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각 (交角, angle of intersection)
  전측선이 다음 측선과 이루는 각.

교각 (橋脚, pier)
  교량의 상부구조에 작용하는 사하중 및 활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교각이 받은 하중은 말뚝 또는 확대기초 등 기초구조물을 통해 지반으로 전달됨.

교각법 (交角法, direct angle method)
  다각측량에서 임의의 두 측선이 이루는 교각을 관측하는 측량방법으로 주로 폐합다각형인 경우에 가장 적합하며 교각에는 폐합다각형의 위치에 따라서 내각, 외각이 있고, 측량진행방향에 따라서 우회(또는 우선), 좌회(또는 좌선)으로 분류됨.

교각위성방식 (橋脚衛星方式, pier-satellite concept)
  여객터미널 평면 배치 형태의 일종. 교각 지주 기본형을 변형하여 항공기를 위한 유효 공간을 넓히는 방식임.

교각지주방식 (橋脚指柱方式, pier-finger concept)
  여객 터미널 평면 배치 형태의 일종. 계류장으로 돌출된 긴 복도를 지주(指主, finger)라 일컬으며 많은 용지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다수의 승객 처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어 다수의 공항에서 채택하고 있음.

교대 (橋臺, abutment)
  교량의 양단에 위치하고, 도로와 교량을 접속시키고, 상부구조물의 하중 및 배면성토(背面盛土)로부터의 토압을 지지하는 구조물.

교란시료 (攪亂試料, disturbed sample)
  → 흐트러진 시료.

교량 (橋梁, bridge)
  교통로, 수로 등이 하천, 계곡, 움푹팬 곳, 그밖의 다른 도로의 기능을 저해하는 것이 있을 때 연결하는 구조물의 총칭.

교량가드레일 (“橋梁護輪軌條”, bridge guard rail)
  교량위 또는 교량 부근에서 차량이 탈선할 경우 차량이 교량 아래로 떨어지는 중대한 사고를 방지하고 탈선 차량을 본선쪽으로 유도하여 사고 피해를 최대한으로 억제키 위하여 본선레일의 내측 또는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교량 전장에 걸쳐 중고레일을 부설한 것.

교량보판 (橋梁步板, foot floor or bridge)
  철도교의 무도상 교량에 보수요원 및 점검 요원의 통행을 위하여 궤간 중앙에 설치한 통로의 일종임.

교량상판 (橋梁床板, bridge floor / deck)
  교량상부구조의 일부로서, 교량위를 통과하는 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부분.

교량측량 (橋梁測量, bridge surveying)
  교량측량은 도상계획, 실시설계측량, 교대화 교각의 위치측량, 지간측량, 고저측량, 상부 및 하부구조측량 등을 행함.

교량침목 (橋梁枕木, bridge tie)
  철도교의 무도상 교량에서 교형상에 부설한 침목. 보통 침목에 비하여 두께, 넓이, 길이 등의 모든 치수가 크고 침목 배치 간격도 좁게 부설함.

교량 침목 갱환 (橋梁枕木更換, renewal of bridge tie)
  철도교의 무도상 궤도에 부설되어 있는 교량 침목이 부식되었거나 열차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기능을 상실했을 때 신침목으로 교환 부설 하는 것. 침목전체를 교환하는 방법과 부식되었거나 기능을 상실한 것만 교환하는 방법이 있음.

교량형크레인 (橋梁形 - , bridge crane)
  레일 위를 주행하는 각을 갖는 보 위를 트로리 또는 집(jib) 크레인이 횡으로 이동하는 크레인.

교류아크용접 (交流 - 鎔接, AC arc welding)
  교류용접 전류를 이용하는 아크용접.

교면포장 (橋面鋪裝, bridge-decks surfacing)
  교량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후에 교량의 수명 연장 및 슬래브를 보호할 목적으로 교량슬래브에 포설하는 포장. 재료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함.

교문브레이싱 (橋門 - , portal bracing)
  교량의 주구조물 끝 부분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좌우양측의 주구조를 연결하여 전체구조물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용됨.

교반 (攪拌, agitation)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액체를 혼합시키는 것. 생물학적 반응조의 경우 반응조내의 온도분포의 균일화, 슬러지와 미생물의 접촉 증대, 스컴의 침적 방지 및 가스의 발산을 위하여 행하여 짐.

교반시험 (攪拌試驗, jar test)
  → Jar test.

교번 소성 (交番塑性, alternating plasticity)
  재료의 항복응력을 초과한 압축응력과 인장응력이 번갈아 반복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소성현상.

교번 소성 붕괴 (交番塑性崩壞, cyclic collapse)
  교번 소성이 발생하는 곳에서 부재 혹은 구조물이 파괴되는 현상.

교번응력 (交番應力, alternating stress)
  인장응력과 압축응력을 교대로 받는 부재의 응력.

교번하중 (交番荷重, alternating load)
  (+), (-)의 크기가 동일하게 반복되는 하중.

교상장대레일 (“橋上長大軌條”, long rail on bridge)
  철도 교량 상에 부설된 장대 레일을 말하며 장대레일 부설을 위하여 교량의 동적인 구조검토는 물론 거더 교대 및 교각의 강도에 대하여 검토하고 강도가 부족한 경우 보강 하여야 함.

교선법 (交線法, method of intersection)
  측량구역의 내외에 적당한 기준점(또는 기지점)을 취하여 기선을 만들어 그 양단의 기준점으로부터 각 측점 또는 지형, 지물을 시준하여 그 방향선의 교점에 의하여 측점의 위치를 결정하고 도시하는 방법임.

교외간선도로 (郊外幹線道路, suburban arterial)
  도시 외곽지역에 위치하여 도심과 외곽, 도시내 주요 지역간을 연결하는 통과교통 처리 위주의 도로.

교외철도 (郊外鐵道, suburban railway)
  철도를 부설지역으로 구별 하였을 때 시가에서 교외에 이르거나 또는 시가의 외곽을 연결하는 철도로 근교철도(近郊鐵道)라고도 함.

교점 (交點, point of intersection)
  단심곡선(單心曲線)에서 두직선이 교차되는 점을 교점(I.P)이라 함. 즉 교각을 이루고 있는 점을 말함.

교정작업 (矯正作業, plumbing adjustment work)
  조립한 구조골조의 시공정도를 바로잡기 위한 작업. 기둥, 보등의 넘어짐(돌출). 수평도, 휨 등을 수정함.

교좌면 (橋座面, bridge seat)
  교량을 지지하는 받침부가 설치되는 면.

교차 (較差, ①range, ②discrepancy)
  ① 주어진 기간중 발생한 물리량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 주어지는 기간에 따라 일교차, 년교차 등이 정의됨.
  ② 어떤 양에 대한 똑같거나 비슷한 측정에서 결과치들 사이의 차이.

교차도로 (交叉道路, cross street)
  주도로와 진행방향이 서로 교차하는 접속도로.

교차로 (交叉路, intersection)
  서로 합쳐지거나 횡단하는 두개 또는 그 이상의 도로가 만나는 공간 및 그 내부의 교통시설. 평면교차로(at-grade intersection)와 입체교차로(grade separation)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평면교차로를 지칭함.

교차정차장 (交叉停車場, crossing station)
  정차장을 선로망상의 위치에 의한 분류 명칭의 일종으로 2개 이상의 노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설치된 정차장.

교차활주로 (交叉滑走路, intersecting runway, cross wind runway)
  두개 이상의 활주로가 서로 x자 모양으로 배치되는 활주로 배치 형태의 일종. 풍향이 일정치 않을 때 항공기 운항율을 높이는데 유리하며 교차되는 지점의 위치에 따라 용량이 크게 좌우됨.

교통감응신호제어체계 (交通感應信號制御體系, traffic actuated signal control system)
  신호제어체계의 일종으로 감지기에서 차량 또는 보행자의 통행요구를 감지하고 교차로 상황에 맞게 신호표시의 전환 및 녹색신호시간의 연장과 단축을 제어하는 신호체계.

교통계획 (交通計劃, transportation planning)
  현재의 인구, 경제, 토지이용과 관련하여 교통체계를 조사/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래의 인구, 경제, 토지이용을 예측하여 교통사업대안을 설정, 평가하며 집행계획 및 재정조달 등에 관한 제안이 포함된 교통대안을 선정하는 일련의 작업.

교통공학 (交通工學, ①transportation engineering, ②traffic engineering)
  ① (광의) 사람과 화물을 안전하고, 신속하고, 쾌적하고, 편리하고, 경제적이며 환경과 조화되게 수송할 수 있도록 모든 교통수단을 위한 시설들의 계획, 기능적 설계, 운용 및 관리에 기술과 과학적 원리를 적용하는 공학의 한 분야.
  ② (협의) 도로, 가로 및 이들의 망(網)과 터미널, 인접 토지 등의 계획, 기하구조 설계 및 교통 운용과 다른 교통수단들과의 관계를 취급하는 공학의 한 분야.

교통관리시설 (交通管理施設, traffic control device)
  교통의 원활화와 교통의 안전을 기하기 위하여 설치한 교통표지, 마킹, 비상전화, 도로정보, 표지장치, 교통감시시설, 교통신호기 등의 시설을 총칭함.

교통구성 (交通構成, traffic composition)
  도로시설물을 이용하는 교통류내 차종별 구성비로서, 시설물의 용량이나 서비스수준 산정시 중요한 입력 요소임.

교통량 (交通量, traffic volume, traffic)
  일정 지점을 단위시간에 통과하는 차량 또는 보행자 등의 수. 

교통량구분 (交通量區分, traffic category)
  일정한 시간에 일정한 곳을 왕래하는 사람 또는 차량 따위의 양을 구분한 것.

교통량-밀도 제어기 (交通量-密度 制御機, volume-density controller)
  초기시간 및 차간시간을 고려하는 신호시간 조절 기능이 추가된 교통감응식 제어의 한 종류.

교통량배분 (交通量配分, traffic assignment)
  → 교통배분.

교통량-용량비 (交通量-容量比, volume-capacity ratio)
  교통시설의 용량에 대한 교통량의 비, 약어 : v/c.

교통량 조사 (交通量 調査, volume studies)
  어느 지역내나 어느 지역안 특정지점에서의, 또는 어느 지역을 통과하는 차량 및 보행자의 움직임과 수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얻기위해 행하는 조사.

교통류 (交通流, traffic flow / stream)
  차량 또는 보행자 등의 흐름.

교통류율 (交通流率, flow rate)
  한시간보다 짧은 시간, 보통 5분 또는 15분 동안 일정 지점을 통과한 차량 등의 수를 시간당 교통량으로 환산한 값.

교통망 (交通網, traffic network)
  교통체계를 설명하는 선(링크)과 결절점(노드)으로 구성된 하나의 체계를 의미함. 즉, 두 지점 (결절점, 노드)을 연결하며 방향성을 갖는 선(링크)의 조합상태인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는 하나의 체계임. 대중교통의 경우에는 전체의 체계를 구성하는 노선과 정류장의 배치로 나타내기도 함.

교통망 평형 (交通網 平衡, traffic network equilibrium)
  교통망 분석에서 이용자 효용 극대화 혹은 체계 편익 극대화 원칙 하에서 더 이상 극대화할 수 없는 상태에 도달하여 주어진 조건하에서 더 이상 변화할 수 없는 안정된 균형상태인 교통망의 교통상태.

교통밀도 (交通密度, traffic density)
  어떤 순간에 도로 차선 또는 보행로의 단위 길이를 점유하고 있는 차량 또는 보행자의 수.

교통발생원 (交通發生原, traffic generator)
  백화점, 관공서, 스포츠센터 등과 같이 통행유발의 원인을 제공하는 시설물.

교통방호책 (交通防護策, traffic barrier)
  → 방호책.

교통배분 (交通配分, traffic assignment)
  순차적 통행수요예측의 최종단계로서 기종점간 교통량(주로 차량)을 교통망상에 배분하는 것. 구간별 통행량과 교차로에서의 방향별 회전 통행량 등을 구체적으로 추정함.

교통부문 (交通部門, transportation sector)
  한 나라의 경제활동분야 중 교통과 연관된 부문을 의미하며 육운, 해운, 항공 등으로 구분하기도 함. 이 용어는 국민총생산 중 교통부문이 차지하는 비율, 교통부문의 고용자 수 등으로 사용됨.

교통사고율 (交通事故率, traffic accident rate)
  도로의 어느 일정단위구간당 교통사고가 발생한 비율.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연간 주행 1억대 km당, 지역인구 10만인당, 자동차 보유대수 1만대당, 각각 1년간 발생한 교통사고의 비율을 말할 경우가 있음.

교통상충 (交通相衝, traffic conflict)
  교통류가 교차(crossing), 합류(merging) 또는 분류(diverging)하는 것. 또는 이러한 도로구간에서 발생하는 차량간의 (잠재적) 충돌 가능성.

교통설계 (交通設計, transportation design)
  교통시설물(도로, 터미널, 주차시설 등)의 기능적 설계 및 기하구조설계. 

교통섬 (交通 - , traffic island)
  차량의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을 확보하거나, 보행자의 안전한 도로횡단을 위하여 교차로 또는 차도의 분기점 등에 연석 또는 노면표시 등으로 설치한 섬 모양의 시설.

교통수단 (交通手段, mode / means of transportation)
  사람이나 물건을 수송하기 위한 육상교통수단(자동차, 철도, 자전거 등), 해상교통수단(선박 등), 항공기 등의 총칭으로서, 보통 ‘탈 것’을 말하지만 벨트 컨베이어나 관로(파이프라인) 등 연속류 시스템과 보행도 포함됨.

교통수요관리 (交通需要管理, traffic demand management)
  교통혼잡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카풀, 대중교통이용 등을 권장함으로써 차량교통수요를 줄이거나 출근시차제 등을 이용하여 특정시간대의 사람통행수요를 감소시키는 등의 기법을 총칭함.  약어 : TDM.

교통시설현황도 (交通施設現況圖, condition diagram)
  교차로 혹은 도로구간에 설치된 교통 시설물 등의 물리적인 상황을 나타낸 도면.

교통신호 (交通信號, traffic signal)
  교통의 규제 또는 주의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전기로 작동되는 신호표시.

교통신호체계 (交通信號體系, traffic signal system)
  → 신호제어체계.

교통안전시설 (交通安全施設, traffic safety facilities)
  도로에서 교통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된 시설로서 신호기, 도로표지, 횡단보도교, 보도, 시선유도표지, 도로반사경, 방책, 가로등, 구획선 등을 말함.

교통예측 (交通豫測, traffic forecasting)
  → 통행예측.

교통용량 (交通容量, traffic capacity)
  도로를 통과할 수 있는 최대교통량을 말하며 기본적으로는 1시간당으로 나타냄.

교통운영 (交通運營, traffic operation)
  각종 교통제어 수단과 시설을 이용하여 도로 교통이 질서있고 안전하며 능률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

교통운용 (交通運用, transportation operation)
  기존 교통시설의 관리, 또는 수요의 관리를 통해서 교통망의 최적화를 도모하는 것.

교통유도표지 (交通誘導標識, traffic delineator)
  → 시선유도표지.

교통적응식 신호 (交通適應式 信號, traffic-adjusted signal)
  아날로그 컴퓨터를 주제어기로 사용하여 특정 지역제어기의 주기길이를 직접 제어하는 방식의 신호.

교통조건 (交通條件, traffic condition)
  교통용량분석에서는 교통류의 차종별 구성비, 차선의 이용도 및 교통량의 방향별 분포와 같은 특성으로 정의하며 교통표지, 신호 등과 같은 교통통제설비의 설치 및 운용상황을 포함하여 정의하기도 함.

교통지구 (交通地區, traffic zone)
  교통수요추정 또는 분석을 위한 공간적 단위로서 중심점(centroid)으로 대표되며, 사회, 경제적 자료의 수집이 용이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원칙임.

교통차단시설 (交通遮斷施設, traffic barricade)
  공사, 도로시설물의 정비유지작업, 또는 특수 목적을 위해 임시로 차량을 통제하는데 사용하는 시설.

교통체계 (交通體系, transportation system)
  승객과 화물을 빠르고,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수송하는데 필요한 모든 요소를 총칭하여 일컫는 용어로서, 모든 교통수단의 시설, 운영, 제어 등이 포함됨.

교통체계관리 (交通體系管理, transportation systems management)
  기존의 교통 체계 및 시설을 좀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특히 첨두시간대의) 차량교통수요를 감소시킴으로서 비교적 적은 재정투자로서 단기적으로 교통을 개선하기 위한 기법을 총칭함. 약어 : TSM.

교통체증 (交通滯症, traffic jam)
  교통시설의 용량이 부족하거나 교통량이 너무 많아 교통시설을 이용하기가 지극히 불편한 상태.

교통통제설비 (交通統制設備, traffic control device)
  교통의 정상적인 흐름을 보장하고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교통을 통제하거나 안내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설비로서 교통신호, 교통표지, 노면표시 등이 있음.

교통통제시설 (交通統制施設, traffic control device)
  → 교통통제설비.

교통통제조건 (交通統制條件, traffic control condition)
  신호 교차로의 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신호현시방법, 신호시간, 제어의 종류, 신호연동 등을 말함.

교통표지 (交通標識, traffic sign)
  도로상에서 교통에 대한 주의, 규제, 지시, 안내 등을 기호나 문자, 색을 이용하여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알리기 위한 설비.

교호고저측량 (交互高低測量, reciprocal levelling)
  고저측량의 측선중에 강, 호수, 하천 혹은 협곡 등이 있어 그 2점간의 중간에 레벨을 세울 수 없는 경우에 기계오차, 표적의 읽음오차 등을 줄이기 위하여 양안에서 전시와 후시를 각각 같은 상황으로 취하여 그 표고차를 2회 산출하여 평균하는 측량으로 교호수준측량이라고도 함.

교호수준측량 (交互水準測量, reciprocal levelling)
  → 교호고저측량.

교호시스템 (交互 - , alternate signal system)
  교통축의 신호연동 운영패턴중의 하나로서 인접 교차로간 또는 인접 교차로 그룹간의 신호가 정반대로 켜지는 시스템.

구간속도 (區間速度, overall(travel) speed)
  → 통행속도.

구곡 (溝谷, gully)
  강우유출과 융설기에만 흐르는 물에 의해 깊게 침식된 골.

구곡침식 (溝谷浸蝕, gully erosion)
  지표면에서 발생하는 토사발생의 한 형태. 물길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에서 발생하는 판상침식(sheet erosion)과 하도침식(channel erosion)의 중간적 형태.

구과량 (球過量, spherical excess)
  구면삼각형에서는 3내각의 합은 항상 180°보다 큼. 한 구면삼각형의 내각을 α, β, γ라 하면, 180°< α + β + γ < 540°ε = α + β + γ - 180° 여기에서 ε 를 구면과량 또는 구과량이라 함.

구관입시험 (球貫入試驗, ball penetration test)
  켈리볼관입시험이라고도 하며 구를 콘크리트 표면에 놓았을 때 구의 자중에 의하여 콘크리트 속으로 가라앉는 관입깊이를 측정하여 콘크리트의 반죽질기를 알아보는 시험방법.

구교 (溝橋, culvert)
  구교는 일반적으로 경간이 1 m 이상이고 전장이 5 m 미만을 말함. 개거와 암거가 있으며 개거는 소규모의 교량 형식이고 암거는 함구교와 아치구교가 있음.

구교표 (溝橋標, culvert sign)
  구교의 교대 배면에 구교명, 경간 등을 표시 한 것. 또는 함거 등의 위치를 표시한 표.

구균 (球菌, micrococcus)
  세균의 형태별 분류시 원형의 세균.

구근말뚝 (球根 - , bulb pile)
  지지력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하단을 구근모양으로 팽창되게 한 현장치기말뚝.

구내 (構內, yard track)
  정차장 구역내를 말함. 정차장은 일정 범위가 있으며 상.하의 양 장내 신호기를 설치한 지점간의 구역 또는 그것이 없을 때는 정차장 구역표간의 지역이 정차장의 구내가 됨.

구동바퀴 (驅動輪, driving wheel)
  매캐덤롤러, 탠덤롤러 등의 뒷바퀴와 같이 동력이 직접 전달되어 회전되는 바퀴.

구름량 ( - , cloud amount)
  전체 하늘의 넓이에서 구름이 덮인 부분의 비율을 10분수로 나타낸 수. 0에서 10까지 11계급으로 구분되며, 운량이라고도 함. 구름을 구성하는 수분량을 나타내는 구름물량과는 차이가 있음.

구름마찰 ( - 摩擦, rolling friction)
  동마찰의 일종으로 어느 면을 미끄러지지않고, 구르는 경우에 생기는 마찰. 미끄럼 마찰보다 작음.

구름물량 ( - , water content of clouds)
  구름을 구성하는 구름 알갱이의 수분량. 일반적으로 단위체적의 공기중 수분중량으로 나타냄. 운수량이라고도 함.

구름씨뿌리기 ( - , cloud seeding)
  구름 구조의 변화 또는 약화, 이에 따른 강수를 전망하여 구름에 이산화탄소, 은옥화물 등 적당한 물질의 입자를 주입하는 것.

구릉지 (丘陵地, rolling terrain)
  종단구배 및 평면선형의 조합에서 중차량의 속도가 승용차보다 감소하기는 하지만 상당히 긴 시간동안 오르막한계속도(crawl speed)로 주행하지는 않는 곳. 일반적으로 2 %이상 5 %미만의 구배구간임.

구리관 (銅管, copper pipe)
  급수용의 동제관, 인장강도가 크며 관두께는 얇음. 시멘트에 상하지 않고 콘크리트 속에 매몰하는데 적합하고 스케일(scale)의 발생도 적으나, 얇기 때문에 쭈그러지기 쉬움.

구면 (構面, plane of structure)
  외력에 저항할수 있는 몇개의 부재를 사용해서 평면이나 곡면으로 조립된 골조면을 말함. 그면 이 트러스와 같은 안정한 구면으로 되어있는 것은 강구면이라 부름. 프레스트 돔과 같이 주요한 구면이 하나로 되어 있는 것을 단구면이라 하고, 입체 트러스와 같이 주요한 구면이 두개로 되어있는 것을 중구면이라 함.

구면롤러 (球面 - , spherical roller)
  구면에 의해 어떤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롤러.

구면삼각형 (球面三角形, spherical triangle)
  구면상에 그린 삼각형을 구면삼각형이라고 함. 측지측량에서 변장의 길이가 20 km 이상인 삼각형의 내각과 변장을 오차없이 관측하여도 구과량에 의한 영향때문에 내각의 합이 180°보다 크게 나타나는 삼각형임.

구면슈 (球面 - , spherical bearing shoe)
  구면으로 접촉하는 슈(shoe).

구면지지 (球面支持, spherical bearing)
  구면에 의해 접촉하는 받침.

구배 (勾配, grade, gradient, slope, pitch)
  → 경사.

구배표 (勾配標, grade / gradient post)
  선로구배의 변환 점에 세우는 것으로 표지판 양면에 구배를 표시하는 숫자를 기입하며 구배의 상, 하의 방향을 표시하여 기관사에게 운전의 편의를 제공함.

구성방정식 (構成方程式, constitutive equation)
  변형가능한 물체에 외력이 작용하여 발생한 응력과 변형도 간의 관계식.

구성 행렬 (構成 行列, constitutive matrix)
  응력과 변형도와 관계를 표시하는 행열.

구속 (拘束, constraints)
  적절한 장치를 사용하여 구조물 일부의 이동이나 회전이 발생할 수 없도록 하는 것.

구속균열 (拘束龜裂, restraint crack)
  구속의 정도가 큰 접착부 또는 열영향부에 발생하는 균열.

구속변형계수 (拘束變形係數, constrained modulus)
  구속압축시 축변형률에 대한 축응력의 비. 구속탄성계수라고도함.

구속압력 (拘束壓力, confining pressure)
  지반중의 흙 요소나 시험중의 공시체가 파괴 혹은 변형을 발생시키는 부가적인 응력을 받기전에 주면에 작용하는 응력. 예를 들면, 삼축압축시험에 있어 시험기에 가한 물의 압력, 즉 측방향 압력을 말함.

구속응력 (拘束應力, restraint stress)
  일반적으로 물체의 변형이나 운동을 구속하여 생기는 응력, 용접에 의한 잔류응력도 그 일종임.

구스아스팔트 ( - , mastic asphalt)
  석회, 석분 또는 천연 아스팔트 분말을 주재료로 하여 고온시의 혼합물의 유동성을 이용하여 유입시키고 피니셔나 큰 흙손으로 평평하게 고르도록 한 아스팔트.

구슬엘형강 ( - 形鋼, bulb angle)
  L형강의 한변 끝에 구형이 달린 형강. 벌브앵글이라고도 함.

구심 (求心, centering)
  → 중심맞추기.

구십도 갈고리 (九十度 - , 90°hook)
  철근의 정착 또는 겹이음을 위하여 끝을 90°구부린 철근.

구역형댐 (區域型 - , zone-fill dam)
  댐의 단면 중심에서 외곽부로 나가면서 안정도와 투수도가 상이한 재료를 배열하여 축조하는 댐.

구역형흙댐 (區域型 - , zoned earth-fill dam)
  채우는 재료가 흙인 구역형 댐.

구연산회로 ( - 回路, TCA cycle)
  포도당의 분해시 생성된 pyruvate가 호기성 상태에서 산화되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대사과정의 하나.

구적기 (求積器, planimeter)
  불규칙한 직선 또는 곡선으로 이루어진 도형의 면적을 도형에서 직접 잴 수 있도록 고안된 기계임.

구조 계산 (構造 計算, structural calculation)
  → 구조해석.

구조물 (構造物, structure)
  여러 가지 형상과 물리적 성질을 가지는 부재를 적당히 연결하고 지지하여 그 사용 기간동안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모든 외력에 안전하게 견디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만든 물건. 대표적인 것으로 교량, 건측물, 댐, 터널 등이 있음.

구조물 강성도 행렬 (構造物 剛性度 行列, structural stiffness matrix)
  주어진 구조물의 절점 하중 벡터를 절점 변위에 대하여 표시하는 행렬.

구조물 좌표계 (構造物 座標系, structural coordinate system)
  → 전체 좌표계.

구조 설계 (構造 設計, structural design)
  구조물의 건설 계획에 의하여 시방서의 제반 규정에 따라 구조 계산을 하여 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각 부재의 형상과 크기 그리고 연결 방법 등을 결정하고 설계도를 작성하는 제반 작업.

구조암석학 (構造岩石學, petrofabrics, structural petrology)
  암석을 구성하는 단위의 공간배열을 특히 미시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단위로는 암편, 광물입자, 결정격자 등을 말하며 이것들의 생성과정의 연구도 포함됨.

구조 역학 (構造 力學, structural mechanics)
  주어진 하중에 의해 구조물에 발생하는 부재력과 처짐 등을 계산하는 방법을 수학과 물리학 등을 이용하여 연구하는 학문 분야.

구조용 강재 (構造用 鋼材, structural steel)
  토목, 건축, 기타 구조물의 각종 부재로 사용되는 연성이 큰 강재로서 철골, 철근, 철판 등이 있음.

구조적 홍수완화 (構造的 洪水緩化, structural flood mitigation)
  저수지와 제방의 건설, 수로의 준설이나 전환, 홍수방지공의 설치 등 물리적 수단을 사용하여 홍수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한 구조적 대책.

구조지질학 (構造地質學, tectonic geology)
  지각의 구조형태 및 그 생성과정을 역학적으로 연구, 해명하는 학문.

구조 해석 (構造 解析, structural analysis)
  구조물의 기하학적 형상 재료의 성질, 지점 조건 그리고 외부하중이 주어진 상태에서 구조물의 반력, 부재력, 처짐 등을 구하는 과정의 총칭.

구차 (球差, divergence of earth curvature)
  지구가 회전타원체인 것으로 인하여 생기는 오차. 먼거리에 있는 같은 표고의 두점은 한 점에서의 수평면을 생각할 때 다른 한점이 지구곡률 때문에 그 수평면의 아래에 있게 되며 이 양을 구차라고 함.

구형 들보 (矩形 - , rectangular beam)
  단면이 직사각형인 들보.

구형웨어 (矩形 - , rectangular weir)
  단면형이 직사각형인 웨어로 유량측정에 이용됨.

구형철탑 (矩形鐵塔, rectangular steel tower)
  철탑본체의 마주보는 2면이 각각 같은 형태의 구면을 가지는 철탑. 방형철탑이라고도 함.

국가기본도 (國家基本圖, national base map)
  한 나라의 가장 기본이 되는 지도로서 국토 전역에 걸쳐 통일된 축척과 정확도로 엄밀하게 제작된 지형도로서, 일정한 기준에 의하여 유지관리되는 지도임. 이 지도는 다른 모든 종류의 지도를 제작하는 데에 기본지도(base map)로서 사용됨.

국가기준점 (國家基準點, national control point)
  국토에 관한 각종 개발 및 이용계획 등의 입안을 위한 지도제작 또는 건설?토목공사용의 도면작성이나 측량에는 그 뼈대가 되는 기준점이 필요함. 이러한 기준점 중에서도 측지측량에 의하여 설치된 기준점을 일반적으로 국가기준점이라고 하는데, 삼각점, 수준점, 중력점, 천문점, 지자기점 등이 있음.

국부 부착파괴 (局部 附着破壞, local bond failure)
  균열면 등 부착응력이 큰 곳에서 높은 부착응력으로 인하여 부착파괴를 일으키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부재의 파괴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않음.

국부전단파괴 (局部剪斷破壞, local shear failure)
  느슨한 모래나 연약점토 지지력 시험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상재하중에 따라 지반내의 전단파괴가 국부적으로 시작하여 다음으로 다른 부분으로 파괴 영역을 확대시키는 전단파괴 양식을 말함.

국부 좌굴 (局部 挫屈, local buckling)
  구조물의 일부 부재 또는 부재의 일부에 좌굴이 발생하는 것.

국부 좌표계 (局部 座標系, local coordinate systerm)
  매트릭스 구조해석 등에서 부재 강성도 행렬 등을 구하기 하여 전체 좌표계와는 별도로 정의하는 하는 좌표계로서 일반적으로 부재의 재축을 x축으로 선택함. 

국부 파괴 (局部 崩壞, local failure)
  구조물의 전체적인 기능은 유지하면서 구조물의 일부가 파괴가 되는 현상.

국유철도 (國有鐵道, government / state / national railway)
  국가가 소유 경영하는 철도.

국유철도건설규칙 (國有鐵道建設規則, constructional preseription of korea national railroad)
  철도법 제3조의 규정에 의하여 국유철도의 건설 및 차량기구의 구조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하고 있음.

국제단위계 (國際單位系,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국제도랑형 총회(I.S.O)에서 채용된 단위계로서, SI 단위계라고도 함.

국제민간항공기구 (國際民間航空機構,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1944년 시카고 회의에서 체결된 민간 항공 조약을 근거로 설립된 국제 기구로서 현재는 국제 연합의 산하 기관의 하나임. 설립목적 ;
  ① 국제 민간 항공의 발달 및 안전의 확립 도모.
  ② 능률적·경제적 항공 운송의 실현.
  ③ 항공기술의 증진.
  ④ 체약국의 권리 존중.
  ⑤ 국제 항공기업의 기회 균등 보장 등임.
  약어 : ICAO.

국제 민간 항공 협약 부속서 제 14 (國際 民間 航空 協約 附屬書 第 14, ICAO Annex 14)
  국제 연합 항공기구 (ICAO) 협약 내용의 부속서 중의 하나. 비행장 시설에 관한 국제 표준 및 권고 사항이 각 분야별로 수록되어 있음.

국제수문10년계획 (國際水文十年計劃, International Hydrological Decade)
  UNESCO가 다른 UN기구와 협동으로 후원하여 시작된 집중적인 국제 수문조사활동. 국제수문개발계획이라고도 함.

국제항공운송협회 (國際航空運送協會,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세계 각국의 항공 기업이 1945년 4월 국제 항공수송사업에 종사하는 항공 회사간의 협조 강화를 목적으로 설립된 순수 민간 국제 협력 단체로서 항공운임의 결정, 운송 규칙의 제정 등이 주된 임무이며 준공 공적 기관 성격을 갖고 있음.  약어 : IATA.

국지도로 (局地道路, local road) 
  도로를 기능적으로 분류할 때 이동성은 제한되고, 접근성이 높은 도로로서 일반적으로 속도가 낮고 교통량이 작으며 거리가 짧음.

국지오염 (局地汚染, local pollution)
  광역오염의 대응용어로 특정 배출원 주변에만 미치는 오염현상.

국토기본도 (國土基本圖, national base map)
  → 국가기본도.

군말뚝 ( - , group pile)
  → 무리말뚝.

군말뚝효과 ( - 效果, pile group efficiency)
  → 무리말뚝 효과.

군속도 (群速度, group velocity, wave group velocity)
  군파의 진행속도. 심해에서 군속도는 개개파의 위상속도의 반과 같고 수심이 감소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개개파의 위상속도에 가까와짐. 중력파의 경우는 파 에너지가 진행하는 속도와 같음.

군용철도 (軍用鐵道, military railway)
  군인 또는 군수 물자의 수송을 전담하기 위하여 부설한 철도.

군지수 (群指數, group index)
  AASHTO 토질분류법에서 분류기호 뒤에 ( )안에 표기하는 것으로 다음식의 GI로 나타냄.   여기서,  ; 75 μm을 통과한 통과중량의 백분율(%),  : 액성한계,  : 소성지수. 군지수가 작게 나온 시료는 양호한 재료임을 나타냄.

군파 (群波, group wave)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는 진폭이 서로같고 파장 또는 주기가 약간 다른파가 중첩되어 발생하는 형태로 파봉의 포락선이 파형을 이룸. 하나하나의 파는 그 위상속도로 진행하지만 군파 전체는 이와 다른 군속도로 진행함.

굳은균열점토 (固結龜裂粘土, stiff-fissured clay)
  자연상태에서 균열이 있는 단단한 점토.

굴곡비 (屈曲比, tortuosity)
  하천상 두점의 최단거리에 대한 하천의 중심선을 따라 측정한 실제거리의 비. 또는 지하수 흐름에서의 유적에 있어서 두점의 직선거리에 대한 실제 거리의 비.

굴곡측정기 (屈曲測定器, profile guage)
  전단시험시 절리면의 거칠기를 정량화하기 위한 시험 기기들.

굴넓히기 (切擴, enlargement)
  터널의 굴착에 있어서 전체의 단면가운데 일부만을 선행하고 뒤에 나머지 단면을 넓히는 것. 확대굴착이라고도 함.

굴입항 (堀入港, excavated harbor)
  자연적인 항만의 조건을 갖추지 못한 지역에서 외해의 파도를 막기위하여 방파제를 만들고 육지를 굴착하여 항로와 부두를 만든 인공항만.

굴절 (屈折, refraction)
  ① 탄성파 시험에서 인공진원으로부터 출발한 파(波)가 다른 이질적인 매질을 만나서 각이 꺾이는 것.
  ② 천해에서 수심에 따라 파속(波速)이 변하기 때문에 파의 진행방향이 등심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변하는 현상.

굴절도 (屈折圖, refraction diagram)
  주기와 방향이 주어진 특정 심해파에 대하여 천해에서의 일련의 파봉선과 파의 진행방향인 파향선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

굴절버스 (屈折 - , articulated bus)
  앞, 뒤 두 개의 차체로 구성되어, 서로 연결되어있는 버스로 곡선부에서 굽혀질 수 있고, 용량이 일반버스에 비해 큰 버스.

굴절법 (屈折法, refraction method)
  탄성파 측정방법의 하나. 탄성파속도를 다르게 하여 지층의 경계에서 굴절시켜 전파된 굴절파를 이용하여 지반을 조사함.

굴절파 (屈折波, refracted wave)
  ① 속도가 다른 두 매질의 경계면에 탄성파가 입사할 때 반사되지 않고 투과하면서 굴절되는 파.
  ② 천해(淺海)를 진행하는 파가 수심의 영향으로 굴절변형을 일으키면서 진행하는 파.

굴진율 (掘進率, drilling rate)
  드릴이 서로 다른 암석들을 관입할 때 드릴의 시간당 관입 속도(분당 인치). 암석드릴은 암질과 암석의 경도에 의해 결정됨.

굴착 (掘鑿, excavation)
  지반을 파는 작업으로서 지반의 강도에 따라 발파굴착, 기계굴착 및 인력굴착으로 구분하여 적용함.

굴착기 (掘鑿機, excavator)
  토사와 암석을 굴착하는데 쓰이는 건설기계. 취급하는 토사와 암석의 상태나 굴착방법 및 이동성 등에 따라 많은 종류로 나누어 짐. 가장 많은 것은 “파워셔블”로 캐터필러식의 자주가능한 본체로부터 내뻗은 붐의 끝에 굴착용 디퍼가 있으며, 끝의 어태치먼트를 갈아끼우면, 드래그라인, 그램셀, 드래그셔블 등으로 됨. 이밖에 불도저, 캐리올과 같이 운반을 겸하는 것도 있음.

굴착난이도 (掘鑿難易度, rippability)
  리퍼가 달린 굴착기계나 착암기기로 암석을 파쇄할 수 있는 정도. 

굴착리그 (屈鑿 - , drilling rig)
  해양 굴착 장치.

굴착정 (堀鑿井, artesian well, dug-well)
  미리 충분히 넓고 깊은 구멍을 파고 그 속에 우물통을 조립하거나 우물통을 조립하면서 바닥의 흙을 파서 침하시켜가며 만드는 우물. 흔히 볼 수 있는 보통의 우물.

굵은 골재 ( - 骨材, coarse aggregate)
  골재 가운데 비교적 입경이 큰 것으로서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 콘크리트포장에서는 5 mm(No.4)체에 중량비로 85 %이상 남는 골재를 말하며 아스팔트포장에서는 2.5 mm(No.8)체에 거의 다 남는 골재를 말함.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 - 骨材 最大値數, maximum size of coarse aggregate)
  중량으로 90 %이상을 통과시키는 체들 중에서 최소치수의 체의 눈의 공칭치수로 나타낸 굵은골재의 치수.

굵은모래 (“粗砂”, coarse sand)
  굵은 입자(0.425~2.0 mm)를 많이 포함하고 있는 모래.

굽은관 (曲管, bend pipe)
  관로가 방향을 바꿀 때 직관과 직관사이에 설치하는 이형관. 90°곡관, 45°곡관, 22°1/2곡관, 11°5/8곡관 등 5종이 있음.

굽힘시험 ( - 試驗, bending test)
  금속, 목재, 콘크리트 등, 각종재료의 휨강도 등을 조사하기 위한 시험으로 형틀굽힘, 자유굽힘, 롤러굽힘 등 시험재와 시험의 목적에 맞추어 사용됨. 용접사의 기량검정에는 일반적으로 맞대기용접이음의 표면굽힘, 뒷면굽힘, 측면굽힘의 3종류의 형틀시험을 함.

궁현 트러스 (弓弦 - , bowstring truss)
  하나의 현이 수평이고 다른 쪽 현의 형상이 포물선 혹은 포물선과 비슷한 곡선으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활과 같은 모습인 트러스.

권양기 (卷揚機, hoist)
  중량물을 달아 올리는 장치로서 전동기, 감속기 및 와이어로프를 감기 위한 드럼 등으로 구성됨.

권척 (卷尺, tape)
  천, 강철, 인바 등의 재료로 만들어졌고, 눈금이 표시된 거리나 길이를 관측하는데 사용되는 눈금 있는 줄.

권파 (券波, plunging breaker)
  수심이 비교적 얕고 해저경사가 급한 곳에서 발생되는 쇄파형태로서 파랑의 전면(前面)이 점점 가파라져서 결국 둥근 원호 형상으로 변하여 앞으로 구부러지면서 부서지는 파. 권파가 구조물에 부딫힐때 강한 충격 파력이 발생함.

궤간 (軌間, gauge, track gauge)
  궤도에 있어 한 레일과 마주보는 레일과의 거리로서 레일두부면으로부터 아래 쪽 16 mm(고속철도, 도시철도 14 mm)점에서 상대편 레일 두부의 동일점까지의 내측간 최단거리.

궤간내 (軌間內, intertrack space)
  궤도에서 좌, 우측레일간의 내측부분.

궤간선 (軌間線, gauge line)
  하나의 선로에 대하여 좌우 궤간을 나타내는 선을 말하고 레일 두부의 내측에 있어서 레일 면하 16 mm(고속철도, 도시철도 14 mm)의 위치에 상정됨.

궤간정정 (軌間整正, gauge adjusting)
  궤도에서 궤간의 허용 틀림 치수를 벗어났을때 규정치 이내로 바로잡는 것.

궤간측정 (軌間測定, gauge measure)
  좌우레일의 궤간거리를 측정하는 것. 즉, 궤간에 대한 틀림은 레일 두부면에서 하방 16 mm(고속철도, 도시철도 14 mm)내의 레일 내측간의 거리로 표시함. 궤간틀림이 큰 경우는 주행차량이 사행 등을 일으키며 궤간이 크게 확대되었을 때는 차륜이 궤간내로 탈선하게 됨.

궤간틀림 (軌間 - , gauge irregularity)
  궤간이 규정된 치수를 벗어나 있는 궤도의 상태.

궤간확대 (軌間擴大, gauge widening)
  궤도에서 궤간치수가 규정치수보다 넓어져 있는 상태.

궤광 (軌 - , track panel / frame track span / skeleton)
  레일에 침목을 체결한 것으로 사다리 모양의 형상으로 되어 있는것.

궤광갱신작업 (軌 - 更新作業, renewal work of track panel)
  선로 보수 방식중 궤광을 새로운 궤광으로 바꾸는 작업으로 정기수선 방식으로 할 경우 일정주기마다 궤광전체를 교환하는 작업.

궤도 (軌道, track, rail track)
  레일과 그 부속품, 침목 및 도상으로 구성되며 견고한 노반위에 도상을 일정한 두께로 포설하고 그 위에 침목을 일정간격으로 부설하고 침목 위에 두줄의 레일을 소정간격으로 평행하게 체결한 것으로 노반과 함께 열차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역할을 함.

궤도강화 (軌道强化, strengthening of track, track strengthening)
  선로에서 궤도부분 즉 도상, 레일 및 그 부속품과 체결장치를 열차의 고속화 중량화나 횟수 등에 대응하여 도상두께, 레일의 크기 등을 크게 하여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는 것.

궤도갱신 (軌道更新, track renewal)
  선로보수 방식중 궤도를 새로운 궤도로 바꾸는 것으로 정기수선 방식을 할 경우 일정주기마다 궤도를 교환하는 것으로 궤도의 전부 또는 대부분의 궤도를 일거 갱신하여 강한 궤도를 만들기 위한 것 일반적으로는 일정시간 선로를 폐쇄하여 중기계를 장비한 이동 작업반에 의하여 행하여 짐.

궤도검측차 (軌道檢測車, track inspection car, recording coach, geometry car)
  궤도의 틀림 상태를 측정하는 기계장비의 일종. 컴퓨터 소프트웨어방식으로 고속으로 운행하면서 거리, 고저, 방향, 궤간, 수평, 비틀림, 속도 시설물을 검출해내며 궤도의 동적 틀림을 측정하여 보선작업 자료제공의 효과를 갖고있음. 견인방식에 따라 자주식과 피견인식이 있음.

궤도계수 (軌道係數, track coefficient)
  궤도를 단위 cm 침하시키는데 필요한 압력 궤도역학에서 궤도 강도를 계산하는데 필요한 계수임. a를 침목간격, D를 레일 받침체 침하계수, E를 레일 강의 탄성계수, I를 레일의 단면 2차 모멘트라하면 궤도 계수 r은 다음식으로 계산됨.  r = 6EI / a3D

궤도관리 (軌道管理, track management)
  궤도 틀림을 정비한도 이내로 모두 정비하여 열차 안전 운전에 지장이 없도록 궤간, 수평, 면마춤, 줄마춤, 궤도재료 등이 정상상태로 유지되도록 궤도를 관리하는 것.

궤도구조 (軌道構造, track structure)
  궤도를 구성하는 제요소의 총칭으로 도상, 침목, 레일 및 그 부속품으로된 보편적 구조를 일반 궤도구조라 하며 콘그리트 도상구조, 직결궤도, 완전직결 궤도 등을 특수 궤도구조라 함.

궤도낮추기 (軌道下路, lower of track, track depression track lowing)
  선로의 레일면을 낮추는 것. 도로와의 평면교차를 피하기 위하여 입체 교체화하는 경우 교차점부근의 지형조건에 따라 선로를 저하시켜야 하는 경우가 있음. 하로, 궤도내림이라고도 함.

궤도들기 (軌道上路, lifting (raising) of track track elevation, upper of track)
  궤도의 레일면을 들어 높이는 것. 열차 운행하중에 의하여 궤도가 침하되었거나, 총다지기를 할때 도상 두께를 증가할 때 또는 도로와의 평면 교차에 있어서 안전 확보 등을 위하여 레일면의 높이를 높이는 것. 양로, 궤도올림이라고도 함.

궤도보수 (軌道補修, maintenance of track)
  궤도를 일정 정비 기준에 의해 결점이 없는 상태로 유지하는 것. 궤도는 열차 또는 차량의 운전 및 바람, 비, 눈 등의 영향을 받아, 틀림을 일으키거나 손상되기 때문에 항상 이를 수리하여 결점이 없도록 보수할 필요가 있음. 일반적으로 궤도보수라고 하는 것은 궤도 및 이에 직접 부대되는 노반 건조물의 보수를 의미함. 따라서 궤도보수는 협의의 보선 또는 보선 작업과 갖은 뜻을 가짐.

궤도보수검사 (軌道補修檢査, inspection for railway maintenance)
  정기적으로 궤도전반에 걸쳐서 보수상태, 열차동요 등에 대한 검사로 궤도틀림이나 동요 등을 고속궤도 검측차 등에 의해 검사를 하는 궤도틀림검사, 좌우상하 열차동요가속도를 측정하는 열차동요 검사, 레일이음매 유간을 검사하는 유간검사, 각종 궤도재료가 적절한 상태로 사용되고 있는지의 여부, 또는 각종 보수작업이 각각의 재료에 대해서도 적정하게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검사가 있음.

궤도보수작업 (軌道補修作業, work of track repair)
  궤도틀림은 궤간, 방향, 수평, 평면성, 고저 등이 있으나 이러한 궤도 틀림을 정정하여 궤도틀림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작업으로, 작업의 종류로서는 궤간정정, 면맞춤, 총다지기, 줄맞춤, 이음매처짐작업, 레일버릇정정, 유간정정, 침목위치정정 작업 등이 있음.

궤도부담력 (軌道負擔力, bearing of track)
  궤도가 구조상으로 안전하게 견디는 열차 하중으로 나타낸 궤도강도의 척도를 말함. 일반적으로 레일의 크기, 침목의 치수 및 배치간격, 도상두께에 의하여 부담력이 결정됨.

궤도부설 (軌道敷設, laying of rail track, track construction)
  노반상에 침목을 배열하고 레일을 부설한 후 도상자갈을 살포, 다지기를 하여 궤도를 만드는 작업을 말하며, 콘크리트 궤도는 궤광을 조립 조정후 콘크리트 도상을 타설하여 부설함.

궤도수용력 (軌道收容力, standing capacity of track)
  궤도를 이루고 있는 궤도재료, 궤도구조 등의 정도로 열차하중이나 차량하중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

궤도슬래브 (軌道 - , track slab)
  무도상궤도에 사용하는 철근콘크리트판으로, 소정의 위치에 부설하고, 고가교 등의 상판과의 사이를 충전한 후, 체결장치를 이용해 레일을 직결하는 슬래브.

궤도역학 (軌道力學, track dynamics)
  철도공학의 일부분으로 궤도를 대상으로 하는 역학임. 일반궤도는 열차하중에 의한 파괴와 자연현상에 의한 파괴를 항상 받고 있는 것으로서, 상시 보수하지 않으면 안되는 성격을 갖고 있음. 궤도역학은 궤도각부가 받는 부담 및 그것에 의해서 생기는 파괴의 원인을 탐구하여, 주어진 수송조건에 대하여 열차의 주행 안정성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궤도의 구조와 보수방법을 어느 정도 조합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인가를 아는것이 목적임.

궤도연장 (軌道延長, track length)
  부설된 궤도(철도선로)의 실측 길이의 합계. 전체 궤도를 1본으로 연결한 길이를 말함. 궤도연장의 산정은 본선, 부본선에서는 궤도본수에 그 구간의 선로연장을 곱함. 또한 측선에서는 부설궤도의 실측 길이를 합하여 구함.

궤도용 수준기 (軌道用 水準器, track leveller)
  선로에서 좌우레일의 수평틀림, cant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됨. 게이지를 좌우레일 위에 놓고 중앙부에 있는 기포의 다이얼을 조정 중앙에 맞추어 눈금판의 수치로 수준틀림 또는 cant량을 측정함.

궤도응력 (軌道應力, track stress)
  열차하중에 의하여 궤도를 구성하는 레일, 침목, 도상에 생기는 응력.

궤도이설 (軌道移設, moving of track)
  부설되어 있는 궤도를 선로개량, 기타 조건으로 위치를 바꾸어 부설하는 것.

궤도임시들기 및 복구 (“軌道臨時揚路 - 復舊”, temporary upper and reconstruction of track)
  궤도재료 갱환, 궤도가 소정의 높이보다 내려왔을 때 일시적으로 궤도를 들어올려 소정의 작업을 완료한 후 복구하는 것.

궤도임시받침 (軌道臨時受工, temporary support of track)
  궤도가 수해 등의 재해로 도상부분이 유실되고 궤광만 사다리모양으로 남아 있을 때 궤광을 새들, 레일빔 등으로 임시받침을 하는 것. 임시받침으로 열차를 서행으로 개통시키고 본복구 공사를 하게 됨.

궤도임시철거 (軌道臨時撤去, temporary removal of track)
  철도교량 침목이나 거더 등을 갱환하거나 궤도밑의 시설물 등을 설치하고자 할 때 궤도를 임시로 철거하는 것.

궤도임시철거 및 복구 (軌道臨時撤去 - 復舊, temporary removal and reconstruction of track)
  철도교량 침목이나 거더 등을 갱환하거나 궤도밑에 시설물 등을 설치하고자 할 때 궤도를 임시철거하고 소정의 작업이 완료된 후 궤도를 원래대로 복구하는 것.

궤도재료 (軌道材料, track material / component)
  궤도를 구성하는 재료. 도상자갈, 침목, 레일, 이음매판, 이음매판볼트, 스파이크, 와셔, 타이플레이트, 레일앵커, 기타 체결물 등이 있음.

궤도절연 (軌道絶緣, track insulation)
  철도의 전기신호 구간에는 레일을 전기회로로 이용하는데 전후의 레일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하여 절연물 또는 다른 방법으로 그 회로를 절연시키는 것.

궤도정규 (軌道定規, standard repulation of track)
  철도선로 시공기면 윗부분, 즉 궤도부분의 도상두께, 폭, 경사, 침목의 두께, 길이, 레일궤간 등 각부분의 주요 치수를 도시한 것.

궤도정비기준 (軌道整備基準, instruction for track maintenance)
  궤도에 틀림이 생겼을 때 미리 정비하도록 정한 기준을 말하며, 궤도틀림이 정비기준치에 도달하였을 때 또는 기준치 미만이라 할 지라도 틀림이 급진적으로 일어날 때는 서둘러서 정비하여야 하며, 궤도의 신설, 개량 및 궤도 정비 공사 등을 시행하였을 때의 작업 마감기준은 미리 정한 기준치 범위 내에 들어야 함.

궤도정정 (軌道整正, adjustment of track lining / re-alignment / re-lining of track)]
  철도선로 궤도틀림이 정비기준치에 도달하였을 때 또는 기준치 미만이라 할지라도 틀림이 급진적으로 일어날 때에는 기준치 범위내에 들도록 고치는 것을 말함.

궤도중심 (軌道中心, track center, center of track)
  철도선로에서 좌우레일간의 거리상의 중심을 말함.

궤도중심간격 (軌道中心間隔, distance between track centers / center to center of track)
  병렬하는 두 개의 궤도중심선간의 거리. 양 궤도상을 운행하는 차량의 접촉을 피하고, 보선 기타 작업에 따른 대피에 지장이 없도록 정해진 것임. 국유철도 건설규칙에는 정차장 외에 두선을 병설하는 궤도의 중심 간격은 4 m 이상으로 하고 3선 이상의 궤도를 병설하는 경우에는 각 인접하는 궤도 중심간격중 하나는 4.3 m이상, 정차장내에서의 궤도의 중심간격은 4.3 m이상으로 하게 되어 있음. 정차장내의 중심간격은 가공전차선 지지주, 신호기, 급수주 등을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적당히 확대하고, 곡선구간에 있어서는 건축한계 확대치수 50,000/R 의 2배이상을 확대하여야 함.

궤도중심선 (軌道中心線, center line of track)
  궤도를 부설할 때 필요한 중심선을 말하며 궤도상의 타 시설물과 연관관계를 갖고 있음.

궤도침하 (軌道沈下, subsidence of track)
  열차운행으로 인하여 도상이나 노반이 연약한 곳에서 궤도가 침하되는 현상. 노반의 연약으로 인한 노반침하와 도상연약으로 인한 도상침하가 있음.

궤도틀림 (軌道 - , track irregularity, irregalarity of track)
  궤도의 궤간, 수평, 방향, 고저, 평면성 등의 틀림. 열차의 반복하중에 의해 궤도의 각부 특히 도상부분에 발생하는 각종변위와 변형.

궤도틀림지수 (軌道 - 指數, index of disorder of track / track irregularity)
  선로에서 어느 한정구간에 대한 궤도틀림 양부의 상태를 표시하는 지수. 각각의 궤도틀림을 측정하는 경우, 일정치 이상의 틀림이 몇 % 존재하는가를 나타내는 수치(p치)를 말함. p치는, 궤도틀림의 분포곡선에 일정한계선 ±a mm 를 그어 이것을 초과하는 틀림의 비율(%)로 표시하고 있음. 일부에서는 궤도연장 500 m의 측점수n에 대한 ±3 mm를 초과하는 개수 f를 기록하여 p = f/n×100 으로 p치를 산출하며 궤도의 보수관리에 이용됨.

궤도회로 (軌道回路, track circuit)
  철도신호 보안장치의 일부분. 궤도의 일부를 전기적으로 구획하여 레일을 전기회로로 이용하는것. 열차 또는 차량에 의하여 궤도 계전기를 제어토록하여 열차 또는 차량의 유무를 확인하며 또는 열차에 정보를 전함.

궤도회로장치 (軌道回路裝置, track circuit)
  궤도레일에 전기회로를 구성하여 차량의 차축에 의하여 레일 전기회로를 단락 또는 개방함에 따라 교류, 직류, 임펄스, 가청주파수 및 코드식으로 구분하며, 열차에 대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궤식 (潰蝕, erosion-corrosion)
  침식과 부식이 중복되고, 서로 조장하여 발달하는 재료의 손모현상. 이로젼-코로죤이라고도 함.

귀빈실 (貴賓室, special room)
  열차를 이용하는 귀한 손님의 이용을 위하여 주요 역마다 마련된 장소.

귀잡이 ( - , horizontal angle brace)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교차하는 구석에 비스듬히 설치하는 토막부재.

귀퉁이 철근 ( - 鐵筋, corner bar)
  2방향 슬래브의 4귀퉁이에 배치하는 가외 철근.

귀환수 (歸還水, return water)
  수요에 의해 공급되어 사용된 후 다시 돌아오는 물. 또는 그 물의 양.  → 환원수.

규산이석회 (硅酸二石灰, dicalcium silicate)
  2CaO?SiO₂약하여 C2S로 씀. 시멘트의 주요 화합물의 일종. 발열량은 비교적 적고, 장기강도의 발현을 가져오게 함.

규소강 (硅素鋼, silicon steel)
  규소를 1~5 %포함하는 합금강. 코일철심, 차량의 용수철 등에 사용됨.

규소강레일 (硅素鋼 - , silicon steel rail)
  실리콘을 재료로 하여 제조한 특수레일. 일반적으로 규소를 증가하면 강도는 올라가지만 취약(脆弱)하여 균열이 쉽게 발생하므로 특수 용도를 위하여서만 사용됨.

규암 (硅岩, quartzite)
  결정질의 석영이 주로 집합하여 이루어진 암석. 석영입자가 많은 사석이나 각암 등이 가벼운 광역변성작용을 받아 함수규산의 탈수, 재결정을 일으켜서 생김.

규정농도 (規程濃度, normality)
  농도의 단위로서 용액 1 liter에 1 gram당량의 어떤 화합물이 용해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냄. 1 gram당량이란 1 gram당량의 수소 또는 양성원소와 결합할 수 있는 화합물의 중량을 말함.

규제표시 (規制標示, control marking)
  도로에서의 교통안전과 원활한 교통소통을 위하여 도로상에 필요한 규제표시를 하는데 규제표시는 관계 법령에 정하는 바에 따름.

규제표지 (規制標識, control / regulatory sign)
  차량 또는 보행자에 대한 통행금지, 주차금지, 최고속도제한 등 교통금지, 제한, 지정 등을 하기 위한 표지.

규조류 (硅藻類, diatoms)
  원생생물중 조류의 한 종류로 세포벽에 규조토를 포함하고 있어 다른 조류와 분류됨. 찬 물속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북극지방이나 겨울철에 번성함.

규조토 (硅藻土, diatom, diatomaceous earth)
  물속에서 무리지어 서식하는 미세한 단세포조류의 하나인 규조의 바깥껍질(함수실리카)이 물바닥에 퇴적하여 생긴 실트 내지 연암형태의 흙. 다공질로 흡수성이 풍부하며, 겉보기비중은 작지만 입자간의 고결작용에 의해 비교적 높은 강도를 보이는 것이 많음.

규조토 여과기 (硅藻土 濾過器, diatomaceous earth filter)
  여재의 표면에 규조토를 부착시키거나 여과시 소량의 규조토를 주입하여 여과하는 방법. 수영장이나 소규모지역에서 많이 이용됨.

규준틀 ( - , batter board)
  → 기준틀.

규질암 (硅質岩, chert)
  매우 고운 입경의 석영질암. 밀도가 높은 것은 그 경도가 패각상의 파단면이 특징적이며 다공질의 것은 갈라지기 쉽고 경도가 저하됨. 또한 색채는 다양함.

규칙파 (規則波, monochromatic, regular wave)
  하나의 주파수 성분으로 구성되어 시간적, 공간적으로 주기적인 파형을 나타내는 파로서, 정현파와 같은 의미로도 사용됨.

균등계수 (均等係數, coefficient of uniformity)
  균등계수는 다음 식으로 정의됨. Cu = D60/D10, 여기서 D10, D60은 입도분포곡선에서 통과중량백분율이 각각 10 %, 60 %dls 입경. Cu < 4이면 입도가 균등하다고 하고 Cu > 10이면 입도 분포가 양호함을 뜻함.

균등성 (均等性, uniformity)
  재료의 품질이 균일한 정도.

균등조 (均等槽, equalization tank)
  유입폐수의 유량과 수질의 변동을 흡수해서 균등화함으로써 처리시설의 효율을 높이고 처리수질의 향상을 도모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시설. 하수처리시는 계획1일최대오수량을 넘는 유량을 일시적으로 저류하도록 크기를 정하며 조는 2개 이상을 원칙으로 함. 유량조절조라고도 함.

균열 (龜裂, fracture, crack)
  인장을 받는 부재나 부재의 일부에 재료의 결함 또는 과도한 하중 등으로 인하여 원래 연결되어 있던 재료가 분리되어 발생하는 작은 틈. 균열 주위에는 큰 응력 집중이 발생함.

균열개구변위 (龜裂開口變位, crack opening displacement)
  구조용강 등의 탄소성체에서, 취성파괴 발생에 앞서 균열선단에 소성변형이 생기고, 균열이 개구하는 양으로, 비선형파괴역학의 지표중의 하나임. COD라고도 함.

균열단면 (龜裂斷面, cracked section)
  콘크리트는 인장응력에 저항할 수 없다는 가정을 기초로하여 설계 또는 해석된 단면.

균열로 (龜熱盧, soaking pit)
  강괴를 압연하기 전에 장시간 가열하고, 외측과 내측의 온도를 균일하게 하는 노(1150~1300 ℃).

균열률 (龜裂率, cracking ratio)
  아스팔트 포장도로에 있어서 대상면적에 대한 균열발생 면적 (망상 균열면적 m²+ 선상균열연장 m × 0.3m)의 비율.
                균열면적(m2)+팻칭면적(m2)
  균열률(%) = ??????????????????????????????????????????????????????  × 100
                   조사구간의 면적(m2)

균열발생수명 (龜裂發生壽命, crack initiation life)
  피로시험에서, 시험편의 일부에 검출가능한 피로균열이 발생할 때까지의 반복회수. 파단수명(완전파단까지의 반복수)Nj에 대해서, Nc로 나타낸 것이 많음.

균열 역학 (龜壞 力學, fracture mechanics)
  물체 내에 존재하는 균열에 의하여 발생하는 응력, 변형도 등의 분포, 응력 집중 현상, 균열전파에 관련한 여러 가지 현상 등을 정량적 및 정성적으로 다루는 학문.

균열점토 (龜裂粘土, fissured clay)
  균열을 갖는 단단한 점토. 굴착 등에 의해 응력이 해방되면 닫혀있던 균열이 열리고 물이 들어가 연화되어 사면활동을 일으키기도 함.

균열정지구멍 (龜裂 - , crack stop hole)
  균열의 진행을 저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구멍. 스톱홀이라고도 함.

균열 정지기 (龜裂 - , crack arrester)
  균열이 진행(성장)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설치한 부재나 장치.

균열 제어철근 (龜裂 制御鐵筋, crack control reinforcement)
  균열의 발전을 억제할 목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는 철근. 균열을 균일하게 분산된 작은 균열로 한정시키는데 유효함.

균열지수 (龜裂指數, index of degree of fissuring)
  암반의 균열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일반적으로 균열지수 Cr는 다음 식으로 정의됨. Cr = 1 - (vp/Vp)2. 여기서 vp : 지반의 P파 속도, Vp : 암편의 P파전파 속도.

균열하중 (龜裂荷重, cracking load)
  부재의 최대 인장응력이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넘는 순간의 하중.

균일 비틂 (均一 - , uniform torsion)
  단면이 균일한 봉에 길이에 따라 같은 크기로 작용하는 비틂.

균일지체 (均一遲滯, uniform delay)
  교통류가 교차로에 균일하게 도착하고 안정상태를 보일 때의 지체.

균일통행료 (均一通行料, uniform toll)
  요금 징수를 단순화하고 교통류의 처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거리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부과하는 통행료.

균질 (均質, homogeneity)
  일정한 상태에 있어서는 어느 부분이나 그 성분, 성질 등이 일정한 것.

균질 재료 (均質 材料, homogeneous material)
  주어진 재료의 성질이 전체적으로 균질하게 분포되어 있는 재료. 

균형단면 (均衡斷面, balanced section)
  → 평형단면.

균형보 (均衡 - , balanced beam)
  철근이 항복할 때 콘크리트의 압축변형율이 극한변형율(0.003)에 도달하는 보.

균형속도 (均衡速度, balanced / equilibrium speed)
  철도에서 동력차의 견인력과 열차의 각종 저항이 상등(相等)하여 등속운전(等速運轉)을 할 때의 속도. 견인력이 이들 저항보다 클 때에는 열차는 가속되며 적을 때에는 감속되지만 서로 같게 되면 등속운전을 하게 됨.

균형철근 (均衡鐵筋, balanced reinforcement)
  강도설계법의 경우 철근이 항복할 때 콘크리트의 압축변형율이 극한변형율(0.003)에 도달하도록된 휨 부재의 철근량과 그 배치.

균형철근비 (均衡鐵筋比, balanced steel ratio)
  → 평형철근비.

균형캔트 (均衡 - , balanced / equilibrium cant, balanced super levation)
  어떤 열차 속도에 대하여 횡방향 원심력 또는 구심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정한 캔트.

균형 하중 (均衡 荷重, balanced load)
  철근콘크리트 기둥에서 콘크리트의 압축파괴와 인장철근의 항복이 동시에 일어날 때의 하중.

그라우트 ( - , grout)
  시멘트와 물, 또는 혼화재료, 모래 등을 반죽한 것.

그라우트경사 ( - 傾斜, grout slope)
  프리팩트콘크리트에 주입하는 액상그라우트의 사면.

그라우트리쎄스 ( - , grout recess)
  콘크리트 댐의 이음 그라우트를 시행할 때 댐의 이음에 적당한 높이로 강판을 삽입하고 강판에 따라 그라우트하는 것.

그라우트믹서 ( - , grout mixer)
  그라우트를 반죽하기 위한 특수한 믹서.

그라우트벤트 ( - , grout vent)
  하나의 그라우트 리프트(15~20m)의 상부에 있는 그라우트그루브에 연결하는 토출관. 아래쪽으로부터 그라우트를 주입하였을 때 공기, 수분 묽은 그라우트의 토출구의 작용을 함.

그라우트스토퍼 ( - , grout stopper)
  댐의 종횡단이음 등을 조인트 그라우트할 경우에 그라우트가 상하류방향으로 새어나오면 압력이 걸리지 않게되고 또 연직방향으로 너무 높으면 과대한 유체압력이 제체에 작용하게 되므로 일정구획으로 한정하여 그라우팅이 되도록 이음의 사방을 둘러싸는 철판(상류면은 지수동판을 겸용). 보통은 높이 15 cm정도로 각 블록마다의 이음을 1구획으로 함.

그라우트시멘트 ( - , grout cement)
  지반의 누수방지 또는 지반개량을 위하여 지반 내부의 틈 또는 굵은 알사이에 공극에 주입하기 위한 시멘트로 플라이 애쉬 또는 기타의 혼화재?모래?감수제?물 등을 혼합하여 사용함.

그라우팅 (“注入工”, grouting)
  → 주입.

그라운드아치 ( - , ground arch)
  터널이나 갱도굴착후의 응력상태에 의해 암석이 파괴되면 천반이 지지되어있지 않을 때는 공동(空洞)주변의 암괴가 공동을 향해 붕락함. 이에 따라 활동면이 암반중에 생기고 주변벽의 밀어냄에 의해 내공단면이 축소되며 더우기 축차적인 활동파괴가 일어나 최종적으로는 이러한 각 활동면의 포락선으로 둘러싸여 이루어진 안정된 하나의 영역.

그라운드앵커 ( - , ground anchorage)
  인장력을 지반내부에 전달하기 위한 구조체. 그라우트에 의해 조성된 앵커체, 인장부, 앵커머리 부분으로 구성되며 가설앵커와 영구앵커가 있음.

그람염색 ( - 染色, Gram stain)
  세균분류에 사용하는 방법의 일종. 세포벽의 특성에 따라 그람양성균은 크리스탈바이올렛과 요오드의 복합체에 의하여 보라색으로 염색이 되며, 그람음성균은 사프라닌에 의하여 붉은색으로 염색됨.

그래널리식마무리 ( - , granolihtic finish)
  미경화 또는 어느정도 경화한 콘크리트위에 바른 그래널리식 콘크리트의 표층.

그래널리식콘크리트 ( - , granolithic concrete)
  내마모성의 바닥을 만들기 위하여 적당한 경도, 표면상태 및 형상의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

그래브 ( - , grab)
  2편 또는 수편의 날개가 서로 힌지로 연결되어 개폐할수 있게 된 바켓.

그래브준설선 ( - , grab dredger)
  하상이나 해저의 토사를 굴착하는 준설선. 대체로 비항식이며 파워셔블의 상부회전체와 같이 360°회전 가능한 윈치기구임. 붐 선단에서 그래브를 달고 이것을 낙하시켜서 수저의 토사를 굴착하여 토운선에 싣거나 자체의 홉퍼에 실음.

그래스홉퍼 ( - , grasshopper)
  하단을 올렸다 내렸다 할 수 있는 권양사로에서 버력차를 데크(deck)에 끌어 올려서 적재차와 빈차를 입환하는 항내설비.

그래플버킷 ( - , graple bucket)
  큰 돌을 물에 올리는 데 쓰이는 특수형식의 버킷.

그레이더 ( - , grader)
  기관, 전륜, 후륜, 배토판, 갈퀴 등으로 구성된 땅고르기 기계. 배토판은 동력으로 상하좌우로 이동,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토공에 정지작업, 측구의 굴착, 도로의 홍단구배 및 비탈면의 형성, 자갈길의 보수, 제설작업에 사용됨.

그레이드 ( - , grade)
  원주를 400 등분한 호에 대한 중심각.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 널리 사용되며, 특히 정밀각관측기 및 입체도화기에서 주로 사용함.

그레이팅 ( - , grating)
  환강?각강?평강 등을 종횡으로 격자상으로 짠 바닥조립 판넬.

그루버 ( - , groover)
  균열의 발생위치를 조절하거나 또는 모양을 만들기 위해 콘크리트가 경화하기 전에 슬래브에 홈 또는 앝은 면눈금을 만드는데 사용하는 도구.

그루브 ( - , groove)
  → 홈.

그리드롤러 ( - , grid roller)
  강봉을 격자형(grid)으로 엮은 롤러.

그리드바닥 ( - , steel grid floor)
  원형강, 형강 혹은 평강 등을 종횡으로 격자형으로 또는 마름모형으로 조합해서 만든 바닥.

그리드 블라스트 ( - , grid blast)
  강립자를 강재표면에 분사하여 녹을 떨어내는 기계적 처리법.

그리즐리 ( - , grizzly)
  골재 등의 재료중 너무 큰 낱알을 배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간단한 설비의 스크린 또는 각도를 붙여서 등간격으로 배열한 봉.

그린커트 ( - , green cut)
  아직 충분히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상면을 압력수 등으로 얇게 벗겨 레이탄스를 제거하여 밀착이 잘 되도록 시공이음면을 준비하는 것.

그린 콘크리트 ( - , green concrete)
  응결은 했으나 아직 충분히 경화되지 않은 콘크리트. 녹색 콘크리트라고도 함.

그린 함수 ( - 函數, Green’s function)
  주어진 물체의 임의의 점에 단위 집중하중이 작용하였을 때 그 물체에 발생하는 변위를 나타내는 함수.

그립퍼 ( - , ①gripper, ②exposed core)
  ① 주조품 또는 재료를 집어 운반, 이동 등에 사용하는 공구.
  ② 피복 용접봉의 일부로써 홀더에 집혀지는 부분.

극궤도 (極軌道, polar orbit)
  지구의 양극 위를 바로 지나가는 궤도.

극상식생 (極相植生, climax vegetation)
  주어진 환경조건 하에서 발달할 수 있는 최고한계까지 발달한 생물군집.

극성용매 (極性溶媒, polar solvent)
  분자가 전기쌍극자를 가지고있는 용매로 용질과 강한 쌍극자-쌍극자 결합, 수소결합 등을 하므로 용매력이 큼. 물, 알콜 등이 대표적인 극성용매이며 일반적으로 극성용매는 고분자화합물의 좋은 용매임.

극점 (極点, pole, the origin of planes)
  모아원상의 특별한 의미를 갖는 점. 모아원상에서 이 평면의 응력상태를 나타내는 점을 발견하고, 이 점으로부터 평면과 나란하게 직선을 그으면 모아원과 교차하는 점을 말함.

극좌표 (極座標, polar coordinate)
  평면상에서 주어진 어떤 점의 위치를 기준점으로부터 거리 r과 주어진 점과 기준점을 연결한 직선이 기준선과 이루는 각θ로 표시하는 좌표계.

극치강우량 (極値降雨量, extreme rainfall)
  주어진 지속기간에 대하여 특정유역에 걸쳐 가능한 강우량의 통계적 또는 물리적 상한 값.

극치계열 (極値系列, extreme / extreme-value series)
  기록자료를 동일한 시간간격으로 구분하여 각 기간의 자료중 가장 큰 또는 가장 작은 값들로 구성되는 계열.

극치분포 (極値分布, extreme value / extreme distribution)
  표본내에서 가장 큰 또는 작은 관측치의 확률분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극치분포에는 검벨분포, 와이불 분포 등이 있음.

극한강도 (極限强度, ultimate strength)
  부재나 구조물의 파괴 직전의 최대내력, 부재의 단면에 대하여는 최대의 저항모멘트, 축력, 전단력을 말함.

극한강설계법 (極限强設計法, ultimate load / ultimate strength design)
  → 강도설계법.

극한모멘트 (極限 - , ultimate moment)
  극한하중에 의하여 부재에 발생되는 최대 휨 모멘트.

극한변형도 (極限變形度, ultimate strain)
  부재의 설계에서 파괴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는 콘크리트 압축변형도의 최대한도. 일반적으로 휨 또는 편심압축을 받는 철근콘크리트부재의 설계에 있어서는 다소의 안전을 생각해서 0.003으로 봄.

극한비틂모멘트 (極限 - , ultimate torsional moment)
  극한하중에 의하여 부재에 발생되는 최대 비틂 모멘트.

극한설계 (極限設計, limit design)
  구조물을 구성하는 재료에 생기는 응력의 상태를 최종강도까지 허용하는 설계. 많은 경우, 하중이력을 고려하지 않고 극한상태를 해석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음. 소성재료의 경우에는 소성설계라고도 함.

극한 응력 (極限 應力, ultimate stress)
  재료가 견딜수 있는 최대의 응력으로서, 재료내의 응력이 이 응력을 초과하면 재료가 파괴됨.

극한전단강도 (極限剪斷强度, ultimate shear strength)
  조밀한 사질토는 마찰저항 이외에 억물림을 해소하기 위한 저항때문에 동일한 구속응력하에서 느슨한 사질토보다 더 큰 전단저항력을 발휘하게 되는데, 부피팽창 후에도 전단 변형이 계속되면 마찰저항력만 남게 되어 전단강도는 일정하게 됨. 이 때의 저항력을 극한전단강도 또는 잔류전단강도라 함.  → 잔류전단강도.

극한전단력 (極限剪斷力, ultimate shear force)
  극한하중에 의하여 부재에 발생되는 최대 전단력.

극한지지력 (極限支持力, ultimate bearing capacity)
  구조물?부재?지반 등이 파괴 또는 붕괴할 때의 지지력의 최대치.

극한하중 (極限荷重, ultimate load)
  강도설계법으로 부재를 설계할 때 사용하는 하중으로서, 사용하중에 하중계수를 곱한 하중. 계수하중이라고도 함.

극한한계상태 (極限限界狀態, ultimate limit state)
  구조물 또는 그 부재의 최대내하력에 대응하는 한계상태.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요인에 의하여 달하게 됨.
  ① 구조물의 전체 또는 그 일부분의 안전이 손실됨.
  ② 구조물의 어느 단면의 파괴.
  ③ 구조물의 메커니즘에의 이행.
  ④ 변형에 의해 일어나는 불안정.
  ⑤ 피로의 영향에 의한 열화.
  ⑥ 구조물의 형상치수가 변화할 정도의 소성변형, 크리이프,균열.
  ⑦ 작용의 반복, 화재, 태풍 등에 의한 파괴.

극후 H형강 (極厚 - 形鋼, extra thickness / heaving H-shape)
  대형구조물에 쓰기위해 개발 생산된, 재료의 두께나 재료형상이 큰 형강.

근거리사진측량 (近距離寫眞測量, close range photogrammetry)
  사진측량의 한 분야로서, 근거리의 대상물에 대하여 실시하는 측량임.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에서부터 건축물 등의 사진에 이르기 까지 수밀리미터로부터 수십미터 까지의 거리(최대 300m 이내)에서 촬영한 사진을 사용함.

근거리왕복순환대중교통 (近距離往復循環大衆交通, shuttle / loop transit)
  직선 또는 환형(loop)으로 되어 있는 근거리 노선을 양방향 또는 일방향으로 통행하는 대중교통수단.

근입깊이 (根入 - , penetration depth)
  지표에서 기초 저면까지의 깊이.

근접시공 (近接施工, neighboring construction)
  기설구조물에 근접하여 행해지는 공사.

근측정거장 (近側停車場, near-side stop)
  교차로를 지나기 직전에 위치한 버스정거장. 버스정거장에는 이외에 원측정거장(far-side stop)과 블록중간정거장(midblock stop)이 있음.

긁기경도 ( - , scratch hardness)
  표준경도를 갖는 물체를 이용하여 시험물체의 표면에 긁기자국을 만듦으로써 상대적인 경도를 아는 방법.

금긋기 ( - , marking off, layout, laying out, scratching)
  구조물의 제작에 맞춰, 강재의 표면에 절단선?마무리선?볼트위치 등을 기입하는 것. 금긋기침 등을 이용함.

금속제거푸집 (金屬製 - , metal form)
  강제, 알루미늄합금제 등의 콘크리트 타설용의 거푸집.

금지표지 (禁止標識, prohibitory sign)
  규제표지의 일종으로 도로상에서 어떠한 행위의 금지를 나타내는 표지.

급결시멘트 (急結 - , quick setting cement)
  응결이 빨라서 그 시발이 1시간 이내에 일어날 수 있는 시멘트. 예로서 알루미나시멘트.

급결제 (急結劑, accelerator)
  뿜어붙임 콘크리트 공법 등에 쓰이는 혼화제(수분 이내에 콘크리트를 경화 시킬 수 있으며 분말상 및 액상이 있음. 탄산 나트륨, 탄산칼륨, 규산나트륨 등을 주성분으로 한 것이 많음).

급경사 (急傾斜, steep slope)
  개수로에서 한계수심이 발생하는 한계경사보다 큰 수로경사. 이 경우 사류가 발생됨.

급경사수로 (急傾斜水路, chute)
  높은 곳에 있는 물을 낮은 곳으로 흘려 보내기 위하여 만든 경사가 급한 수로.

급기관 (給氣管, air vent)
  일반으로 관로내에 공기를 공급하는 관. 예를 들면 수압강관입구에 두는 제수밸브의 직하류에 두어 밸브를 급폐쇄할 때 공기를 유입시켜서 관의 압축파괴를 방지함.

급류 (急流, rapids, torrent)
  하천의 상류부의 계곡과 같은 곳에서 수로바닥이 암반일 때 발생하는 유속이 빠르고 경사가 급한 하천류.

급류하천 (急流河川, flash stream)
  돌발홍수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는 하천.

급변류 (急變流, rapidly varied flow)
  짧은 구간내에서 흐름단면적과 수면의 변화가 큰 흐름. 보통 수로단면이 급격히 변할 경우 발생하며, 경계면의 마찰손실에 비해 와류로 인한 손실이 지배적임.

급사설비 (給砂設備, sanding facilities)
  철도선로의 급구배선이나 누수가 심한 구배의 터널내에서 기관차의 바퀴와 레일간의 마찰력이 떨어지므로 이 마찰력을 크게 하고 점착력을 보충하기위해 기관차가 이 지점을 통과할 때 모래를 살포하는데 이 모래를 건조시키고 기관차에 공급하는 설비.

급성독성 (急性毒性, acute toxicity)
  만성독성의 대응용어로 화학물질을 1회 또는 단시간내에 경구, 주사, 피부도포 및 흡입 등을 통하여 투여한 경우 발생하는 독성. 일반적인 지표로는 LD50(50 % 치사량)을 사용함.

급속삼축시험 (急速三軸試驗, quick UU-test)
  삼축압축시험 방법 중의 하나로 구속압력을 가하는 동안 배수를 허용하지 않음. 시료는 비배수상태에서 축차응력에 의해 전단되어 파괴됨. 어느 시험단계에서도 배수를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시험속도가 빨라 급속시험이라고 함.  비압밀 비배수 삼축시험이라고도 함.

급속압밀시험 (急速壓密試驗, rapid consolidation test)
  일반적으로 약 1주간의 기간을 필요로 하는 표준압밀시험에 대해 시험기간을 단축할 목적으로 행하는 시험. 급속압밀시험에는 점증재하 압밀시험, 일정변형율속도 압밀시험, 일정동수구배 압밀시험(일정과잉간극수압 압밀) 등이 있음.

급속여과 (急速濾過, rapid filteration)
  정수시설에서 가장 널리 사용하는 여과방법으로 원수의 침전과 응집처리 후에 남는 비침전성 응결물과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 여과율은 100~200 m/일로서 완속여과에 비하여 매우 큼. 여과층의 수두손실이 커지면 역세척을 함.

급속혼합기 (急速混合機, flash mixer)
  정수나 폐수처리의 응집처리에서 단시간내에 응집제와 물을 혼합시키는 장치.

급속흡수율시험 (急速吸水率試驗, quick absorption test)
  건조시킨 암석 시료의 중량과 시료를 한 시간 동안 물에 담근 후의 암석시료 안의 물의 중량의 비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 이 시험은 시료를 물에 담글 때 시료가 분산되지 않아야 됨.

급수 (給水, water supply)
  수도 시설을 통하여 각 가정, 공장 및 기타 수요자에게 물을 공급하는 것.

급수설비 (給水設備, water facilities)
  동력차, 객차, 용수 및 구내용수를 위하여 설비한 시설로 저수로(water tank), 급수주(stand pipe), 호스(water hors) 등의 설비로 되어 있음.

급여울 (急 - , riffle)
  개수로 내의 얕은 곳에서 발생하는 급류. 수중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잠겨있는 장애물에 의해 수면이 부숴짐.  → 여울.

급유선로 (給油線路, oiling track)
  디젤기관차와 동차 등 동력차에 급유하기 위한 선로로, 급유시설에 접근하여 부설된 선로.

급유설비 (給油設備, oiling facilities)
  디젤기관차와 동차 등에 연료유를 공급하는 시설. 저유조(貯油槽), 유조(油槽), 급유관(給油管)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저유조는 7일간의 사용량을 저장할 수 있는 용량으로 하고 가능하면 방화를 위하여 지하 매설로 하는 것이 좋음.

급유차 방식 (給油車 方式, refueler system)
  계류장 위에 있는 항공기에 급유차를 이용하여 급유를 행하는 항공기 급유 방식의 일종. 일반적으로 급유량 및 급유 횟수가 적은 공항에서 적용함.

급탄설비 (給炭設備, coaling facilities)
  증기기관차에 연료인 석탄을 공급하는 설비.

긋기시험 ( - 試驗, scratch test)
  재료의 긋기 경도를 구하는 시험. 다이아몬드추에 하중을 가하여 시험면을 그어, 그어진 자국의 폭 또는 가한 하중 등으로 표현함.

기갑 (氣閘, air lock)
  → 공기갑.

기건목재 (氣乾木材, air dried wood)
  목재를 대기중에서 건조시켰을 때의 목재로서 함수율은 일정치 않으나 대략 12~18 %로 건조될 때를 말함.

기건상태 (氣乾狀態, air dry condition)
  골재를 대기 중에 방치하여 건조시킨 것으로서 골재입자의 내부에 약간 수분이 있는 상태. 공기중 건조상태라고도 함.

기경성시멘트 (氣硬性 - , nonhydraulic cement)
  수중에서는 경화하지 않으나 공기중에서 완전히 경화하는 시멘트. 마그네시아시멘트 등.

기계건조 (機械乾燥, mechanical drying)
  슬러지를 기계력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방식으로 그 종류에는 기류건조식, 다단건조식, 로터리 킬른식 등이 있음.

기계경비 (機械經費, equipment cost)
  건설기계의 기계원료, 운전경비 및 운송비의 합계액. 필요하다고 인정될 때에는 조립 및 분해조립비를 포함함.

기계고 (器械高, height of instrument)
  망원경 시준선의 표고(평균해수면으로부터 시준선에 이르는 수직거리) 또는 시준선과 지표의 높이차를 말함.

기계공 (機械工, mechanic)
  기계의 점검?정비 및 유지?보수를 하는 기능공.

기계굴착 (機械掘鑿, machine excavation)
  굴착기계를 이용하여 터널을 굴착하는 방식으로, 연암이상의 암에서 전단면을 굴착하는 TBM 방식과, 연약지반에서 전단면을 굴착하는 쉴드(shield) 방식과, 연암 및 풍화암 정도의 지반에서 분할 굴착하는 로더헤더(road header) 방식이 있음.

기계기초 (機械基礎, machine foundation)
  여러 형태의 기계가 설치되어 흙과 기초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기초. 여기에 사용되는 기계의 종류는 반복식 기계, 충격식 기계, 회전식 기계 등이 있음.

기계다지기 (機械 - , mechanical tamping)
  궤도보수 작업의 일종으로, 도상자갈 궤도의 다지기 작업을 인력 다지기가 아닌 전용다짐 기계로 다지는 기계화 작업. 다짐 기계는 멀티플 타이 탬퍼(multiple tie tamper), 핸드 핼드 타이 탬퍼 등이 있음.

기계비비기 (機械 - , machine mixing)
  믹서를 사용하여 모르터나 콘크리트를 비비는 일.

기계살포기 (機械撒布機, engine sprayer)
  대규모의 아스팔트 살포시에는 아스팔트디스트리뷰터를 사용하는데 반해 소규모 공사에서 쓰는 동력이 부착된 인력조작의 소규모 아스팔트살포기.

기계손료 (機械損料, equipment ownership cost)
  건설기계의 상각비, 정비비 및 관리비의 합계액. 이때, 관리비에 대하여는 1일 8시간을 초과할 경우라도 8시간으로 계산함.

기계쇄정법 (機械鎖定法, mechanical locking)
  철도신호기의 일부분으로 정차장 구내에 설치한 연동장치(聯動裝置, interlicking)에 열차의 운행과 차량의 입환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하기 위하여 신호기, 전철기 등의 서로간을 기계적으로 연관시켜 작동하도록 만든 장치. 연쇄(連鎖)하는 정자의 스트로크(strock)사이에 다른 정자의 운동을 저지하기 위하여 기계적으로 쇄정하는 방법임.

기계쇠손 (機械 - , rotary float)
  모우터로 회전반(쇠손에 해당한다)을 구동해서 콘크리트 마루의 상층 및 표면을 평활하게 마무리하는 기계(다짐에도 효과가 있음).

기계시공 (機械施工, mechanical execution)
  기계를 사용하여 공사를 하는 것.

기계식쉴드 (機械式 - , mechanical shield)
  터널의 쉴드공법에 쓰이는 쉴드의 일종. 굴착방법이 인력이 아니고 기계화된 것을 말함.

기계식이음 (機械式 - , mechanical joint)
  주철관의 이음에 쓰이는 이음. 관의 수구는 플랜지로 되어 있고, 다른 관의 삽구를 넣고 그 틈에는 3각형 단면의 고무를 끼워 이 고무링을 주철제의 압입링으로 밀어 넣어서 압입링의 플랜지와 수구의 플랜지를 볼트로 조임. 이 이음은 수밀성과 내진성이 있고 또한 작업이 매우 용이함.

기계신호기 (機械信號機, mechanical signal)
  기계신호 구간에 사용하는 신호기로 장방형(長方形)의 완목(arm)을 신호기 주에 설치하여 주간에는 완목의 위치, 상태, 색깔에 따라 신호를 현시하고, 야간에는 완목에 달려있는 신호기등(信號機燈), 유리의 색채에 따라 신호를 현시하는 것으로 주신호기(主信號機)와 종속신호기(從屬信號機)에 사용함.

기계적부착 (機械的附着, mechanical bond)
  메탈라스에 회반죽을 부착시키거나 한쪽에 줄눈이나 틈을 내어 서로 인접하는 두층의 회반죽을 맞물리도록 해서 회반죽끼리 혹은 본바닥과 물리적으로 부착시키는 것.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에서도 점착은 없고 쐐기나 맞물림작용에 의한 경우의 부착을 말함.

기계토공 (機械土工, mechanical earth work)
  기계로 시공하는 토공.

기고식 (器高式, instrument height system)
  고저차측량의 야장기입법 중의 하나로서, 노선의 도중에 전시(또는 재시)만을 취하는 중간점이 많을 경우와 측점이 레벨 시준거리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편리함. 이 방법은 종?횡단측량에서 주로 사용함.

기공 (氣孔, blow hole)
  철물 등 금속의 내부에 생기는 작은 구상의 공극. 용접에서는 작업중에 들어가는 공기, 과대한 전류, 용접면의 더러움, 모재나 전극봉중의 가스 등의 발생원인이 됨.

기공식 (起工式, ground breaking ceremony)
  공사를 착공할 때 거행하는 의식.

기관차 (機關車, engine, locomotive, power unit)
  동력을 발생하는 원동기를 장치하고 다량의 객, 화차를 견인할 수 있도록 제작된 차량.

기관차고 (機關車庫, engine shed)
  동력차의 유치 또는 검수를 위하여 기관차 사무소에 설치한 건물로 장방형 차고, 원형 차고, 부채꼴형 차고 등의 형식이 있음.

기관차주행거리 (機關車走行距離, locomotive kilometer)
  각종 동력차의 자주운전 km의 총칭. 열차를 견인한 것은 물론 구배선에 있어서의 보조. 정차장구내에 있어서의 차량입환, 단기운전 또는 타기관차와의 중연운전 등 모든 자력주행 km를 포함. 기관차 km라고도 함.

기능하중 (技能荷重, functional load)
  해양구조물 설계에서 고려되는 하중 가운데, 구조물의 자중?부력?또는 장치의 조작에 따라 생기는 힘 등. 환경하중(바람?파도?조류 등에 의한 것)이외의 모든 하중이 포함됨.

기단 (氣團, air mass)
  기온이나 습도 등이 거의 일정한 값을 지닌 공기의 덩어리. 넓은 해면이나 지면위에 공기가 정체하며 형성된 것으로 그 크기는 수평방향으로 수백~수천 km, 수직방향으로 1~수 km정도이며 기후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침.

기대값 (期待 - , expected value)
  여러 많은 계산치, 산정치 또는 측정치의 평균으로 구해지는 실제 값에 가장 근사한 값.

기대선 (機待線, engine waiting track)
  기관차를 바꾸어 달기 위하여 열차가 착발하는 본선 근처에서 기관차가 일시 대기하는 측선.

기둥 ( - , column)
  연직 또는 연직에 가까운 압축재로서 그 높이가 단면의 최소치수의 3배 이상인 것.

기둥머리 ( - , column capital)
  플래이트 슬래브에서 기둥의 머리. 슬래브 밑을 원추형으로 크게 만드는 부분.

기둥상관도 ( - 相關圖, column interaction diagram)
  편심압축을 받는 철근콘크리트부재에서 축력과 모멘트의 관계를 보이는 상관도. 축하중모멘트상관도라고도 함.

기둥의 유효길이 ( - 有效 - , effective length of column)
  기둥에 좌굴이 발생하였을 때 좌굴 형상의 변곡점 사이의 거리.

기름 (??油??, oil)
  ① 지방산의 글리세라이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동식물유지.
  ②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석유.
  ③ 알콜케톤, 알데히드 등으로부터 구성된 방향유 등 그 화학적 성분은 물질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며 그 성질도 각기 다름.

기름분리조 ( - 分離槽, oil separator)
  함유폐수의 기름분리에 사용하는 것으로 부상분리법의 원리를 이용함. 방식으로는 AIP, PPI, CPI 분리조 등의 방법이 있음.

기름여과기 ( - 濾過器, oil filter)
  기름속의 잡물을 제거하는 장치.

기름오염 ( - 汚染, oil pollution)
  기름의 누출로 인한 오염. 유전이나 유조선에서의 누출 등이 주 원인이나 유조선의 균형을 잡기위하여 사용되는 밸러스트 워터(ballast water), 여객선에서 발생되는 배밑에 괸 더러운 물(bilge water)의 방류에 의해서도 발생됨.

기밀 (氣密, air tightness)
  공기를 투과하지 않는 밀폐된 상태.

기반암 (基盤岩, bedrock)
  미고결층과 풍화층의 아랫쪽에 존재하는 고결된 지층과 암체. 지질학에서는 부정합을 수반하는 피복층 아래의 지층을 기반이라 함.

기복변위 (起伏變位, relief displacement)
  대상물에 기복이 있을 경우, 연직으로 활영하여도 축척은 동일하지 않으며, 사진면에서 연직점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방사상의 변위.

기복웨어 (起伏 - , bear trap weir)
  → 곰덫웨어.

기본계획 (基本計劃, master plan)
  기본방침을 수립하기 위한 계획으로서 구체적 계획의 전체가 되는 것으로 부분적 변경에 관하여 융통성을 갖는 계획.

기본교통용량 (基本交通容量, basic capacity)
  이상적인 도로조건과 교통조건일 때 차선 또는 도로상의 한 지점을 한 시간에 통과할 수 있는 승용차의 최대수.

기본 구조물 (基本 構造物, primary structure)
  부정정 구조물에서 부정정을 만든 요인 즉 여용 지점과 여용 부재를 제거하여 만든 정정구조물.

기본 단위 (基本 單位, fundamental unit)
  여러 가지 물리량을 나타내기 위해서 각각의 단위가 정해져 있지만 대부분의 단위는 길이, 질량, 시간의 3개 단위를 기본으로 하여 유도할 수 있으므로 이들 3개의 단위를 기본단위라 함.

기본도 (基本圖, base map)
  전체를 통일된 축척과 정확도로 만든 3차원 위치표현도로 특별한 속성을 가진 자료를 추가적으로 편집할 경우에 그 토대가 되는 정보를 보여주는 지도.

기본레일 (基本 - , stock / line rail, datum rail)
  분기기의 포인트부를 구성하는 주요한 레일. 텅레일이 밀착하는 레일로 포인트부에서는 레일 브레이스를 사용하여 체결됨. 고속용 분기기의 기본레일은, 텅레일 선단부분의 마모나 손상을 적게하기 위하여, 텅레일의 접촉하는 부분의 두부하부를 절삭하여, 텅레일 단부의 두께를 두껍게하는 구조로 함.

기본 모드 (基本 - , fundamental mode)
  구조물의 진동시 가장 작은 고유 진동수에 관련된 진동 모드로서 가장 큰 변형 에너지를 동반할 수 있는 모드.

기본설계 (基本設計, preliminary / basic design)
  실시설계 또는 상세설계를 하기전에, 기본이 되는 사항을 명확히 하는 설계.

기본수준면 (基本水準面, datum level)
  해도의 수심 또는 조위의 기준면으로서 해당지역의 약최저저조위(Approx L.L.W)를 채택하고 있음.

기본 용량 (基本 容量, basic capacity)
  이상적인 교통 및 도로조건 하에서 단위 시간 내에 통과할 수 있는 최대 교통량.

기본 운항 중량 (基本 運航 重量, basic operating weight)
  항공기의 자중에 긴급장비품(구명대, 구면동의)과 표준운항 장비품(규정집, 항공일지)의 중량을 가산한 것으로서 매 3년마다 항공기의 기본운항중량과 중심위치를 측정하여 조정하도록 되어 있음.

기본 진동수 (基本 振動數, fundamental frequency)
  주어진 구조물의 가장 작은 진동수로서 기본 모드에 대응하는 진동수.

기본측량 (基本測量, basic surveying)
  건교부 장관의 명을 받아 국립지리원이 시행하는 측량으로서 전국적으로 통일된 기준에 의하여 실시되는 측량. 이 측량은 다른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됨.

기본클로소이드 (基本 - , symmetric clothoid)
  도로의 기본적인 완화곡선의 하나로서 직선-클로소이드, 원곡선-클로소이드-직선의 순으로 조합된 형식.

기본표면 (基本表面, primary surface)
  비행장중 활주로및 활주로 양쪽 끝에서 60미터를 연장한 부분이 이루는 표면.

기본풍속 (基本風速, basic / standard wind velocity)
  과거의 강풍기록과 설계하는 구조물의 내용년수를 근거로 하여, 하중의 비초과확률로부터 풍속의 재현년수에 대응하는 기대치로 정하는 풍속. 보통, 지상 또는 수면위 10m높이에서 10분간 평균풍속으로 나타냄.

기볼트이음 ( - , gibault joint)
  석선시멘트관의 접합에 주로 쓰이는 이음. 관의 접합부에 주철제의 슬리브를 끼우고 그 양단을 고무링으로 막고 이 고무링을 주철제의 플랜지로 조임. 조일 때의 볼트를 균등하게 조이는 것이 중요함. 조이는 것이 균등하지 않으면 누수의 원인이 됨.

기상 (氣象, meteorological phenomena)
  대기중에서 발생하는 각종 물리현상. 넓은 의미로는 대기의 상태와 대기현상의 전부를 말함.

기상관측소 (氣象觀測所, meteorological observation station)
  기상을 관측하는 기관.

기상레이다 (氣象 - , meteorological radar)
  기상관측에 사용되는 레이다. 우리나라에는 1995년 현재 관악산과 제주, 부산, 동해, 군산 등에 기상청이 설치 운영하고 있음.

기상역학 (氣象力學, dynamic meteorology)
  대기운동의 역학을 다루는 기상학의 한 분야.

기상요소 (氣象要素, meteorological elements)
  오염물질이 대기중으로 방출되었을 때 대기오염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풍향 및 풍속, 온도, 기압, 습도, 그리고 대기의 안정성 등을 들 수 있음.

기상조 (氣象潮, meteorological tide)
  기상의 영향으로 생기는 해면(수위)의 승강으로서 1일주기, 1년주기와 같은 장주기적인 것 뿐만 아니고, 폭풍해일 등의 일시적인 것도 포함시키는 경우가 있음.

기상학 (氣象學, meteorology)
  대기중에서 발생하는 물리적인 현상. 즉, 기온, 습도, 풍속, 풍향, 강우 등의 자연현상을 다루는 학문.

기선 (基線, base line)
  삼각측량에서 삼각망중의 한 변의 길이를 직접 실측하는 변.

기선고도비 (基線高度比, base-height ratio)
  사진측량에서 기선장과 기선(또는 기준면)으로 부터 피사체까지의 평균거리(기선과 목표까지의 거리)이며 기선비라고도 함.

기성기포 (旣成氣泡, preformed foam)
  기포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 다른 재료와 믹서속에 넣기 전에 미리 가스발생장치에서 만들어 놓은 기포.

기성말뚝 (旣成 - , precast pile)
  공장 등에서 제작된 말뚝. 기성철근콘크리트말뚝, 강말뚝, 나무말뚝, 복합말뚝 등이 있음.

기성부분 (旣成部分, completed part)
  공사도중에 있어서 이미 공사완료된 부분.

기성 콘크리트 (旣成 - , precast concrete)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성콘크리트말뚝 (旣成 - , precast concrete pile)
  콘크리트를 주재료로 하는 기성말뚝. 철근콘크리트말뚝,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말뚝, 고강도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말뚝 및 무근콘크리트 또는 철근콘크리트말뚝의 바깥주변에 강관을 씌운 복합말뚝 등이 있음.

기수 (基水, brackish water)
  염기 즉 소금기가 섞여 있는 물. 담수와 대비됨. 

기수호 (基水湖, brackish lake)
  기수에 의해 형성된 호수.

기압 (氣壓, air pressure)
  → 대기압.

기압고저측량 (氣壓高低測量, barometric levelling)
  기압계에 의해 대기압을 관측하여 기압의 차에 의해서 고저차를 구하는 방법. 정확도는 좋지않으나 능률적이고 지형이나 교통조건 등의 영향이 적으므로 미개지, 산악지에서 많이 이용됨.

기온 (氣溫, air temperature)
  대기의 온도. 지표로부터 1.25~2.0m의 높이에서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우리나라에서는 1.5m 높이를 기준으로 함.

기온역전 (氣溫逆轉, temperature inversion)
  온도역전 또는 역전이라고도 하며 대기의 기온이 평상시와는 달리 상공으로 올라갈수록 증가하는 현상. 이 경우 대기는 대단히 안정한 상태가 되어 유동이 약하므로 오염물질이 정체, 환경이 악화됨. 지형, 복사열, 기단 등의 작용에 의하여 발생함.

기와 ( - , roofing tile)
  건축물의 지붕을 덮는 재료가운데 요업토기품을 총칭해서 이름.

기와공 ( - , tile roofer)
  기와를 잇는 기능자.

기왕자료 (旣往資料, historical data)
  과거부터 어떤 시점까지 실제로 관측되어 기록으로 남은 자료.

기저부하 (基底負荷, base load)
  어떤 주어진 기간 내에 발생하는 발전소의 최저 부하.

기저시간 (基底時間, base time)
  독립된 강우사상에 위해 발생된 직접유출의 시작과 끝 사이의 시간 간격. 단위강우에 의한 단위도에서 유출이 지속되는 시간.

기저유량 (基底流量, base flow discharge)
  강우가 없는 시기의 하천의 자연 유량. 수문곡선상 총 유량에서 강우의 직접적 결과로 나타나는 직접유출을 제외한 부분에 해당하며, 지하수, 샘물, 호소로부터 또는 융설 등에 의해 발생하며 시간에 따라 완만하게 변화함.

기저유출 (基底流出, base flow)
  주로 지하수로부터 하천수로 유입되는 유출의 일부. 그러나 장기간에 걸쳐 강우가 없거나 융설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호수와 빙하로부터 유입되기도 함.  → 기저유량.

기저폭 (基底幅, base period / length / width)
  → 기저시간.

기저 함수 (基底 函數, basis function)
  주어진 함수 공간 속의 모든 함수를 어떤 일련의 함수의 선형조합으로 표시할 수 있을 때 이 일련의 함수군을 지칭함.

기적표 (汽笛標, whistle post)
  건널목, 교량, 급곡선 등 위험한 장소나 투시거리가 짧은 구간에서 통행인에게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기적을 울려야 하는 장소에 세운 표지로서 열차진행 방향으로 400 m 이상 전방 좌측에 세움.

기조력 (起潮力, tide-producing force)
  조석을 발생시키는 힘으로서 주로 달 또는 태양의 인력에 의하여 나타남.

기종점 조사 (起終點 調査, origin-destination study)
  사람이나 차량의 통행단간(기종점간 혹은 출발점과 도착점간)의 이동에 관한 조사.

기준기상관측소 (基準氣象觀測所, reference climatological station)
  기후의 장기적 변동성을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측정하는 관측소. 최소한 30년 이상의 장기간에 걸친 동질성 있는 기록과 인위적 환경변화가 최소한에서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곳에 설치하여야 함.

기준레일 (基準 - , base rail)
  궤도보수나 궤도를 표시할 때 기준이 되는 레일. 직선구간에서는 시점쪽에서 종점쪽을 향하여 좌측레일, 곡선구간에서는 내측레일을 기준으로 함.

기준면 (基準面, datum level)
  표고의 기준이 되는 수평면.

기준밀도 (基準密度, standard density)
  아스팔트밀도시험시 품질관리시험에서 요구하는 최소밀도.

기준선 (基準線, datum line)
  거리?높이 등을 비교함에 있어 기준으로 해야 할 직선.

기준수문관측소 (基準水文觀測所, primary observation station, reference observatory)
  하나 또는 여러 종류의 수문요소에 대하여 물리적 환경과 관련된 유의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년간에 걸쳐 관측하는 수문관측소. 이들 관측소에는 통상 자기기록장치가 설치되어 있음.

기준시험 (基準試驗, standard test)
  포장공사를 시작함에 있어 재료의 품질을 확인하고, 배합을 결정하며 시공기계를 점검하거나 품질관리상의 필요한 제기준치를 얻기 위하여 실시하는 시험.

기준점 (基準點, control point)
  국토에 관한 각종 개발 및 이용계획 등의 입안을 위한 지도제작, 건설?토목공사용 도면작성이나 측량에 토대가 되는 좌표점.

기준점측량 (基準點測量, control point surveying)
  측량대상지역 전체에 걸쳐서 뼈대가 되는 각 기준점의 좌표를 소정의 정확도가 보장되도록 결정하는 기준점측량. 일반적으로 기준점측량은 수평(또는 평면 : x, y)위치의 결정과 수직(또는 표고 : z or h)위치의 결정을 분리하여 시행함.

기준타원체 (基準楕圓體, reference ellipsoid)
  타원체면상의 좌표가 측지좌표로 확립되기 위해서는 회전타원체요소, 원점경위도, 타원체법선과 연직선이 이루는 각, 자오선 및 이에 수직한 방향의 성분, 방위각 및 타원체의 높이 등 8개의 양이 필요함. 이와 같이 어떤 특정 위치에서 현실의 지구에 접합되는 타원체를 기준타원체라 함. 준거타원체라고도 함.

기준틀 (“基準形”, batter board)
  구조물의 축조시 중심선, 기초폭, 깊이 등 구조물의 위치, 높이, 형상 등을 표시하기 위해 설치하는 가설물로서 건축물의 네 모서리 및 요소에 기준말뚝이라 부르는 말뚝을 박고 기준틀가로대라 부르는 수평재를 붙여서 만듬.

기준 해수면 (基準 海水面, sea level datum)
  해안을 따라 여러 곳의 검조소에서 장기간에 걸쳐 실시된 조석관측 결과에 근거하여 높이 또는 고도의 기준면으로 설정된 해수면.

기중기 (起重機, crane)
  → 크레인.

기중식가설법 (起重式架設法, lifting construction method)
  교형(橋珩)을 자주식크레인, 데릭 등으로 들어올려 가설하는 공법. 일반적으로 교형가설(橋珩架設)에 많이 쓰이고 있으며 크레인의 능력여하에 따라 적용여부가 결정됨. 각종 교량가설공법중에서 안전성이 높고 가설속도가 빠르므로 가장 경제적임.

기지점 (旣知點, known point, given point)
  그 점의 수평이나 수직위치 좌표 등이 이미 정하여져 있는 점.

기진기 (起振機, vibration exciter)
  구조물의 진동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구조물에 설치하여 인위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기계장치.

기질 (基質, substrate)
  미생물이 이용하여 성장할 수 있는 물질 또는 효소를 활성화시키는 물질. 일반적으로 독성을 지니지 않는 유기물. 즉,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방향족 탄화수소 등을 말함.

기차 (氣差, atmospheric refraction)
  지구공간의 대기가 지표면에 가까울수록 밀도가 커지므로 시준선의 굴절이 일어나며, 이에 의한 오차를 기차라고 함.

기체동력학 (氣體動力學, gas dynamics)
  기체운동의 역학을 다루는 유체역학의 한 분야.

기체장력계 (氣體張力計, tensiometer)
  토양의 모세관 장력 또는 흡입력을 측정하는 기구. 토양내에 주입되는 물로 채워진 관과 액주계에 연결된 다공성 컵이 기본적인 구성요소.

기초 (基礎, foundation)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고 지지하는 부분의 총칭. 건축기초에서는 기초슬래브와 지정(地定)을, 교량기초에서는 교각을 뺀 하부구조를 가리킴. 기초의 형식은 크게 얕은 기초와 깊은 기초로 구분됨.

기초공법 (基礎工法, foundation practice)
  기초를 축조하기 위한 공법. 기초공법에는 잡석을 까는 간단한 것으로부터, 얕은기초인 확대기초와 전면(mat)기초, 깊인 기초인 케이슨 공법과 말뚝기초까지 여러가지가 있음.

기초공사 (基礎工事, foundation work)
  기초를 축조하기 위한 공사로, 확대기초, 말뚝기초 등을 축조하는 공사.

기초보강 (基礎補强, underpinning)
  기설된 기초를 보강하는 공법.

기초 슬래브 (基礎 - , foundation / base slab)
  상부구조로부터의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기 위하여 설치된 구조부분. 독립기초에서는 푸팅부분을 전면기초에서는 슬래브부분을 가리킴.

기초암반 (基礎岩盤, foundation rock)
  구조물을 지지하는 기초의 지반을 암반으로 하는 것. 기초암반은 이들 상부구조로부터의 하중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동시에 구조물에 유해한 변형을 주지 않아야 함. 이 경우, 절리, 심(seam), 단층을 포함한 암반상태와 상부구조물 규모와의 연관에 있어서 기초암반의 역학특성, 응력상태가 암반역학적으로 취급됨.

기초연결보 (基礎連結 - , footing beam)
  푸팅과 푸팅을 연결하는 보. 지중보 또는 연결보라고도 함. 기둥의 휨모멘트 및 그에 따른 전단력을 분담함. 또한 이 강성을 크게함으로써 기초의 부등침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함.

기초지반 (基礎地盤, foundation ground)
  구조물의 기초가 되는 지반. 구조물의 설치에 의해 어떤 영향을 받는 지반의 영역을 가리 킴.

기초처리 (基礎處理, foundation treatment)
  설계상 요구되는 기초지반이나 암반의 변형성, 강도, 수밀성 등을 확보하기 위해 시행되는 처리. 그라우트공, 콘크리트치환공 등이 있음.

기초파괴 (基礎破壞, foundation failure)
  기초에 하중이 가해져 지반이 파괴를 일으키는 것. 기초파괴의 종류에는 전반전단파괴, 국부전단파괴, 관입전단파괴 등이 있음.

기초판 (基礎板, base plate)
  → 베이스 플레이트.

기포 (氣泡, air void)
  시멘트 풀, 모르터, 콘크리트 속의 공기의 공간. 갇힌 공기의 기포의 크기는 직경 1 mm이상으로 형상이 불규칙한 특징이 있음. 에이이(AE) 공기의 기포는 보통지름이 10~1000 의 구형 또는 구형에 가까운 형상을 하고 있음.

기포관 (氣泡管, bubble tube)
  원통형으로 된 유리관 내면의 위 또는 아래 위를 소요의 반지름의 원호로 하여 이것에 알코올이나 에테르와 같은 물보다 점성이 아주 작은 액체를 채워 약간의 기포를 남겨두고 봉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놋쇠관 등으로 감싸고 기포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유리관의 위 또는 놋쇠관 등에 눈금이 그려져 있음.

기포관감도 (氣泡管感度, sensitivity of bubble)
  기포관의 한 눈금 (일반적으로 2 mm) 에 대응하는 기포관 원호의 중심각.

기포수위계 (氣泡水位計, bubble gauge)
  기포를 발생시켜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 기기의 일종.

기포저지제 (氣泡沮止劑, antifoaming agent)
  → 소포제.

기포제 (氣泡劑, foaming agent)
  폐수처리시 기포를 형성, 부유물질을 부착시켜 제거할 때 쓰는 화학약품. 주로 계면활성제, 고급 알콜, 식물정유 등이 쓰임.

기포 콘크리트 (氣泡 - , cellular concrete)
  콘크리트속에 인공적으로 기포를 발생시켜 만든 경량 콘크리트.

기하감쇠 (幾何減衰, geometrical damping)
  근원지에서 진동파가 퍼지면서 전파됨으로써 탄성파에너지가 기하학적으로 분산 감소됨을 말함. 이에 따라 진폭 등이 감소됨.

기하설계 (幾何設計, geometric design)
  교통시설의 평면선형, 종단선형, 횡단면 등과 같은 기하학적 형태의 설계.

기하학적 불안정 (幾荷學的 不安定, geometric unstability)
  지점의 배치가 부적당한 경우나 부재 배열이 적절하지 않을 경우 외력에 대하여 구조물이 불안정한 상태.

기하학적 비선형 (幾何學的 非線形, geometric nonlinearity)
  구조물의 처짐이 상당히 커서 변위-변형도 관계에서 2차 비선형항을 고려함으로서 발생하는 비선형성.

기하학적 상사 (幾何學的相似, geometric similitude, geometrical similarity)
  모형시험을 계획할 때 상사성중 실물과 모형의 형상에 관한 상사를 말함.

기화열 (氣化熱, latent heat of vaporization)
  어떤 물질이 같은 온도와 압력하에서 액체로부터 기체로 변화하는데 필요한 단위질량당 열량. 물의 기화열은 0 ℃에서 597.3cal/g 임.

기회선 (機廻線, engine run-round track)
  기관차를 바꾸어 달거나 기관차를 회송할 경우 정차장 구내에서 기관차 전용의 통로로 사용하는 측선.

기후 (氣候, climate)
  특정 지역에서 그 지역의 기상학적 인자의 장기간 통계치로 표현되는 종합적 날씨 조건.

기후관측소 (氣候觀測所, climatic station / observatory)
  기후관측을 담당하는 관측소. 기상관측소와 관측대상은 거의 같으나, 관측결과의 보고간격이 길다는 점에서 개념적 차이가 있음.

기후년 (氣候年, climate year)
  완전한 연간 기후주기가 발생하는 연속된 열두달의 기간. 달력년과 대비되는 개념이며, 기상현상의 보다 의미있는 연간 비교가 가능하도록 구분 시점이 선택됨.

기후대 (氣候帶, climatic region)
  특정 기준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일정한 기후특성을 갖는 것으로 간주되는 지역.

기후도 (氣候圖, climatic chart)
  각지의 기후를 나타낸 지도. 기후요소별로 기온도, 강수량도, 구름량도 등이 있음.

기후변화 (氣候變化, climatic change)
  일정 지역에서 두 기준 시점에 관측된 기후의 유의성있는 변화.

기후예보 (氣候豫報, climatic forecast)
  어떤 지역의 미래의 기후를 예보하는 것. 수년내지 수십년 앞의 기간에 예상되는 기후특성을 예보하므로 일기예보와 차이가 있음.

기후학 (氣候學, climatology)
  기후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 연구대상으로 볼 때 기상학과 자연지리학의 경계영역에 해당됨.

긴결재 (緊結材, form tier)
  콘크리트를 부어 넣을 때 거푸집이 변형되지 않게 연결, 고정하는 철선, 꺽쇠, 볼트 등의 총칭.

긴결철선 (緊結鐵線, binding wire)
  → 결속선.

긴급차량 (緊急車輛, emergency vehicles)
  긴급구조용 또는 비상출동용 차량을 말하며 구급차, 소방차, 기동 경찰차 등이 있음.

긴노즈레일 (張鼻端軌條, long nose rail)
  궤도 분기기에 사용되는 조립 크로싱에서 노즈부분이 긴 노즈레일과 짧은 노즈레일로 구성 되는데 이중 긴 노즈레일을 말함.

긴장재 (緊張材, tendon)
  프리스트레싱 강재를 단독 또는 몇개를 다발로 하여 프리스트레싱할 수 있는 상태로 해 놓은 것. 텐던이라고도 함.

긴홈구멍 ( - , slot)
  → 슬롯트.

길어깨 ( “路肩”, shoulder)
  도로의 주요구조부를 보호하거나 차도의 효용을 유지하기 위하여 차도, 보도, 자전거도 또는 자전거보행자도에 접속하여 설치되는 띠모양의 도로의 부분. 갓길, 노견이라고도 함.

길항작용 (拮抗作用, antagonism)
  어떤 물질의 독성이 다른 물질의 첨가에 의하여 약화 또는 소멸되는 현상. 혐기성 처리시 Na이온의 독성영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K를 첨가하는 것이 좋은 예임.

깊은기초 ( - 基礎, deep foundation)
  기초폭에 비하여 기초바닥 깊이가 상대적으로 큰기초. 얕은 기초와 구별되는 점은 지지력 발현이 기초바닥과 주면에서 함께 이루어 진다는 점이고 말뚝기초, 케이슨기초 등의 총칭으로서 얕은기초의 대비어 임.

깊은우물 ( - , deep well)
  → 심정.

깊이계수 ( - 係數, depth ratio)
  지표면으로 부터 기초슬래브 바닥까지의 깊이 즉, 근입깊이의 기초 바닥폭에 대한 비. 

깔모르터 ( - , bed mortar)
  ① 친 콘크리트면에 우툴두툴한 결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거나 신구콘크리트의 시공이음에 부착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치기전에 콘크리트를 칠 자리에 까는 모르터.
  ② 벽돌쌓기 등에 있어 쌓는 자리에 미리 펴까는 모르터.

깬돌 ( - , dog tooth stone)
  석축이나 돌붙임 등에 사용되는 형상이 쐐기형상으로 전면은 거의 평면이며 대략 정4각형인 돌.

깬자갈도상 (??碎石道床??, crushed stone ballast)
  궤도의 구성재료의 일종으로 사용되는 도상재료중 깬자갈로 만들어진 도상.

깬잡석 ( - , rough cut stone)
  모암에서 일차파쇄한 원석을 깬 것으로서 깬돌보다는 형상이 고르지 못하며, 전면의 변의 평균길이가 뒷길이의 약 2/3가 되는 돌.

깬조약돌 ( - , broken stone)
  채석장에서 채취된 거친 돌. 율석(栗石)이라고 함.  → 잡석.

꺽쇠 ( - , clamp)
  강봉토막의 양끝을 뾰족하게 하고 ㄷ자형으로 구부려서 목재를 연결하는 데 쓰이는 못.

끌배 ( - , tug boat)
  다른 선박을 끌거나 미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

끝결합판 ( - 結合板, end tie plate)
  부재의 끝부분에 두는 더 중요한 타이플레이트.  → 타이플레이트.

끝기둥 ( - , end post)
  트러스 양단에 있는 압축 부재. 단주(端柱)라고도 함.

끝남시간 (??終了時間??, finish time)
  작업이 끝나는 시각. 최조(最早) 종료시각과 최지(最遲) 종료 시각을 생각할 수 있음. 전자는 작업이 최조개시 시각에 착수하였을 경우의 종료시각이고 후자는 최지개시시각에 시작하였을 때의 종료시각임.

끝닳음용접 ( - 鎔接, build-up welding(of rail end), re-surfacing by welding on rail end)
  궤도의 구성재료의 일종인 레일의 이음매부는 결선부 충격으로 인한 끝닳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끝닳음부분을 용접봉을 사용하여 살붙이기용접을 시행하고 연마하여 레일 본래상태로 하는 용접.

끝마무리 ( - , top end)
  표면의 최종처리.

끝철탑 ( - 鐵塔, dead end steel tower)
  가섭선을 묶어 두는 곳에 사용하는 철탑.  → 내장형철탑.







대한토목학회(1996년)
반응형

'토목사전/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목사전 (ㄹ~ㅁ)  (0) 2008.05.21
토목사전 (ㄴ~ㄷ)  (0) 2008.05.21
토목사전 (겹~굄)  (0) 2008.05.19
토목사전 (가~결)  (0) 2008.05.19
안식각과 내부마찰각 (angle of repose, angle of internal friction)  (0) 2008.04.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