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태통로의 정의와 목적
□ 정 의
o 도로․댐 등으로 야생동․식물의 서식지가 단절되거나 훼손 또는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동을 돕기 위하여 설치하는 인공구조물․식생 등의 생태적 공간
□ 목 적
o 야생동물의 번식, 월동, 휴식 등을 위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단절․고립지역에 서식하는 야생동물들의 다양성을 증진
2. 생태통로의 역할 및 종류
□ 생태통로의 역할
o 생태계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생물종 다양성 증진 및 개체수 증가
- 행동권․세력권이 넓은 동물의 서식 가능성을 높이고, 서식지의 위험 요소와 천적․재난․질병 등 교란으로부터 도피를 가능케 함
□ 생태통로의 종류
종 류 | 내 용 |
터널형 (하부통로형) | 인간의 영향이 빈번한 지역, 지형적으로 육교형 통로 설치가 어려운 지역, 지하에 중소 하천이 있는 경우 등에 설치 |
육교형 (상부통로형) | 횡단부위가 넓고, 절토 또는 장애물 등으로 터널형 통로 설치가 어려운 지역 등에 도로 위를 횡단하는 육교 형태로 설치 |
선 형 | 도로, 철도 혹은 하천변 등을 따라 길게 설치된 통로. 식생이나 돌담 등을 이용하여 설치 |
3. 생태통로의 설치 및 관리
⑴ 필요성 검토 단계
o 생태계 단절여부와 정도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여 생태 통로의 필요성을 판단
⑵ 생태통로 결정 단계
o 도로의 구조, 대상 동물의 서식실태 파악 등 생태통로 설계를 위한 추가조사를 실시하고 설치위치, 크기, 형태 등을 결정
- 야생동물의 이동경로 확인 및 도로침입 방지대책, 각종 도로 시설물에 대한 영향 저감대책 등 강구
⑶ 생태통로의 설계
o 터널형 통로의 설계
<박스형 암거>
- 도로 건설을 위해 성토된 계곡부, 도로가 수로나 작은 도로와 입체교차 하거나 횡단 거리가 짧고 서식지가 인접한 곳에 적절
- 대형․중형․소형 포유류 및 일부 조류, 양서․파충류 등을 대상으로 하며 파이프형 암거에 비하여 대형동물의 이용이 가능
<파이프형 암거>
- 도로 건설을 위해 성토된 계곡부, 도로가 농수로나 개울을 통과하며 양쪽의 수위차가 적은 경우에 설치
- 야산과 하천․습지․논 등 소형동물의 서식지를 긴밀히 연결할 필요성이 있는 지점에 설치
- 중형․소형 포유류, 일부 조류, 양서․파충류 등을 대상으로 하며, 박스형 암거에 비하여 주로 소형동물을 위해 설치
o 육교형 통로의 설계
- 도로의 양쪽 모두가 절토된 지역 또는 도로 양쪽의 높이가 도로 보다 높아 하부통로 설치가 불가능한 지점에 설치
- 넓은 면적이 단절되거나 생태적 가치가 우수하여 설치의 필요성이 높은 지역에 주로 적용
- 대형․중형․소형 포유류, 조류, 양서․파충류 등 대부분의 동물이 이용 가능
o 선형 통로의 설계
- 주로 하천, 수로 주변에 조성되며, 자연식생을 이용하여 도로나 철로, 하천 등 선형으로 이어진 단절지를 연속적으로 연결해야 하는 지역에 설치
- 불빛, 소음 등 특정 간섭요인으로부터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한 장벽의 역할이 필요한 지점에 설치
⑷ 보조 시설물의 설계
o 울타리(침입 방지책, 유도 펜스)의 설계
- 울타리 자체가 생태계 단절요소가 될 수 있으므로 충돌사고가 빈번하거나 생태통로로 유도하는 효과가 가능한 경우에 한하여 설치
o 배수구의 구조 설계
- 배수구에 빠진 소형동물의 탈출이 가능하도록 울퉁불퉁한 재질을 이용하여 미끄럽지 않게 경사가 완만한 탈출구를 설치
o 도로 조명의 설계
- 차량 전조등 불빛의 차단을 위한 차광벽 또는 차광식생 등 조성
- 조명은 야생동물의 이동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조명구조의 변경등을 통해 도로의 조명이 생태통로에 영향이 없도록 설치
o 대체서식지의 설계
- 계획된 도로 노선이 특정종이나 희귀종 또는 환경 변화에 매우 민감한 종의 서식지를 부득이 통과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대체서식지를 조성하여 특징적인 환경조건 보전
o 기타 보조 구조물의 설계
- 동물출현 표지판, 과속 방지턱․야생동물 경고거울․반사경 설치 및 방호벽의 형태 변경 등
⑸ 생태통로 설치 단계
o 공사시에 일시적으로 개조․변경한 공사용 도로 등의 자연환경은 가능한 한 복구하여야 하므로 식생․토양 등의 복원을 고려하여 자연환경의 훼손을 최소화
o 공사용 장비와 기자재 등에서 유출된 기름과 오․탁수가 하천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공사중 발생 쓰레기로 야생동물이 유인되지 않도록 처리에 주의
⑹ 생태통로 사후관리 단계
o 생태통로 및 주변지역에 대한 야생동물 이동상황 모니터링
'토목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어 드릴 암파쇄 영상 (0) | 2010.10.23 |
---|---|
무진동 시트파일 항타 영상 (0) | 2010.10.23 |
암반 불연속면의 종류와 특징 (0) | 2010.10.08 |
대수층의 종류 및 분류 (3) | 2010.10.05 |
알기쉬운 토목공학 (5) | 2010.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