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부상열차 시제차량 시험선 시험운행 개시
□ 국가 R&D사업으로 개발(‘06~’12)중이며, ‘13년부터 인천국제공항에서 운행하게 될 도시형 자기부상열차의 시제차량에 대한 공개 행사가 5월 3일 기계연구원 자기부상열차 시험선에서 개최되었다.
□ 자기부상열차는 바퀴대신 전자석의 힘으로 떠서 달리는 차세대 첨단 교통수단으로서,
ㅇ 일반 철도차량에 비해 진동․소음이 작아 승차감이 뛰어나고, 철가루․고무가루 등 분진이 발생하지 않는데다가, 마모되는 부품이 없어 유지보수비가 적게 들게 되므로 운영비가 타 경전철의 60~70% 수준에 불과하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 (환경친화성) 레일과 접촉하지 않고 주행하기 때문에 소음(65dB)․진동(0.02g 이하)․분진(철가루 등)이 최소 수준
* (주행성능) 바퀴의 점착력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등판능력(8%)과 곡선 통과능력(최소곡선반경 50m 이하)이 우수
* (안전성) 레일을 감싸는 구조로 탈선․전복의 우려가 없음
* (경제성) 바퀴․기어․베어링 등 마모되는 부품이 없어 운영비의 80%를차지하는 유지보수비․인건비의 최소화가 가능
□ 이번에 공개된 차량의 외부형상은 자기부상열차의 최첨단 이미지와 인천공항이 가지는 대한민국 관문으로서의 상징성을 고려하여 제작된 것으로써, 고려청자로 대표되는 우리의 전통 곡선미를 살린 독특한 디자인으로 평가되고 있다.
ㅇ 또한, 내부구조는 공항 이용객들의 이용 편의를 고려하여 대형 가방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외부디자인>
<내부디자인>
□ 이날 행사를 주관한 신병천 도시형자기부상열차 실용화사업단 단장(한국기계연구원)은 “자기부상열차 본래의 다양한 장점과 더불어, 금번 실용화 연구를 통해 자기부상열차의 건설비를 타 경전철과 비슷한 수준인 km당 400억 이하로 낮추게 되면 충분한 사업성이 확보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언급하였다.
□ 한편, 국토해양부 이승호 철도정책관은 “자기부상열차가 앞으로 약 2년간의 기계연 시험선 시험평가와 1년간의 인천공항 실제 노선 시험운전을 통해 신뢰성을 확보하게 되면 국내 지자체에서 많이 활용할 수 있을 것이고, 이를 바탕으로 외국으로도 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라고 말했다.
□ ‘06년말 착수된 도시형자기부상열차 실용화사업은 4,500억원(기술개발 800억원 포함)을 투자하여 110km/h급의 무인운전자기부상열차를 개발하고, 인천국제공항에 시범선로(6.1㎞ 이내)를 건설하여 상업 운행하는 사업으로,
ㅇ ’12년까지 건설을 완료하고 ‘13년에 영업운행을 시작하면, 우리나라는 일본(나고야)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도시형 자기부상열차를 운영하는 나라가 된다.
'건설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순신대교 세계 최고 272m 주탑 완공 (0) | 2010.05.06 |
---|---|
부산 동서고속도로 터널형 방음돔 (0) | 2010.05.06 |
인천도시철도 2호선 노선도 및 공구분할도 (0) | 2010.05.06 |
3D기반의 지하 통합 정보 구축 (0) | 2010.05.06 |
경춘선 고가하부 춘천명물로 탄생 (0) | 2010.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