, 사용 목적에 따라 탈선방지 가드레일, 교상 가드레일, 안전 가드레일 포인트 가드레일 등으로 분류됨.
가로 (街路, street)
도시지역에 위치한 도로를 말하며, 좁은 의미로는 도시계획법에 의해 도시계획으로 결정 고시된 도로를 말함.
가로간극이음 ( - , slot joint)
아치댐의 가로이음의 일종으로 블럭을 완전히 분리했다가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에 그 간극을 메우는 이음.
가로둑 ( - , cross levee)
하천폭이 넓고 제외지에 경작지가 많은 경우, 이 부분을 유수지로 사용하고 경지를 중소홍수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하천의 흐름에 거의 직각으로 축조되는 제방. 횡제라고도 함.
가로미끄럼 저항계수 (??橫摩擦抵抗係數??, lateral force coefficient)
차량의 진행방향과 어떤 각도(미끄럼角)를 이루는 타이어에 가해지는 힘이 타이어 회전면에 수직인 성분과 윤하중(輪荷重)과의 비.
가로보 ( - , cross beam)
교량의 바닥보와 같이, 주형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보. →바닥보
가로 수축 줄눈 ( - 收縮 - , transverse contraction joint)
가로 방향으로 둔 수축줄눈.
가로재 ( - 材, horizontal member)
수평방향으로 걸쳐놓은 부재로서, 들보나 도리 등을 말함.
가로조명 (街路照明, street lighting)
도로를 따라 도로시설의 시각적인 밝기를 높여줌으로써 야간의 안전운행과 편의 제고를 위해 설치하는 조명시설을 의미하며 주로 수은 등이나 나트륨 등이 많이 이용됨.
가로 좌굴 (“橫挫屈”, lateral buckling)
단면의 높이가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들보에서 작용하는 휨 모멘트가 한계치에 도달하면 휨 모멘트가 작용하는 면외로 들보의 변위가 크게 일어나는 현상.
가로줄눈 ( - , transverse joints)
일반적으로 도로중심선에 직각방향의 줄눈, 특히 도로에서는 도로의 중심선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만든 콘크리트 포장 슬래브의 줄눈의 총칭. 기능에 따라 수축줄눈, 팽창줄눈, 시공줄눈 등으로 나누어짐.
가로패킹 (??橫木??, cross packing)
패킹은 교량거더상에서 면맞춤 또는 캔트설치, 동상보수, 교대의 파라핕 또는 개거의 콘크리트 면상에 직접 침목을 부설할 때, 레일면의 높고 낮음이 생겼을 때, 도상으로 정정할 수 없는 경우, 레일과 침목사이 또는 구조물과 침목 사이에 나무판자의 패킹을 삽입하여 정정하는 것으로 레일과 직각방향으로 부설하는 패킹을 말하며, 부설하는 방법에 따라 가로패킹, 세로패킹, 건너패킹이 있음.
가로 팽창 줄눈 ( - 膨脹 - , transverse expansion joint)
가로방향으로 둔 팽창줄눈.
가로 흔들림 ( - , sidesway)
재축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발생한 보나 기둥 양단의 상대적인 변위 등의 총칭. 대표적인 것으로 문형 라멘 등에서 외부하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수평 변위가 있음.
가로 흔들림 좌굴 ( - 挫屈, sidesway buckling)
문형 라멘등에서 어느 임계치를 넘는 수직 하중이 작용할 때 큰 가로 흔들이가 발생하는 현상.
가림판 ( - 板, blind patch)
관의 단부를 영구적으로 막는 판.
가물막이댐 (假 - , coffer dam)
교량이나 댐 또는 갑문 등 하천 또는 해양에 구조물을 축조하는 동안 물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널말뚝(sheet pile)이나 흙을 사용하여 임시로 막아놓은 제방이나 댐.
가뭄 ( - , drought)
장기간 계속되는 무강우 또는 강우의 심각한 부족. 수문학적으로는 하천유량과 저수지 수위를 정상상태 이하로 저하시키고 토양수분의 고갈과 지하수위의 저하를 가져올 정도로 충분히 지속되는 비정상적으로 건조한 상태.
가뭄지수 ( - , drought index)
가뭄에 의한 누적된 영향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계산치. 수문학적으로는 하천, 호수 또는 저수지 등에서 평균 이하의 수위로 표현되며, 농업에서는 식물생장에 필요한 증산량 부족의 누적효과를 나타내어야 함.
가배수터널 (假排水 - , diversion tunnel)
댐 공사를 위하여 하천 흐름을 일시적으로 바꾸기 위하여 건설되는 터널식 수로. 후에 발전용 또는 방수용 수로로 사용되기도 함.
가변비용 (可變費用, variable cost)
고정비용과 상반되는 개념으로서 교통에서는 차량의 사용정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소요되는 연료비, 유지비(油脂費), 타이어 마모비, 유지보수비 등을 말함.
가변일방통행도로 (可變一方通行道路, reversible oneway street)
시간대에 따라 일방통행의 방향을 바꾸어 운영하는 도로.
가변차선 (可變車線, reversible lane)
시간대에 따라 차량의 통행방향을 바꾸어 운영하는 차선.
가볼로지 ( - , garbology)
쓰레기에 대하여 연구 조사하는 학문. 쓰레기학이라고도 함.
가부착용접 (假附着鎔接, tack weld)
본용접을 하기 전에 부재의 단위와 간극을 바로잡고 띄엄띄엄 위치를 고정시키는 용접.
가상구배 (假想句配, virtual grade)
철도선로에 있어서 실제로 부치는 구배 외에 운전계획상 필요한 가상의 구배로 제한구배, 표준구배, 평균구배, 보조구배 등이 있음.
가상일의 원리 (假想 - 原理, principle of virtual work)
평형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구조물에 미소한 가상 변위를 가하였을 때 외부 하중이 가상 변위에 의하여 한 외적 가상일과 내부 응력이 가상 변위에 의하여 발생한 가상 변형도에 의하여 한 내적 일이 같다는 원리.
가상 변위 (假想 變位, virtual displacement)
어떤 구조물의 주어진 변위 경계조건을 만족시키고 구조물내의 변위 적합 조건을 만족시키는 변위.
가새 ( - , brace, bracing)
→브레이싱.
가설 (架設, erection)
교량 등의 구조물을 소정의 위치에 걸쳐놓는 것.
가설공사 (假設工事, temporary work)
가설물을 만들기 위한 공사. 본체공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준비 공사. 직접가설과 간접가설로 나누어 짐.
가설도 (架設圖, erection drawing / diagram)
구조물 세우기공사의 방법, 순서 등을 나타내는 그림.
가설물 (架設物, false work)
건설공사 중, 각종의 지지를 위해 만드는 가구조물.
가설볼트 (架設 - , erection bolt)
강교 등을 가설할 때 부재를 임시로 연결하는 볼트.
가설승강장 (假設昇降場, temporary platform)
여객과 화물을 취급하기 위한 본 승강장을 확장하거나 선로 이설 등을 위하여 일시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가설한 승강장.
가설잔교 (架設棧橋, temporary stage, scaffold board)
가설구조의 잔교. 교량의 가설이나 철골 세우기 중의 작업용구태, 자료운반, 임시적재, 작업용 통로 등으로 이용함.
가설재료 (假設材料, temporary material)
가설공사를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재료.
가설주택 (假設住宅, temporary dwelling)
일시적인 생활을 하기 위하여 지은 주택.
가설트러스 (架設 - , erection truss)
가설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트러스.
가설표지 (假設標識, temporary point / station)
→임시설치표지.
가설하중 (假設荷重, erection load)
구조물을 가설 중에 각종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하중의 총칭.
가설힌지 (假設 - , erection hinge)
아치교나 랭거교를 가설하기 위해서 일시적으로 설치하는 활절(hinge).
가소제 (可塑劑, plasticizer)
시멘트풀, 모르터, 콘크리트 등의 점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혼화제.
가속도계 (加速度計, accelerometer)
진동체의 가속도를 측정하는데 쓰이며, 진동을 측정하려고 하는 진동체의 주기에 비하여 대단히 짧은 주기를 갖고 있음.
가속도저항 (加速渡抵抗, acceleration resistance)
열차가 가속할 때 필요한 여분의 견인력에 대한 저항.
가속류 (加速流, accelerated flow)
수로에서 흐름 방향으로 속도가 증가하는 흐름.
가속정지거리 (加速停止距離, accelerate-stop distance)
항공기가 이륙을 시도하다 이륙 임계속도 이하에서 엔진 장애를 일으켜 감속시켜 정지할 경우 활주 개시점으로부터 정지점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말. 활주로 길이 결정시 충족시켜야 할 길이중의 한 가지 요소임.
가수분해 (加水分解, hydrolysis)
무기, 유기화합물에 물이 첨가되어 일어나는 분해반응. 무기화합물의 예로는 염의 가수분해가 있으며 유기화합물의 경우는 유지 및 에스테르의 비누화, 전분 및 셀룰로스의 당화 등을 들 수 있음.
가수준점 (假水準點, temporary bench mark)
비영구적인 것으로서 비교적 단기간 동안만 사용할 의도로 만들어진 수준점으로 가고저기준점 (假高低基準點)또는 임시수준점 이라고도함. 약어 : TBM.
가스관 ( - 管, gas pipe)
급수?급탕?증기?가스용의 배관 등에 사용되는 강관.
가스교반법 ( - 攪拌法, gas agitation method)
압축된 소화가스를 이용하여 소화조를 교반하는 방법. 기계교반법에 비하여 슬러지 플록의 파괴가 적기 때문에 2차소화조에서 침전 및 농축 효과가 큼.
가스발생제 ( - 發生劑, gas forming agent)
시멘트풀 중의 알칼리와 작용하여 수소가스를 발생시켜서 발포시키는 혼화제. 보통 얇은 조각모양의 금속알루미늄 분이 쓰이며, 프리팩트콘크리트 등의 그라우트의 팽창제로 이용되고 있음.
가스상 오염물 ( - 狀 汚染物, gaseous pollutant)
기체상에 포함된 오염원인 물질로서 그 주된 것으로는 매연, 분진, 일산화탄소, 질소화합물, 오존, 황화합물, 납 등이 있음. 화석연료 사용시 주로 발생하는 오염물인 분진 및 황화합물은 산업스모그의 원인이 되며, 일산화탄소, 질산화물 및 탄화수소 등은 태양광선 및 오염물질간의 반응을 일으켜 광화학스모그의 원인이 됨.
가스세정탑 ( - 洗淨塔, gas scrubber)
가스에 부유하는 고체, 액체 또는 기체성분을 충진제의 수막을 통과시키거나 물의 분사를 이용하여 가스를 세정하거나 시료를 채취하는 장치. 수용성 가스나 분진을 제거하는데 적합함.
가스쉴드아크용접 ( - 鎔接, gas shielded arc-welding)
탄산가스, 아르곤 등의 가스에 의해 아크 및 용착금속을 대기로부터 차폐시키면서 하는 용접.
가스압접 ( - 壓接, gas pressure welding)
가스불꽃의 열을 이용하여 모재가 일정한 고열이 되었을 때 상당한 압력을 가하여 용접하는 방법.
가스용접 ( - 鎔接, gas welding)
가스불꽃의 열로써 하는 용접.
가스절단 ( - 切斷, gas / flame cutting)
가스불꽃으로 가열시켜, 금속과 산소의 급격한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절단.
가스크로마토그래피 ( - , gas chromatography)
혼합물질을 각 성분별로 분리하여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소량의 시료를 사용하고 검출감도 및 정량의 정도가 높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음. 시료는 분리관에서 물질의 흡착성 또는 용해성의 차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되며 분리된 각 성분은 TCD, ECD, FID 등의 검출기를 사용하여 정량화함.
가스화 ( - 化, gasification)
석탄이나 코오크스를 1000 ℃ 정도로 가열한 후 공기나 수증기를 접촉시킴으로써 회분이외의 탄소를 가연성 가스로 변환시키는 방법. 석유 또는 폐기물의 열분해시 생성된 오일을 가스로 변환시킬 때에도 사용할 수 있음.
가스흡수 ( - 吸收, gas absorption)
기체와 액체가 접촉할 때 기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액체에 용해, 흡수되는 현상. 주로 혼합기체중의 유용성분 회수 또는 유해성분의 제거를 위하여 사용됨.
가압부상법 (加壓浮上法, pressure floatation)
공기를 가압하여 물에 용해시킨 후 감압시 발생하는 미세한 기포에 미립자나 플록을 부착시켜 부상분리하는 방법. 원수전체를 가압하는 전가압법, 원수의 일부를 가압하여 순환시키는 순환법, 그리고 원수의 일부만을 가압시키는 부분가압법 등이 있음. 주로 함유폐수처리, 제지폐수 중 펄프회수, 현탁물의 비중이 작아 침전이 용이하지 않은 폐수의 처리에 사용됨.
가압여과기 (加壓濾過機, pressure filter)
여과막사이에 슬러지를 주입하고 수압 또는 유압으로 여과판을 눌러서 탈수시키는 방법으로 물은 여과시키고 슬러지는 막에 잔류시키는 슬러지 탈수설비. 주로 유럽에서 많이 사용하던 방식으로 유지관리비가 많이 들고 탈수 슬러지의 함수율이 높다는 단점이 있음.
가압용접 (加壓鎔接, percussion welding)
미리 콘덴서에 전기적 에너지를 축적시켜 놓고, 모재의 접착면을 통해서 방전하여 그때 발생하는 아크에너지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는 가압용접. 주로 가는 선재의 용접에 사용됨. 퍼쿠션용접이라고도 함.
가압탈수기 (加壓脫水機, filter press)
가압여과기의 일종으로 여포사이에 슬러지를 넣고 여포에 압력을 가하여 탈수시키는 방법. 여포가 손상되기 쉽다는 단점이 있으나 취급이 쉽고 여과면적이 커서 최근에는 탈수기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음.
가열강도 (加熱强度, fired strength)
어떤 정해진 가열온도-시간곡선에 의한 냉각후의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또는 휨강도.
가열건조 (加熱乾燥, flash drying)
슬러지를 가열하여 건조하는 방법. 건조비용이 많이 들고 건조시 냄새발생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나 건조슬러지의 판매가 용이한 경우에는 경제적인 방법임.
가열단위중량 (加熱單位重量, fired unit weight)
어떤 정해진 가열온도-일시간곡선에 의한 냉각후의 콘크리트의 단위중량.
가열살포 (加熱撒布, hot lication)
프라임코팅이나 택코팅 또는 실코팅시 가열한 역청재를 살포하는 것.
가열속도 (加熱速度, heating rate)
오븐이나 오토클레이브의 온도가 소정의 최고온도까지 오르는데 필요한 시간. deg/hr 의 단위로 표시됨.
가열아스팔트플랜트 (加熱 - , hot asphalt plant)
가열 혼합식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조하는 설비로서, 재료의 공급, 가열, 혼합까지 일관된 작업을 기계적으로 처리하는 혼합물 제조 장치.
가열아스팔트혼합재 (加熱 - 混合材, hot mixed asphalt)
굵은 골재, 잔골재, 진충재(塡充材)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적당량을 혼합하여 가열, 혼합한 아스팔트 혼합물.
가열처리 (加熱處理, heating treatment)
슬러지의 탈수성 향상을 위하여 농축하기 전에 행하는 전처리방법으로 170~210 ℃, 10~20기압으로 약 0.5~2시간 정도 증기로 가열처리하면 콜로이드상 물질이 응축되고 세포질은 분해되어 탈수성을 높일 수 있음. 주로 유기물 함유폐수나 탈수성이 나쁜 활성슬러지의 처리에 적용됨.
가열침투식공법 (加熱浸透式工法, penetration macadam in hot)
침투식 공법 중 가열한 역청재료를 사용한 공법.
가열포장타르 (加熱鋪裝 - , hot applied road tar)
포장타르중 주로 가열하여 사용하는 것.
가열혼합공법 (加熱混合工法, hot mixing method)
아스팔트 플랜트에서 스트레이트아스팔트와 골재를 가열 혼합한 아스팔트 혼합물을 고온 상태 그대로 부설하는 공법.
가열혼합재 (加熱混合材, hot mixture)
아스팔트플랜트에서 골재와 아스팔트를 가열하여 혼합한 것. 아스팔트포장의 표층, 기층 등에 사용됨.
가온분리 (加溫分離, warming separation)
함유폐수를 온수 또는 수증기로 약 70 ℃ 정도로 가열하여 일주일 정도 정치하여 상층에 함수율이 낮은 함유폐수층, 중층에 함수율이 높은 폐수층, 그리고 하층에 슬러지 및 피치층으로 분리하여 처리하는 방법. 상층의 함유폐수 및 하층의 피치 등은 소각처리하며, 중층의 함유폐수는 여과 및 기타 처리방법으로 필요에 따라 처리함.
가외철근 (加外鐵筋, additional bar)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온도변화, 기타의 원인에 의하여 콘크리트에 일어나는 인장응력에 대비해서 가외로 더 넣는 보조적 철근.
가요성 포장 (可橈性 鋪裝, flexible pavement)
강성포장(rigid pavement)과 상대되는 말로서 아스팔트 포장과 같이 표면에 가해지는 하중을 기층 및 보조기층을 통해 넓게 분산시켜 노상층이 받는 하중을 줄여 주는 포장.
가용수두 (可用水頭, available head)
수력발전에 이용할 수 있는 낙차. 발전수로 유입부 수위와 방수로 수위와의 차.
가용수분 (可用水分, available soil moisture)
식물의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토양내 물. 일반적으로 시들음점과 현장상태의 수분함유능력 사이의 수분량으로 간주됨.
가용저수용량 (可用貯水容量, available storage)
이수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저수량. 통상적인 저수지의 운영 조건하에서 가용저수량의 최대값은 상시만수위와 최소 저수위 사이의 저수지 용적인 유효저수용량이 됨.
가용접 (假鎔接, tack welding)
→ 태그용접.
가용토양수분 (可用土壤水分, available soil moisture)
공극에 포함된 물 중 배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분의 양을 말하며 전체 공극수 중 입자에 부착된 수분량을 제외한 것.
가우스분포 ( - 分布, Gaussian distribution)
어떤 사상의 모집단 또는 표본의 평균치로부터 편차가 통상 나타내는 종 모양의 대칭 연속분포형. 보통 정규분포라고 하며, 이 가운데 평균이 0이고 표준편차가 1인 분포를 표준정규분포라고 함.
가우스상사 이중 투영법 ( - 相似二重投影法, Gauss double projection)
회전타원체면에서 구면에, 그리고 다시 구면에서 평면에 투영을 하는 것으로서 1910~1918경에 행하여진 우리나라 삼각측량의 계산에 사용되었고 국가기준 삼각점의 평면직교좌표는 이 투영법에 의한 좌표임. 가우스이중투영법이라고도 함.
가우스-크뤼거 투영법 ( - 投影法, Gauss-Kruger’s projection)
좌표원점을 포함하는 자오타원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원통을 씌워, 그 원통에 지표면을 투영하여 이를 평면으로 절개하는 방법의 투영법. 이를 횡메카토르(TM)투영법이라고도 하며, UTM의 투영이론이기도 함.
가우시안 모형 ( - , Gaussian model)
오염물질의 분포를 가우스 분포함수, 즉 정규분포로 가정하여 대기오염물의 배출원으로부터 하류방향으로 기체상태 오염물의 농도를 추정하는 수학적인 모형.
가우징 ( - , gouging)
용접한 뒷면을 가스불꽃 또는 아크로 불어 파는 것.
가이데릭(크레인) ( - , guy derrick (crane))
중량물의 이동하설작업, 건축공사의 철골조립작업 및 항만하역설비에 사용되는 고정회전식 기계로서 마스트, 붐, 가대(架台, pool wheel), 블럭류 및 가이로우프로 구성되어 있음.
가이드레일 ( - , guide rail)
엘리베이터 케이지. 균형추가 오르내리는 안내레일. 보통 특수 T형으로서, 24 km, 13 km, 8 km의 3종류가 있으며 궤도의 경우에는 자갈면과 본궤도의 기준이 되도록 3~4 m간격으로 받쳐 논 레일.
가이드웨이 ( - , guideway)
교통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차량유도로.
가이드케이블 ( - , guide cable)
안내밧줄(cable).
가이벤 헬즈버그 렌즈 ( - , Ghyben Herzberg lens)
→ 담수렌즈.
가인버트 (假 - , temporary invert arch)
지반이 불량한 지역의 터널공사시에 주변변위를 억제하고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터널의 1차 지보재와 일체의 링(ring) 구조체를 이루는 아치형으로 굴착된 터널바닥부에 타설하는 뿜어붙임 콘크리트 구조로서 터널상부의 아치 구조에 대응하는 바닥부의 역아치구조를 말함.
가장자리 보 ( - , edge beam)
판 구조 또는 셀 등에서 연단부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들보.
가조립 (假組立, trial temporary / shop provisional assembly)
제작이 완료된 구조물의 부재를 공장내 부지에서 구조물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가설 전에 조립해 보는 작업.
가조임 (假 - , temporary tightening)
강구조물의 가설시에 일시적으로 가볼트 등으로 접합부 위치를 고정하는 것.
가중등가평균 감각소음치 (加重等價平均 感覺騷音値, weighted equivalent continuous perceived noise level)
ICAO에서 권고하고 우리나라 항공법에서 채택하고 있는 항공기 소음에 대한 소음 영향도(度) 산출 단위. 1일중 항공기 소음 측정 횟수, 통과 항공기별 최고 소음값, 시간대별 이착륙 횟수 및 가중치가 고려됨. 약어 : WECPNL.
가중 잔차법 (加重 - , weighted residual method)
미분 방정식에 적절한 가중함수를 곱하여 정의 영역에서 적분한 값이 모든 가중함수에 대하여 영이 되는 함수를 찾음으로서 미분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방법. 유한 요소법과 리쯔 방법에서 사용됨.
가중평균 (加重平均, weighted mean)
각 변량의 상대적 중요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가중치를 적용하여 구한 수량의 평균.
가중 함수 (加重 函數, weighting function)
갤러킨 방법 등의 근사해석법에서 미분방정식과 곱하여 적분되는 함수. 무게 함수라고도 함.
가지보공 (假支保工, temporary support)
특정 목적을 위하여 일시적으로 설치하는 지보공.
가진 (加振, excitation)
어떤 구조계에 지속적으로 동적하중을 가하는것.
가축도 (假築島, sand island)
수중기초공사에서 수중에 널말뚝 등을 둘러 박고 그 속에 흙을 채워서 공사용 작업장을 만들거나 기타 방법으로 수중에 축도를 하여 공사용 발판으로 하는 가설구조물. 가물막이라고도 함.
가통 (架桶, flume)
계곡이 얕고 좁으며 통수량이 비교적 적은 경우에 설비하는 구조물.
가항성 (可航性, navigability)
선박등이 운항할 수 있는 가능성.
가항수로 (可航水路, navigable channel)
선박의 운항이 가능한 수로.
가항수심 (可航水深, navigable depth)
선박의 운항이 가능한 수심.
가항용량 (可航容量, navigable capacity)
주어진 수심에서 운항이 가능한 선박의 최대 적재능력.
가항하천 (可航河川, navigable river)
선박이 운항할 수 있는 하천.
각도주차 (角度駐車, angle parking)
차도의 진행방향과 각도를 이루는 주차면 배치로서 사각(斜角)주차와 직각주차로 구분됨.
각도철탑 (角度鐵塔, angle steel tower)
전선로에 수평각도가 있는 장소에 사용되는 철탑.
각력암 (角礫岩, breccia)
각(角)이 많은 자갈을 많이 포함한 역암.
각면흙손 (角面 - , angle float)
직각으로 구부러진 면을 갖는 마무리 용구. 요각을 마무리하는데 사용함.
각못 (角針, square nail)
횡단면이 정방형인 못.
각석 (角石, square stone)
석재의 형상의 일종. 정방형 또는 장방형단면에 일정한 길이를 갖는 각주형의 것.
각속도 (角速度, angular velocity)
회전하는 물체의 단위 시간당 각 변화율.
각장 (脚長, leg length)
이음의 루트에서 필렛용접 가장자리까지의 거리.
각재 (角材, square lumber)
정방형단면 또는 이에 가까운 단면의 목재. 일반으로 두께 6 cm 이상으로 폭이 두께의 3배 미만인 것이 각재로 취급됨.
각조건 (角條件, angle condition)
관측에 의한 다각형의 내각, 외각 혹은 일부각의 합이 그 다각형의 이론적 각도의 합과 동일하여야 한다는 조건임.
각주공식 (角柱公式, prismoidal formula)
토목공사에 있어서 절토와 성토의 체적을 구하는데 사용되며, 양단면 사이가 불규칙하지 않고 측면이 평면일 때 체적을 구하기에 편리한 방법임.
각주파수 (角周波數, angular frequency)
2π를 파의 주기로 나눈 값.
각 진동수 (角振動數, angular frequency)
→ 각 주파수.
간 (間, room)
① 기둥과 기둥사이의 공간의 수의 단위. 정면5간은 정면이 기둥 6개로 되어있음을 뜻함.
② 기둥 넷으로 둘러싸인 한 공간, 곧 방의 면적을 헤아리는데 쓰이는 단위, 8자방 한간 6간 대청 등.
③ 곡척 6자(약 1.8 m) 길이를 쓰는 단위. 주척 6자를 보라 하였음.
간격분포 (間隔分布, interval distribution)
도착시간 간격의 분포.
간격수락 (間隔受諾, gap acceptance)
두 차량사이의 차간시간을 이용하여 합류나 교차하는 것.
간격재 (間隔材, spacer)
① 철근이나 프리스트레싱 강선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재료 또는 그 가공물.
② 강지보공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철근 및 철봉.
간곡선 (間曲線, half interval contour line)
주곡선 등고선간격의 1/2의 간격으로 표시되는 등고선으로서, 경사가 고르지 못한 완경사지 또는 주곡선만으로는 지도를 명시하기 곤란한 장소에 할선으로 표시함.
간균 (桿菌, bacillus)
세균의 형태별 분류시 원통형의 세균.
간극 (間隙, void)
흙이나 암석 가운데 액체나 기체가 차지하는 부분. 공극이라고도함.
간극공기 (間隙空氣, pore air, air in the void)
흙의 간극 속에 존재하는 공기(기체).
간극공기압 (間隙空氣壓, pore air pressure)
흙의 간극에 존재하는 공기의 압력.
간극률 (間隙率, porosity)
흙 간극의 체적 의 흙의 전체 체적 에 대한 비로서, 백분율로 표시함. 간극률 은 다음 식으로 정의됨. ×100(%). 간극비 e와의 관계는 ×100(%)임.
간극비 (間隙比, void ratio)
흙 가운데 간극의 부피를 토립자의 부피 로 나눈 값. 즉 간극비 는 =로 정의되고, 간극율 과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음.
간극수 (間隙水, pore water)
흙의 간극에 존재하는 수분. 넓은 의미로는 중력수(重力水), 모관수(毛管水), 흡착수(吸着水)를 통칭함. 즉 흙 사이에 있는 물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좁은 의미로는 간극수압과 투수 등에 관계한 앞의 2가지만을 말함.
간극수두 (間隙水頭, pore water head)
흙 속의 간극수가 가지고 있는 수두.
간극수압 (間隙水壓, pore water pressure)
흙의 간극 속에 존재하는 물의 압력. 정수압, 과잉간극수압을 총칭하여 말함.
간극수압계 (間隙水壓計, piezometer, pore water pressuremeter)
간극수압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계. 스탠드파이프 수위형, 전기계측형, 평위변형 등 여러 종류가 있음.
간극수압계수 (間隙水壓係數, pore water pressure coefficient)
흙 가운데 간극수압의 변화 를 응력증분에 따라 나타낼 때의 계수. 간극압계수라고도 함.
간극압 (間隙壓, pore pressure)
흙 가운데 간극유체 (물 또는 공기)의 압력, 포화토에서는 간극수압, 불포화토에서는 간극수압 또는 간극공기압. → 간극수압.
간극압계수 (間隙壓係數, pore pressure coefficient)
→ 간극수압계수
간극유체 (間隙流體, pore fluid)
흙 간극에 존재하는 액체나 기체.
간사지 (干瀉地, tidal flat / land)
조석의 오르내림에 따라 물속에 잠겼다 드러났다 하는 연안의 비교적 평평한 부분으로서 저조시에 노출되는 개펄.
간선 (幹線, trunk, main line)
철도망 주요 하수관, 상수관 등에서 주요노선을 말함. 수송량이 많은 선로.
간선도로 (幹線道路, arterial)
전국적, 지역적 또는 도시내에서 골격적인 도로망을 형성하는 도로로서 보통 도로교통량이 많고 중교통, 광폭(廣幅), 규격이 높은 도로일 경우가 많음.
간선도로 체계 (幹線道路 體系, arterial system)
도로망의 골격을 형성하는 도로체계로서 설계속도가 높고, 유출입이 제한되며 주로 통과교통을 처리하는 기능을 가짐.
간섭침강 (干涉沈降, hindered settling)
고농도의 응집성 입자가 침전하는 경우 입자 상호간의 간섭이 강하게 되어 입자군이 집단적으로 침전하기 때문에 침전속도가 단일입자 침전시보다 감소하게 되는 현상. 이 경우 청등액과 현탁액과의 경계면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슬러지의 농축시 흔히 일어남.
간이수위표 (簡易水位標, staff gauge)
하천에 표척을 설치하여 하천수위를 관측하는 시설.
간이식 방호책 (簡易式 防護柵, simplified safety fence)
교통안전시설의 일종으로서 차량이 차도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 또는 보행자의 보호를 위한 간이식 방호울타리시설.
간이역 (簡易驛, simple station)
취급여객 및 화물량이 적어서 간단한 설비를 하여 역의 기능을 갖게하는 정차장으로서 역장은 배치하지 않고 역원만 있는 배치 간이역, 무배치 간이역, 운전간이역 등이 있음.
간이포장 (簡易鋪裝, low cost pavement)
경 교통량 도로에 적용되는 간이적인 구조의 포장으로서 통상 표층과 기층 및 보조기층으로 구성되며, 표층의 두께가 일반적으로 3~4 cm 정도의 포장을 말하고 넓은 뜻으로는 표층에 1~2 cm 두께의 표층처리 또는 방진처리를 하는 것도 포함됨.
간접관측 (間接觀測, indirect observation)
구하고자 하는 미지량을 직접 관측할 수 없다든지 또는 곤란할 때에 이것과 관계되는 다른 미지량을 구함으로써 목적하는 미지량을 간접적으로 결정하는 관측방법.
간접덧댐 (間接 - , indirect splice)
덧 대려고 하는 재편(판. ㄱ형강 등)에 덧판이 밀착되지 않고 그 사이에 다른 판 등이 끼워져 있는 덧댐.
간접비 (間接費, overhead cost)
공사에 직접 소요되는 노력, 재료 등 소위 직접비 외에 간접적으로 소요되는 비용. 예를 들면 공사용건물, 동력, 교통통신, 현장감독 및 노무관계에 소요되는 비용, 본지점경비 및 기타의 제경비.
간접용접 (間接鎔接, indirect welding)
용접하려고 하는 재편에 용접재편이 밀착되지 않고, 그 사이에 다른 재편이 끼워져 있는 형태의 용접.
간접이음 (間接 - , indirect joint)
중간에 개재되는 강판을 통해 부재와 재편(材片)이 서로 이어지는 것.
간접하중 (間接荷重, indirect load)
구조물의 특정부분에 직접작용시키지 않고, 다른 구조부분을 거쳐서 전달되는 하중.
간조 (干潮, low tide / water)
조석의 승강작용중 가장 수위가 낮을 때로 저조(低潮)라고도 함.
간척 (干拓, reclamation)
해안부(海岸部)나 습지(濕地)를 둘러막아 그 내측의 물을 배제하여 육지를 만드는 것.
간척 제방 (干拓 堤防, polder dike)
호수나 바닷가에 쌓아 그 안의 물을 빼내고 육지를 만들기 위하여 설치하는 제방.
간척지 (干拓地, polder, reclaimed land)
인공적으로 주위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간척공사에 의해 조성된 토지. 대부분 낮은 곳에 위치하므로 수면이 조절되며, 지반의 고저, 토질, 하천배수축제의 양호성 등에 의하여 가치가 결정됨.
간헐온천 (間歇溫泉, geyser)
뜨거운 물줄기를 단속적으로 뿜어내는 온천.
간헐천 (間歇川, ephemeral stream)
강우 또는 분출되는 샘물에 의한 직접적 영향에 의해서만 흐르는 하천. 하천수로가 지하수의 자유수면보다 위에 위치해 있음.
간헐호 (間歇湖, ephemeral lake)
건조한 계절 또는 특별히 건조한 해에는 말라버리는 호수.
갇힌공기 ( - 空氣, entrapped air)
혼화제를 쓰지 않아도 콘크리트 중에 자연히 발생하는 공기.
갈고리 ( - , hook)
철근의 정착 또는 겹이음을 위하여 철근 끝의 구부린 부분. 철근 끝부분을 반원형으로 180°구부린 갈고리를 반원형 갈고리, 철근 끝부분을 90°로 구부린 갈고리를 90°갈고리, 철근 끝부분을 135°구부린 갈고리를 135°갈고리라고 함.
갈고리철근 ( - 鐵筋, hooked bar)
점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단부에 갈고리를 붙인 철근.
갈수년 (渴水年, dry year)
강우량 또는 하천유량이 통상적인 경우보다 상당히 적어 가뭄이 발생한 해.
갈수량 (渴水量, dearth water discharge amount, drought flow)
하천의 유황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통계량 중의 하나. 연중 355일간은 유지하는 하천의 유량을 말하며, 따라서 이 기준 보다 유량이 적은 날이 10일을 넘지 않음.
갈수위 (渴水位, dearth water / drought water level)
하천의 유황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통계량 중의 하나. 연중 355일간은 유지하는 하천의 수위를 말하며, 따라서 이 기준 보다 수위가 낮은 날이 10일을 넘지 않음.
갈수해석 (渴水解析, low flow analysis)
갈수가 갖는 특성에 대한 해석. 홍수해석과 달리 순간적인 첨두값보다는 비교적 긴 기간에 걸쳐 지속되는 유량과 기간이 주된 관심사임.
갈아내기마무리 ( - , rubbed finish)
금강석을 사용해서 콘크리트의 표면을 매끄럽게 갈아내는 마무리.
갈아내기벽돌 ( - , rub brick)
경화한 콘크리트 표면의 凹凸을 제거하고 평활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실리콘카바이드벽돌.
갈톤분포 ( - 分布, Galton distribution)
→ 대수정규분포.
감마분포 ( - 分布, gamma distribution)
수문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확률분포형의 하나. 대부분의 수문량들의 왜곡된 분포를 잘 반영하여, 연 최대홍수량, 갈수량, 계절 또는 연 유출용적 등의 생기확률을 표시하는데 사용됨.
감마선 ( - 線, gamma ray)
방사성 원자핵이 붕괴할 때 α, 1β선을 방출한 후 핵중의 과잉 에너지로서 방출되는 전자파. 파장이 짧고 X선보다 투과능력이 크며, 의료, 공업, 연구용으로 널리 쓰임.
감마재 (減摩材, lubricant)
프리스트레싱 강재와 쉬스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윤활재료. 일반적으로 사용 후 씻어낼 수 있는 수용성의 기름 또는 비누가 사용됨.
감마철 ( - 鐵, γ-iron)
911℃에서 1,392℃사이의 온도범위에서 안정한 면심립방결정의 순철.
감마탐침 ( - 探針, gamma probe)
지층에 감마선을 투사하여 산란 흡수되고 다시 돌아온 감마선을 검출함으로써 지층의 용적밀도를 구하는데 사용되는 장치.
감세공 (減勢工, hydraulic energy dissipator)
에너지를 감소시키거나 유속분포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하천 내에 설치하는 벽 또는 블록. 주로 수력발전소의 여수로 하류단이나 급경사의 수로 또는 방류관 말단의 고압밸브 등에서 유출되는 수류에너지를 감쇄시키는데 사용됨.
감세장치 (減勢裝置, energy dissipator)
→ 감세공.
감세지 (減勢池, stilling basin / pool)
댐 여수로 또는 고가수조의 방수로에서 방출되는 물의 에너지를 감소시켜 하류 하상 또는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해 수로의 말단에 인공적으로 만든 못. 보통 도수현상을 발생하게 하여 감세함.
감소계수 (減少係數, reduction factor)
→ 강도감소계수.
감소성장 (減少成長, declining growth)
미생물 성장시 양분이 모자라 미생물의 번식율이 사망율과 같아질 때까지 감소하게 되며 그 결과 살아있는 미생물의 양보다 미생물 원형질의 전체무게가 더 크게 되는 단계.
감속신호 (減速信號, reduced speed signal)
신호현시의 일종으로, 다음신호기에 정지신호 또는 경계신호의 현시가 있을 때 현시하는 신호임. 다음 신호기의 확인 거리가 짧을 경우에 사용함.
감속턱 (減速 - , bump)
주로 주거단지 등에서 차량의 속도를 낮추어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횡방향으로 설치하는 턱.
감쇠 (減衰, ① attenuation ② decay ③ damping)
① 파동 등이 발생원으로부터 떨어져서 진행함에 따라 그 진폭이나 총 에너지 등이 점차로 감소하는 것으로서, 각 방향에서의 분산에 의한 감소는 의미하지 않음.
② ⅰ) 타에 의하여 작용하지 않고 자신이 감쇠하는 것으로서, 풍랑의 방향 분산이나 속도 분산 혹은 방사능의 감소 등 ⅱ) 지하수의 계속적인 취수로 인하여 나타나는 현상으로 자연함양량을 초과하는 취수 때문에 지하수저류량, 하천유량 또 샘물의 감소현상이 나타남.
③ 진동현상에서 에너지를 소모하여 진폭이 점차로 감소하는 것.
감쇠계 (減衰系, damped system)
감쇠 특성을 갖는 시스템.
감쇠 계수 (減衰 係數, damping coefficient)
주어진 구조계의 감쇠 특성을 나타내는 계수.
감쇠비 (減衰比, damping ratio)
임계 감쇠 계수에 대한 주어진 감쇠 계수의 비.
감쇠율 (減衰率, decay rate)
오염물 등의 물질 농도 또는 방사성 동위원소의 반감기로 표현되는 활동의 감소율.
감쇠 주기 (減衰 週期, damped period)
감쇠 특성을 갖는 시스템의 진동 주기. 통상 감쇠 특성이 없는 경우보다 큼.
감쇠 진동 (減衰 振動, damped oscillation)
시간의 경과에 따라 진폭이 감소하는 진동.
감쇠 진동수 (減衰 振動數, damped frequency)
감쇠 특성을 갖는 시스템의 고유 진동수. 통상 감쇠 특성을 무시한 경우보다 작음.
감쇠파 (減衰波, damped wave)
해저면 마찰이나 쇄파 등으로 인하여 에너지가 감소된 파.
감수 (減水, recession, depletion)
강우가 시작된 후 하천의 유량이 첨두유량에 도달한 후 유량이 점차로 줄어드는 현상.
감수곡선 (減水曲線, recession / depletion curve)
강우시작후 유량이 첨두유량에 도달하고 난 후 다음 강우발생시까지 유량이 점차 감소하게 되는 것을 나타내는 수문곡선의 구성부분.
감수부 (減水部, falling limb)
수문곡선상에서 유량이 첨두값으로부터 시작하여 줄어드는 부분.
감수수문곡선 (減水水門曲線, depletion hydrograph)
→ 감수곡선.
감수율 (減水率, depletion rate)
양수 또는 취수에 의해 대수층 또는 저수지 저수량이 감소하는 비율.
감수제 (減水劑, water reducing agent)
소정의 워커빌리티를 갖는 콘크리트를 만드는 데 필요한 단위수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혼화제. 감수효과는 시멘트입자의 분산작용의 결과 생기므로 시멘트 분산제라고도 함.
감시 (監視, monitoring)
연속적인 또는 정기적이거나 비정기적으로 빈번하게 실시되는 표준화된 측정과 관측. 주로 환경에 대한 경보와 통제에 이용됨.
감시정 (監視井, monitor well)
염수침입이 발생하는 해안지역에 나타나는 염수전선의 진입이나 우물로의 오염물질이 주입되는 이동 등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조건의 도래를 미리 감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우물.
감시통제 (監視 統制, surveillance and control)
→ 관제.
감압모관식 점도계 (減壓毛管式 粘度計, vacuum capillary viscometer)
유체가 고체면에 부착되는 것을 측정하는 기기로서, 압력을 낮추면 액체가 압력이 낮은 쪽으로 이동하는데 그 이동량을 측정해 그 액체의 점도를 알아내는 기기.
감압밸브 (減壓 - , pressure reducing valve)
관로의 중간에 설치하여 상류수의 높은 압력을 낮추어 하류에 보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밸브. 급수대상구역에 고지구와 저지구가 있어서 고지구 급수에 필요한 수압이 저지구에는 지나치게 높을 때 감압밸브를 써서 수압을 저하시킴.
감압여과 (減壓濾過, vacuum filtration)
케이크쪽은 대기압으로, 여과쪽은 진공펌프 등을 이용하여 대기압보다 낮게 조작하여 여과하는 방법. 연속조작이 가능하고 유지점검이 쉽다는 장점이 있으나 진공유지비용 및 케익의 고함수율 등의 단점이 있음. 회전원통형 여과기와 회전원판형 여과기가 있음.
감압우물 (減壓 - , relief well)
필댐에서 댐의 중량에 의하여 발생된 높은 간극수압을 낮추기 위하여 댐의 하류면 기슭에 설치된 시추공 우물.
감온성 (感溫性, temperature susceptibility)
토목재료가 외부의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성질을 말함.
감조구역 (感潮區域, tidal portion, compartment)
하천의 하류부에서 조석의 영향을 받아 하천수위가 변하는 하천구간. 만조시에는 유수 방향이 역전하여 하류에서 상류로 흐르기도 하고, 담수와 해수의 비중차 때문에 밀도류 현상도 생김.
감조습지 (感潮濕地, tidal marsh)
조석의 오르내림에 따라 물에 잠겼다 드러났다 하는 습지.
감조하천 (感潮河川, tidal river)
조석에 의해 물의 흐름과 수위가 영향을 받는 하천.
감조항 (感潮港, tidal harbor)
조석의 영향을 받아 항내 수위가 일정하지 않은 항만.
감지기 (感知器, ① detector, ② sensor)
① → 검지기.
② → 감지단.
감지단 (感知端, sensor)
감지범위 내에서 물체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는 장치. 교통에서는 주로 검지기(detector)에 사용됨.
감파제 (減波堤, wave breaker)
파랑작용을 감쇠하기 위하여 설치한 경미한 구조물.
갑만 (閘灣, lock bay)
갑문을 설치하여 조석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 폐쇄만.
갑문 (閘門, lock(gate))
하천이나 운하 등의 수로를 가로지르는 댐이나 둑 또는 독(dock) 등에서 선박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수위의 고저를 조절하는 갑실의 수문.
갑문 보조시설 (閘門 補助施設, side pond)
갑문 전후 수역의 정온도를 유지하여 선박의 안전한 출입을 목적으로 갑문 주위에 설치하는 보조시설.
갑문턱 (閘門 - , lock sill)
갑문을 닫았을 때 문짝을 받치기 위하여 비실(扉室) 바닥으로부터의 돌출시킨 부분.
갑실(거) (閘室(渠), lock chamber)
외해와 내측 폐만의 수위차가 현저할 때에도 선박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두개의 갑문 사이의 연결수로로서, 갑문의 조작에 의해 갑실의 수위가 조절됨.
갑판승강식작업대 (甲板乘降式作業臺, self-leveling / self-elevating platform)
해양공사용 또는 석유채굴용 작업대의 일종. 쟈켓(Jacket)과 보조기구로부터 승강장치에 붙인 다리를 가진 폰툰(pontoon)식 작업대로, 이동시는 다리를 끌어 올려 부상시키고 작업시에는 다리 를 내려 데크(deck)를 해면으로부터 상승시켜 작업대로 함. 상갑판에 선회 크레인 항타기 등을 탑재함. 자기승강식작업대라고도 함.
갓돌 ( - , ①capping stone, ②backing log )
① 빗물에 의한 벽면의 오염을 방지할 목적으로 교대, 옹벽 등의 정부에 올려놓는 석재 또는 콘크리트 블록.
② 하역장비나 화물기가 부두의 마루에서 굴러 물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이프런의 수제선, 즉, 부두의 수제면 최상단에 설치하는 석조, 콘크리트 또는 목재 등으로 이루어진 차단 시설.
강 (鋼, steel)
학술적으로 탄소량 1.7 % 이하의 Fe-C계의 합금을 말하나, 실제로, 보통강의 탄소 함유량은 1.3 %임. 선철로부터 평로, 전로, 전기로에 의해 만들어짐. 고온에서 단조되며, 상온에서 구부릴 수 있음. 단순한 Fe-C 계의 합금을 탄소강이라 하며, 탄소이외의 여러가지 원소를 첨가한 강을 특수강이라 함.
강고점토 (强固粘土, hard clay)
일축압축강도가 4 kg/cm2 이상으로서 컨시스턴시가 특히 높은 점토. 고결점토(固結粘土)라고도 함.
강관 (鋼管, steel tube)
원통형으로 성형가공된 강재. 이음이 없는 것과, 용접 또는 단접으로 된 것도 있음.
강관기둥 (鋼管 - , steel pipe column)
강관으로 된 기둥으로서 그 속은 콘크리트 또는 철근콘크리트로 채우는 일이 많음.
강관널말뚝 (鋼管 - , steel pipe sheet pile)
강관의 이음새를 용접하여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널말뚝. 단면 강성이 다른 널말뚝과 비교하여 매우 크고, 수평력에 대한 저항이 매우 큼.
강관말뚝 (鋼管 - , steel pipe pile)
강제로 된 관 모양의 말뚝, 시공성을 고려하여 개단(開端)말뚝이 많으나, 선단지지력을 기대하는 경우에는 폐단(閉端)말뚝을 이용.
강관이음 (鋼管 - , steel pipe joint)
용접에 의한 강관이음은, 맞댐이음과 분기이음으로 대별됨. 맞댐이음은, 직접 맞댐용접을 하는 형식과, 플랜지 또는 파이프리듀서를 끼우는 형식이 많이 사용됨. 분기이음은 교차부의 한쪽 관 (주관)을 통하는 형식으로 X, T, Y, K를 기본으로 조합됨. 강관이음 외의 관, 거세트 플레이트 이음, 링(ring)이음 등이 있고, 입체 트러스(truss) 등에서는 볼조인트도 쓰임. 또한 엘보우(elbow) 등의 접합 부품을 사용하는 기계적 이음도 있음.
강괴 (鋼塊, steel ingot)
제강로에서 퍼낸 용강을 금형이나 사형에 주입한 괴상의 소재.
강교각 (鋼橋脚, steel pier)
강제의 교각.
강구조 (鋼構造, steel structure)
구조물의 주요구조 부재를 강을 사용하여 만든 구조.
강구조용볼트 (鋼構造用 - , bolt for steel structure)
강구조물에 쓰이는 볼트.
강널말뚝 (鋼 - , steel sheet pile)
토사의 붕괴와 지하수 흐름을 막기 위하여 굴착면에 설치한 강재 널말뚝.
강도 1) (强度, strength)
부재나 구조물이 그 기능을 유지하면서 받을 수 있는 최대 하중 또는 응력의 크기.
강도 2) (剛度, stiffness)
① 구조물의 특정한 자유도를 제외한 모든 자유도를 구속시킨 상태에서 특정한 자유도에 단위 처침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그 자유도에 가하여야 하는 힘.
② 일반적으로 탄성체에 대한 영율 또는 탄성계수와 동의어이나 아스팔트에서는 온도와 재하시간에 따라 영향을 미치며 온도가 낮고 재하시간이 짧을수록 크게 됨.
강도감소계수 (强度減少係數, strength reduction factor)
재료의 공칭강도와 실강도간의 불가피한 차이, 제작 또는 시공, 저항의 추정 및 해석모형 등에 관련된 불확실성 등을 고려하기 위한 안전계수.
강도법 (剛度法, stiffness method)
→ 변위법.
강도설계법 (强度設計法, strength design method)
구조물 설계법의 일종으로서 극한하중에 대하여 파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단면의 크기를 정하는 설계법.
강도 영향계수 (剛度 影響係數, stiffness coefficient)
강성도 행열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변위법에서 각 자유도에서의 힘과 변위의 관계를 표현하는 값.
강도-재령관계 (强度-材齡關係, strength-age relationship)
콘크리트 등 제조된 후부터 시간에 따라 강도가 변하는 재료에 있어서, 강도가 재령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그림 또는 수식으로 표시한 것.
강도정수 (强度定數, strength parameter)
Coulomb의 강도식 에서 점착력 와 내부마찰각 를 흙의 강도정수라고 함. 여기서 : 전단강도, : 법선(수직)응력.
강도 행렬 (剛度 行列, stiffness matrix)
구조물 또는 부재에 주어진 하중을 그에 대응하는 미지의 변위로 표시하는 행렬.
강도회복현상 (强度回復現狀, thixotropy)
점토를 되비빔하면 강도가 저하되지만 함수비를 그대로 유지하여 방치한다면, 시간의 경과에따라 경화(硬化)하여 강도가 일부 회복되는 현상.
강말뚝 (鋼 - , steel pile)
강관, I형강 및 H형강 등과 같이 강으로 만들어진 말뚝.
강모래 (“江砂”, river sand)
강바닥에 널려 있는 모래.
강봉 (鋼棒, steel bar)
형강에 비하여 단순한 단면 현상을 갖은 막대기 모양의 강재. 단면 현상에 따라 원형강, 각강,평강 등이 있음.
강비 (剛比, relative stiffness)
어느 부재의 강성도의 표준 강성도에 대한 비.
강비반경 (剛比半徑, radius of relative stiffness)
콘크리트 포장판의 응력계산에 쓰이는 지수.
강상판 (鋼床板, steel plate floor / deck, steel deck plate)
강판에 종?횡리브를 만들어, 그 위에 방수공 포장을 한 바닥판의 일종. 사하중을 경감하는데 유용하게 쓰임.
강상판용U형강 (鋼床板用 U形鋼, U-shaped rib of orthotropic steel deck)
강상판 등의 종리브에 사용되는 U형강.
강색철도 (鋼索鐵道, cable / rope railway)
차량에 동력차를 붙이지 않고, 지상에서 감아 올리는 와이어로프(鋼索)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견인하는 방식의 철도. 보통철도 및 톱니레일철도(abt-system railway)로서는 오르지 못하는 급경사선로에 이용되고 있음.
강선 (鋼線, steel wire)
철선을 인발하여 한가닥으로 만든 철선.
강선망 (鋼線網, wire mesh)
뿜어붙임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증가시키거나 인장강도를 증가시킬 목적으로 설치하는 격자형의 철망.
강설 (降雪, snowfall)
일정한 기간동안에 내려서 쌓인 눈 또는 그 눈의 깊이.
강섬유 (鋼纖維, steel fiber)
섬유상으로 가공된 강. 굵기가 0.1~0.5 mm, 길이 10~15 mm 정도의 것이 많음. 콘크리트 중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강섬유 보강콘크리트 또는 강섬유 보강 뿜어붙임 콘크리트로 사용됨.
강성 (剛性, rigidity)
하중을 받는 구조물이나 부재가 변형에 저항하는 성질.
강성관 (剛性管, rigid pipe)
도관, 원심력철근콘크리트관 등 설계시 외력에 의한 처짐 등 변형을 고려하지 않는 관.
강성기초 (剛性基礎, rigid foundation)
기초 저판의 변형이 무시될 수 있는 강한 기초. 접지압이 일반적으로 일정하지 않음.
강성방호책 (剛性防護柵, rigid type safety fence)
주로 주행 중에 진행방향을 잘못 잡은 차량이 길 밖으로 대향차선 또는 주도 등에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도에 따라 설치하는 것으로 재질을 강성으로 제작한 방호책시설.
강성포장 (剛性鋪裝, rigid pavement)
가요성포장(flexible pavement)과 상대되는 말로서 콘크리트 포장과 같이 표면에 가해지는 하중의 대부분을 포장재료의 휨 저항에 의해 지지하는 포장.
강소성체 (剛塑性體, rigid plastic body)
→ 강체-소성재료.
강수 (降水, precipitation)
수증기가 응축되어 공기중에서 땅위로 떨어지는 현상. 또는 이러한 현상에 의하여 발생한 액체 또는 고체 형태의 물의 총칭. 비, 이슬, 눈, 싸락눈, 우박, 서리 등이 모두 포함됨.
강수강도 (降水强度, precipitation intensity)
→ 강우강도.
강수일 (降水日, precipitation day)
강수현상이 있었던 날. 통상 비의 경우에는 0.1 mm 이상의 비가 내린 날만을 일수로 처리하며, 이 밖의 눈, 우박, 싸락 눈 등은 양에 관계없이 강수일수로 처리함.
강아치(식)동바리 (鋼 - (式) - , steel arched timbering)
터널의 동바리의 한 형식. H형강, I형강 또는 헌(古)레일 등의 강재를 구부려 가공한 것을 사용하여 아치식 동바리를 형성하는 것.
강어귀 ( - , estuary)
→ 하구.
강역 (剛域, rigid zone)
구조체 내부에서 다른 부분에 비해서 강도가 커서 변형을 무시할 수 있고 강체로 볼 수 있는 영역.
강연선 (鋼連線, strand)
→ 스트랜드.
강열감량 (强熱減量, ①volatile solid ignition loss, ②loss on ignition)
① 폐수의 수분을 105~110 ℃에서 증발시킨 후 잔류물을 600+25 ℃에서 30분간 강열하였을 때 가스로 발산되는 양을 말하며, 주로 폐수에 포함된 유기물의 양을 표시하는 것으로 휘발분이라고도 함.
② 흙 또는 시멘트 등의 시료를 강열했을 때 소실되는 중량을 강열전의 중량 백분율로 나타낸 것.
강열감량고형물질 (强熱減量固形物質, volatile solids)
고형물질을 약 550 ℃에 태울 때 휘발되는 부분으로서 고형물질내의 유기물질을 말함. 휘발성고형물질이라고도 함.
강열잔류 고형물 (强熱殘留 固形物, fixed solid)
시료를 여과지로 거르지 않고 550 ℃에서 태울 때 휘발되지 않고 남는 물질. 이는 다시 강열잔류부유물과 강열잔류용존물로 나뉨.
강우 (降雨, rainfall)
대기중의 수증기가 냉각 응결되어 지상에 낙하하는 것. 또는 대기로부터 떨어지는 액체 상태의 수분.
강우강도 (降雨强度, rainfall intensity, intensity of / rate of rainfall)
일정한 기간동안 내린 강우량을 단위시간당 강우량의 깊이로 표시한 것. 보통 mm/hour 또는 inch/hour의 단위를 사용함. 강수강도라고도 함.
강우강도 재현기간 (降雨强度 再現期間, rainfall intensity return period)
일정 강도의 강우가 발생한 후 그와 같거나 큰 강도의 강우가 발생하기까지의 시간간격의 기대값. 보통 년으로 나타냄.
강우강도-지속기간곡선 (降雨强度-持續期間曲線, rainfall intensity-duration curve)
→ 강우량-지속기간곡선.
강우강도-지속기간-빈도곡선 (降雨强度-持續期間-頻度曲線, rainfall intensity-duration
-frequency curve)
어느 지점에서 다양한 강우지속기간에 대하여 강우강도와 그 발생확률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 각각의 곡선이 특정 발생빈도 또는 재현기간을 나타내는 곡선군으로 표시됨.
그림
강우강도형 (降雨强度形, rainfall intensity pattern)
강우기간중 강우량의 시간에 따른 분포 형태.
강우계 (降雨計, rain gauge)
→ 우량계.
강우계 바람막이 (降雨計 - , rain gauge shield)
대기의 소용돌이가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강우계의 물받이 주위에 설치하는 보호장치.
강우량 (降雨量, Precipitation)
일정기간동안 일정지역에 내린 비의 양.
강우량-면적곡선 (降雨量-面積曲線, depth-area curve)
강우가 발생한 면적과 평균강우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면적에 대한 평균강우량은 감소함.
그림
강우량-면적-지속기간 분석 (降雨量-面積-持續期間 分析, depth-area-duration analysis)
여러 강우기간에 대한 강우량-면적곡선을 사용하여 강우사상으로부터 강우량의 면적 분포를 평가하는 분석. 주로 도해적 방법으로 분석됨.
강우량-면적해석 (降雨量-面積解釋, depth-area analysis)
특정 강우기간 동안에 걸쳐 강우가 발생한 면적과 평균강우량과의 관계에 대한 분석.
강우량-지속기간곡선 (降雨量-持續期間曲線, depth-duration curve)
특정 면적에 대하여 발생한 평균강우량 또는 강우강도와 강우의 지속기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
그림
강우모의장치 (降雨模擬裝置, rain simulator)
자연적인 강우와 비교할 수 있는 형태와 강도로 강우를 인공적으로 발생시키는 장치.
강우분포 (降雨分布, rainfall distribution)
강우량이 공간과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형태.
강우일 (降雨日, rain-day)
→ 강수일.
강우일수 (降雨日數, number of rainy days)
24시간(1일) 강우량이 0.1 mm 이상을 나타낸 날의 수.
강우지속기간 (降雨持續期間, duration of rainfall)
강우가 그치지 않고 계속되어 발생하는 시간. 실제 분석에 있어서는 강우량의 누가곡선상에서 강우가 계속되었을 것으로 판단되는 시간으로 구해지며, 이로부터 특정 시간의 강우강도를 구할 수 있음.
강우최대화 (降雨最大化, rainfall maximization)
가능최대강수량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강자갈 (江 - , river gravel)
하천에서 채취된 자갈.
강재가공 (鋼材加工, steel fabrication)
공사에서 강재(부재)를 가공, 제작하는 일.
강재 라이닝 거푸집 (鋼材 - , steel lining form)
터널의 콘크리트 라이닝을 타설하기 위한 강철재의 거푸집. 강재 거푸집은 목재 거푸집에 비해서 일반적으로 고가이나 수명이 길고 작업이 빠르며 콘크리트면이 깨끗하여 단면변화가 적은 터널에서 주로 사용됨.
강재배치도 (鋼材配置圖, construction profile and decks)
부재의 배치 치수를 표시한 도면.
강재벤트 (鋼材 - , steel bent)
강재로 만든 발판. 가설용 또는 받침용 가설물.
강재심부 (鋼材心部, steel cores)
합성기둥에서 철근콘크리트 속에 재축방향으로 배치된 구조용 강재.
강재지수 (鋼材指數, steel index)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보가 파괴 전에 인성거동을 하는 가를 판단하기 위한 인장강재의 지표로서 프리스트레싱 강재비에 프리스트레싱 강재와 콘크리트와의 강도의 비를 곱한 것.
강절 (剛節, rigid joint)
변형전의 부재 사이의 각도가 변형후에도 변하지 않게 한 절점.
강절 뼈대 (剛節 - , rigid frame)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절을 가지고 있는 뼈대 구조물.
강접(합) (剛接(合), rigid connection)
탄성 한도내의 변형을 일으킬 때, 부재 서로가 이루는 각도가 변하지 않는 접합을 말함. 부재가 강결로 강결된 절점을 강절이라 함.
강제거푸집 (鋼製 - , steel form)
강철제의 거푸집. 강제 거푸집은 목재거푸집에 비해서 일반적으로 구입비가 고가이나 수명이 크므로 오히려 경제적인 경우가 많음. 그러나 운반, 저장 등을 할 때 굽거나 변형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충분히 검사하여야 됨.
강제냉각 (强制冷却, cooling)
댐의 제체콘크리트를 칠 때 발생하는 수화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처리. 이 수화열은 댐의 온도를 쉽게 20~30 ℃정도 상승 시키므로, 뒤에 댐이 냉각된 후 균열발생의 원인이 되며, 아치댐에서는 열응력으로 가산됨. 냉각방법에는 관로식냉각과 사전냉각의 두 방법이 있음.
강제(교통)류 (强制(交通)流, forced flow)
교통 상황이 불안정하고, 작은 교통량의 변화에도 속도와 밀도가 급변하는 교통류.
강제변위 (强制變位, imposed displacement)
지점침하와 같이 구조물의 구속점에 발생하는 변위.
강제와 (强制渦, forced vortex)
외부의 물리적 힘에 의해 발생하는 유체의 소용돌이.
강제진동 (强制振動, forced vibration)
외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구조물의 동적 운동.
강제파 (强制波, forced wave)
주기적인 외력의 작용하에서 발생되는 파로, 파의 주기가 외력의 주기와 같은 것이 특징임.
강제혼합기 (强制混合器, trough mixer)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만들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시멘트, 골재, 물 등의 재료를 한꺼번에 믹서기에 넣으면 재료가 일정통로를 거치면서 혼합되도록 하는 기계.
강제혼합믹서 (强制混合 - , forced circulating mixer)
혼합날개로 강제적으로 혼합 교반하는 형식의 믹서.
강제환기 (强制換氣, forced ventilation)
터널의 연장이 길고, 오르막의 급한 종단구배, 교통량의 과다 등으로 자연환기가 안되는 장대터널에서 기계적 설비로서 인공적인 환기를 시키는 방식.
강지보공 (鋼支保工, steel arch rib)
강재로 제작된 아치형의 터널지보공으로서 제작된 형상에 따라 H형, U형, 삼각형 지보공으로 구분됨.
강체 (剛體, rigid body)
외부로부터 어떠한 힘을 받아도 변형하지 않는 가상적인 물체.
강체-소성 재료 (剛體-塑性材料, rigid-plastic material)
탄성 한계내에서는 강체로서 거동하고 소성 영역에서는 완전 소성 거동을 하는 가상적인 재료. 강소성체라고도 함.
강판 (鋼板, steel plate / sheet)
얇은 판모양으로 된 강재, 건설재료나 조선재료로 많이 사용됨. 판의 두께에 따라서 얇은 강판, 중강판, 두꺼운 강판 등이 있음.
강판접착 (鋼板接着, steel plate join)
교량 슬래브콘크리트의 인장측에 강판용 수지로 접착하고 기존 슬래브와 일체화시켜 철근으로서의 단면효과를 주는 보수공법.
강풍시하중 (强風時荷重, design load in case of strong wind)
주로 태풍 및 동기계절풍에 의해 송전선 지지물에 가해지는 하중. 고온기와 저온기를 구별해서 설계함.
강하매진 (降下媒塵, dust fall)
대기중의 그을음이나 분진중 중력이나 강우의 작용을 받아 지상으로 침강하는 입자. 측정법으로는 영국식 deposit gauge와 미국식 dust jar 등이 있으며, 일정지역의 오염변동 및 지역간 비교시 지표로 사용됨.
강혼합형 하구 (强混合形 河口, well-mixed estuary)
하구부근의 난류 혼합이 왕성하여 연직 방향의 밀도차가 거의 없는 하구. 강으로부터 흘러 내려온 민물과 바다물이 잘 혼합되어 연직방향으로 염도가 거의 일정한 하구.
강화노반 (强化路盤, reinforced road bed)
우수침투에 의한 노반의 강도저하와 분니발생을 방지하고 열차 통과시 탄성변형량을 소정의 한도내로 하기 위하여 입도조정 쇄석 또는 수경성 입도조정 고로슬래그로서 지지력을 크게 한 노반.
개간 (開墾, land reclamation, reclamation)
산림, 임야 등의 땅을 논, 밭, 과수원 등의 농경지로 만드는 것.
개거 (開渠, open ditch)
자유수면을 가지고 흐르는 수로단면으로 뚜껑이 없는 수로.
개구절리 (開口節理, open joint)
지반내의 절리 중 절리면이 서로 분리된 절리로서 절리면의 전단강도가 낮고 용출수의 통로가 되기 때문에 터널공사시 주의를 요하는 지반구조.
개굴식공법 (開掘式工法, open cut)
지반을 지표면으로부터 굴착하여 굴착면이 노출된 상태에서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 개착공법.
개굴식터널 (開堀式 - , open cut tunnel)
→ 개착터널.
개념적 수문모형 (槪念的 水文模型, conceptual hydrological model)
자연에서 발생하는 수문학적 순환의 일부 또는 전체 과정을 수문학적 개념에 의해 일련의 시공간 과정을 나타내는 수학적 표현으로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모형. 유역의 행태를 모의하는데 사용됨.
개다각형 (開多角形, open traverse)
연속되는 측점들로 구성되는 다각형으로서 종점이 시발점으로 돌아오지 않고, 시발점 이외에는 기지점이 없는 형태의 다각형을 말함. 이 다각형은 측량결과의 검사, 오차의 계산과 조정이 안되기 때문에 높은 정확도를 요구하는 측량에는 사용되지 않음. → 개방트래버스.
개단말뚝 (開端 - , open end pile)
강관말뚝, 현장 콘크리트 말뚝 등 중간이 비어 있어 말뚝의 선단부가 막혀 있지 않는 말뚝.
개단면 (開斷面, open section)
두께가 얇은 부재의 단면모양의 분류방식의 하나로, H형강이나 채널 등과 같이 판두께의 중심선이 닫혀있지 않은 것. 비틂에 약하고 면외(面外) 좌굴이 생기기 쉬움.
개더링로더 ( - , gathering loader)
버력을 싣는 기계의 일종. 긁어 넣는 팔로 버력을 긁어 넣어 트로후 체인컨베이어로 연속적으로 싣는 기계.
개립도 아스팔트 콘크리트 (開粒度 - , open-graded asphalt concrete)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의 일종으로 세골재 비율이 15~30 %이며 미끄럼저항용 혼합물로 사용됨.
개못 (??犬釘??, dog spike)
레일을 침목에 고정시키는 못으로 두부가 ㄱ자형으로 구부러져 레일저부를 누르도록 되어 있으며 그 형상이 개머리를 닮아 개못이라 함. 개못의 길이는 침목에 박은 후 못의 첨단이 침목 하단면에서 15 mm 정도가 되는 것이 좋음. 보통레일의 궤간 내외측에 八자형으로 4개를 박음.
개방식 쉴드 (開放式 - , open shield)
쉴드의 일종으로 막장과 면한 전면부가 개방되어 인력 또는 기계로 굴착할 수 있으며, 전면부의 지반 지지력이 확보되는 지반에서 적용 가능함.
개방트래버스 (開放 - , open traverse)
→ 개다각형.
개수로 (開水路, open channel)
수리학적으로 유체가 대기에 접해 있는 자유수면을 가지고 흐르는 수로. 뚜껑이 없는 수로를 개거라고 하며 뚜껑이 있는 것은 암거라고 함.
개수로 흐름 (開水路 - , open channel flow)
수면이 대기에 노출되어 있는 물의 흐름.
개인전용로대중교통(수단) (個人專用路大衆交通(手段), personal rapid transit)
2~6인 정도를 수송할 수 있는 자동화된 궤도교통수단으로서 출발에서 도착까지 정차 없이 운행되는 미래형 대중교통수단.
개집표소 (開集標所, wicket)
개집표소는 개표소와 집표소를 합쳐서 부르는 말로서 개표소는 여객이 열차에 승차하기 위하여 승강장으로 들어가는 입구를, 집표소는 여객이 도착한 역에서 승차권을 역무원(또는 집표기)에게 내고 나가는 출구.
개착공법 (開鑿工法, open cut method)
지반을 지표면으로부터 굴착하여 굴착면이 노출된 상태에서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공법이 있음. 오픈컷공법 또는 개굴식공법이라고도 함.
???? 총굴착공법 ?????? 경사면의 개착공법
개착공법 ?? ?????? 갱내 개착공법
??
???? 부분굴착공법 ?????? 아일랜드 컷 공법
?????? 트랜치 컷 공법
개착터널 (開鑿 - , cut and cover tunnel)
지표면에서부터 굴착하고, 터널식 구조물을 완성한 후, 다시 매립한 터널. 개굴식 터널 또는 개착식 터널이라고도 함.
개축 (改築, reconstruction)
기존건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철거하고 다시 그 대지 안에 이를 축조하는 것.
개폐교 (開閉橋, bascule bridge)
연직면 내에서 회전운동을 하는 가동교.
객차 (客車, passenger car)
철도차량의 일종으로 여객 또는 소화물을 우송하기 위하여 제조된 차를 말하며 새마을호, 무궁화호, 통일호, 비둘기호, 침대차, 식당차, 우편차, 소화물차 등이 있음. 국유철도 운전규칙의 정의로는 여객, 소화물 및 우편물을 운반할 수 있는 구조로 제조된 차량.
객차조차장 (客車操車場, coach yard)
객차의 세척, 입환, 재편성 등을 목적으로 설치된 조차장.
갠트렛트궤도 ( - 軌道, gantlet track)
복선중의 일부 단구간에 한쪽 선로가 공사 등으로 장애가 있을 때 사용되며, 포인트 없이 2선으로 크로싱과 연결선으로 되어 있는 특수선로.
갠트리크레인 ( - , gantry crane)
넓은 면적에 많은 지각을 세우고 들보항을 가설하여 윈치(winch)가 종횡으로 운항할 수 있는 형상의 크레인. 문형크레인이라고도 함.
갤러킨 방법 ( - 方法, Galerkin Method)
가중 잔차법의 일종으로 가중 함수와 미분 방정식의 해를 같은 기준 함수(basis function)를 사용하여 표시하는 방법.
갱구 (坑口, portal)
터널 출입구.
갱내설비 (坑內設備, tunnel work / facilities )
터널공사를 위하여 터널내에 설치하는 설비. 보통은 압축공기관, 급수관, 배수관, 운반선로, 조명설비 및 환기설비 등을 포함함.
갱내용디젤기관차 (坑內用 - 機關車, tunnel diesel locomotive)
배기처리, 냉각, 소수(消水) 등의 장치를 갖추고 갱내에서 작업 가능한 디젤기관차.
갱도 (坑道, drift)
본 터널과 연결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터널로서 본 터널의 작업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설치하는 교통로, 배수로, 버럭반출 갱도, 환기용 갱도 등이 있음.
갱도발파 (坑道發破, undermining blast)
갱도내에서의 발파작업.
갱문 (坑門, portal of tunnel)
터널의 갱구를 보호하기 위하여 출입구에 설치하는 문모양의 구조물.
거듭비비기 ( - , remixing)
콘크리트 또는 모르터가 엉기기 시작하지 않았으나, 비빈 후 상당한 시간이 지났을 경우나 또는 재료가 분리한 경우의 다시 비비는 작업.
거름샘 ( - , filtration spring)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투수성 매질로부터 솟아나오는 샘. 침윤천이라고도 함.
거리측량 (距離測量, distance surveying)
두 점간의 간격을 수평면에 투영한 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말함. 거리측량에는 크게 직접거리 측량과 간접거리측량이 있음.
거리표 (距離標, distance mark)
하천이나 철도측량에서 고저측량시 설치하는 것으로서 하천의 중심에 직각방향으로 설치하며 하구 또는 하천의 합류점으로부터 200 m 마다 설치하여 거리표에는 1 km마다 석표를 함.
거북등균열 ( - 龜裂, alligator crack)
아스팔트 포장의 표층이 기층이나 노상 등의 지지력 부족으로 거북 등과 같이 망상의 균열로 된 형상.
거석콘크리트 (巨石 - , cycropean concrete)
50 kg정도 이상되는 큰 돌이 콘크리트 칠 때에 묻어 넣어지는 매스콘크리트.
거세트 플레이트 ( - , gusset plate)
트러스의 격(절)점 등에 모이는 부재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판.
거시적 속도 (巨視的 速度, macroscopic velocity)
개개 구성요소의 복잡한 경로를 무시하고 구하는 속도. 임의 하천단면에서 측정한 유속은 실제 유선을 따라 흐르는 물입자의 속도와는 다름.
거울식 입체경 ( - 立體鏡, mirror stereoscope)
→ 반사식 입체경.
거친면마무리 ( - 面 - , rough finishing)
콘크리트 표면의 피막을 제거하여 거친 면으로 다듬는 마무리. 뿜어붙이기, 씻어내기, 쪼아내기 등으로 시공하는 마무리.
거친벽 ( - , rough wall)
거칠거칠한 면을 가진 벽으로 벽체안정해석에서 벽면과 흙사이에 작용하는 벽면마찰각이 내부마찰각과 같다고 고려하는 벽.
거친콘크리트 ( - , harsh concrete)
모르터 또는 잔골재가 부족해서 소요의 워커빌리티를 얻을 수 없는 비빈 직후의 콘크리트.
거칠기 ( - , ①asperity, ②roughness )
① 절리면의 요철(미시적 관점). 암층사이의 거칠거칠한 정도.
② 절단면 또는 절삭면 표면의 작은 요철.
거푸집 ( - , form)
콘크리트를 성형하기 위하여 쓰이는 일시적 구조물.
거푸집공사 ( - 工事, form work)
거푸집의 조립 및 해체에 관한 공사.
거푸집긴결볼트 ( - 緊結 - , form tie bolt)
타설직후의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유체압에 의해서 거푸집판이 벌어지지 않도록 잡아 매어 두는 인장재로서 거푸집 조립에 사용하는 조입용 볼트. 타이볼트라고도 함.
거푸집도포유 ( - 塗布油, form oil)
거푸집을 떼어 낼 때 거푸집이 콘크리트로부터 깨끗이 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거푸집판의 안쪽 표면에 미리 발라 놓는 기름.
거푸집라이닝 ( - , form lining)
콘크리트와 접촉하는 거푸집판의 면을 라이닝하기 위해 특별히 선정된 재료로서 콘크리트 표면을 평활하게 마무리하거나 모양을 넣거나 콘크리트에서 습기를 제거하거나 또는 콘크리트에 응결지연제를 바르거나 할 때에 사용되는 것.
거푸집보온재 ( - 保溫材, form insulation)
거푸집판의 외부 및 거푸집의 윗면에 붙이는 두껍고 기밀성이 있는 단열재료. 콘크리트의 수화열의 방출을 막아 한중에 콘크리트 온도를 보존함.
거푸집앵커 ( - , form anchor)
이미 타설이 끝나서 어느 정도의 강도 발현이 있는 콘크리트에 거푸집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장치. 이 장치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 매설해 놓는 것이 보통임.
거푸집이동장치 ( - 移動裝置, form traveller)
교량가설에 사용하는 구동창지가 장착된 가설차로서 디비닥공법에 흔히 쓰임.
거푸집진동기 ( - 振動機, form vibrator)
거푸집에 설치하여 거푸집의 바깥 쪽에서 콘크리트에 진동을 주는 외부진동기.
거푸집판 ( - 板, sheathing board)
거푸집의 일부로서 콘크리트가 직접 닿는 목재 또는 금속 등의 널판.
거푸집패널 ( - , form panel)
콘크리트 거푸집의 일부로 사용하기 위하여 일정한 치수의 크기로 미리 짜 만든 거푸집판.
거푸집행거 ( - , form hanger)
구조체에 거푸집을 달아 매는 장치. 거푸집의 사하중, 콘크리트의 중량 및 시공시의 하중, 충격하중 등을 지지해야 함.
거품발생 ( - 發生, foaming)
소화조에서 거품발생 원인으로는 슬러지 인출의 과다, 과유기물부하, 교반부족, 대량스컴의 발생, 소화조 운전초기 등에 발생하며, 보일러에서는 기름이나 불순물이 함유될 경우 보일러수가 비등할 때 거품이 발생함. 하수에서는 공장배수중의 계면활성제나 가정하수의 중성세제에 의하여 발생함.
거품분리법 ( - 分離法, foam fractionation)
폐수내의 콜로이드와 부유물은 부상에 의하여, 용존유기물은 흡착에 의하여 제거하는 방법으로 거품생성을 위하여 공기나 약품을 주입하는 수도 있음.
건 ( - , gun)
숏크리트의 방출장치. 비빈 콘크리트를 공기압송하기 위한 압력통.
건기 (乾期, dry season)
어느 지점 또는 지역에 거의 강수가 없는 기간. 일반적으로 2주 내지 1개월 정도의 기간은 건조기간이라 하며, 이 보다 오래 지속되는 기간.
건나이트 ( - , gunite)
압축공기로서 호스를 통하여 콘크리트, 모르터 또는 그들의 재료를 시공면에 뿜어서 만든 콘크리트 또는 모르터(숏크리트). 미리 반죽한 콘크리트 또는 모르터를 뿜어 붙이는 습식법과 시멘트, 골재의 혼합물과 물을 각각 다른 노즐(nozzle)로 뿜어 붙이는 건식법이 있음. 뿜어붙임 콘크리트(숏크리트, shotcrete)라고도 함.
건널목 (??踏切道??, grade / railroad / railway / level crossing)
철도선로가 도로와 평면적으로 교차하는 부분으로 도로교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궤도부분 또는 선로부지내를 나무, 콘크리트, 석재 등으로 포장하고 필요에 따라 통행자의 주의를 끌도록 경계표를 설치함. 교통량에 따라 보안설비를 하며 그 설비의 종류에 따라 제1, 2, 3종 등으로 나누며 보안설비로 안전을 보장하기 힘든 경우 또는 도로망 등의 관계로 입체교차로 하는 경우가 있음.
건널목 가드레일 (??踏切道護輪軌條??, guard rail for railroad crossing)
사람과 차량이 횡단하는 건널목에 통행이 편하도록 본선레일과 같은 높이의 레일을 궤도 내측에 부설한 레일로 차륜의 윤연로를 보호하도록 부설하며 직선구간에서 본선레일과 호륜레일의 두부내측간 거리는 65 mm가 표준이며 곡선궤도에서는 65 mm + s 로 부설함.
건널목 경보기 (??踏切道警報器??, crossing signal (or warnings), bell and flaser signal)
열차의 접근을 건널목 통행자에게 알리고 통행정지를 예고하는 장치로 궤도회로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음향, 색, 빛 등에 의하는 방법과 혹은 양자를 병용하는 방법 등이 있음. 음향에 의하는 방법은 전종, 부자 등이 있고 시각에 의하는 방법은 적색섬광이 널리 사용됨.
건널목경표 (??踏切道警標??, crossing warning sign)
선로 통행자나 도로운전자에게 건널목의 위치를 알려 경계심을 고취시키고 열차운전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철도건널목에 설치하는 건널목 표지의 일종임.
건널목교각 (??踏切道交角??, intersection angle of railway crossing)
철도와 도로가 교차하는 각도.
건널목방호설비 (??踏切道防護設備??, protection device for railway crossing)
건널목에서 일반 통행자가 보통도로에서와 같이 통행할 수 있고 열차운전에도 하등의 지장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건널목에 설치되는 모든 설비. 궤간내에 설치하는 가드레일, 도로면과 레일면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궤도 내외에 까는 부목, 부석, 포장 등.
건널목사고 (??踏切道事故??, railway crossing accident)
건널목에서 발생한 모든 건널목을 말함.
건널목안전설비 (??踏切道安全設備??, safety appliance for railway crossing)
열차의 운전을 원활이 함과 동시에 건널목 통행의 안전을 위하여 설치하는 건널목표지, 건널목차단기 등의 모든 설비를 말하며 국철에서는 건널목 교통량에 따라 건널목을 1~3 종으로 분류하고 이에 알맞는 보안설비를 달리하고 있음.
건널목예고표 (??踏切道豫告標??, approaching sign of railroad cross)
건널목이 있음을 알리는 건널목표지의 일종. 건널목표.
건널목차단기 (??踏切道遮斷機??, crossing barrier)
열차 또는 차량이 건널목을 통과할 때 도로차량 및 통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건널목을 차단하는 장치로 왕복식, 미다지식, 승강식 등의 종류가 있음.
건늠선 (??亘線??, cross over)
병행하는 두 선의 선로간에 열차나 차량을 건너가게 하기 위하여 2조의 분기기로서 연결시킨 선로. 싱글크로스오버, 시서스크로싱, 다이아몬드크로싱, 싱글슬립스위치, 더블슬립스위치 등이 있음.
건닝 ( - , gunning)
숏크리트의 시공작업, 노즐로부터 재료를 방출시켜 시공면에 부딪치게 하는 작업.
건닝패턴 ( - , gunning pattern)
숏크리트타설작업중에서 생기는 콘크리트 방출류의 원유형 모양.
건맨 ( - , gun man)
숏크리트 작업팀중 방출구를 조작하는 기능공.
건선거 (乾船渠, dry dock)
선박이 항행할 수 있는 수로에 연하여 선박의 출입이 가능한 규모로 굴착한 후 입구에 문비와 펌프시설을 두어 내부의 물을 펌프로 배수하여 육상 조건에서 선박의 건조나 수리를 할 수 있도록 만든 시설(선거).
건설 (建設, construction)
건조물을 새로 만드는 것. 이 공사는 철도, 도로, 댐, 교량 등 공공시설에 관한 토목공사와 건축물에 관한 건축공사로 대별되며, 각 부분이 건설업자에 의해 시공됨.
건설사업 (建設事業, construction project)
건설사업은 인간의 주거, 생활편의 및 생산활동을 위하여 지상, 지중 및 수중에 구축물을 만드는 활동을 말함. 건설사업관계자로는 사업주, 설계자, 감리자, 시공자, 공사관리자로 구분되며 건설사업절차로는 사업계획조사, 공사실시, 운전 및 유지관리의 3단계로 구분되어 실시됨.
건설산업 (建設産業, construction industry)
흙?돌?나무?철재 및 그 밖의 재료를 사용하여 주택?학교?창고 등의 건축물을 건설하거나, 도로?제방?교량?철도?항만?상수도와 하수도 등을 건설하고, 이를 유지하는 공업을 통틀어 말하는 것으로 원도급, 하도급 기타 명칭 여하를 불구하고 건설업법에 의한 건설공사의 도급을 받는 영업을 말함. 또한 건설업은 국토개발유지, 산업시설의 건설, 문화생활의 증진 등에 공헌하는 사명으로 건설기술의 향상과 개발, 기업의 근대화, 기업의 안정과 발전 등에 최선을 다해야 함.
건설업 (建設業, construction work)
건설업법에 적용을 받는 건설공사의 도급을 받는 영업(건설업법).
건설업법 (建設業法, construction law)
건설업을 영위하는 자에 대한 면허, 도급규약의 규제 및 건설기술자의 면허 등에 관하여 규정함으로써 건설공사에 적정한 시공을 기하고, 건설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제정된 법률.
건설업분쟁조정위원회 (建設業紛爭調整委員會, committee for dispute conciliation of construction)
건설업법의 규정에 의하여, 건설업에 관한 도급규약의 내용, 시공상의 책임 등에 대한 분쟁을 심사조정하기 위하여 건설부장관 소속하에 설치되는 위원회.
건설업자 (建設業者, constructor)
건설업의 면허를 받아 건설업을 영위하는 개인 또는 법인.
건설측량 (建設測量, engineering surveying)
공사계획 또는 공사의 각 단계를 계획하고 수행하며, 그 비용을 추정하는데 필수적인 정보를 얻을 목적으로 시행하는 측량을 말함. 얻어진 정보의 일부분은 공사도면의 형태로 기록될 수 있음.
건식 (乾蝕, cranker)
건조상태에 가까운 목재가 습기를 함유하게 되면 세균이 발생하여 효소를 분비해서 쉽게 부식하게 되는 것.
건식법 (乾式法, dry process)
물을 사용하지 않고 행하는 제조법이나 분해법 등의 총칭. 습식법(wet process)에 대한 반의어.
건식 숏크리트 (乾式 - , dry mix shotcrete)
물이 첨가되지 않은 마른 상태의 모래, 자갈 및 시멘트 등의 혼합 재료를 압축기의 압력으로 호스를 통하여 운반되고, 노즐끝 부분에 별개의 호스를 통하여 운송된 고압수를 첨가 분사 시키는 방법의 숏크리트.
건식원료처리방식 (乾式原料處理方式, dry process)
원재료의 분말, 운반, 배합 및 저장을 건조상태에서 행하는 시멘트의 제조방법.
건식탈황법 (乾式脫黃法, dry-type desulfurization process)
가스중에 포함된 황화수소를 수산화철을 주성분으로 한 탈황제를 사용하여 제거하는 공정. 습식법에 비하여 경제적이지만 제거효율은 80~90 %로 습식법에 비하여 낮음. 탈황제는 공기로 재생할 수 있음.
건식흡수법 (乾式吸收法, dry-type absorption process)
배가스중에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등의 산화물 또는 산화망간 등의 흡수제를 첨가하여 이산화유황을 제거하는 방법. 배가스의 온도저하가 적은 장점이 있으나 흡수반응속도가 느려 장치가 대형화 됨은 단점이 있음.
건조 (乾燥, drying)
고체 또는 고체상물질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자연상태 또는 가열상태에서 감소시키는 것.
건조강도 (乾燥强度, dry strength)
공기건조한 토괴의 강도. 흙의 간이판별분류에 이용됨. 점토는 건조강도가 크고, 실트는 건조강도가 작음.
건조기 1) (乾燥機, oven)
물체에 함유된 습기나 수분을 제거하는 기기. 가열방식, 구조, 형상 및 조작방식에 따라 분류되는데 가열방식에 의하여는 직접가열, 간접가열, 방사가열 및 고주파가열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음.
건조기 2) (乾燥器, drier)
두꺼운 유리제의 건조기, 그릇과 뚜껑의 접촉면은 공기가 새지 않도록 밀폐하게 함. 이 속에 실리카겔 또는 건조용 염화칼슘 등의 건조제를 넣어 사용함.
건조단열변화 (乾燥斷熱變化, dry adiabatic change)
건조공기의 단열변화. 일반적으로 불포화공기의 단열변화는 건조단열변화로 가정함. →단열변화.
건조단위중량 (乾燥單位重量, dry unit weight)
흙의 단위체적당 중량을 흙의 단위중량이라고 함. 흙 토립자의 중량만을 생각할 경우, 건조단위중량 가 됨. 건조단위중량은 체적의 습윤토를 105±5℃로 일정 중량이 될 때까지 건조시킨 중량 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음.
건조대 수문학 (乾燥帶 水文學, arid zone hydrology)
물과 건조기후 사이의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는 건조 또는 반건조지대의 수문학.
건조도 (乾燥度, aridity)
증발량이 항상 강우량을 초과하는 상태로 강수량이 부족하여 경작을 위해서 관개를 필요로 하는 기후나 대지의 특성 또는 이를 나타내는 척도.
건조밀도 (乾燥密度, dry density)
단위체적당 질량을 밀도라 하고 광물입자의 질량만을 고려한 경우를 건조밀도라고함. 통상 건조밀도 는 습윤밀도 와 함수비 로 구성된 식으로 표현할 수 있음.
건조배치중량 (乾燥 - 重量, dry batch weight)
혼합수를 제외한 재료 중량으로서 콘크리트의 1배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됨.
건조배합숏크리트 (乾燥配合 - , dry mix shotcrete)
→ 건식 숏크리트.
건조상 (乾燥床, drying bed)
→ 슬러지 건조상.
건조수축 (乾燥收縮, drying shrinkage)
재료가 건조함에 따라 그 함유된 수분을 방출함으로써 체적 또는 길이가 수축하는 것.
건조수축균열 (乾燥收縮龜裂, shrinkage crack)
건조수축을 할 떄 구속조건에 따라 균열이 발생하는 것.
건조수축저감제 (乾燥收縮低減劑, shrinkage-reducing agent)
모르터 또는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을 줄이기 위하여 사용하는 혼화제.
건조수축철근 (乾燥收縮鐵筋, shrinkage reinforcement)
건조수축에 의하여 발생되는 균열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철근.
건조재 (乾燥材, seasoned wood)
물기가 없는 건조된 목재.
건조중량 (乾燥重量, dry (rodded) weight)
건조된 시료의 무게. 기건(氣乾)중량과 노건(爐乾)중량이 있는데 보통은 건조기(dry oven)에서 105±5 ℃로 무게가 일정할 때까지 건조시켰을 때의 무게.
건조지대 (乾燥地帶, arid zone)
평균 증발량이 강우량보다 큰 지대. 경작을 위해서는 관개를 해야 할 정도로 강우량이 부족한 지대.
건조체적 (乾燥體積, dry (rodded) volume)
건조된 시료의 겉 부피. 입자속의 간극까지 포함한 부피.
건조혼합 (乾燥混合, dry mixing)
→ 마른비비기.
건천후 유출 (乾天候 流出, dry weather flow)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비가 오지 않았을 때 지속되는 유출. 지하수 유출과 지체된 지표하 유출에 의해 발생함.
건축면적 (建築面積, building area)
보통 1층이 차지하는 건축물의 면적, 층수가 2이상의 건물인 경우에는 수평투영면적으로 최대가 되는 층의 면적을 말하며 주로 건폐율(建蔽率) 계산에 사용됨.
건축물 (建築物, building architecture)
① 토지에 정착하는 공작물중 지붕 및 기둥 또는 벽이 있는 것과 이에 부수되는 시설, 가옥, 창고, 빌딩 등의 총칭.
② 건축법에서 정의한 건축물(건축법 제2조 제2항).
③ 민법에서 정의한 부동산의 한 종류로서 건물에 해당되는 것.
건축선 (建築線, building line)
건축물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하여 도로 또는 그 예정선의 경계 등에 지정되는 선. 건축물은 이 선으로부터 돌출 되는 것이 금지되어 있음.
건축선후퇴 (建築線後退, set-back)
→ 건축후퇴.
건축시공 (建築施工, building construction)
각종의 건축재료를 써서 각 건축이 갖는 목적에 알맞은 건축물을 형성하는 일 또는 그 구조물.
건축측량 (建築測量, architecture surveying)
건축물의 계획이나 건축공사의 수행에 필요한 측량으로 부지측량, 지하매설물측량, 측설측량 및 마무리공사측량 등을 행하는 것.
건축한계 (建築限界, clearance)
도로 및 철로위에서 차량이나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어느 일정한 폭, 높이 범위내에서는 구조물이나 장애가 될 만한 시설물을 설치하지 못하게 하는 공간확보의 한계. 도로 구조시설기준에 관한 규정에서는 높이 4.5 m가 표준이고 폭은 차선수에 따라 증감됨.
건축한계축소표 (建築限界縮小標, special limitation on track clearance)
규정된 건축한계 보다 축소되어 있어 무개차, 유개차, 장물차의 활대품 적재와 운전을 주의시키기 위하여 터널 교량 등의 건축한계 축소구간에 세우는 표지.
건축후퇴 (建築後退, set-back)
필요한 시거의 확보, 시선유도, 운전에 지장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구조물, 광고, 건축물 등을 일정 거리 이상 도로변 등으로부터 후퇴시키는 것.
건피니시 ( - , gun finish)
손으로 마무리하지 않고 노즐로부터 공급된 채로의 숏크리트의 최종마무리층.
걸린 경간 ( - 徑間, suspended span)
게르버(Gerber)형식 등의 교량에서 안정한 구조물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는 구간.
걸침컴퍼스 ( - , hanging compass)
터널이나 갱내의 골격측량에 이용되는 컴퍼스로 줄자나 체인에 걸어서 갱내측선의 방위를 측정하는 기구.
검기선 (檢基線, check baseline)
삼각망에서 한 변에 기선을 설치하고, 관측각을 사용하여 그 기선으로부터 삼각망 각 변의 거리를 계산하여 가는데, 이 계산된 변 길이가 관측기선장과 일치되는가의 여부를 점검하기 위하여, 또는 삼각망 전체의 오차를 작게 할 목적으로 삼각망의 또 다른 변에 설치하는 기선임.
검댕 ( - , soot)
유리탄소가 응결하여 입자의 지름이 1 μm 이상 되는 입자상 물질.
검량선 (檢量線, calibration curve)
정량분석시 여러개의 표준용액에 대한 기기측정치와 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으로 시료의 농도측정은 검량선과 비교하여 구함. 흡광광도법, 가스크로마토그라프 등 각종 기기분석에 쓰임.
검불막이 ( - , screen)
수로 또는 수리구조물의 입구에 설치하여 물은 자유스럽게 통과시키면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
검사로 (檢査路, inspection gallery)
댐체 내부의 저면근방에 설치한 작은 통로. 댐이 완성된 후 누수, 균열 등 이상유무의 관찰, 매설계측기 설치, 배수설비의 설치 및 보링과 그라우트를 하기 위하여 설치함.
검사롤링 (檢査 - , inspection rolling)
프루프롤링의 일종으로서 특정한 윤하중과 접지압을 가진 타이어롤러 또는 트럭을 주행시며 이때 생기는 처짐량을 측정하는 롤러.
검사선 (檢査線, inspection track)
차량을 정기적으로 검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측선을 말하며, 유효장은 최장 열차장으로 하고 전장에 검사피트를 설치하여 차량 하부 검사를 하기 위한 선로.
검사피트 (檢査 - , inspection pit)
차량 하부 주행장치를 검사하기 위하여 사람이 밑으로 들어가서 검사할 수 있도록 선로 가운데를 파서 만든 검수시설.
검정 (檢定, calibration, rating)
관측되어진 값과 실제값에 대한 실험적결정.
검정수로 (檢定水路, rating flume)
수위-유량관계를 개발하기 위하여 유량을 정확하게 관측할 수 있도록 흐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건설된 인공 수로.
검정수조 (檢定水槽, calibration / rating tank)
유속계를 검정하는데 사용되는 수조. 담겨진 물을 움직이지 않고 유속계를 인위적인 속도로 조절하여 이동함으로써 유속계의 관측값을 보정함.
검조 (檢潮, tidal observation)
간만의 차 또는 해수면의 표고를 관측하는 것을 말함.
검조곡선 (檢潮曲線, marigraph)
조석에 의한 해수위 변동을 시간적으로 기록한 곡선.
검조기 (檢潮器, tide gage)
조위(潮位)를 측정하기 위한 계기.
검조소 (檢潮所, tidal station)
검조를 위하여 설치한 구조물.
검지관법 (檢知管法, detector tube method)
대기중의 가스성분 검출 및 정량분석에 쓰이는 기구. 가스채취기를 사용하여 검지제가 포함된 검지관에 시료를 통과시키면 농도에 따라 검지제의 착색도가 변화함. 일산화탄소, 암모니아, 시안화수소, 유화수소, 염소 등의 검출에 사용되며 정밀도는 높지 않지만 사용이 간편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음.
검지기 (檢知器, detector)
차량이나 보행자의 존재 또는 통과를 감지하여 교통량이나 속도 또는 점유시간 등을 측정하는 장치.
검차고 (檢車庫, shed for inspecting cars)
역. 조차장 구내의 측선중 평상시 검차를 위하여 사용되는 선로에 지붕이 설치되어 비, 눈 등 기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작업할 수 있도록 만든 시설.
겉보기릴랙세이션 ( - , apparent relaxation)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부재 속에 있는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릴랙세이션으로서 변형도를 일정하게 유지한 경우의 순 릴랙세이션이 아니고, 콘크리트의 크리프, 건조수축에 의하여 시간과 더불어 인장변형도가 변화하는 경우의 릴랙세이션.
겉보기밀도 ( - 密度, apparent density)
전체질량을 간극을 포함한 전체체적으로 나눈 밀도.
겉보기비중 ( - 比重, apparent specific gravity)
골재의 건조중량을 그 골재의 건조상태의 용적에 해당하는 물의 중량으로 나눈 값.
겉보기색 ( - 色, apparent color)
물의 색도중 부유물질에 의하여 발생되는 색.
겉보기 유속 ( - 流速, apparent velocity)
흐름 방향에 수직인 단위 면적을 통과하는 지하수의 유출속도. 실제 흐름은 일정한 방향과 속도를 유지하지 않으며, 겉보기유속은 개념적으로 정의한 속도.
겉보기점착력 ( - 粘着力, apparent cohesion)
모관력(毛管力)의 작용에 따른 일시적인 점착력. 완전 건조되거나 포화되면 없어짐.
게류 (憩流, slack tide / water)
전류(轉流)의 전후 등 조류가 정지 또는 미약할 때의 흐름으로 만조 또는 간조 부근의 조류.
게르버 보 ( - , Gerber girder)
Heinrich Gerber가 창안한 구조형식으로, 연속보에 부정정차수 만큼의 힌지를 설치하여, 정정구조로 만든 형식의 보.
게이블 라멘 ( - , gable rahmen)
라멘에서 상부부재가 지붕과 같은 형상으로 경사진 라멘.
게이지 ( - , gauge)
일반적으로 표준이 되는 치수, 규격치수 등을 말하고, 측정용 계기도 말함. 철도의 궤간, 리벳. 볼트의 게이지 등이 있음.
게이지라인 ( - , gauge line)
리벳, 볼트 등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
게이지 블록 ( - , gauge block)
철도 침목용 체결장치의 일종으로 침목위에 레일저부 양쪽에 설치하여 궤간을 유지, 조정하는 기능을 가지며 횡압을 받을수 있어야 함.
게이지 스트러트 ( - , gauge strut)
철도선로 궤간의 축소를 방지하는 기재로, 주로 크로싱부에 사용됨. 크로싱부는 가드레일이 차륜을 유도하여 이선 진입을 방지하고, 노즈레일을 보호하며, 그 때 가드레일과 이것을 설치한 주레일이 크로싱축으로 이끌려 크로싱부의 궤간이 축소됨.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크로싱 윙레일 복부와 가드레일 복부를 누르도록 설치되어 있음. 궤도회로구간에 쓰이는 것은 절연된 것을 설치해야 함.
게이지 타이롯 ( - , gauge tie rod)
철도궤도의 종침목 구간이나 분기기 입구에서 궤간 확대 방지를 위하여 사용되는 궤재로 양쪽 레일 저부를 잡아 주는 부품과 이들을 연결하는 로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동 신호 구간에서는 좌우 레일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구조로 하여야 함.
게이트 ( - , gate)
유수를 막고 또는 유량을 조정하는 구조물.
겔 ( - , gel)
용해하지 않은 콜로이드모양의 물질로 열 또는 전해물질의 영향이 없으면 침전하지 않고 용액중에서 응고 되어 있음.
격간 (格間, panel)
이웃한 두 격점사이에 있는 주 구조물 부분.
격납고 (格納庫, hangar)
비행장 건축물의 일종으로 항공기를 정비 수리하거나 태풍시 항공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격납하는 데 사용되는 대형 건물. 최근에는 대칭의 켄틸레버형이 증가되고 있음.
격벽 (隔壁, diaphragm)
→ 다이아 프램.
격변곡선 (激變曲線, breakthrough curve)
지하수 흐름에서 주입 지점의 하류에 있는 관측정에서 염소이온농도 등과 같은 추적원소 농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
격자 구조 (格子 構造, grid structure)
두 개 이상의 들보를 동일 평면상에서 연결하여 그 평면에 수직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만든 구조.
격자형 거더 (格子形 - , grid girder)
격자 형태로 조립해서 횡방향의 하중 분배가 비교적 균등히 일어날 수 있도록 한 들보구조의 한 형식.
격점 (格點, panel point)
① 주 구조물을 연결하는 가로보 등이 주 구조물과 연결되는 곳.
② 트러스에서 각 부재 재축의 교점.
견석 (堅石, hard stone)
안산암의 관용명. 경석(硬石)이라고도 함.
견운모 (絹雲母, sericite)
운모의 한가지. 칼륨, 알루미늄의 함수 규산염으로 되어 있으며 단결정계에 속함. 보통 장석, 홍주석 등의 이차적 변질물로써 이루어져 있음.
견인력 (牽引力, tractive power / force, hauling capacity)
기관차가 주행하면서 당겼다 밀었다 하는 작업, 즉 견인작업에서 작용하는 힘. 견인력의 크기는 동륜에 걸리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 다른 견인력 계수를 곱하여 구함.
견인식그레이더 (牽引式 - , pull grader)
원동기가 장치되어 있지 않고, 트랙터로 견인하여 작업을 하는 그레이더.
견인식스크레이퍼 (牽引式 - , towed scraper)
트랙터로 견인하는 스크레이퍼. 이러한 스크레이퍼는 주행기관이 없음.
견인저항 (牽引抵抗, tractive resistance)
차량이 주행할 때 각종의 저항을 받아 그 견인력이 감쇠하는 저항. 여기에는 차축저항, 노면저항, 공기저항, 경사저항 등이 있음.
견인정수 (牽引定數, nonal tractive capacity)
기관차 형식에 따라 선별(線別), 운전 속도별로 끌 수 있는 최대 차중률(화차 1 량: 43.5 톤, 객차 1량 : 40 톤)로 표시한 량수.
견인특성 (牽引特性, traction characteristics)
동력차가 객화차를 끌어 당기는 힘의 특성상 그 차량이 가지는 독특한 성질.
견적 (見積, estimation)
도급이나 매매 등에서 계약의 목적물에 대하여 업자가 그 가격을 산정하는 것. 계약이 경쟁의 형식으로 이루어 질 때는 그 견적을 토대로 입찰서를 작성하지만 수의계약의 경우에는 1명 내지 수명의 견적서에 의하여 계약의 상대를 선정하는 것이 통례임.
결속선 (結束線, binding wire)
① 철근의 겹이음부분, 교차부분을 적당한 간격으로 연결할 때 쓰는 강선. 철근콘크리트의 철근조립에 씀. 보통 지름 1 mm 정도의 것을 쓰고 있음.
② 비계를 조립할 때 쓰는 강선. 보통 4 mm 정도의 것을 쓰고 있음.
결손골재 (缺損骨材, gap graded aggregate)
골재입도의 분포가 불연속 분포를 하고 있는 골재.
결손분포 (缺損分布, gap grading)
어떤 중간크기의 입경이 전혀 없거나 거의 없는 골재의 입도분포.
결절점 (結節點, node)
선(링크)과 선(링크)이 교차하여 형성된 점 혹은 선(링크)의 끝점. 교통망에 있어서는 도로의 교차로, 통행 유출입 지점, 대중교통의 정거장, 갈아타기 지점 등임.
결정계수 (決定係數,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종속변수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독립변수 간의 상관계수의 제곱. 독립변수의 분산에 대한 종속변수의 분산의 비로 표현됨.
결정론적 구조 해석 (決定論的 構造 解析, deterministic structural analysis)
확정된 하중과 재료의 성질에 근거하여 수행하는 구조 해석.
결정편암 (結晶片岩, crystalline rock)
조산운동에 따라 광역변성작용에서 생긴 변성암. 일반적으로 편상구조를 나타내고 그 편상구조에 연해서 쪼개지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음.
결정화 (結晶化, crystallization)
광물입자가 결정으로 정출되는 것.
결합다각형 (結合多角形, decisive / combined traverse)
기지점에서 출발하여 다른 기지점으로 연결하는 다각측량으로서 높은 정확도를 요구하는 대규모지역의 측량에 이용됨.
결합수 (結合水, bound water)
세포나 고형물질내에 결합하여 쉽게 떨어지지 않는 물. 0 ℃에서 동결하지 않고 용매작용을 보이지 않는 등 보통 물과는 다른 성질을 지님.
결합잔류염소 (結合殘留鹽素, combined available residual chlorine)
정수나 하수처리과정에서 염소살균시 암모니아나 유기성 질소화합물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염소. 염소는 암모니아와 결합하여 chloramines을 형성함.
결합재 (結合材, binder)
시멘트로 굳게 하는 재료. 시멘트, 수화물 또는 시멘트, 석탄, 반응성의 규산물질에 의한 것. 시멘트의 종류와 양생조건에 따라 형성되는 결합재의 종류가 정해짐.
결합층 (結合層, binder course)
아스팔트 콘크리트포장에 있어서 표층과 기층사이에 두어 결합시킨 층.
결합트래버스 (結合 - , decisive / combined traverse)
→ 결합다각형.
대한토목학회(1996년)
'토목사전/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목사전 (ㄹ~ㅁ) (0) | 2008.05.21 |
---|---|
토목사전 (ㄴ~ㄷ) (0) | 2008.05.21 |
토목사전 (교~끝) (0) | 2008.05.19 |
토목사전 (겹~굄) (0) | 2008.05.19 |
안식각과 내부마찰각 (angle of repose, angle of internal friction) (0) | 2008.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