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 요
∙ 교량기초의 경우 기초지반 침하에 대한 검토 이외에도 교축방향의 기초간 부등침하 검토도 이루어져야함 ∙ 특히, 동일 교량내에서 기초형식 및 지지층의 상이함으로 인해 인접구간의 부등침하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에 대해서는 반드시 이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해야 함 ∙ 본 검토시 탄성이론에 의한 각종 침하량 산정결과와 수치해석을 통한 침하량 산정결과를 비교, 검토 후 각 구조물간 총침하 및 부등침하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함 |
2. 검토조건
• 부등침하의 검토는 일반적으로 단일기초내에서의 각변위량과 교량 상부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초간의 부등침하와 각변위량에 대한 안정성 검토
•주요검토대상
① 교량내 교각간 기초형식이 상이한 경우
② 교량내 교각간 지지층의 지반특성이 상이한 경우
③ 교량내 교각간 지지층의 변화가 심한 경우
• 부등침하에 대한 검토방향 및 기준
구 분 |
검토개념도 |
검토방향 및 기준 |
단일기초 부등침하 |
|
∙단독기초에서 지지층을 동일하게 적용하였으므로 지지층의 차이로 인한 부등침하량이 매우 작을 것으로 판단되어 검토에서 제외하였음 |
기 초 간 부등침하 |
|
∙상부구조검토에 의한 허용각변위를 적용하여 기초간 및 경간별로 부등침하에 의한 각변위를 검토하였음 |
3. 침하기준 선정
가. 각종 허용각변위및 부등침하 기준
기초의 허용부등침하기준(Skempton, 1955)
기 준 |
단 독 기 초 |
전 면 기 초 | |
각 변 위 |
1/300 | ||
최대부등침하 |
점 토 |
1⅓ (1½) | |
모 래 |
1¼ (1) | ||
최 대 침 하 |
점 토 |
3 (2½) |
3~5 (2½~4) |
모 래 |
2 (1½) |
2~3 (1½~2½) | |
☞ 괄호내 수치는 큰 보 또는 2중 슬라브로 강성이 충분히 큰 경우 추천하는 최대값(단위 : inch) |
허용침하기준(MacDonald & Skempton, 1955)
구 분 |
독립기초 |
확대기초 | ||
부등침하 (mm) |
최대부등침하량 |
점토층 |
35 |
- |
모래층 |
25 |
- | ||
최대침하량 |
점토층 |
75 |
65~100 | |
모래층 |
50 |
35~65 | ||
각변위 |
1/300 |
각 구조물별 최대 허용침하량(Sowers, 1962)
침 하 형 태 |
구 조 물 의 종 류 |
최 대 침 하 량 |
전 체 침 하 |
배수시설 출입구 석적 및 벽돌구조 뼈대 구조 굴뚝, 사이로, 매트 |
15.0~30.0cm 30.0~60.0cm 2.5~5.0cm 5.0~10.0cm 7.5~30.0cm |
전 도 |
탑, 굴뚝 물품 적재 크레인 레일 |
0.004S 0.010S 0.003S |
부 등 침 하 |
빌딩의 벽돌벽체 철근콘크리트 뼈대구조 강뼈대구조(연속) 강뼈대구조(단순) |
0.005S~0.002S 0.003S 0.002S 0.005S |
☞ S : 기둥사이의 간격 또는 임의의 두 점 사이의 거리 |
Manuals for the Design of Bridge Foundations(미 교통국, 1991)기준
구 분 |
기 준 |
현 상 |
인 용 문 헌 | |||||||||||||||||||||||||||
침하량 (mm) |
51 |
Not harmful |
Bozoauk(1978) | |||||||||||||||||||||||||||
63 |
Ride quality |
Walkinshaw(1978) | ||||||||||||||||||||||||||||
263 |
Structural distress |
Walkinshaw(1978) | ||||||||||||||||||||||||||||
102 |
Ride quality and structural distress |
grover (1978) | ||||||||||||||||||||||||||||
102 |
Harmful but tolerable |
Bozozuk(1978) | ||||||||||||||||||||||||||||
〉102 |
Usually intolerable |
Wahls(1990) | ||||||||||||||||||||||||||||
각 변위 (δ/S) |
0.004(1/250) |
Tolerable for multiple-span bridges |
Moulton, et al.(1985) | |||||||||||||||||||||||||||
0.005(1/200) |
Tolerable for single-span bridges |
Moulton, et al.(1985) | ||||||||||||||||||||||||||||
☞ Data used by Moulton et al.(1985) to establish criteria for magnitudes of angular distortion. :Moulton & Barker(TRB manual)는 167개소의 교량에 대해 조사한 결과 각변위에 대한 안전도를 제시(연속교 109개소,단순교 56개소) - 도로교 표준시방서 부록편 수록(1996)
|
구조물의 허용부등침하(처짐각)기준(Bjerrum, 1981)
각 변 위 (δ/L) | ||||||||||||||
1/100 |
1/200 |
1/300 |
1/400 |
1/500 |
1/600 |
1/700 |
1/800 |
1/900 |
1/1000 | |||||
침하에 예민한 기계기초 | ||||||||||||||
기초의 작업곤란 한계 | ||||||||||||||
사재를 가진 뼈대의 위험한계 | ||||||||||||||
균열을 허용할 수 없는 빌딩에 대한 안전 한계 | ||||||||||||||
칸막이 벽에 첫 균열이 예상되는 한계 | ||||||||||||||
고가 크레인의 작업곤란이 예상되는 한계 | ||||||||||||||
강성의 고층빌딩의 전도가 눈에 뛸 수 있는 한계 | ||||||||||||||
칸막이 벽이나 벽돌벽의 상당한 균열 | ||||||||||||||
일반적인 건물의 구조적 손상이 예상되는 한계 | ||||||||||||||
기타 구조물의 종류에 따른 허용침하량 및 각변위 기준
구 분 |
구 조 형 식 |
허용침하량(cm) |
허용각변형(rad) |
Baumann (1873) |
철근콘크리트 구조 |
4.0 |
- |
Jenny (1985) |
철근콘크리트 구조 |
5.0~7.5 |
- |
Simpson (1934) |
철근콘크리트 구조 |
10.0~12.5 |
- |
Tschebotarioff(1951) |
벽돌구조 |
5.0~7.5 |
- |
Purdy (1891) |
- |
7.5~12.5 |
- |
Terzaghi and Peck (1934) |
철근콘크리트 구조 |
5.0 |
1/320 |
Terzaghi (1934) |
벽돌구조 |
- |
1/280 |
Ward and Green (1952) |
벽돌구조 |
- |
1/480 |
Meyerhof (1953) |
철근코크리트구조(라멘) |
- |
1/300 |
철근콘크리트구조(벽식) |
- |
1/1000 | |
벽돌구조 |
- |
1/600 | |
大 寄 (1956) |
철근콘크리트구조 |
- |
1/600~1/1000 |
즉시침하에 대한 건물의 한계치
지지지반 |
구조종별 |
기초형식 |
변형각 |
상대침하량 | ||
하한 |
상한 |
하한 |
상한 | |||
풍화화강암 (진토) |
철근콘크리트(라멘구조) |
독립 |
0.6 |
1.4 |
1.5이하 |
2 |
철근콘크리트(벽식구조) |
줄 |
0.7 |
1.7 |
1.5 |
2이상 | |
사구사 |
콘크리트 블록조 |
줄 |
0.3 |
1.0 |
- |
0.8 |
철근콘크리트(라멘, 벽식) |
독립, 줄 전체 |
0.5 |
1.0 |
0.8 |
1.5 | |
홍적점토 |
철근콘크리트(라멘구조) |
독 립 |
0.5 |
1.0 |
0.7 |
1.6 |
홍적역층 풍화화강암 |
철골 철근 콘크리트조 철근콘크리트(라멘구조) |
지지말뚝 지반침하량 5cm/년 이하 |
0.7 |
1.5 |
1.0 |
2.0 |
지지말뚝 지반침하량 15cm/년 이상 |
0.4 |
1.0 |
0.7 |
1.5 |
나. 허용각변위 및 부등침하 기준 선정 결과
각종 기준에 따른 허용각변위 및 부등침하 기준 선정 결과
구 분 |
구 조 형 식 |
허용각변위 |
허용부등침하량(cm) |
Skempton |
단독기초 |
1/300 (0.003) |
7.6~12.5 |
전면기초 |
5.0~7.6 | ||
MacDonald & Skempton |
독립기초 |
1/300 (0.003) |
5.0~7.5 |
확대기초 |
3.5~10.0 | ||
Sowers |
철근콘크리트 뼈대구조 |
1/300 (0.003) |
5.0~10.0 |
빌딩의 벽돌벽체 |
1/200~1/500 (0.005~0.002) |
2.5~5.0 | |
Meyerhof |
철근코크리트구조(라멘) |
1/300 (0.003) |
|
Moulton (미 교통국) |
연속교 |
1/250 (0.004) |
5.1 |
단순교 |
1/200 (0.005) | ||
Bjerrum |
칸막이벽, 고가크레인 |
1/300 (0.003) |
- |
균열 허용 않는 빌딩 |
1/500 (0.002) |
- | |
기타제안 |
철근콘크리트 구조 |
1/300~1/1000 (0.003~0.001) |
4.0~2.5 |
벽돌구조 |
1/280~1/600 (0.003~0.002) |
5.0~7.5 | |
설계적용 |
구조물기초 |
1/300 (0.003) |
5.0 |
단독주택지 |
1/500 (0.002) |
2.5 |
열차를 지지하는 구조물의 레일레벨에서의 허용부동변위량(평상시, 일시)
변위의 방향 |
열차속도 (km/h) |
턱δ (mm) |
꺽임각θ(1/1000) | |||
평행이동 |
접어넣기 | |||||
L<30m |
30m≤L |
L<30m |
30m≤L | |||
수 직 |
70 |
2 |
9 |
9 |
9 |
9 |
110 |
7.5 |
9 |
9 |
9 | ||
160 |
5 |
6 |
6.5 |
7 | ||
210 |
4.5 |
4 |
5.5 |
4.5 | ||
260 |
3.5 |
3 |
4 |
3 | ||
수 평 |
70 |
2 |
6 |
6 |
6 |
6 |
110 |
4 |
5.5 |
5 |
6 | ||
160 |
3 |
3 |
3.5 |
4 | ||
210 |
2.5 |
2 |
3 |
2.5 | ||
260 |
1.5 |
2 |
1.5 |
2.5 |
2 | |
☞ 바라스트 궤도의 경우는 턱의 검토를 하지 않아도 좋다.(평상시, 일시의 경우) |
'설계서 > 설계기준&품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종별 적산 기준 (수량산출) (0) | 2008.05.27 |
---|---|
터널 설계 기준 (0) | 2008.05.18 |
이형철근 정착길이 산정 (0) | 2008.05.01 |
2008 건설공사 표준품셈 기계설비 (0) | 2008.05.01 |
2008 건설공사 표준품셈 건축부문 (0) | 2008.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