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나무결 (木理, grain)
  나무를 세로로 켠 면에 나타나는 나이테. 나자 식물 밑 쌍자엽 식물의 목질부의 횡단면에 나타나는 동심원의 테로 인하여 생긴 무늬.

나무널말뚝 ( - , wooden sheet pile)
  재질이 나무인 널말뚝으로 일시적인 경량 구조물이 지하수위 위에 위치할 때만 사용함.

나무말뚝 ( - , wooden / timber pile)
  말뚝의 재료가 나무인 말뚝. 목재말뚝

나무섬유 (木纖維, wood fiber)
  침엽수의 기초조직을 형성하고 있는 섬유질부분. 펄프의 원료가 됨.

나무울타리 (木柵, wooden fence)
  나무로 된 울타리.

나반측량 (羅盤測量, compass surveying)
  나침반을 사용하여 방위 또는 방위각을 관측하고 거리측량기를 사용하여 거리를 관측함으로써 수평위치를 결정하는 측량임.

나불 (“餘波”, swell)
  풍파가 파장을 발달시키고 있는 발생역(풍역)으로부터 떨어져서 바람과 관계없이 나아가는 파로서 대체로 주기가 길고 파형경사가 작음.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 ( - , Navier-Stokes’ equations)
  점성유체의 운동을 나타내는 일반적 운동 방정식. Navier(1823)와 Stokes(1845)에 의해 독립적으로 유도된 것.

나사 ( - , screw, thread)
  나사산을 갖는 원통 또는 원추 전체를 말함.  일반적으로는 나사산을 갖고 있는 물품의 총칭.

나사각 ( - 角, angle of screw)
  나사산에 따른 나사산의 경사각.

나사구멍 ( - , tapped hole)
  암나사를 가공한 구멍.

나사못 ( - , screw spike)
  ① 일반적으로 나사로 된 못의 총칭.
  ② 철도에서 레일 또는 타이 플레이트를 침목에 채결하는 큰 못.  → 나사스파이크.

나사부 ( - 部, thread part)
  나사 부품의 수나사 및 암나사의 부분으로 불완전 나사부를 제외하고 면처리부를 포함하는 나사산이 있는 부분.

나사송곳 (螺絲 - , gimlet)
  나사모양으로 된 송곳.

나사스파이크 (螺犬釘, screw spike)
  궤도에서 레일을 침목에 체결하기 위한 스파이크의 일종으로 몸통이 나사모양으로 된 것으로 침목에 나사식으로 박아 레일을 체결하는것. 보통 스파이크보다 지지력이 2배정도이며 스크류 스파이크라고도 함.

나선균 (螺旋菌, spirillum)
  세균의 형태별 분류시 나선형 모양의 세균.

나선철근 (螺旋鐵筋, spiral reinforcement)
  축방향철근을 나선상으로 둘러감은 철근.

나선철근기둥 (螺旋鐵筋 - , spiral column)
  주철근의 외주를 나선철근으로 둘러감은 철근콘크리트 기둥.

나선형 곡선 (螺旋形 曲線, spiral curve)
  평면선형 구간에서 곡선의 반지름이 곡선 길이를 따라 서서히 비례적으로 변화하는 완화곡선의 일종으로 차량의 원활한 주행을 위해 원곡선 또는 곡선반경이 다른 두 원곡선사이에 설치함.

나왕 (羅王, lauan)
  열대산 목재. 주로 수장재, 가구재, 구조재 등에 많이 쓰이고 있음.

나이테 ( - , annual ring)
  하나의 춘재부에서 다른 춘재부에 이르는 사이. 수목의 성장은 수피(樹皮)직하에 있는 형성층에 의거 이루어짐. 이 형성층은 여러가지 형상을 갖는 세포를 점차 내부에 형성함. 그 형성의 소장은 계절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구조를 보면 둘로 구별되어 짐. 봄에는 형성이 왕성하여 세포가 크고 박막하게 되고 연약하나 하계이후의 것은 세포가 적고 후막이 됨. 전자를 춘재 후자를 추재라 하며 하나의 춘재부로부터 다른 추재부에 이르는 일대를 나이테라하며 나이테의 조밀은 목재의 강도에 관계가 있음.

나침반 (羅針盤, compass)
  자침(磁針)이 자북(磁北)을 가리키는 성질을 이용하여 간단히 측선의 방향을 관측하는 장비. 자침편차나 자기의 국부이상(局部異常)때문에 관측정확도는 낮음. 측량컴파스, 포켓컴파스, 프리즘컴파스, 행잉컴파스 등이 있음.

나팔형여수로 ( - 形餘水路, morning glory / shaft spillway)
  수평면 입구부, 연직관, 만곡부 및 수평관으로 구성되는 나팔꽃 모양의 여수로. 여수로 확보공간이 좁거나 댐 전체를 흙으로 건설할 경우 사용됨.

 

그림

 


낙륜탈선 (落輪脫線, derailment due to wheel dropping)
  궤도를 운행중인 차량의 차륜이 레일에서 떨어져 선로를 벗어난 것.

낙반 (落磐, rock fall, cave-in)
  터널 천정부의 암괴, 토사 등이 무너져 떨어지는 것으로 터널공사의 건설시 발생하는 사고중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며 위험도가 높음.

낙석 (落石, rock fall)
  절벽, 급경사면, 지하갱도 등에서 여러가지의 크기로 느슨해진 암괴가 자유롭게 낙하하는 현상.

낙석덮개 (落石- , tunnel for falling ston)
  선로에 큰 돌이 떨어져 열차운행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는 비탈면 등에 옹벽으로 낙석을 방지하기 곤란할 경우 터널모양의 덮개를 설치한 것. 이 시설은 낙석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으나 공비가 비싸 옹벽이나 철책으로 방지할 수 없을 때 설치하며 아치형, 지주슬래브형, 피암터널형이 있음.

낙석방지 (落石防止, prevention against falling stone)
  낙석이 선로로 굴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낙석방지 시설로는 낙석방지옹벽, 낙석방지책, 낙석방지망, 낙석방지림 등이 있음.

낙석방지공 (落石防止工, measure to prevent rockfall)
  낙석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공사 혹은 공법. 부석(浮石)의 정리 및 제거, 고정, 숏크리트공, 록앵커공 등의 낙석의 발생원에 대한 대책으로서의 낙석예방공과 낙석 방지망, 방지철책, 방지벽, 복공 등의 발생한 낙석에 대한 대책으로서의 낙석방호공 등이 있음.

낙석방지옹벽 (落石防止擁壁, retaining wall for falling stones)
  낙석방지를 목적으로 한 콘크리트 옹벽으로 된 낙석붕괴방지시설. 낙석과 함께 토사 등이 낙하하여 형강체 등으로 막을 수 없을 때나 낙석물이 크고 작은 것이 있어서 철망으로는 뚫릴 우려가 있을 때 유효함.

낙석방지울타리 (落石防止柵, prevention fence for falling stones)
  낙석붕괴방지시설의 일종으로 절개지 비탈면이나 성토비탈면 부근에 설치하여 낙석을 방지하기 위한 방호책.

낙석주의표 (落石注意標, signboard for falling stone)
  선로연변의 깎기구간에서 낙석이 있으면 열차운행이 위험하므로 기관사에게 전도를 주시시키고 선로순회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한 표.

낙엽수 (落葉樹, deciduous tree)
  추계의 변화에 의하여 낙엽지는 수목. 상록수의 반의어. 일반적으로 침엽수는 상록수이나 활엽수에는 낙엽수가 있음.

낙조 (落潮, ebb tide)
  만조에서 간조를 향하여 조위가 저하되어가는 현상.

낙조류 (落潮流, ebb current)
  조위의 하강에 수반하는 조류, 단 해협 등 조석이 진행파일 때는 조석파의 진행방향과 같은 방향의 조류를 말함.

낙조 수로 (落潮 水路, ebb channel)
  간사지에서 낙조시 물이 모여 흘러 나가는 수로.

낙중시험 (落重試驗, drop test)
  레일의 내부홈을 시험하는 방법의 일종. 일정한 높이에서 추를 반복하여 수직낙하시켜 파괴에 이르렀을 때의 타격수를 구하는 것임.

낙추식콤팩터 ( - , drop ram compactor)
  추를 들어 올려서 떨어뜨리는 형식의 다짐기계.

난간 (欄干, hand rail)
  다리바닥판 측부에 설치한 손잡이.

난간공사 (欄杆工事, hand rail railing)
  ① 보행자의 추락의 위험을 방치하는 울타리 형상의 것.
  ② 계단의 짧은 기둥(난간동자) 또는 벽위에 건너 댄 나무. 교량상판의 측부에 손잡이를 설치하는 일.

난류 (亂流, turbulent flow)
  유선이 복잡하게 얽히는 흐름으로 유체입자가 가진 운동량이 인접한 흐름층에 전달됨. 유체 흐름에서 레이놀즈 수가 대략 2,000~2,300 이상일 경우 발생하며, 다공성 매질을 통한 흐름에서는 레이놀즈 수가 1~10 이상이면 발생함.

난류 (暖流, warm current)
  열대 또는 아열대에서 고위도 방향으로 흐르는 따뜻한 해류.

난류확산 (亂流擴散, turbulent diffusion)
  난류에 의하여 물리량이 확산되는 현상. 층류상태의 분자운동에 의한 확산에 비해 훨씬 큼.

난분해성 유기물 (難分解性 有機物, recalcitrant nobiodegradable organics)
  미생물에 의해 분해가 어렵거나 불가능한 유기화합물로서 방향족 벤젠고리화합물과 할로겐화 유기화합물 등이 이에 해당함.

난수 (亂數, random number)
  균일확률분포에서 추출하여 연속된 숫자(0 에서 9)로 나열된 수. 즉 각 숫자가 선택될 확률이 동일하여 규칙성 없이 나열된 수의 집합.

난연성재료 (難燃性材料, flame retardant material)
  불에 접해도 타지 않으며, 규정된 난연성시험에서 정해진 값을 넘도록 계속타지 않는 재료.

난외주기 (欄外註記, extra annotations)
  지도, 도면 또는 도표의 주내용 이외의 필요한 사항을 도곽외부에 간결하게 기입하는 것. 도면의 표제체계, 내용의 설명, 연접도와의 관계, 도면을 읽는데에 필요한 해설 등을 간결하게 기재함.

난투수층 (難透水層, aquiclude)
  우물, 샘이나 침윤 등으로 미세한 양의 물만을 투수시키는 낮은 수리학적 투수성을 갖는 포화된 하상, 지층 또는 지층군. 난투수층은 서서히 물을 흡수하지만 양수가 가능할 정도로 충분히 자유롭게 이동은 이루어지지 않음.

날개벽 ( - , wing wall)
  교대나 수문 등에 접하여 양측방의 토사를 지지하는 옹벽.

날개차 ( - 車, impeller)
  펌프의 회전요소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원심펌프의 경우에 임펠러(impeller)라 부름.

날판 (排土板, blade)
  토사를 굴착하고 필요한 곳까지 밀어내는 강재의 판. 도우저, 그레이더, 스크레이퍼 등에 달린 굴착용 삽.

남조류 (藍藻類, blue-green algae)
  구조적으로 박테리아와 유사하면서 광합성을 하는 미생물. 해수와 담수에서 모두 발견되며, 특히 질소와 인같은 무기영양염류가 과다한 부영양화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번식함.

납관 (鉛管, lead pipe)
  납으로 만든 관으로 연성과 처짐성이 풍부하고 산성부식에 저항성이 큼. 그러나 동결, 외상에 약함. 주로 급수관으로 사용됨.

납땜 ( - , brazing and soldering)
  모재의 융점보다도 낮은 온도에서 녹이는 첨가재(납 또는 땜납)를 이용하는 용접방법의 총칭. 납땜․밀땜외에 브레이즈 용접 등을 포함함.

납오염 (“鉛汚染”, lead pollution)
  대기오염원으로는 자동차 배기가스, 납정련공장 또는 납축전지 공장의 배출가스 등이 있으며 수질오염원으로는 납제련공장, 도금공장 등을 들수있음. 미량이라도 장기간 섭취하면 중독현상을 일으킴.

낮표지 ( - , day mark)
  입표로서 주간에만 표시되는 표지.

낱알구조 (單粒構造, single-grained structure)
  개개의 토립자가 서로 접촉하면서 쌓인 배열상태. 모래나 자갈에서 보임.

내공 변위계 (內空 變位計, convergence meter)
  터널시공시 굴착 후 막장의 진행에 따른 터널내공의 변위를 측정하는 계기로서 정밀도는 0.01 mm 이상을 사용함.

내구년한 (耐久年限, endurance period)
  목재나 부재 또는 구조물을 보수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연한.

내구성 (耐久性, durability)
  콘크리트가 사용에 견디는 년한에 따라 정해지는 콘크리트의 성질. 이에 영향을 끼치는 외적 작용으로는 유류, 산, 알칼리, 염류 및 해수의 작용 등이 있음. 내구성을 평가하는데는 실제의 내구기록이 가장 중요하나, 여러가지 촉진시험(동결융해 등)이 고안되어 있음.

내구(성)시험 (耐久(性)試驗, durability / endurance test)
  ① 장시간 사용되는 재료나 구조가 사용에 견디는 가를 조사하는 시험
  ② 수 많은 반복응력에 대한 재료의 내구한도․파괴되지 않는 상한의 응력을 구하는 시험.  → 피로시험.

내구한도 (耐久限度, endurance limit)
  구조물 등이 그 기능을 유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간.

내궤 (內軌, inner rail)
  선로의 곡선부에서 내측에 부설된 레일.

내 라멜라 테어 강 (耐 - 鋼, lamellar tear resistant steel)
  판두께 방향의 층간박리가 생기기 어려운 강재. 라멜라 테어 감수성으로서는 두께방향의 환봉 인장시험에서 파단시 단면수축율 (%)이 사용됨.

내력 (內力, internal force)
  외력을 받는 부재, 구조물 등의 내부에 생기는 힘.

내력벽 (耐力壁, proof-stress wall)
  외부하중에 저항하도록 설계된 벽.

내로우 갭 용접 ( - 鎔接, narrow gap welding)
  → 협개선용접.

내마모강 (耐磨耗鋼, abrasion resistance steel)
  긁힘, 구름, 타격 등의 작용에 대하여 마모량이 적은 강재. 고탄소강이나 고합금강 등을 열처리 하고, 그에 더하여 표면에 내마모용금속을 침투시키든지 하여 제조함.

내마모성 (耐磨耗性, durability abration)
  마모에 견디는 성질.

내마모성토페카 (耐磨耗性 - , durability topeka)
  아스팔트량(8.0~9.5 %) 및 필러분을 많이 넣어 마모층으로서의 효과를 증대시킨 토페카.

내마모성표층용혼합재 (耐磨耗性表層用混合材, anti wearing mixture)
  적설 한냉지대에 쓰이는 타이어 체인 등에 의한 마모에 강한 아스팔트 혼합물로써 아스팔트함유량(11.0~12.5 %)과 필러분이 많은 아스팔트 모르터, 내마모토페가 등이 있음.

내마모포장 (耐磨耗鋪裝, durability pavement)
  적설이나 노면에 동결이 있는 한랭지대에서는 타이어 체인에 의한 노면의 파손이 심하여 이에 견디는 혼합물을 표층에 시공하는 것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아스팔트 모르터 내마모용 토페카, 또는 구스아스팔트 등을 사용하고 있음.

내마찰 토페카 (耐摩擦 - , wear-resistant topeka)
  노면의 마모에 강한 아스팔트 혼합물로 아스팔트량이 8.0~9.5 %정도이며 필터분도 많게 배합해서 내마모층으로써의 작용을 기대함.

내민보 ( - , overhanging beam)
  들보의 외측 지점을 넘어서 한쪽 또는 양쪽으로 내민 부분이 있는 들보 .

내부공사 (內部工事, interior work)
  구조물 또는 구조물의 부재에 외력이 정적으로 작용하여 변형이 생길 때 변형과 함께 내력이 하는 일.

내부라이닝 (內部 - , inside lining)
  부식을 방지할 목적으로 관이나 물 탱크 등의 내면에 내산 또는 내알칼리성 재료를 바르는 것.

내부마찰각 (內部摩擦角, angle of internal friction)
  전단저항각과 동일한 의미. Coulomb의 파괴기준에서는 흙의 전단강도의 마찰성분을 전단파괴면상의 수직응력 σ를 이용하여 σtanφ로 나타내는 데 이 때의 φ를 내부마찰각이라 함.

내부배수호 (內部排水湖, endorheic lake)
  지표 또는 지표하 유출이 없어서 유입수가 증발에 의해서만 손실되는 호수.

내부수익율 (內部收益率, internal rate of return)
  비용편익분석에 있어서의 평가 기준의 하나로 분석 기간에 있어서의 현재 가치와 비용의 현재가치를 같게 할 수 있는 할인율.

내부식성 (耐腐蝕性, corrosion resistance)
  → 내식성.

내부진동기 (內部振動機, internal vibrator)
  콘크리트를 친 뒤, 그 속에 찔러 넣어서 다지는 진동기.

내부파 (內部波, internal wave)
  밀도 및 유속이 다른 두 유체가 상접하여 흐르는 경우에 그 불연속 경계면에 발생하는 파로서, 해수중에는 수온과 염분의 분포에 따라 밀도의 불연속면이 존재하는 수가 있고 이와 같은 불연속면에 내부파가 발생하기도 함.

내부표정 (內部標定, interior orientation, inner orientation)
  촬영된 사진의 주점을 입체도화기의 투명양화 지지기(photo carrier)의 중심에 일치시키고 활영사진기의 초점거리를 도화기의 초점거리눈금에 맞추는 작업이 기계적 내부표정이고, 상좌표(image coordinate)로부터 사진좌표(photo coordinate)를 구하는 수치처리를 해석적 내부표정이라 함.

내생성장 (內生成長, endogenous growth)
  미생물 성장형태의 하나. 성장에 필요한 양분이 부족한 경우 미생물의 증식율보다는 사멸율이 높게 되고 미생물은 그들 자신의 원형질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게되므로 미생물의 양이 줄어들게 됨. 이 단계에서 미생물의 침전성이 좋음.

내생호흡 (內生呼吸, endogenous respiration)
  미생물의 성장시 영양소가 없거나 불충분하여 합성된 세포가 소모되는 과정.

내식성 (耐蝕性, corrosion resistance)
  금속이 부식에 대하여 견디는 성질.

내식성저합금강 (耐蝕性低合金鋼, corrosion resistance low alloy)
  표면에 Cr의 산화피막을 형성해서 부식에 견디는 강으로, Ni의 첨가에 따라 산화막의 밀착성을 한층 좋게 함. 크게 분류하면 13 Cr계(마르텐사이트계), 18 Cr계(페라이트계), 18 Cr-Ni계(오스테나이트계)의 3종류로 되고 내식도, 강도, 가공성 등에서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함. 그 밖에 Ni절약형 오스테 나이트계, 5 Cr계, 석출경화(析出硬化)계 등의 강종도 있음.

내압시험 (耐壓試驗, pressure proof test)
  소정의 압력을 가해서 기밀성, 수밀성, 내력, 변화 등을 조사하는 시험. 수압을 가할때는 수압시험이라함.

내업 (內業, office work)
  외업에서 관측한 값들이나 도상점선 등을 이용하여, 계산, 조정을 하고, 도면작성 및 성과품을 완성하는 작업을 말함.

내역명세서 (內譯明細書, detail estimate sheet)
  공사의 내용을 상세하게 열거한 계산서.

내연기철도 (內燃機鐵道, diesel railway)
  디젤기관 및 가솔린기관을 원동기로 한 기관차로 운행되는 철도.

내열강 (耐熱鋼, heat resisting steel)
  고온에 있어서 각종의 환경에 대한 내산화성, 내고온부식성 및 고온강도를 갖는 합금강. 몇 %이상의 크롬 이외에 닉켈, 코발트, 텅스텐, 기타의 합금원소를 포함한 것이 많음. 주로 그들의 조직에 따라서 마텐르사이트계, 페라이트계, 오스트 나이트계 및 석출경화계의 4가지로 분류함. 또한 합금원소의 총량이 약 50 %를 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초내열합금 또는 내열합금 혹은 간단히 초합금이라 부름.

내열도료 (耐熱塗料, heat resisting paint)
  100 ℃ 이상의 고온의 장소에 사용되고 피장물의 부식, 미관을 보호하는 도료.

내열재료 (耐熱材料, heat resistant material)
  높은 온도에 견디는 것을 주요한 특성으로 하는 재료로 천연물질 자체가 이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도 있고 합금과 같이 목적에 맞도록 인위적으로 특성을 개선한 것도 있음. 강도는 고려치 않고 단지 고온산화에만 견디는 것도 넓은 의미로는 내열재료라 함.

내열콘크리트 (耐熱 - , heat resistance concrete)
  도기결합(陶器結合)이 일어날 정도 이상의 고온에 지속적 또는 반복해서 노출되어도 붕괴하지 않는 콘크리트.

내염성 (耐炎性, flame resistibility)
  물질이 불꽃에 따른 연소, 변질 등의 변화에 견디는 성질. 또는, 착화에서도 불꽃을 내며 연소를 계속하기 어려운 성질.

내용년수 (耐用年數, service life)
  어떤 시설물이나 각각의 부분이 사용되어질 수 있을 때까지의 연수. 수명이란 용어와 혼동되어 사용되어질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그 시설물이 존재할 때까지의 기간을 수명이라 하는 반면 어떤 시설물이 그 목적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할 때까지를 내용년수로 하기도 함.

내유산성강 (耐硫酸性鋼, sulphuric acid resistant steel)
  중유전용 보일러의 저온부나 폐열회수장치 등에 생기는 유산로점부식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킨 강. Cu를 포함한 강을 기본으로 하여 Cr, Ni기타의 원소를 첨가한 저합금강이 있음.

내유성포장 (耐油性鋪裝, oil resistant pavement)
  주차장, 버스정차장 등 휘발유, 경유 또는 엔진오일 등에 의하여 포장이 파손될 우려가 있는 곳에 내유성을 갖도록 하는 포장.

내장형철탑 (耐張形鐵塔, strain steel tower)
  탑의 상부에 항상 불균형한 장력을 받는 철탑의 총칭으로, 사용목적 별로 직선형, 각도형, 끝형, 보안형 등의 종류가 있음.

내적 가상일 (內的 假想 - , internal virtual work)
  외부 하중에 대하여 평형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구조물에 가상변위를 가하였을 때 외부하중에 의한 응력과 가상 변위에 의한 변형도가 한 일.

내적 일 (內的 - , internal work)
  외력에 의하여 구조물 또는 구조물의 부재의 내부에 발생한 변형도와 응력이 하는 일.

내적프리스트레싱 (內的 - , internal prestressing)
  프리스트레싱 강재를 콘크리트부재 속에 배치하여 프리스트레싱하는 것.

내진 구조 (耐震 構造, earthquake-proof construction)
  지진과 진동에 견디도록 만든 구조.

내진벽 (耐震璧, earthquake resisting wall)
  주로 지진력에 의한 수평하중에 저항하는 내력벽.

내진설계 (耐震設計, aseismic / earthquake resistant design)
  지진에 대해 안전하도록 구조물 등을 설계하는 것. 진도법에 의한 설계는 정적설계법이라고 하며 이에 대해 지진파를 이용한 해석법에 의한 설계는 동적설계법이라고 불리움.

내충격성 (耐衝擊性, impact / shock / chip resistance)
  물질이 충격에 견디는 성질. 강재에 있어서는, 충격흡수에너지로 판정함. 도막에 대해서는, 도면에 대한 낙추시험시에 발생하는 균열, 박리로 판정함.

내측패널 (內側 - , interior panel)
  연속된 이방향슬래브에서 4변이 모두 안쪽에 있는 패널.

내풍 브레이싱 (耐風 - , wind bracing)
  바람이나 지진 등의 수평 횡하중에 의하여, 교량이나 철골구조물에 큰 변위나 불안정이 생기지 않도록 설치하는 횡방향 구조물.

내풍 케이블 ( 耐風 - , wind cable)
  현수교의 횡방향 안전을 확보하기 의하여 거의 수평으로 당겨서, 교상부의 횡방향 변위를 방지하는 케이블. 

내하력 (耐荷力, load carrying capacity)
  구조물 또는 구조부재가 견딜수 있는 하중 또는 힘의 한도.

내한강 (耐寒鋼, cold resistant steel)
  → 저온용강재.

내항 방파제 (內港 防波堤, inner harbor breakwater)
  내항부분 등에서 비교적 소규모의 침입파나 내부 발생파를 막기 위한 소규모의 방파제.

내화골재 (耐火骨材, refractory aggregate)
  모르터에 의한 복합 매스로써 일체화 되어 내화성의 구체(軀體)를 형성하여 내화 특성을 갖는 골재.

내화(구조)공사 (耐火(構造)工事, fire proof construction)
  건물의 외주에 있어서는 인접화재에 의한 연소방지와 건물내에 있어서는 물이 붙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한 구조물을 세우는 공사.

내화단열콘크리트 (耐火斷熱 - , refractory insulating concrete)
  전열, 전도도를 갖지 않는 내화콘크리트.

내화벽 (耐火璧, fire resisting wall)
  화염에 견디게 만든 벽.

내화벽돌 (耐火 - , fire brick)
  내화성 원료로 만든 벽돌로써 내화도는 1,500 ℃~2,000 ℃정도의 황백색의 특수벽돌. 보통 굴뚝 등의 내부에 사용되고 있음.

내화성재료 (耐火性材料, refractories)
  → 내화재료.

내화재 (耐火材, refractory, fire proofing materials)
  일반적으로 1500 ℃ 이상의 내화성능을 갖는 물질. 표준 시거 콘(seger’s cone)의 번호 등으로 표시함.  →내화재료.

내화재료 (耐火材料, fire proofing materials)
  내화성을 가진 비금속 재료로서 내재시에 조직을 변하지 않고 소정의 강도가 유지되며 타지 않는 재료. 규석, 점토, 마그네시아 등이 포함되어 있는 재료가 적당함. 천연암석 중에서는 현무암, 안산암, 석탄암, 경사암 등이 비교적 내화성이 좋음.

내화점토 (耐火粘土, fire clay)
  고열(약 1,850 ℃ 이상)에 견디는 점토, 규산, 알루미늄이 풍부한 것으로 산화제이철, 마그네슘 등의 성분이 적은 것이 좋음. 내화벽돌의 원료.

내화콘크리트 (耐火 - , fire proof concrete)
  내화 구조물에 쓰이는 콘크리트. 내화성이 매우 큰 콘크리트를 만드는 데는 알루미나 시멘트와 팽창성암골재를 쓰는 것이 좋음.

내화피복 (耐火被覆, fire-proofing protection)
  주요 구조부의 철골의 표면에 칠하거나 뿜어 붙이거나, 설치하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재료로서 내화성능이 인정된 것.

내황산염시멘트 (耐黃酸鹽 - , sulfate resistance cement)
  수중 또는 흙속에 포함되어 있는 황산염에 의해 콘크리트가 침식되는 것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만든 저알루민산삼석회의 포틀랜드 시멘트.

내후성 (耐候性, weather resistance / ability / proof)
  재료가 햇볕, 바람, 한서, 건습 등의 옥외조건에 노출된 경우의 내구성을 말함. 내후성시험에는 옥외노출시험(out door exposure test)과 인공촉진시험이 있음.

내후성강 (耐候性鋼, atmospheric corrosion resisting, weather proof steel)
  대기중에서 부식량이 보통강보다 적은 성질을 갖는 강으로 표면에 치밀하고 안정된 층을 형성해서, 그 이후의 부식반응의 진행을 억제함. 용접구조용 내후성강은 내후성의 요구의 정도에 따라 도장, 무도장재로 나눔. 모두 Cu-Cr계의 합금강이며 도장재에서는 필요에 따라 Mo, Ni, Ti, V, Zr 등을 첨가한 것도 있음. 고내후성강은 P-Cu, Cr, Ni계의 합금강으로 한층높은 내후성강을 갖지만 용접성은 SWS강재 보다 많이 저하함.

냉각 (冷却, cooling)
  → 강제냉각.

냉각관 (冷却管, cooling coil / pipe)
  댐 콘크리트가 수화할 때 발열에 의한 온도상승을 억제하기 위하여 댐 콘크리트 내에 여러가지 간격으로 사행으로 매설하여 냉각수, 하천수를 순환시키는 관.

냉각법 (冷却法, freezing process)
  해수 담수화의 한 방법으로 해수를 냉각시켜 순수한 물을 얻는 방법.  → 냉동법.

냉각소 (冷却所, cooling plant)
  댐 콘크리트의 냉각을 위하여 설치되는 냉동공장. 하천수를 냉동수로, 콘크리트의 혼합수 대신 빙편을, 또는 여러재료에 냉풍을 쏘인다던지 하는데 쓰임. 플레온가스 냉각기를 사용함.

냉각수 (冷却水, cooling water)
  공업용수중 냉각에 사용하는 물. 냉각수는 특히 저온도인 것이 필요하나 그 순도에 있어서는 해수까지도 사용하는 경우가 있음. 그러나 원자로용 냉각수는 미량의 용융 이온도 방사성을 띠므로 정제를 요하게 됨.

냉각장치 (冷却裝置, cooling system)
  표면 복수기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펌프 및 관로계.

냉각탑 (冷却塔, cooling tower)
  응축기용 냉각수를 재사용하거나 공기조화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물을 대기와 접촉시켜 냉각시키는 장치. 자연통풍식과 강제통풍식이 있음.

냉간가공 (冷間加工, cold working)
  금속을 소성가공할 때 재결정온도이하에서 하는 방법. 냉간가공과 열간가공의 온도범위는 금속의 종류에 따라서 다름. 상온가공이라고도 함.

냉간가공강 (冷間加工鋼, cold worked steel)
  상온에서 압연, 비틂 또는 인발(引拔)가공되는 강봉 또는 강선.

냉간가공이형철근 (冷間加工異形鐵筋, cold worked deformed bar)
  열간압연된 강의 이형강봉을 상온에서 비틂가공 또는 인장가공을 하여 강도를 높인 것.

냉간뽑아내기 (冷間 - , cold drawing)
  봉․선․관 등을 상온에서 다이스를 통해 뽑아내는 가공.

냉간압연강 (冷間壓延鋼, cold drawn steel)
  상온에서 압연해서 강도가 크게 되는 강재.

냉간인발강선 (冷間引拔鋼線, cold drawn wire)
  다이스를 통해서 냉간인발된 강선 2~16 mm정도의 작은 지름을 가지며 주로 프리스트레싱 강선으로 사용됨.

냉간취약성 (冷間脆弱性, cold shortness)
  → 저온취성.

냉동법 (冷凍法, freezing process)
  높은 염도를 가진 물을 냉각시키면 순수한 물로 된 얼음이 생기면서 더 높은 염의 농도를 가진 물이 남는 원리를 이용한 처리법을 말함. 냉동온도는 염의 농도가 높을 수록 낮아짐.  → 냉각법.

냉장 (冷藏, cold-storage)
  물체를 저온으로 유지하고, 보존하는 것. 냉장고는 일반적으로, 보관물의 종류와 유지온도에 의해 다음의 3종류로 나누어지고 있음. A급은 -10 ℃ 이하, 동결품의 냉장. B급은 -10 ℃~-2 ℃, 일반냉장. C급은 -2 ℃ 이상, 생선어류․야채․과실의 냉장.

냉장차 (冷藏車, chill / freezer / refrigertor car)
  화물차의 일종으로 생선이나 야채 등을 부식되지 않게 운반하도록 냉장시설이 되어 있는 차량.

너게트 ( - , nugget)
  겹침저항용접에 있어서 용접부에 발생하는 용융응고(鎔融凝固)한 부분.

너울 ( - , swell)
  지역적으로 멀리서 발생된 파랑이 전파되어 올 때 단주기 성분은 진행 과정에서 소멸되고 장주기 성분만 포함하고 있는 중력파.

너클 ( - , knuckle)
  자동련결기 선단의 고리형 조각강재.

너클이음 ( - , knuckle joint)
  한쪽 방향의 축단을 두갈래로 하여, 이 사이를 다른 방향의 축단을 끼운 핀으로 접합한 축방향 조인트. 핀축의 주위에서 자유회전을 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음.

너트 ( - , nut)
  볼트의 나사 부분에 끼워 죄이는 볼트의 부속품. 보통 육각으로 함.

너트회전법 ( - 回轉法, nut rotation method)
  고장력볼트 조임 관리방법의 일종으로 도입축력량을 너트의 기준위치로 부터의 회전각으로 관리하는 방법.

널 (板材, plate, batten)
  두께는 얇고 어느 정도의 넓이를 가진 나무판.

널결 (板理, cross grain)
  나무의 나이테에 접선 방향으로 켰을 때에 나타난 곡선형의 나무결.

널말뚝 ( - , sheet pile)
  흙막이나 가체절에 사용되는 판형말뚝. 나무널말뚝, 콘크리트널말뚝, 강널말뚝 등이 있음. 최근에는 단면계수가 큰 상자형 강널말뚝, 강관널말뚝 등도 사용됨.

널말뚝기초 ( - 基礎, sheet pile foundation)
  널말뚝을 기초로 사용한 것. 일반으로 널말뚝은 기초외에 흙막이 물막이 등에 사용되고 있음.

널말뚝물막이댐 ( - , sheet pile cofferdam)
  널말뚝을 연속해서 박아 하천유수의 자연유하를 제지하여 다른 수로로 유하시키는 것. 댐공사에 있어서 구하도의 물막이, 제방복구 등에서 사용함.

널말뚝벽 ( - 壁, sheet pile wall)
  널말뚝을 연속해서 박아 널말뚝 뒷쪽의 토사붕괴를 막는 벽.

널말뚝지수벽 ( - 止水壁, sheet pile cut off)
  누수를 막기 위해 만든 널말뚝 벽.

네슬러 시약 ( - 試藥, Nessler’s reagent)
  요드화제2수은칼륨(K2HgI4)의 강알칼리성 용액으로 미량의 암모니아에 의하여도 황색 또는 황갈색으로 착색되므로 암모니아의 검출시약으로 사용됨.

네일러 ( - , nailer)
  못을 박을 수 있도록 콘크리트에 묻어 넣은 나무조각, 또는 철재에 붙인 나무조각 또는 철재에 붙은 나무조각 또는 이와 비슷한 것.

네일링콘크리트 ( - , nailing concrete)
  못을 쉽게 박을 수 있고 또 박은 못을 단단하게 붙어 있을 수 있는 콘크리트. 골재로서 소나무의 톱밥, 팽창슬래그, 천연경석(輕石) 등이 사용되고 있음.

네트워크시간분석 ( - 時間分析, network time analysis)
  각 경유점에 대하여 계산한 경유점 시각(event time)와 각 활동에 대하여 계산한 활동시각(activity time)을 분석하여 일력일자로 환산하는 것.

네페로 측정기 ( - 測定機, nephelometer)
  물의 탁도를 측정하는 방법의 하나로 혼탁입자들에 의한 빛의 산란도를 측정하는 기기. 이 기기에서는 광원으로 시료를 쪼이고 입사광 행로의 90°각도에서 산란된 빛의 세기를 판독하는 광전검출기를 사용함.

노두 (露頭, outcrop)
  지반의 암석이나 지층의 일부가 지표에 노출되어 있는 부분. 지질조사의 중요한 조사대상의 하나임.

노드 ( - , node)
  → 절점.

노말핵산 추출물 ( - 抽出物, n-hexane extractable material)
  폐수중에 포함된 비교적 휘발성이 약한 탄화수소 및 그 유도체, 그리스유상 물질 등의 성분을 말하며 노말핵산에 의하여 추출됨. 추출방법은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에 기술되어 있음.

노면배수 (路面排水, surface drainage)
  비가 내리거나 눈이 녹아 도로면에 들어오는 물을 유도, 배제하는 것을 말함. 일반적으로 표면수는 길어깨 부에 설치한 측구(側溝) 등으로 처리함.

노면요철 (路面凹凸, rumble strips)
  차량의 저속주행을 위한 시각적 효과와 보행자 및 자전거이용자의 안전 향상 등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치한 도로수직 구성의 변화.

노면절삭 (路面切削, road cutting)
  아스팔트포장의 표면요철 부분을 전용기계로서 깍아 내어 노면의 평탄성과 미끄럼저항토록 하하는 공법.

노면처리재 (路面處理材, surface treatment material)
  노면에 보호막 또는 엷은 보호층을 만들기 위하여 골재의 결합조로 사용되는 농액체 또는 반고체의 역청.

노면표시 (路面表示, pavement marking)
  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유도하고 운전자나 그 밖의 이용자에게 필요한 주의, 규제, 지시, 안내 등의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도로상에 페인트 등을 이용하여 표시한 각종정보.

노반 (路盤, road bed, subgrade)
  철도선로를 이루기 위하여 맨땅에 성토, 절토, 비탈보호공을 하여 이루어진 축조물을 노반이라 하며 이 위에 궤도를 부설함.

노반부담력 (路盤負擔力, brearing capacity of road bed)
  철도 노반의 부담력은 다음의 표준하중과 속도로 주행할 수 있는 것을 표준으로 함. 1급선 L-22, 150 k/h, 2급선 L-22, 120 k/h, 3급선 L-18, 80 k/h, 4급선 L-18, 70 k/h .

노반압력 (路盤壓力, road bed pressure)
  침목위의 하중이 도상을 통하여 노반상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

노상 (路床, subgrade)
  포장층을 지지하고 있는 지반으로서 포장층 바로 아래에 접하는 두께 1m 정도의 범위를 말함.

노상배수 (路床排水, subgrade drainage)
  도로구조에 있어 지하수위를 낮추어 노상 또는 보조기층 및 기층과 표층에 이르기까지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지하배수.

노상시설 (路床施設, subgrade institution)
  도로의 부속물로서 보도, 자전거도, 중앙분리대, 길어깨, 환경시설대 등에 설치되는 도로부대 시설.

노상의 마찰력저항 (路床 - 摩擦力抵抗, subgrade restraint)
  노상토 재료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저항(internal friction)으로 재료의 입도 및 토성에 따라 변화함.

노상주차 (路上駐車, on-street / curb parking)
  도로상(주로 연석에 면하여)에 차량을 주차시키는 것.

노상지지력계수 (路床支持力係數, modulus of subgrade reaction)
  설계 포장층이 설치될 노반의 지지강도 또는 지지용량을 표시하는 값으로 CBR, R값, 군지수, 동탄성계수와 같은 강도정수와 상관시켜서 결정.

노상지지력치 (路床支持力値, value of subgrade reaction)
  아스팔트 포장의 AASHTO 설계 방법에서 포장하고자 하는 도로의 노상에 대한 지지력을 나타낸 계수.

노상혼합방식 (路床混合方式, mixed-in-place / road-mix construction)
  ① 입도조정기층 공시 재료의 혼합방법으로 미리 혼합된 재료의 전부를 노상에 포설하는 방법.
  ② 입도조정기층 시공시 재료의 혼합방법으로 미리 기층이나 보조기층을 깔고 그 위에 보충재료를 가해서 혼합하는 방법.

노선 (路線, route)
  연속성, 일관성을 가진 통행로. 또는 대중교통수단 등이 주로 이용하는 일정한 경로. 

노선배분 (路線配分, route assignment)
  → 교통배분.

노선연속성 (路線連續性, route continuity)
  원활한 교통소통과 운영상의 효율향상을 위하여 개별의 노선연계성을 향상시킨 것.

노선측량 (路線測量, route surveying)
  도로, 철도, 운하 등의 교통로, 수력발전의 도수로, 상하수도의 도수관 등 폭이 좁고 길이가 긴 구역의 측량을 총칭함.

노슬럼프 콘크리트 ( - , no-slump concrete)
  슬럼프가 2.5 cm이하의 콘크리트.

노외주차 (路外駐車, off-street parking)
  도로의 외부에 있는 별도의 주차시설에 주차시키는 것.

노점 (露點, dew point)
  이슬점의 한자어.  → 노점온도.

노점온도 (露點溫度, dew point temperature)
  같은 압력과 수분량을 갖는 공기가 포화상태에 도달하는 온도. 습한 공기를 냉각시켜가면 공기중 수증기가 응결하여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며, 이 떄의 온도가 노점온도. 이슬점온도라고도 함.

노점온도계 (露點溫度計, dew point thermometer)
  대기의 이슬점온도를 재는 기기. 금속표면을 냉각시켜 이슬이나 서리가 생길 때의 온도를 측정함.

노정 (路頂, crown)
  볼록곡선형태를 가진 도로 횡단면의 정점.

노즈 ( - , nose)
  ① 분기기를 구성하는 크로싱부에서 서로 교차하는 부분의 윤연로를 확보하기 위한 궤간선의 결선부로서 코같은 모양의 선단부.
  ② 교통섬의 앞부분 혹은 분리대 등의 앞부분. 이에는 분류단 노즈와 합류단 노즈가 있으나 설계상 문제가 주로 되는 것은 분류단 노즈로서 보통 노즈라고 하면 분류단 노즈를 가리킴.

노즈레일 (鼻端軌條, nose rail)
  크로싱를 구성하는 V자형의 레일로서 긴노즈레일 및 짧은 노즈레일이 있으며 간격재와 조합하여 크로싱을 조립함.

노즈 옵셋트 ( - , nose offset)
  교통섬 및 분류대 설치시 그 앞부분에 설치하는 것으로 선형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본선측과 연결로측에 모두 설치해야 함.

노즐 ( - , ① nozzle, ② tip)
  ① ⅰ)단면적을 좁혀 끝이 가늘게 되어 있는 짧은 관. 유체의 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어 유체를 사출할 경우 멀리 뻗어 나가게 하는 역할을 함. ⅱ) 가스용접 또는 절단토치의 선단에 붙여서 불꽃을 만드는 부분.
  ② 일반적으로는 선단의 좁은 입구로 부터 유체를 분출하는 통형의 구멍.

노체 (路體, road bed filled up ground)
  도로의 구조상 성토단면을 구분할 때 노상의 아래부분으로 원지반까지의 성토부.

노출면적 (露出面積, exposure area)
  구조물의 내풍설계에 있어서, 풍압을 받는 면적. 수압면적이라고도 말함.

노출삭박작용 (露出削剝作用, denudation)
  강우, 서리, 바람 또는 물에 의한 지표면의 식생 또는 고형물질의 침식. 때때로 암반에까지 이르는 토양층제거를 의미.

노측면접조사 (路測面接調査, roadside interview study)
  어떤 특정한 통행에 관한 자료를 얻기 위해서 조사경계선(cordon line)이나 통과검사선(screen line)상의 한 지점을 통과하는 차량을 정지시킨 후 현재의 통행에 관한 것을 조사하는 것.

노측오디조사 ( - , road side interview origin destination survey)
  출발지, 목적지 조사 방법으로서 자동차를 일시정지하여 조사원이 노측에서 운전사 또는 승객에게 기점과 종점을 질문하여 기록하는 방식.

노치 ( - , notch)
  구조부재의 단면형상의 급변부 등 응력집중이 생기기 쉬운 부분을 말함. 구멍․홈․균열 또는 용접결함 등에 의하여 노치효과가 생길 수 있음.

노치감도 ( - 感度, notch sensitivity)
  충격시험에 의해 노치취성을 조사할 때의 지표.

노치감도계수 ( - 感度係數, notch sensitivity factor)
  피로강도에 관계되는, 재료의 노치효과를 나타내는 지표. η=(β-1)/(α-1)에서, α는 형상계수, β는 노치 계수임. 여기서 사용하는 형상계수 α는 응력집중률에 상당하는 것으로, 노치 저부에 생기는 최대집중응력과 공칭평균응력과의 비(α=σmax/σn)임.

노치계수 ( - 係數, fatigue strength reduction / fatigue notch factor)
  동일 재료의 피로시험에서 평활재의 피로한도와 노치재의 피로한도와의 비.

노치취성 ( - 脆性, notch brittleness)
  노치가 없는 경우에는 충분한 연성을 나타내는 재료에서, 노치가 있으면 쉽게 파괴되는 현상. 노치무름이라고도 함.

노치효과 ( - 效果, notch effect)
  재료를 절단할 경우, 응력집중과 그밖의 원인에 의해서 인성과 강도가 저하하는 현상.

노카디아 ( - , nocardia)
  곰팡이와 박테리아의 중간적인 성질을 가진 방선균의 일종으로 균사체를 형성함. 호기성 미생물로 수중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며 기름유출지역에서 급속히 성장함. 활성슬러지공법에서 벌킹현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

노파인콘크리트 ( - , no fines concrete)
  잔골재를 소량 포함하거나 또는 전연 포함하지 않는 콘크리트.

노화(아스팔트의) (老化, aging, weathering)
  ① 아스팔트 혼합물의 결합이 풀어진것과 같은 태.
  ② 포장이 오래 되어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풍화되어 노화된 상태.

녹 ( - , rust)
  보통 철의 표면에 생성하는 수산화물 또는 산화물을 주체로하는 화합물. 광의로는 금속표면에 생기는 부식생성물을 말함.

녹는 점 ( - , melting point)
  고체가 녹아서 액체로 되는 온도.

녹니석 (綠泥石, chlorite)
  변성도가 낮은 변성암을 이루고 있는 주요광물의 일종, 흑운모, 석류석, 각섬석, 휘석, 감람석 등이 변질되어 생기게 됨.

녹막이 ( - , rust prevention)
  금속에 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

녹막이칠 ( - , rust proofing painting)
  강재 등에 녹이 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녹막이 도료(광명단페인트 등)를 칠하는 것.

녹막이페인트 ( - , rust resisting / anti-corrosive paint)
  방청작용을 하는 도료.

녹방지제 ( - 防止劑, corrosion inhibiting admixture)
  철재가 녹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쓰이는 혼화제.

녹색시간 (綠色時間, green time)
  녹색신호가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시간.

녹색콘크리트 (綠色 - , green concrete)
  → 그린 콘크리트.

녹조류 (綠藻類, green algae)
  조류중 가장 큰 군으로 광합성을 하는 엽록소 a와 b를 가지고 있음. 하천이나 도수로, 여과지 등에 번식하여 수로를 방해하고, 착색, 악취, 막힘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함.

논가스 논프럭스법 ( - 法, nongas non-flux method)
  프럭스(flux)와 피복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와이어내에 포함되어 있는 탈산제와 질소고정제에 의해서 공기중의 산소를 제거하며, 질소를 고정시켜 깨끗한 용착금속을 얻을 수 있게한 용접법.

논가스 아크용접 ( - 鎔接, nongas arc welding)
  둘러쌓인 프럭스 함입 와이어를 사용하여 외부로 부터 쉴드가스를 준비하지 않고 용접이 가능하며, 반자동용접뿐만이 아니라 자동용접도 가능함. 바람의 영향이 적으므로 옥외용접에 적절함.  → 셀프쉴드 아크용접.

논가스 피복 반자동용접 ( - 被服 半自動鎔接, semi-automatic nongas shield welding)
  와이어가 자동적으로 보내지며, 용접기를 손으로 들고서 행하는 논 가스 아크 용접. 반자동용접중에 조작이 간단하며, 바람에 의한 영향이 적으므로 옥외용접에 많이 사용되고 있음.

농도 (濃度, concentration)
  단위용적중에 존재하는 성부비율. 대기호염이나 수질오염의 오염물의 미량의 농도를 표시하는 단위로서는 ppm, mg/L, ppb 등이 있음. ppm은 100만분의 1의 의미로 중량비, 또는 용적비로 사용됨. 여기에 대해서 mg/L는 중량/용적비로서 엄밀한 면에서는 ppm과 차이가 있으나 보통 ppm으로 봄. 또 ppb는 10억분의 1을 뜻하는 것임.

농약 (農藥, pesticide)
  농산물의 생산증가를 위하여 사용하는 살충제 등으로 토양오염을 일으키는 원인의 하나임. 종류로는 크게 탄화수소계 살충제, 유기인 살충제, 유기염소계 살충제, 그리고 기타 유기제 및 무기제 등이 있음.

농약잔류기준 (農藥殘留基準, tolerance for pesticide residue)
  우리나라의 농약잔류기준은 환경보전법에 근거한 환경부의 농작물중 농약잔류허용기준과 식품위생법에 근거를 둔 보건복지부의 농산물중 농약잔류기준으로 규제하고 있음.

농업기상학 (農業氣象學, agricultural meteorology)
  농업과 기상의 관계를 다루는 응용기상의 한 분야. 물리환경의 제어와 이용을 통해 작물의 생산, 저장 계획의 조절과 향상을 목표로 함.

농지측량 (農地測量, farm surveying)
  논․밭의 경계선의 방향, 길이 및 높이를 재서 도면을 만들고 이 도면으로부터 면적을 계산하여 경지정리, 배수 등의 공사를 하기 위한 농지에 관한 측량임.

농축 (濃縮, thickening)
  → 슬러지 농축.

높새 ( - , nopsae)
  산에서 불어내리는 건조하고 따뜻한 바람. 순수한 우리말로 알프스 산중에서 발생하는 푄(fohn)과 같은 현상.

높은 보 ( - , deep beam)
  보의 높이가 지간에 대하여 비교적 큰 보로서 단면의 설계시에 복부에서 발생하는 전단 응력과 전단 변형을 반드시 고려하여야 하는 보. 일반적으로 지간에 대한 높이의 비가 1/5 이상인 들보를 지칭함.

뇌관 (雷管, detonator)
  폭약 또는 화약을 폭발하기 위해 기폭약 또는 첨장약을 관체에 장전한 것으로 지발시차에 따라 DSD(deci-second detonator) 및 MSD(milli-second detonator)로 구분함.

뇌우 (雷雨, thunderstorm)
  천둥과 번개를 동반하는 비바람. 대기가 불안정하여 강한 상승기류가 있을 때 발생함.

누가강도식 (累加强度式, superimposed strength method)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부재력산정 방식의 하나로, 철근콘크리트 부분과 철골부분의 강도의 합으로 부재의 강도를 구하는 방법.

누가곡선 (累加曲線, mass curve)
  어떤 변량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누적된 값으로 나타내는 곡선.

누가곡선법 (累加曲線法, mass curve method)
  → 누가곡선 저수용량 분석.

누가곡선 저수용량 분석 (累加曲線 貯水容量 分析, mass curve storage analysis)
  Rippl 방법으로 잘 알려져 있는 저수지의 소요저수용량을 결정하는 도식적 방법. 유입량의 누가곡선과 용수량의 누가치 사이의 최대 편차가 저수용량으로 결정됨.

누가우량계 (累加雨量計, totalizer, cumulative rain gauge)
  장기간의 누가강우량을 측정하는 우량관측기기. 현장점검 주기가 긴 상대적으로 중요성이 덜한 관측소에 설치됨.

누가우량곡선 (累加雨量曲線, rainfall mass curve)
  시간에 따른 우량의 누가치를 나타내는 곡선. 자기우량기록지는 누가우량곡선의 예임.

누가유량곡선 (累加流量曲線, discharge mass curve)
  시간에 따른 유량의 누가치를 나타내는 곡선. 저수지 규모 및 용수공급능력의 결정에 사용되기도 함.

누빔리벳 ( - , stitch rivet)
  합성된 강부재의 중간부에서 재편을 서로 일체가 되게 띄엄띄엄 연결하는 리벳.

누빔용접 ( - 鎔接, stitch welding)
  겹으로 붙이거나 조립하는 재편 사이를 누벼주는 용접.

누수 (漏水, leakage)
  지하수에서 바닥 또는 위에 형성된 반투수층을 통하여 대수층으로부터 물이 흐르는 현상. 댐으로부터 물이 새는 것. 댐의 누수는 에너지를 갖는 물의 손실 이외에도 콘크리트나 암반 속에 물이 흐름으로써 마찰계수 등의 물리적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많음.

누수계수 (漏水係數, leakage coefficient)
  주 대수층과 반투수성 상층 또는 저층사이의 경계에서 반투수층을 통한 단위수두차에 의하여 단위면적을 통과하여 흐르는 물의 양.

누수시험 (漏水試驗, leak test by filling water)
  압력용기 등에 물을 채워서 누수를 조사하는 시험.

누수율 (漏水率, leakage ratio)
  누수량과 배수량의 비.

누차 (累差, cumulative error)
  → 정오차.

누출시험 (漏出試驗, leak test)
  수압․공기압 등을 이용하여, 압력용기 등의 누수와 누기를 조사하는 시험.

눈깊이 ( - , snow depth)
  쌓인 눈의 표면과 지면사이의 연직거리. 눈은 덮인 지면 위에 고르게 분포하는 것으로 가정함. 적설심이라고도 함.

눈날림 방지설비 (雪飛防止設備, defensive structure against snow drift)
  짙은 안개와 같이 시야를 방해하고 또 선로상에 눈이 쌓여서 열차운전에 지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한 시설.

눈 높이 ( - , eye height)
  차량을 운전하는 자세에서 나타나는 운전자의 눈 높이를 노면으로부터 측정한 값으로서 우리 나라에서는 1.0 m를 사용함.

눈도리 ( - , ring shake)
  목재의 결점의하나, 나이테의 둘레에 따라서 원형 또는 호상으로 건조해서 갈라진 것.

눈막이덮개 ( - , snow-shed)
  눈보라나 쌓인 눈 및 적설이 많은 지구에 설치되는 방설설비. 도로와 선로의 위를 강구조, 철근 콘크리트조,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조 등의 구조물로 덮은 영구시설.

눈물당량 ( - , water equivalent of snow)
  눈시료를 모두 녹였을 때에 해당하는 물의 양.

눈밀도 ( - 密度, snow density)
  단위체적당 눈덩이의 질량. 질량에는 액체 상태의 물성분의 질량이 포함되고, 부피에는 자연적인 빈 공간이 포함됨.

눈사태 ( - 沙汰, avalanche)
  산사면을 따라 급작스럽게 무너져 내리는 눈과 얼음더미. 때때로 흙, 바위 또는 여러 종류의 잡석 등과 섞여 있음.  → 사태.

눈사태 방호시설 ( - , avalanche protecting facilities)
  적설지역에 눈사태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시설.

뉴매틱 리베터 ( - , pneumatic riveter)
  압축공기로 작동하는 리벳을 박는 기계.

뉴매틱콘크리트타설기 ( - 打設機, pneumatic concrete placing machine)
  이동대차 위에 콘크리트펌프를 설치하고 터널공사의 콘크리트 복공을 하는 기계.

뉴매틱해머 ( - , pneumatic hammer)
  → 공기해머.
뉴우톤유체 ( - 流體, Newtonian fluid)
  유체의 경계층에서 전단응력과 각 변형률간의 관계를 선형으로 가정하는 뉴우튼의 마찰법칙을 따르는 유체.

니들밸브 ( - , needle valve)
  보통 관로의 도중에 배치하여 유량을 조절하는, 중심에 니들이 있는 밸브. 니들은 이중관으로 되어있어 하나의 관의 출입에 의하여 출구와의 개도가 변함. 그의 개폐는 니들의 안에 관로의 물을 보내어 그의 수압을 이용하는 것이 많음.

니딩콤팩터 ( - , California kneading compactor)
  캘리포니아 반죽다짐 시험기로 역청 혼합물의 공시체 조제에 사용.

니 브레이스 ( - , knee / angle brace, brace strut)
  수평재와 수직재가 만드는 우각부를 보강하기 위해 설치하는 사재.  →귀잡이.

니수식 쉴드 (泥水式 - , slurry shield)
  쉴드의 일종으로 선단부에 막장면의 토압에 대응하여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니수챔버가 있는 쉴드.

니켈강 ( - 鋼, nickel steel)
  탄소강에 Ni를 첨가하면 강도 경도 인성을 향상시킬 뿐만이 아니라, 변태점이 낮아지기 때문에 열처리에 의한 변형과 열균열 등의 피해를 적게함. 구조물용의 Ni강은 1.5~ 5 % (통상 2.0~3.5 %)를 함유하며, 필요에 의해 Cr 등 다른 원소를 첨가함. 저온압력용기용 Ni강으로서는 9 % Ni강 등 여러종류가 있음. 그외에 내식용으로서 니켈 grat강이 있으며, 표면에 Ni을 피복함.

니트라인 ( - , neat line)
  벌근 또는 구조물의 계획선, 또는 지정한계선.

니트로박터 ( - , nitrobacter)
  암모니아의 질산화 과정 중에 작용하는 미생물의 하나로 아질산성 질소를 질산성 질소로 산화시킴.

니트로사민 ( - , nitrosamines)
  N-니트로소 화합물로 발암성이 매우 크고 또한 돌연변이와 기형을 유발하는 물질임. 낮은 pH에서 아질산이온과 아민류사이의 반응에 의하여 만들어지며 발암성물질의 전구물질이 되므로 음료수중 질산성질소의 규제원인이 됨.

니트로소모나스 ( - , nitrosomonas)
  암모니아의 질산화 과정중에 작용하는 미생물의 하나로 암모니아를 아질산성 질소로 산화시킴.

니트시멘트 ( - , neat cement)
  굳지 않은 상태의 수경성시멘트.

니트시멘트풀 ( - , neat cement paste)
  응결, 경화전 또는 후의 수경성 시멘트와 물의 혼합물.

닐슨교 ( - 橋, Nielsen bridge)
  아치리브와 보강보를 경사지게 배치한 케이블 혹은 봉강으로 연결하여 형성한 로제교.  Nielsen이 고안 하였음.

님비 ( - , NIMBY)
  not in my back yard의 약어로 각종 공해물질의 피해를 가능한 한 덜 받기 위하여 쓰레기 매립장이나 소각장 등, 혐오시설을 자기의 주거지에서 먼 곳에 설정하려는 경향.

다각망 (多角網, traverse network)
  결합다각형, 폐다각형, 개다각형이 필요에 따라 그물모양으로 연결된 것으로 Y형, X형, H형, O형, A형의 다각망이 있음.

다각측량 (多角測量, traverse surveying, traversing)
  측선의 거리와 그 측선들이 만나서 이루는 수평각을 관측하여 각 측선의 경거, 위거(X, Y)를 계산하고 각 측점의 좌표를 구함으로써 기준점 또는 도근점의 수평위치를 결정하는 기준점측량의 한 방법임. 트래버스측량이라고도 함.

다공성매질 (多孔性媒質, porous media)
  수리학적 특성에 비추어 볼 때 연속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연결된 틈새를 포함하고 있는 투수성 물질.

다공질벽돌 (多孔質 - , porous brick)
  벽돌 가운데 흡수율이 비교적 큰(14.5 %정도) 붉은 벽돌을 말함.

다공질슬래브 (多孔質 - , porous slab)
  콩자갈 만을 골재로 한 철근콘크리트제로, 특별히 다공질로 만든 슬래브. 여과지의 여과상으로 쓰임. 다만 물은 통과하지만 모래는 통과하지 않는 정도의 다공질이어야 함.

다공질콘크리트 (多孔質 - , porous concrete)
  물이 비교적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제조된 콘크리트. 재료는 주로 시멘트풀과 굵은 골재이고, 배수토관이나 수로 등에서 배수의 목적으로 사용됨.

다공질흡음재 (多孔質吸音材, porous material)
  유리섬유, 석선, 선, 모포, 텍스 등의 다공성의 대표적 흡읍재료. 세밀한 섬유나 세공에 음이 주입할 때에 음의 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흡음이 행해짐. 저음역에서 보다 중․고음역의 흡음율이 높음. 다공질재료의 배후에는 공기층을 설치하여야 저음역의 흡수를 증가함.

다공판 (多孔板, porous plate)
  토립자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물은 자유롭게 유통시킬 수 있도록 만든 다공질의 판. 투수, 압밀, 삼축압축, 전단시험 등에 이용되며 재료는 모래, 금속, 플라스틱, 세라믹 등임.

다극점 용접기 (多極点 鎔接機, multi electrode spot welding machine)
  다극 스폿(spot) 용접에 사용되는 여러개의 전극을 갖는 용접기.

다년저수량 (多年貯水量, multi-annual storage)
  일년 이상의 기간 동안에 걸친 유입량과 수요량의 변동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물부족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극복할 수 있도록 저수지에 저류될 수 있는 물의 체적.

다년평균 (多年平均, multi-annual mean)
  수년에 걸쳐 연중 주어진 날짜 또는 기간 중에 발생한 수문학적 양의 산술평균. 예를 들어 4월에 대한 다년평균 월유량은 몇년간의 모든 4월의 월 평균유량의 산술평균임. 반면 월 평균유량은 월중 유출량의 체적을 해당월의 기간으로 나눈 값.

다단소각로 (多段燒却爐, multiple hearth incineration)
  소각로의 일종으로 로는 입식이고 내부는 여러층의 노상으로 되어있으며 주로 슬러지의 소각에 가장 많이 보급되었음. 비교적 구조가 단순하고, 내구성이 좋고,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부하변동에 적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건설비가 높고 공해물질의 배출 및 폭발의 위험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음.

다단폭기 (多段曝氣, cascade aeration)
  방류수의 수질향상과 용존산소의 증가를 위한 후폭기 방법의 일종으로 물의 흐름에 여러개의 낙차를 두어 산소를 용해시키는 방법.

다듬너트 ( - , finished nut)
  접착면 및 윗면의 표면의 거칠기 및 형상, 치수의 정밀도가 좋은 너트. 마무리너트라고도 함.

다듬돌 (切石, ashlar)
  일정한 모양으로 다듬은 돌.

다듬볼트 ( - , finished bolt)
  접착면, 원통부 및 머리부 윗면의 표면의 거칠기 및 형상, 치수의 정밀도가 좋은 볼트. 마무리볼트라고도 함.

다듬질 ( - , trimming)
  강재가공에 있어서, 소정의 형상에 대하여 불필요한 부분, 가시 접합부의 덧붙임 비드(beed)찌꺼기 등을 제거하여 평활하게 하는 작업.

다림추 ( - 錘, plumb, bob)
  원추상의 추를 가는 실에 매달은 것으로, 연직도의 계측이나 기계를 설치하는 등에 쓰임.

다목적계획 (多目的計劃, multiple-objective planning)
  정책 결정 과정에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목적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투자와 유지 계획의 기여도를 분석하는 수자원 계획의 한 방법.

다목적댐 (多目的 - , multipurpose dam)
  둘 이상의 목적을 위해 계획되고 운영되는 댐. 이에는 홍수조절, 각종 용수의 공급과 발전, 주운 및 관광 등 목적이 포함됨.

다목적사업 (多目的事業, multiple-purpose project)
  홍수 조절, 수력 발전, 주운, 관개, 어로, 용수 공급, 여가 활동 등 하나 이상의 목적을 위하여 계획, 건설, 운영되는 사업.

다발철근 ( - 鐵筋, bundled bars)
  평행하게 접해 있는 4개 이상의 철근이 다발로 된 것으로서 띠철근, 또는 스터럽으로 둘러싸인 것.

다상흐름 (多相 - , multiple-phase flow)
  둘 또는 그 이상의 상태가 동시에 나타나는 흐름.

다시 ( - , Darcy)
  고유투수성의 측정단위. 1 기압/cm의 압력경사일 때 1cm2의 단면적을 통하여 유량 1cm3/s이 흐를 때 액체의 동점성이 1센티포아즈인 매질의 투수성으로 정의됨.

다시계수 ( - 係數, Darcy coefficient)
  물질의 투수성을 양적으로 표시하는 척도. 공극조직의 형상에 따라 결정되며 보통 m/day, ft/day의 단위가 사용됨.  → 투수계수.

다시공식 ( - 公式, Darcy’s formula)
  낮은 레이놀즈수의 층류조건에서 다공성 매질을 통하여 흐르는 액체의 상대 유량의 비율을 동수경사로 나타내는 공식. 즉, v = kh/L = ki이며, 여기서 v는 평균유속, k는 투수계수, i는 일정 구간의 수두손실과 거리의 비로 나타내는 동수경사임.

다시법칙 ( - 法則, Darcy’s law)
  다공질매체중의 간극을 통과하는 침투류의 유속이 동수경사에 비례한다는 것을 다시가 실험적으로 보여 제안한 법칙임. 두점간을 직진한다고 했을 때 유속 v와 동수경사 i는 v = ki의 관계를 가짐. 여기서 k는 투수계수.  → 다시 공식.

다아비 ( - , darby)
  콘크리트의 마무리를 돕기 위하여 고르기작업 초기에 사용되는 1~2.5m 또는 그 이상의 긴 수동의 평탄작업용 흙손.

다우웰 ( - , dowel)
  주로 전단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물체와 물체사이에 설치하는 앵커용의 강재. 듀벨이라고도 함.

다우웰바 ( - , dowel bar)
  → 다우웰철근.

다우웰철근 ( - 鐵筋, dowel bar / reinforcement)
  콘크리트 포장판의 줄눈을 가로질러 매입되는 직경 22~25 mm, 길이 50~70 mm의 강봉이며 일단을 고정하고 타단은 자유로이 미끄럼 구조로 하여 한쪽 판의 응력을 다른 판에 전달하는 작용을 함.

다운홀시험 ( - 試驗, down hole test)
  속도검층의 일종. 진원은 지표 또는 굴절공 근방에 천공한 시추공내에 설치되고, 진동을 관측하는 수진기는 굴절공 시추공 저면에 설치됨. 동일진원부터 P파와 S파를 동시에 발생시키는 것은 드물고, P파용 진원에 의해 P파, S파용 진원에 의해 S파를 별도로 발생시키는 것이 일반적 임.
  → 공내 탄성파 시험.

다이너마이트 ( - , dynamite)
  토목공사나 광산 등에서 암석을 굴착할 때 사용되는 폭약으로서 주로 니트로 글리세린과 면화약으로 되어있고, 니트로글리세린의 함유량에 따라서 폭파력이 다름.

다이번 ( - , die burn)
  맞대기 저항용접에 있어서 용접전류를 통했을때, 부적당한 용접조건으로 인하여 전극다이(die)의 접촉면 또는 그 근처에 생기는 모재의 표면의 흠.

다이아몬드드릴 ( - , diamond drill)
  다이아몬드錐. 천공기 끝에 다이아몬드를 박은 드릴. 경강, 유리, 석재 등에 구멍을 뚫을 때 사용하는 다이아몬드 비트.

다이아몬드메쉬 ( - , diamond mesh)
  금속성 라스(lath)의 한 형식으로서 금속판에 다이아몬드형 빈틈을 뚫거나, 넓히거나 해서 제조된 기하학적 형태의 금속라스.

다이아몬드보링 (金剛石試錐, diamond boring)
  다이아몬드 비트를 사용하는 회전식 코아보링의 하나. 지반조사.

다이아몬드비트 ( “金剛石 - ” , diamond bit)
  암석시추용 로터리보링에 사용하는 비트의 일종으로, 브랭크 비트에 다이아몬드를 박아서 주조(鑄造) 또는 소결(燒結)한 것.

다이아몬드 크로싱 (菱形輟叉, diamond crossing)
  두 선로가 평면교차하는 개소에 사용하며 직각 또는 사각으로 교차하도록 부설된 분기기.

다이아몬드톱 ( - , diamond saw)
  다이아몬드 커터를 사용하는 톱.

다이아몬드형 인터체인지 ( - 形 - , diamond interchange)
  주도로와 부도로를 입체구조물로 분리하고 연결로는 직선형을 가지는 가장 단순한 형태의 입체교차로로서 연결로와 부도로가 만나는 지점에는 평면 교차로가 형성됨.

다이아지논 ( - , diazinon)
  농약의 일종으로 광범위한 해충에 유효한 독성이 매우 강한 살충제.

다이아프램 ( - , diaphragm)
  ① 두 구역을 분리 시키는 칸막이.
  ② 박스(box)형 단면 등의 폐단면 부재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내부에 부재축에 직각으로 배치하는 판. 휨을 받는 상형단면부재의 좌굴현상을 방지하고, 비틀림에 대하여 단면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설치됨.

다이아프램펌프 ( - , diaphragm pump)
  다이아프램(막판)과 구형의 밸브로 양수하는 펌프.

다이알 게이지 ( - , dial gauge)
  길이의 변화량, 처짐 또는 두께를 측정하는데 쓰이는 기계적 계측기. 랙(rack)과 피니언(pinion)및 평균차에 의하여 측정봉 위치의 변화가 지침의 확대된 회전운동으로 변하여 원형의 눈금판 위에 나타남.

다이옥신 ( - , dioxin)
  폴리 염소화 디벤조-p-다이옥신의 총칭. 아주 미량으로도 독성이 강하며 폐기물의 소각시 플라이 애쉬(fly ash) 및 배기가스에서도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이태리 세베소의 ICMESA화학공장 폭발사고, 미국 미주리주 타임스 비치에서의 토양오염사건 등이 유명함.

다이크 ( - , dyke)
  빗물 등이 노견으로 흘러 비탈면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흙, 떼, 아스팔트 콘크리트나 콘크리트 등으로 한 물막이 시설.

다절면 (多折面, multi folding plate vault)
  몇개의 절판면을 조합해서, 통형의 구조를 만드는 구조방식.

다주식기초 (多柱式基礎, multi-column foundation)
  여러개의 연직재, 강관, H 강, 말뚝 등의 일부분을 지중, 하천밑, 해저 등에 설치하고, 노출된 부분의 머리를 연결한 지지부로써 상재하중을 받는 형식의 기초.

다중상관 (多重相關, multiple correlation)
  두 변수 이상의 변수에 대한 상호 종속성.

다중상관계수 (多重相關係數,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에서 종속 변량의 실제 값과 회귀식으로 주어지는 값 사이의 상관을 나타내는 일차 모멘트의 곱.

다중엇갈림구간 (多重 - 區間, major weaving section)
  고속도로에서 여러 개의 진출입부나 분기도로가 인접하게 위치하여 엇갈림 교통류가 동일구간에 수 개 발생하는 구간.

다중파장대사진 (多重波長帶寫眞, multi-spectral photo)
  각 파장별 반사율의 차이를 이용하여 관측의 파장대마다 기록한 것.

다중회귀 (多重回歸, multiple regression)
  둘 이상의 독립 변량에 대한 하나의 종속 변량의 회귀.

다지관 (多枝管, manifold)
  → 다지관수로.

다지관수로 (多枝管水路, branching pipe line)
  한 개의 교차점을 갖고 여러 갈래로 갈라져 수조 또는 저수지에 연결되어 있는 관로.


다지교차 (多枝交叉, multi-leg intersection)
  5개 이상의 가지를 가진 교차, 통상의 교차점은 4지를 가지고 있음.

다지기 ( - , tamping)
  다짐대 또는 진동기 등을 사용하여 콘크리트에 진동을 줌으로써 콘크리트가 철근의 둘레 및 거푸집의 구석구석까지 잘 돌게 하여 콘크리트의 밀도를 증가시키는 작업. 다른 시멘트계 혼합물, 흙, 골재 등에도 같은 작업을 하는 수가 있음.

다짐 ( - , compaction)
  전압(轉壓) 등에 의해 흙의 밀도를 증가시켜 그 역학적성질을 개선하는 것.

다짐계수 ( - 係數, compaction factor)
  규정된 표준치수와 형상의 표준 시험조건으로 채워 넣은 콘크리트 중량을 같은 용기 속에 완전히 다져진 콘크리트 중량으로 나눈 비.

다짐곡선 ( - 曲線, compaction / moisture-density curve)
  흙을 어떤 일정한 방법으로 다진 경우의 함수비와 건조밀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 최대건조밀도와 최적함수비가 얻어짐.

다짐공법 ( - 工法, compaction method)
  흙 댐의 토질 차수벽 등에서와 같이 토사를 두께 20~30 cm 정도 깔아 펴고 타이어롤러, 탬핑롤러 등으로 다져서 차수벽의 수밀성 및 강도를 증대시키는 공법. 전압공법이라고도 함.

다짐기계 ( - 機械, compaction equipment)
  흙을 다지는 기계. 전압식, 진동식, 충격식 롤러 등이 있음.

다짐대 ( - , tamping rod)
  콘크리트의 다지기에 사용하는 선단이 반구모양으로 된 막대 모양의 기구. 다집봉이라고도 함.

다짐도 ( - , degree of compaction)
  흙의 다짐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어떤상태의 건조밀도와 최대건조밀도의 비. 일반적으로 백분율로 표시함.


다짐말뚝 ( - , compaction pile)
  느슨한 모래층을 다져서 안정도를 증대시킬 목적으로 콘크리트 등의 극히 짧은 말뚝을 서로 접근시켜 박은 말뚝.

다짐모래말뚝 ( - , sand compaction pile)
  진동 혹은 충격하중에 의해 지반중에 타설되는 모래말뚝. 다져진 모래말뚝군을 조성함과 동시에 모래말뚝주변의 지반을 개량함. 연약지반이나 느슨한 모래질지반에 적용됨.

다짐봉 ( - 棒, tamping rod)
  → 다짐대.

다짐시험 ( - 試驗, compaction test)
  다짐에너지, 함수비, 건조밀도 등의 관계로부터 다짐곡선을 구하여 최적함수비와 최대건조밀도를 구하기 위한 시험.

다짐에너지 ( - , compaction energy)
  흙의 다짐과정에서 가해지는 에너지. 전압(轉壓), 진동, 충격의 형태로 주어짐.

다짐일 ( - , compaction effort)
  흙을 다지는 과정에서 가해지는 일량.

다짐흙쌓기 ( “ - 盛土, compaction fill)
  다짐기계 및 래머 등의 기계를 이용하여 1회에 규정된 두께의 수평층이 되도록 다짐한 성토.

다차선도로 (多車線道路, multilane highway)
  도로용량분석에서는 편도 2차선 이상의 도로로서 방향별로 분리되어 있지 않거나 완전한 유출입통제가 되어있지 않고, 신호 등의 간격이 3 km이상이어서 회전교통량으로 인한 지체가 거의 없는 지방부 도로를 말함.

다층방식 (多層方式, multilevel system)
  항공 여객 터미널 수직 배치 형태의 일종. 국제선 이용 승객이나 승객이 많은 공항에서 대규모로 승객 및 화물을 원활히 처리하기 위한 3층 이상의 건물 구조를 갖는 터미널 방식.

다층여과 (多層濾過, multi-layer filtration)
  입도가 다른 여러 종류의 여재를 사용하여 여과하는 방식. 상층에 안트라사이트, 중층에 모래, 하층에 비중이 큰 가는 모래 등을 사용하며 역세척시 입자의 비중 차에 의하여 상층에 큰 입자가 위치하게 됨. 하향류 여과시 대형부유물은 상층에, 미소부유물은 하층에서 제거되므로 막힘현상이 줄어 여과능력이 높음.

다층용접 (多層鎔接, multi layer weld)
  단면이 큰 용접부를 여러 번 겹쳐서 형성시키는 용접.

다항식조정법 (多項式調整法, polynomial adjustment)
  미지수와 관측값의 상관관계를 다항식으로 모형화(modeling)한 후 그 다항식을 이용하여 필요한 값을 도출하는 방법을 말함. 사진측량에서는 사진모형(model)을 종방향으로 접합한 종접합모형(strip)을 기준점 좌표와 연계시켜 다항식으로 절대좌표를 구하는 조정방법임.

다회선 철탑 (多回線鐵塔. , multi circuit steel tower)
  하나의 철탑위에 5회선이상의 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

단가계약 (單價契約, unit price contract)
  계약 금액을 정하는데 있어 우선 각 공사 종류마다 단가를 정하여 공사 수량에 따라 계약 총금액을 구하는 계약 방법.

단각법 (單角法, method of single observation)
  각을 관측하는 한 방법으로서 1개의 각을 1회 관측하는 방법임.

단강 (鍛鋼, forged steel)
  킬드강괴를 연속단조, 또는 압연과 단조에 따라서 형성한 것.

단강품 (鍛鋼品, steel forgings)
  적당한 단련성형비를 주도록 강괴 또는 강편을 단련성형하고 소정의 기계적성질을 주기 위하여 열처리한 것. 큰 구경의 축 등의 중요한 부품에 사용됨. 합금강의 단강품은 SFV로 부르고 킬드강괴에서 프래스, 해머 또는 링밀에 의해 제조됨. 합금강단강품은 원자로나 기타의 압력용기부품에 사용됨.

단거리 이착륙기 (短距離 離着陸機, short take-off landing aircraft)
  활주로 길이가 짧아도 이착륙이 가능한 항공기 FAA 기준에 의하면 출발점에서 활주하여 고도 15 m 에 도달하는 수평거리 또는 고도 15 m에서 착륙정지하기 까지의 거리가 610 m 이하의 성능을 가지는 항공기.  약어 : STOL.

단계건설 (段階建設, stage construction)
  4차선 전제의 2차선 건설과 같이 단계수요에 적응함과 동시에 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도모하기위하여 전체 계획의 일부를 먼저 건설하고 필요에 따라 나머지 부분을 뒤에 건설하는 것. 단계시공이라고도 함.

단계시공 (段階 施工, stage construction)
  → 단계건설.

단계저하시험 (段階低下試驗, step-drawdown test)
  몇몇 상이한 수준으로 양수 속도를 유지하면서 우물로부터 양수하는 양수 시험.

단구 (段丘, beach berm)
  해변에서 육지쪽이 파랑에 의한 퇴적으로 거의 수평하게 된 부분.

단기교통개선계획 (短期交通改善計劃, transportation improvement program)
  교통시설공급계획과 교통수요관리계획을 포함하며, 특히 교통개선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투자예산 계획과 사업집행계획을 연결하여 교통정비기본계획을 수용하고 보완하는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계획.  약어 : TIP.

단기수문예보 (短期水文豫報, short-term hydrological forecast)
  예측이 실시되는 시점의 이틀 후까지 수문 요소의 장래값을 예측하는 것.

단기안정문제 (短期安定問題, short-term stability problem)
  하중의 변화직후가 가장 위험한 것과 같은 종류의 안정문제. 연약지반상의 성토나 지진시의 문제가 대표적인 예임. 하중상태가 변화한 후 시간과 더불어 안전율이 감소해가는 장기안정문제와 대비됨.

단기예보 (短期豫報, short-term forecast)
  예보기간이 48시간 이내인 예보. 24시간 이내의 일기예보도 포함됨.

단독몰드방식 (單獨 - 方式, individual mold method)
  거푸집 자체를 인장대로 하고 긴장재의 반력은 거푸집이 받게 하여 프리텐션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단동식항타기 (單動式抗打機, single acting pile hammer)
  기체의 압력으로 램을 올린 다음 자연낙하 시켜서 말뚝을 박는 항타기.

단립골재 (單粒骨材, single sized aggregate)
  대부분의 입자가 어떤 좁은 입도범위의 크기로 되어 있는 골재.

단립도 골재 (單粒度 骨材, single sized aggregate)
  → 단립골재.

단면 (斷面, section)
  물체의 어느 점에서 평면으로 절단하였다고 생각할 때 그 물체와 평면과의 공통점으로 이루어지는 평면도형.

단면계수 (斷面係數,  section modulus)
  단면의 중립축에 대한 단면 이차 모멘트를 중립축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점까지의 거리로 나눈 값.

단면 극 2차 모멘트 (斷面 極 2次 - , polar moment of inertia of area)
  평면도형을 미소 부분으로 나누고, 각 미소요소 면적에 어느 한 점으로부터 미소요소까지의 거리의 제곱을 곱하여 그 도형 전체에 걸쳐 적분한 물리량.

단면력 (斷面力, stress resultant)
  평형 상태에 있는 구조물 또는 그 구성 부재를 한 평면에 의해 두 부분으로 절단했다고 생각할 때, 그 가상 단면을 통해 한쪽 부분이 다른 부분에 서로 작용시키고 있는 힘으로서 축방형력, 전단력, 휨 모멘트, 비틂 모멘트 등이 있음.

단면법 (斷面法, method of section)
  트러스의 부재력을 구하는 방법의 일종. 트러스를 임의의 가상 단면으로 양분했을 때 어느 한쪽 부분에 작용하는 외력과 가상절단면에 의하여 절단된 부재의 내력이 평형 상태에 있다는 조건을 이용하여 부재력을 구하는 방법.

단면 산정 (斷面 算定, proportioning of section)
  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부재에 가장 불리한 하중 조건에 의하여 그 부재에 발생하는 응력이 사용된 재료의 허용응력 이하가 되도록 단면의 치수를 결정하는 작업.

단면 상승 모멘트 (斷面 相乘 - , product moment of inertia of area)
  단면의 미소 면적에 그 미소 면적의 좌표 x와 y를 곱하여 전 단면에 걸쳐 적분한 양.

단면수축계수 (斷面收縮係數, coefficient of contraction)
  흐름단면의 수축 비. 원래의 단면적에 대한 수축된 단면적의 비로 나타냄.

단면의 도심 (斷面 - 圖心, centroid of area)
  좌표축에 대한 주어진 단면의 단면 1차모멘트를 단면적으로 나눈 값의 좌표에 해당하는 위치.

단면의 주축 (斷面 - 主軸, principal axes for area)
  주어진 단면의 도심을 통과하는 축 중에서 단면 1차모멘트가 최대 또는 최소로 되는 축.

단면의 중심 (斷面 - 中心, centroid of area)
  → 단면의 도심.

단면의 핵 (斷面 - 核, core of cross section)
  주어진 단면의 도심을 포함하는 영역으로서, 이 영역 내에 작용하는 압축력과 인장력은 각각 전단면에 걸쳐 압축 응력 또는 인장응력 만을 발생 시킴.

단면 2차 모멘트 (斷面 二次 - , moment of inertia of area)
  평면도형을 미소 요소로 나누고, 각 미소요소의 면적에 임의의 축으로부터 미소요소까지의 거리의 제곱을 곱하여 그 도형 전체에 걸쳐 적분한 물리량.

단면 1차 모멘트 (斷面 一次 - , geometrical moment statical moment)
  평면도형을 미소 요소로 나누고, 각 미소요소의 면적에 임의의 축에 직교하는 축에 대한 미소요소의 좌표를 곱하여 그 도형 전체에 걸쳐 적분한 물리량.

단면 회전 반지름 (“斷面 二次 半經”, radius of gyration of area)
  최소 단면 이차 모멘트를 단면적으로 나눈 것의 제곱근.

단보강재 (端補强材, end stiffener)
  판형의 지점부에 설치하는 보강재.

단부거푸집 (端部 - , edge form)
  플래트슬래브에 콘크리트를 쳐 넣을 경우 그 끝면의 칸막이를 위해 사용하는 거푸집.

단부구속응력 (端部拘束應力, stresses due to end restraint)
  콘크리트 슬래브의 단부, 즉 줄눈에서 온도에 의한 슬래브 활동을 제한하려는 응력.

단부보강철근 (端部補强鐵筋, edge-bar reinforcement)
  슬래브단부의 보강을 위하여 단부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는 대신 더 넣는 인장강재.

단부 열처리레일 (端部 熱處理軌條, end-hardened rail)
  레일 끝닳음을 방지하기 위해 이음매 충격이 발생하는 레일 끝부분을 열처리하여 경도를 높게한 레일.

단부정착장치 (端部定着裝置, end anchorage)
  포스트텐션 부재에 있어서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 힘을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계적 장치.

단부 조건 (端部 條件, end condition)
  부재 끝 부분의 지지 상태.

단분기기 (單分岐器, single track)
  가장 일반적인 기본형 분기기로서 직선에서 적당한 각도로 좌우로 분기하는 분기기.

단사진측량 (單寫眞測量, single photogrammetry)
  입체시를 사용하지 않고 한 장의 사진만으로 수평위치(x, y)를 정하거나 도화하는 사진측량임.

단선 (單線, single track)
  한개의 선로로 부설되어 열차운전에 사용하는 선로.

단속용접 (斷續鎔接, intermittent weld)
  부재의 접속부의 길이가 길어서 접속부 전부를 용접할 필요가 없을 때에 필요한 용접길이가 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용접하는 방법.

단순보 (單純 - , simple beam)
  두 개의 지점으로 지지되며 그 한쪽은 롤러 지점, 다른 한쪽은 회전 지점인 정정보.

단순슬래브 (單純 - , simple slab)
  슬래브의 4변이 단순지지된 슬래브.

단순전단시험 (單純剪斷試驗, simple shear test)
  직방체 또는 원반형태의 공시체 상하면에 수직력과 전단력을 가하여 일정한 단순전단변형을 일으키는 시험.

단순조압수조 (單純調壓水槽, simple surge tank)
  수력발전소의 터어빈으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조절하여 과도한 수압 또는 수력작용을 방지하도록 하는 조압 수조의 일종. 수조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음.

단순 지지연 (單純 支持緣, simply supported edge)
  판 구조물의 직선형 지지부로서, 지지부를 따라 처짐과 휨 모멘트가 발생하지 않는 지지부.

단순 트러스 (單純 - , simple truss)
  3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삼각형 트러스에서 시작하여 여기에 두 개의 부재를 연결하여 새로운 절점을 형성하여 생긴 트러스에 또다시 두 개의 부재를 연결하여 새로운 절점을 형성하는 방법을 반복하여 만들어 지는 내적으로 정정한 트러스. 단순 트러스에 3개의 구속을 가하면 정정 트러스가 되고, 4개 이상의 구속을 가하면 외적 부정정 트러스가 됨.

단열감률 (斷熱減率, adiabatic lapse rate)
  → 단열 체감률.

단열냉각 (斷熱冷却, adiabatic cooling)
  단열적으로 상승한 공기가 주위공기와의 기압차에 의해 팽창할 때 온도가 내려가는 현상.

단열변화 (斷熱變化, adiabatic change)
  주위와의 열교환이 없이 대기중의 공기덩이가 기압의 변화에 따라 기온의 변동을 일으키는 과정. 단열과정이라고도 함.

단열삼각망 (單列三角網, single row triangles)
  거리가 먼 2점의 관계위치를 결정할 경우 또한 폭이 좁고 거리가 먼 지역에 적합하고, 하천측량, 노선측량, 터널측량 등에 이용됨. 또한 거리에 비하여 관측수가 적으므로 측량이 빠르고 측량비가 적게 들지만 조건식이 적기 때문에 정확도가 낮음.

단열양생 (斷熱養生, adiabatic curing)
  콘크리트 공시체를 단열재로 둘러싸고 공시체의 주위를 공시체 내와 같은 온도가 되도록 하여 양생하는 것.

단열재료 (斷熱材料, thermal insulatory materials)
  열을 차단할 수 있는 성능을 가진 재료. 열전도율이 0.06~0.07 kcal/mh 이하의 것이며 보통 다공질의 재료가 많음.

단열체감률 (斷熱遞減率, adiabatic lapse rate)
  공기의 지표면에서 부터 거리에 따르는 기압차에 의한 온도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건조한 공기는 100 m 상승함에 따라 약 1 ℃씩 온도가 강하함. 온도의 변화량이 이 보다 큰 경우는 과단열체감, 작은 경우는 미단열체감이라고 함.

단열층 (斷熱層, insulating layer)
  흙 속의 온도가 빙점 이하로 내려갈 때 온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시공하는 층.

단열콘크리트 (斷熱 - , insulating concrete)
  단열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된 콘크리트 즉 콘크리트 타설 시 공기연행제를 혼합하던가, 또는 경량골재를 이용하면 콘크리트 내부에 미세한 공극이 발생하여 열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도록 제조된 콘크리트.

단열팽창 (斷熱膨脹, adiabatic expansion)
  단열과정에서의 공기의 팽창.

단위 굵은골재 용적 (單位 粗骨材 容積, unit volume of coarse aggregate)
  굵은단위 골재량을 그의 굵은 골재의 단위용적중량으로 나눈 값.

단위도 (單位圖, unit hydrograph)
  특정 지속기간 동안 유역에 균등하게 발생한 단위 유효우량에 의해 나타나는 직접유출 수문곡선.

단위시멘트량 (單位 - 量, unit weight of cement)
  콘크리트 1 m3를 만들 때 쓰이는 시멘트중량.

단위연장시간 (單位延長時間, unit vehicle extension interval)
  감응신호제어에서 초기 녹색시간 종료후 차량의 통행요구가 감지될 때 차량을 한 대 더 통과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서 이 시간 단위로 녹색시간을 연장시킴.

단위유량도 (單位流量圖, unit hydrograph)
  → 단위도.

단위 중량 (單位 重量, specific / unit weight)
  단위체적당의 중량. 단위체적중량이라고도 하며 kg/cm3, t/m3 등의 단위를 씀.

단위 체적 변화 (單位 體積 變化, unit volume change)
  주어진 고체에 외력이 작용하여 부피의 변화가 발생했을 때 원래의 부피에 대한 부피 변화량의 비.

단위체적중량 (單位體積重量, unit weight)
  → 단위중량.

단위 하중 (單位 荷重, unit load)
  보통 크기가 1 인 하중. 곧, 크기가 1 kg이나 1 ton인 하중.

단위 하중법 (單位 荷重法, unit load method)
  가상일의 원리와 상반의 정리를 응용하여 구조물의 처짐을 구하는 방법. 주어진 구조물의 처짐을 구하고 싶은 곳에 단위하중을 재하였을 때 단위하중이 실제 하중에 의하여 발생한 처짐에 대하여 한 일은 단위하중이 재하된 곳에서의 실제하중에 의한 처짐과 같게 됨. 따라서, 상반의 정리에 의하여 단위하중이 재하된 곳의 실제 하중에 의한 처짐은 실제 하중이 단위하중에 의하여 발생한 처침에 대하여 한 일과 같게 되고, 이는 다시 가상일의 원리에 의하여 실제하중에 의한 응력이 단위 하중에 의하여 발생한 변형도에 대하여 한 내적 가상일과 같게 되는 것을 이용하여 처짐을 구하는 방법.

단일기어 (單一 - , single gear)
  항공기의 중량을 주로 지탱시키고 착륙할 때 사용하는 바퀴의 뭉치가 각각 한 개의 바퀴로 되어 있는 주(主)기어의 형태. 바퀴가 한개로 되어 있는 가벼운 항공기에서 주로 장착함.

단일층 방식 (單一層 方式, sigle level system)
  공항 여객 터미널의 수직 배치 형태의 일종으로 승객과 수하물의 처리를 계류장과 높이가 같은 건물에서 수행하며 도착 승객과 출발 승객의 분리도 한 평면상에서 해결하는 방식. 연간 승객 1~2백만명에 적합함.

단일 활주로 (單一 滑走路, single runway)
  활주로의 숫자가 한개인 상태를 의미하는 말.

단전단리벳 (單剪斷 - , single shear rivet)
  리벳이음에서 리벳의 한단면에서만 전단력이 일어나는 구조의 리벳.

단접 (鍛接, forge weld)
  접합하는 부분을 반용융상태로 가열하고, 가압하거나 두들겨 접합하는 금속 용접법.

단접강관 (鍛接鋼管, butt-welded steel tubes)
  강대를 가열하고, 원통형으로 성형한 후, 가열압접법에 의해 이음부를 압착해서 제조하고, 관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한줄의 이음선(straight seam)을 갖는 강관.

단조 (鍛造, forging)
  금속을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고 타격 또는 압력을 가해서 성형하는 작업.

단조강 (鍛造鋼, forged steel)
  단조한 채로 아무런 열처리를 하지 않고 사용하는 강.  → 단강.

단주 (短柱, short column)
  세장비가 작아(강재기둥인 경우 약 100이하) 좌굴이 발생하기 전에 압축응력이 허용응력을 초과하게 되는 기둥.

단차 (段差, ①faulting, step, ②delay time)
  ① 교량 등의 구조물과 포장과의 접속부에서 구조물 연부에 도로의 횡단방향에 생기는 처짐 또는 노체내에 매설되어 있는 횡단관거 등의 전후에 그것에 접해서 생기는 처짐을 말함.
  ② 폭약에 의한 암석 굴착시에 발파진동을 적게 하기 위하여 두는 짧은 시간간격으로 지발뇌관을 이용하여 단차를 조정함.

단차접합 (段差接合, - )
  하수관거의 경사도가 매우 클 때 수세의 완화를 위하여 도중에 단차를 두는 관거의 접합방법.

단책형 이음매판 (短冊形 繼目板, flat splice bar)
  구형 단면의 강판으로 제작되어 레일 두부에서 저부로 힘의 전달이 유효한 구조로 되어 종방향의 서로 다른 레일을 체결하는 장치.

단척레일 (短尺軌條, shorter rail)
  레일 길이에 의한 분류중 길이가 25m 미만인 레일.

단철근 (單鐵筋, single reinforcement)
  철근콘크리트의 휨부재에서 인장철근만을 배치하는 것.

단철근 직사각형 보 (單鐵筋 直四角形 - , singly reinforced rectangular beam)
  철근 콘크리트 휨부재에서 인장철근만을 배치한 직사각형 단면의 휨을 지지하는 구조물 또는 부재.

단층 (斷層, fault)
  지각변동에 의하여 생성된 지층의 어긋남. 규모는 수 cm의 적은 것으로부터 수천 m에 달하는 것까지 있으며 이동방향은 수직방향, 수평방향 및 경사방향 등의 여러가지가 있으며 대체로 파쇄대를 수반하기 때문에 터널공사시 과대용수의 가능성이 있음.

단층마찰면 (斷層摩擦面, slickenside)
  단층이 형성될 때의 마찰로 연마되어 마치 거울과 같이 번쩍이는 면을 보여주는 것으로 단층 마찰면은 작은범위 안에서는 평탄하나 크게 보면 요철이 심하고 긁힌 줄이 생긴 면으로 되어 있어서 단층이동의 방향을 추정하는데 이용되고 전단저항이 낮은 것이 특징임. 단층할면이라고도 함.  → 단층면.

단층면 (斷層面, fault plane)
  단층운동에 의해 미끌림이 발생한 면.

단층샘 (斷層 - , fault spring)
  깊은 지하수로부터 단층을 통하여 흘러나오는 샘.

단층절벽 (斷層絶壁, fault scarp)
  단층면으로 이루어지는 직선상으로 연속되는 급경사의 사면.

단층점토 (斷層粘土, fault clay, gouge)
  단층면을 따라 암반이나 지반이 파쇄되어 형성된 점토. 산사태나 사면붕괴의 원인이 되는 것이 많음.

단파 (段波, ①bore, ②surge, hydraulic bore)
  ① 계단 형태의 불연속적인 파형을 갖는 파로서 대표적인 예로 조석단파(潮夕段波)를 들 수 있음.
  ② 개수로에서 갑작스런 흐름 조건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이동파 또는 일정한 유량이 흐르는 수로에서 수문을 갑자기 열거나 닫을 때 유출수의 전선(前線)이 단상(段狀)이 되어 상류 또는 하류로 전파되는 파.

단파 (短波, short wave)
  파장이 수심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짧은 파.

단파봉파 (短波峰波, short crested wave)
  여러 방향으로 진행되는 파가 중첩되어 파봉선이 짧게 끊어지는 것처럼 보이는 파로서, 자연상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형태의 파랑. 절파(切波)라고도 함.

단회로 (短回路, short circuit)
  반응조내에서 물이 완전혼합되지 않고 유입한 물의 일부가 순간적으로 밖으로 유출되는 현상.

단회류 (短回流, short circuit)
  침전이 잘되게 하기 위하여는 흐름이 정류이어야 함. 난류, 밀도류, 편류, 대류 등은 침전효율을 낮춤. 회전류도 이들과 같은 결과를 가져오며 일부분의 유속이 다른 부분보다 빨라지는 것을 말함.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서는 침전지 중간에 정류벽을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임.

달구 ( - , rammer)
  흙을 다지는데 쓰이는 기구. 굵은 통나무 토막에 가는 통나무 손잡이 4개를 붙인 것. 이것을 두 사람이 들어올렸다 떨어뜨리면서 다짐함.

달구질 ( - , ramming)
  터나 쌓은 흙, 또는 잡석깔기 등을 달구로 다지는 것.

닳음시험 (磨耗試驗, abrasion test)
  같은 종류 또는 다른 종류의 2개의 물체를 서로 마찰시켰을 때에 발생되는 마모의 정도를 알기 위해 하는 시험. 각종 재료의 마모에 저항하는 능력을 시험하기 위한 각종 시험기 및 시험방법이 있음.  → 마모시험.

닳음저항 (磨耗抵抗, abrasion resistance)
  재료 표면의 마찰이나 마모에 대한 저항능력.

닳음층 (磨耗層, wearing course)
  → 마모층.

담금질 ( - , quenching)
  강재 열처리의 한 방법으로 강을 800 ℃ 전후로 가열한 후 물 또는 기름에 넣어서 급냉각 시키는 조작. 강의 조직을 치밀하게 하고 강질을 경화 시키기 위한 것임.

담금질 균열 ( - 龜裂, quench crack)
  철강의 열처리의 과정에서, 급열, 급냉 또는 조직변화 때문에 생기는 균열.

담금질시효 ( - 時效, quenching aging)
  담금질한 강을 장시간 방치 또는 저온으로 달구었다가 서서히 냉각시키면 시간과 함께 조직이 안정된 상태로 변하는 현상.

담수 1) (淡水, fresh water)
  일반적으로 염분농도가 낮으며, 취수하여 음용수로 만들기에 적절하다고 인정되는 자연적으로 생성된 물.

담수 2) (湛水, ponding)
  자연적인 하천 내 연못의 생성 또는 토양표면 위에 외부와 차단된 물의 형성.

담수렌즈 (淡水 - , freshwater lens)
  염수지하수를 떠다니는 담수 덩어리.

담수면적 (湛水面積, reservoir surface, ponding area, flooding area)
  저류된 물에 덮인 수평면적.

담수수두 (淡水水頭, freshwater head)
  대수층의 일정점에서 그 점에 연결된 위압수두계에 의해 측정되는 담수만을 포함하는 수두.

담수심 (湛水深, submerged depth, depth of flooding water)
  논에 용수를 가득 채웠을 때의 수심. 비교적 수심이 얕은 때를 천수, 깊을 때를 심수라고 함.

담수차단벽 (淡水遮斷壁, freshwater barrier)
  염수 또는 기수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담수지하수의 수두를 충분히 유지하는 것.

담수호 (淡水湖, freshwater lake)
  담수로 이루어진 호수. 기수호와 대비됨.

담수화 (淡水化, desalination)
  해수와 기타 염수에서 염분을 제거하여 담수로 만드는 과정. 그 방법으로는 증발법, 냉각법, 용매추출법, 삼투법 등 해수로 부터 담수를 분리시키는 방법과 이온교환법, 전기투석법, 이온삼투법 등 해수로부터 염을 분리시키는 방법 등이 있음.

담염수경계면 (淡鹽水境界面, fresh-salt-water interface)
  담수와 염수 또는 기수를 가르는 경계면. 두 유체간의 천이 구역내 어딘가로 간주됨.

답면 (踏面, wheel tread)
  레일에 접하는 차륜의 원통형으로 마모되는 부분.

당량 (當量, equivalent weight)
  이용가능한 수소 1 gram의 원자나 또는 이것의 화학적 등가량을 함유하는 화합물의 무게.

대각보조재 (對角補助材, diagonal secondary member)
  철탑의 평면에서 주 기둥재를 대각선으로 묶는 부재.

대경구 (對傾構, sway bracing, cross frame)
  교량의 주 구조물 또는 주 들보의 상대변위를 방지하거나, 교량의 강성을 크게 하기 위해서 교축과 수직한 면내에 설치되어, 주 구조물 또는 주 들보를 연결하는 골조구조.

대공표지 (對空標識, air target / photo signal)
  사진측량의 수행에 있어 표정용 기준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기 위해서 사진의 촬영전에 지상에 설치한 표지를 말함. 재료는 천, 베니어판 등이 사용됨. 형상은 사진상에서 명료하게 보이게 하기위해 주위와 강한 대비가 되도록 함.

대기 (大氣, atmosphere)
  지구의 중력에 의해 지규표면에 밀착되어 지구의 회전과 함께 움직이는 기체의 총칭.

대기 계류장 (待機 溪流場, holding apron)
  항공기가 터미널 주기대에 진입할 자리가 없을 경우 잠시 대기시키고자 터미널 구역에 인접시켜 마련한 작은 규모의 계류장.

대기복사 (大氣輻射, atmospheric radiation)
  대기중의 분자성분이나 구름이 복사하는 적외선. 지표면이 복사하는 지면복사 또는 지구복사와 구분됨.

대기상학 (大氣象學, macrometeorology)
  지구규모, 반구규모 또는 대륙규모의 기상변동을 대상으로 하는 기상학의 일부분.

대기수분 (大氣水分, air humidity / moisture)
  물의 다양한 형태 중 하나로서 물이 대기 중에 존재하는 형태.

대기시간 (待機時間, waiting time)
  어떠한 교통수단 또는 시설을 이용할 수 있을 때까지 기다리는데 소요되는 시간.

대기 안정도 (大氣 安定度, atmospheric stability)
  온도의 수직분포에 따라 대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도로 불안정, 중립, 안정으로 구분됨. 일반적으로 상공으로 올라가면 약 100 m 당 온도는 약 1 ℃씩 감소하는데(단열체감율) 실제의 온도변화가 건조단열감율보다 큰 경우를 안정, 같은 경우를 중립, 그리고 작은 경우를 불안정이라고 함. 기온역전은 안정의 전형적인 예임.

대기압 (大氣壓, atmosphere / atmospheric pressure)
  대기의 압력. 기압이라고도 함. 기압의 단위로는 수은주 높이로 표시하는 방법, 밀리바(mb) 또는 헥토 파스칼(hpa) 등이 사용됨.

대기오염 (大氣汚染, air pollution)
  천연 또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유해물질로 대기가 더럽혀지는 것. 비약적인 에너지 소비의 증가로 심각한 문제가 되었으며, 기후변화의 원인으로 추정되기도 함.

대기오염지표 (大氣汚染指標, air pollution index)
  대기오염의 정도를 시민들이 쉽게 알 수 있도록 각종 오염물질의 대기중 농도를 종합 산정하여 1~5의 지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숫자가 작을수록 깨끗한 상태를 나타냄.

대기오염 환경기준 (大氣汚染 環境基準, air pollution standard)
  환경정책기본법에 의하여 국민의 건강보호와 쾌적한 환경을 위하여 설정된 기준으로 오존, 아황산가스, 이산화질소, 탄화수소, 일산화탄소, 부유분진 그리고 납 등의 농도를 규제하고 있음.

대기응결물 (大氣凝結物, hydrometeor)
  대기를 통하여 떨어지거나 떠다니는 액체 또는 고체 입자.

대기지역 (待機地域, holding bay)
  항공기의 지상 이동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항공기를 대기시키거나 또는 통과시키기 위해 활주로와 인접한 유도로 상에 설치하는 지역.

대기행렬 길이 (待機行列 - , queue length)
  어떠한 교통수단이나 시설을 이용하기 위하여 기다리고 있는 사람 또는 차량들의 수.

대기행렬이론 (待機行列理論, queuing theory)
  확률이론을 이용하여 대기행렬체계를 수학적으로 추정하기 위한 이론.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도착하는 패턴의 특성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패턴의 특성 그리고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대기하는 패턴의 특성으로 주어진 상태에서 대기행렬의 상태를 추정하게 됨.

대기확산 (大氣擴散, atmospheric diffusion)
  대기중의 연기나 열과 같은 물질 또는 물리량의 확산. 난류확산의 한 현상.

대기후학 (大氣候學, macroclimatology)
  가장 큰 규모로 기후현상을 연구하는 기후학의 한 분야. 대략 200~40,000 km의 수평범위와 1~120 km의 수직범위에서 105~107초 정도의 시간규모의 현상을 대상으로 함.

대댐 (大 - , large dam)
  규모가 큰 댐. 높이를 기준으로 분류할 때, 일반적으로 15 m이상인 댐을 대댐이라고 함.

대동여지도 (大東與地圖, - )
  고산자 김정호선생이 청구도 완성후 27년만인 철종 12년(1861)에 초판을 손수 각판하여 발간한 우리나라의 지도. 대동여지도는 청구도의 내용을 보충하고 일반사람들이 사용하기 편하도록 분첩절첩식으로 만들어진 약 1/162,000의 지도로서 근대적 의미에서의 우리 나라 지도의 효시라고 할 수 있음.

대류 (對流, convection)
  전도, 복사와 함께 열의 이동형태의 하나. 유체의 운동에 의해 열 등의 물리량이 이동함.

대류성 강수 (對流性 降水, convective precipitation)
  대기의 대류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강수.

대륙붕 (大陸棚, continental shelf)
  대륙 주변의 해역에서 해저경사가 비교적 완만한 부분으로서, 보통은 수심 100∼400 m의 해역을 가리킴.

대륙수문학 (大陸水文學, continental hydrology)
  물의 순환 과정 중 대륙에서의 상태에 중점을 두고 대륙 지역의 수문 과정을 다루는 수문학의 분야.

대리변수 (代理變數, proxy variable)
  일반적으로 조사하기 힘들거나 정량화하기 힘든 중요한 특정 변수 대신에 이와 상관관계가 높고 조사 및 정량화가 용이하여 그 특정변수의 속성을 반영하도록 대신 사용하는 변수.

대리석 (大理石, marble)
  석회암이 지중에서 자연 변질되어 결정화된 변성암 중의 대표적인 석재. 질이 치밀하고 견고하며 무늬가 아름다워 갈면 광택이 나는 석재로서 내장재나 조각재로 많이 이용됨.

대변보조재 (對邊補助材, diamond secondary member)
  철탑의 평면에서 인접한 변의 중앙사이를 묶는 부재.

대수 감소율 (代數 減少率, logarithmic decrement)
  감쇠 진동계에서 구조물의 감쇠 능력을 표시하는 지수로서 연속적인 두 개의 주기에서 최대 진폭의 비에 상용 대수를 취한 값.

대수나선 (對數螺旋, logarithmic spiral)
  각속도를 가지는 반경과 다음식에 따라 변하는 반경에 의해 그려지는 궤도를 말함. 일명 대수곡선이라고도 함.

대수나선법 (對數螺線法, method of logarithmic spiral)
  안정해석시 활동면의 형상으로서 대수나선을 이용하는 방법.

대수성장 (對數成長, logarithmic growth)
  미생물 성장형태의 하나로 미생물량에 비하여 양분이 충분할 경우 미생물이 최대 속도로 증식하는 단계. 활성슬러지를 이 단계로 운영하면 유기물 제거속도는 크나 미생물의 침전성은 좋지 않음.

대수적감소 (對數的減少, logarithmic decrement)
  어떤 감쇠진동계에 초기변위를 주면 자유진동을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쇠효과로 인하여 진폭이 감소하여 멈춤. 이때 진폭이 대수적으로 감소하므로 이를 대수적감소라 함.

대수정규분포 (對數正規分布, log-normal distribution)
  변량의 대수치를 취하여 정규분포로 변환시킨 분포. 갈톤분포라고도 함.

대수층 (帶水層, aquifer, groundwater aquifer, water bearing stratum)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고 투수성이 높은 모래 또는 모래자갈층으로 이루어진 지층. 자유수면의 존재여부에 따라 자유대수층과 압력대수층으로 나눔.

대쉬폿 ( - , dashpot)
  ① 물체의 속도에 비례하여 물체에 작용하는 힘에 저항도록 만들어진 간단한 감쇠장치. 예를 들어 실린더 속 피스톤 양쪽의 기체 또는 기름이 좁은 구멍을 통해 이동함.
  ② 물질의 비선형 응력-변형거동을 나타내기 위한 기호. 로 나타냄. 본 장치를 이용 항만에서 계류삭에 부착하여 선체운동 저감방안 시스템으로 이용되기도 함.

대시 (臺時, equipment hour)
  특정한 공정이나 사업에 주어진 건설장비가 사용되는 시간 수.

대안 (代案, alternatives)
  계획, 운영 및 설계과정에서 고려대상으로 삼고 있는 문제 해결 방안들.

대안거리 (對岸距離, exposure, fetch)
  항만 또는 해안에서 바람에 의한 파의 크기를 추정할 때에 그 지점까지 바람이 일정한 풍속 및 풍향을 가지고 장애물이 없이 바다 위를 불어 온다고 가정하는 거리.

대응수심 (對應水深, alternate depth)
  정상류인 개수로 흐름에서 비에너지가 같을 때 두 개의 수심이 존재할수 있음. 이때 하나의 수심에 대하여 다른수심을 대응수심이라 함.

대일 (臺日, equipment day)
  특정한 공정이나 사업에 주어진 건설장비가 사용되는 날짜 수.

대장공 ( - 工, blacksmith)
  단조․단접 등의 작업원.

대장균군 (大腸菌群, coliform group, E. coli)
  대체적으로 동물의 배설물에서 발견되는 균으로 35 ℃에서 48시간 이내에 lactose를 발효시키는 막대기 형상의 호기성 및 임의성 세균. 병원균보다 저항력이 강하고 검출, 분석이 쉽기 때문에 동물의 배설물에 의한 오염을 파악하는데 사용함.

대조 (大潮, spring tide)
  조석의 간만차(干滿差)가 최대인 때로 매달 음력 보름과 그믐 후 1∼3일후 발생하는 조석.

대조승 (大潮升, spring rise)
  기본수준면으로부터 대조 평균 고조면까지의 높이.

대조차 (大潮差, spring tide range)
  대조시의 간만의 평균차로서, 대조평균간조위(大潮平均干潮位,L.W.O.S.T.)와 대조평균만조위(大潮平均滿潮位, H.W.O.S.T.)의 차로 나타냄.

대조평균고조위 (大潮平均高潮位, high water ordinary spring tidc, H.W.O.S.T)
  대조시의 고조(만조) 평균조위의 기본수준면상 높이.

대조평균저조위 (大潮平均低潮位, low water ordinary spring tidc, L.W.O.S.T)
  대조시의 저조(간조) 평균조위의 기본수준면상 높이.

대중교통(수단) (大衆交通(手段), transit, mass transit / transportation)
  대량의 여객과 화물을 수송하기 위하여 정해진 요금으로 운행예정표에 따라 일정한 노선과 구간을 운행하는 교통수단.

대중교통산업 (大衆交通産業, transit industry)
  대중교통서비스의 공급을 통해서 영리를 추구하는 사업의 총체.

대중교통전용차선 (大衆交通專用車線, exclusive / reserved transit lane)
  특정 대중교통수단이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특별히 할당되어진 차선.

대지 (垈地, building lot)
  원칙적으로 하나의 건축물과 이에 부속되는 건축물이 있거나 건축될 일련의 토지.

대지측량 (大地測量, large area / geodetic surveying)
  지구의 곡률을 고려한 측량으로서 측량지역이 넓은 곳에 사용되며, 기준점의 정밀한 위치 혹은 지구의 형상과 크기를 구하는 측량.  → 측지측량.

대차 (臺車, ①bogie, ②decking truc)
  ① 차량의 주행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테두리. 차량 볼스타, 스프링 등이 장치되어 있음. 차축의 수에 따라 축대차, 2축대차, 3축대차 등으로 분류되고 구조상으로 단대차, 보기대차 등이 있음.
  ② 터널내의 천정부나 높은 곳에 대한 작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적당한 작업대를 설치한 트럭 또는 장치.

대처짐 (大 - , large deflection)
  구조물의 크기에 비하여 처짐이 작지 않아 구조 해석시 형상 변화에 의한 비선형 효과를 반드시 고려하여야 하는 정도의 처짐.

대체도로 (代替道路, alternate road)
  도로공사 등에 의하여 도로의 교통을 차단시킬 경우 그 도로 대신 교통을 처리하기 위한 도로.

대체타당지출법 (代替妥當支出法, alternate justifiable expenditure)
  공동 시설비를 분담하는 사업주체별로 당해 사업에 대한 대체건 설비와 타당 투자액 중 어느쪽이든 적은 금액에서 당해 사업주체가 부담할 전용 시설비를 공제한 금액을 산출하여 그 금액의 합계액에 대한 비율에 따라 공동 시설비를 분배한 금액을 각 사업주체의 분담금으로 하는 방법임.

대칭 구조 (對稱 構造, symmetric structure)
  어떤 축을 중심으로한  구조물의 양쪽 형상과 지점 조건이 서로에 대한 거울상으로 되는 구조.

대칭 좌굴 (對稱 挫屈, symmetric buckling)
  어떤 축을 중심으로한 구조물의 양쪽 좌굴 형상이 서로에 대한 거울상으로 되는 구조.

대칭 하중 (對稱 荷重, symmetrical load)
  어떤 축을 중심으로한 양쪽 하중의 크기 방향, 위치가 서로에 대한 거울상으로 되는 구조.

대칭 행렬 (對稱 行列, symmetric matrix)
  원래의 행열과 전치 행열이 같은 행열.

대칭 휨 (對稱 - , symmetrical bending)
  들보가 그 재축을 지나는 한 평면에 대하여 대칭이고 외력이 모두 이 대칭면 안에 작용하여 변형후 재축의 처짐 곡선도 단면의 대칭면 안에 있게 되는 휨의 상태.

대-킬로미터 ( - , vehicle-kilometer)
  자동차 교통의 총량을 나타내는 단위로서 1대-km는 자동차 1대가 1 km를 주행한 양을 나타내는 것.

대패 ( - , planer)
  목재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데 쓰이는 공구.

대표유역 (代表流域, representative basin)
  기후 및 수문자료를 동시에 관측함으로써 특정 자연지역내의 수문순환과정을 연구할 수 있도록 허용되는 유역.  상대적으로 변화가 적은 조건하에서 수문학적 조사가 집중적으로 수행되는 유역. 일정 지역내 모든 유역에 대하여 측정을 하는 대신 측정치가 넓은 지역을 대표할 수 있도록 수문기상 및 수문관측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수문관측소를 설치한 유역.

대피선 (待避線, relief track)
  정차장에서 열차를 대피시킬 목적으로 부설하여 놓은 선로로서 후속열차가 선행열차를 추월할 필요가 있을 때 또는 열차밀도가 높아서 선행열차가 출발하기 전에 후속열차를 진입시킬 필요가 있을 때 화물열차의 조성과 정리로 화물열차를 장시간 역에 정차시킬 필요가 있을 때 등을 위해 설치한 선로.

대피소 (待避所, passing place)
  단차선의 도로에 있어서 왕복 차량 등의 교차 대피를 위하여 차도의 폭을 확장 설치한 장소.

대한민국경위도원점 (大韓民國經緯度原點, Korea geodetic horigontal datum)
  → 경위도 원점.

대한민국수준기점 (大韓民國水準基點, Korea geodetic vertical datum)
  우리 나라 육지표고의 기준은 전국 각지에서 다년간 조석관측한 결과를 평균조정한 평균해수면을 사용함. 그러나 평균해수면은 일종의 가상면으로서 수준(또는 고저)측량에 직접 사용할 수는 없으므로 그 위치를 지상에 영구표석으로 설치하여 수준원점(또는 고저기준원점)으로 삼고 이것으로부터 전국에 걸쳐 수준망을 형성함. 인천 인하대학교 구내에 위치(표고 26.6871 m)하고 있음.

대합실 (待合室, waiting room)
  정차장에 있는 여객설비로서 열차를 기다리거나 휴식을 취하기 위하여 설치한 시설.

대향 분기기 (對向 分岐器, facing turnout)
  열차가 분기기를 통과할 때 분기기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진입할 경우를 말함.

대향 승강장 (對向 昇降場, opposite platform)
  형상에 의한 승강장의 분류로서 선로를 사이에 두고 양쪽을 마주보고 설치된 홈으로 홈 한쪽에 열차를 발착시킬 수 있는 본 선로가 설치된 것.

대형차 (大型車, heavy vehicle)
  정상적인 운행상태에서 도로상에서 바퀴가 6개 이상으로 운행되는 차량.

대형탬퍼 (大型 - , jitterburg)
  콘크리트 공사에서 쓰이는 대형 다짐기계의 일종.

댐 ( - , dam)
  저수, 저사(貯砂), 취수 등의 목적을 갖고 하천, 협곡 등을 막아 만든 구조물의 총칭. 목적에 따라 이수(利水)댐, 치수댐, 사방(砂防)댐 등으로 구분됨. 또한, 축제재료에 따라 콘크리트댐, 필댐 등으로 대별됨.

댐기초 ( - 基礎, dam foundation)
  제체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의 총칭. 제체 바로 아래 지반외에 좌우안의 어버트먼트(abutment)부분도 포함됨.

댐높이 ( - , height of dam)
  기초지반의 최저점을 기준으로 한 댐마루의 높이.

댐측량 ( - 測量, dam surveying)
  댐 축조 및 관리를 위한 측량으로 조사계획측량, 댐실시설계측량, 댐 안전관리측량 등이 있음.

댐콘크리트 ( - , dam concrete)
  저수, 취수, 수위상승을 목적으로 하천, 계곡 등을 가로 막는 콘크리트구조물에 쓰이는 콘크리트.

더돋기 ( - , reinforcement of weld)
  홈용접 또는 필렛용접에서 필요치수 이상으로 표면에서 돋아오른 용착금속.

더미 ( - , dummy)
  화살활동표시 네트워크에서 작업 활동 및 그 기간을 갖지 않고, 다만 작업 상호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화살선과 구분하여 이어진 화살선, 보통 점선으로 나타냄.

더블 레이싱 ( - , double lacing)
  교차하는 레이싱바로 부재를 연결하는 것.

더블류에프강 ( - 鋼, wide flange steel)
  → 에이치 형강.

더블슬립 스위치 (兩側旦線附 交叉, double slip switch)
  2개의 선로가 평면교차는 장소에 4방향으로 진행이 가능하도록 설치한 분기기의 일종.

더블업 ( - , double up)
  전층의 경화 또는 건조의 시간을 두지 않고 뒤따라 바로 다음 층을 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장 마무리의 방법.

더스팅 ( - , dusting)
  모르터나 콘크리트의 표면의 강도가 약하고 마모가 심하여 부스러진 먼지가 나는 것.

더치콘관입시험 ( - 貫入試驗, Dutch cone penetration test)
  정적인 콘관입시험의 일종으로 이중관 콘관입시험이라고도 함. 관입시 주면마찰의 영향을 없애기 위해 로드를 이중관구조로 하고 로드의 최상부에서 관입저항을 계측하는 방법.

더파기 (餘掘, over break)
  → 여굴.

덕트 ( - , duct)
  포스트텐션방식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부재에 있어서 긴장재를 수용하기 위하여 미리 콘크리트 속에 뚫어두는 구멍.

덕틸주철관 ( - 鑄鐵管, ductile cast iron pipe)
  용해된 선철에 마그네슘 등을 첨가하여 만든 주철관. 이 주철관의 조직은 흑연이 구상으로 되어 있고 주철 본래의 내식성과 더불어 강과 같이 가단성, 연성, 내충격성을 갖고 있음.

덤퍼 ( - , dumper)
  차의 방향을 바꾸지 않고 운전석이 전후로 회전하여 왕복운동 만으로 작업하는 운반기계. 견인력이 크고 회전반경은 작음. 좁은 토지에 있어서 500 m 이하의 중거리 운반에 알맞음. 덤트터라고도 함.

덤프스카우 ( - , dump scow)
  준설한 토사를 밑문을 열어 내려놓는 흙운반선.

덤프왜건 ( - , dump wagon)
  차륜식트랙터 또는 트럭트랙터로 불리며 모래, 자갈, 건조한 흙 등 유동하기 쉬운 재료를 대량으로 원거리 운반하는 기계. 덤프 방식에는 리어덤프, 사이드덤프, 밑바닥덤프의 3가지 종류가 있음.

덤프차 ( - , dump car)
  작은 궤도 위를 운행하며 흙을 버리는 차.

덤프트럭 ( - , dump truck)
  적재기를 기울여서 적재된 물건을 내릴 수 있는 트럭.

덧살용접 ( - 鎔接, building-up / overlay welding)
  모재 표면에 경화․내식․보수․재생 등을 목적으로 용접하여 비드를 세워 올리는 여분모살용접.

덧씌우기 ( - , overlay, resurfacing)
  ① 기존 포장의 강도부족을 보충하는 것 외에 노면의 평탄성을 개량하고 균열이 빗물의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씌우기 포장을 하는 것.
  ② 포장의 구성층이 파손시 또는 내구연한 경과로 구포장 위에 다시 포장하는 것.  → 오버레이.

덮개 ( - , cover)
  철근콘크리트에서의 철근의 표면과 콘크리트표면과의 최단거리로 잰 콘크리트의 층.

데드맨(앵커) ( - , dead man(anchor))
  지반의 수위가 높은 곳에 널말뚝벽을 설치하여 그 뒤를 매립할 때, 타이로드의 뒷끝을 메기 위하여 수중에 깊이 설치하는 버팀판, 이때 타이로드는 경사지게 하여 뒷쪽에 비스듬히 세운 버팀판에 연결됨. 이 형식을 데드맨 형식이라 하며, 시공상 여러 가지 어려움이 따르기 쉬움.

데드엔드 ( - , dead end)
  한쪽 끝에서만 프리스트레싱을 하는 방식에서, 인장력을 가하는 반대편의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단부를 말함.

데드엔드정착장치 ( - 碇着裝置, dead end anchorage)
  데드엔드에 사용되는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정착장치.

데릭 크레인 ( - , derrick crane)
  → 고정식 크레인.

데발마모감량시험기 ( - 磨耗減量試驗機, deval abrasion test machine)
  콘크리트, 석재 등 굵은 골재의 마모감량을 측정하는 기계의 일종. 직경 20 cm, 높이 34 cm의 철재원형관에 일정 중량의 골재와 철 구를 넣어서 측면의 대각선을 축으로 하여 30~33 rpm으로 10,000회전 시킨 다음 No.12체를 통과하는 파쇄된 골재의 중량을 전중량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어 마모감량으로 함. 현재에는 소요시간이나 측정치 변동의 점에서 보다 우수한 로스엔젤레스 시험기가 주로 쓰임.

데시벨 ( - , decibel)
  음향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비교하는 수치 또는 음압이나 음강도를 나타내는 단위. 10데시벨이 증가하면 소리의 세기는 10배가 됨.

데오돌라이트 ( - , theodolite)
  정밀도가 높은 각관측기기로서 정밀한 각 관측에 주로 사용됨. 수평눈금의 읽음장치가 micrometer 또는 digital화 되어 있으며 최소읽음값이 0.1초에 이르는 것도 있음.

데이터 (資料, data)
  컴퓨터에 의해 처리 또는 산출될 수 있는 정보의 기본 요소를 나타내는 것.

데크 ( - , deck)
  슬래브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설치된 거푸집 또는 바닥슬래브 혹은 지붕슬래브 자체.

데크 바지선 ( - 船, deck barge)
  가장 일반적인 운반선으로서, 상갑판위에 구조물을 적재하고, 건설현장까지 예항함. 갑판위에 장애물이 없으므로 선체보다 큰 물건도 갑판에 실을 수 있음. 데크바지(deck barge)라고도 하고 단순히 바지라고도 함. 밸러스트(ballast)가 있는 바지에는 진수바지, 반잠수바지(submergible barge)가 있으며, 전선회 크레인을 붙인 것을 데릭바지라고함.

데크 플레이트 ( - , deck plate)
  바닥판에 사용되는 강판. 요철파형으로 형성된 것도 있음.

데킹 ( - , decking)
  슬래브 거푸집에 대한 피복재료.

델타선 ( - , Y track, delta track)
  차량의 방향을 전반대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삼각형(선로Δ : 델타)모양으로 설치한 선로.

델타 철 ( - 鐵, δ-iron)
  1392 ℃부터 용융점까지의 온도범위에서 안전한 체심립방체의 순철.

도개교 (跳開橋, bascule bridge)
  교축에 수직한 수평축 주위로 들어올려서 여는 것이 가능한 가동교, 한쪽만 여는것이 가능할때 일엽도개교, 양쪽을 여는 것이 가능할때 이엽도개교라 함.

도갱 (導坑, heading)
  굴착에 있어서 전단면 굴착을 제외하고는 터널 단면중 먼저 굴착하는 부분으로, 굴착하는 위치에 따라 저설도갱, 정설도갱, 중앙도갱, 측벽도갱 등이 있음.

도갱선진공법 (導坑先進工法, pilot tunnel method)
  지반상태, 지하수 유출상태 확인이나 본 터널 굴착시의 버럭반출, 환기 등이나 특정지보의 설치 목적으로 본 터널보다 먼저 굴착하는 소규모 터널.

도관 (陶管, vetrified-clay pipe)
  점토를 규격에 맞게 성형한 후 가열하여 만든 관으로 내산, 내알칼리성이 우수하고 마모 등에도 강하며 이형관의 제작이 용이함은 장점이 있음.

도교 (渡橋, gang way)
  선박과 부두 또는 헛간과의 사이에 가설된 교량 혹은 사다리.

도근점 (圖根點, topographic control point)
  측량지역 전체에 걸쳐 지형측량에 필요한 충분한 기준점을 설치하여 측량의 뼈대를 만들어야 하는데, 기설 삼각점 이외에 당해 측량지역의 기준으로 하기위해 새로이 선정한 보조기준점을 도근점이라고 함. 후속되는 세부측량은 이 기준점을 기준으로 실시됨.

도근점측량 (圖根點測量, supplementary control surveying)
  도근점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측량

도근측량 (圖根測量, topographic control point surveying)
  지형도를 만들기 위한 지형측량이나 평면도작성측량에서 기기를 세우기 위한 기준점측량이며 기계도근측량과 도해도근측량이 있음.

도금 (鍍金, plating, gliding)
  방청과 장식의 목적으로 금속표면에 다른 금속을 얇은층으로 밀착시키는 방법.

도금폐수 (鍍金廢水, metal plating wastewater)
  도금공장에서 발생하는 폐수로서 수량은 비교적 적으나 독성물질을 함유함으로 대단히 유해한 폐수임. 폐수에 포함된 독성물질로는 크롬, 아연, 동, 니켈, 주석, 그리고 시안화합물 등이며 그 밖에도 알카리성 세정제, 그리스, 기름 등도 함유되어 있음.

도급 (都給, contract)
  당사자의 일방이 어떤 공사를 완성하고 상대자에게 그 결과에 대한 보수를 지급할 것을 약속하는 계약. 청부라고도 함.  → 계약.

도급인 (都給人, client)
  도급을 의뢰하는 공사주.

도달시간 (到達時間, time of concentration)
  유역의 임의점에서 유역의 출구까지 물이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

도드락다듬 ( - , bush hammered stone finish)
  석재의 표면을 오톨도톨한 망치로 다듬는 돌표면 마무리.

도드락망치 ( - , bush hammer)
  망치의 양면에 돌기를 많이 붙인 것. 석재의 표면마무리에 많이 쓰임.

도랑 (溝渠, ditch)
  배수(排水)나 관개시에 물을 저류시키거나 흐르게 하기 위한 길고 좁은 수로.

도랑굴착기 ( - 掘鑿機, ditching machine)
  연속식 버킷을 회전하여 토사를 굴착하는 기계. 종류에는 차륜식과 래더(ladder)식이 있음. 둘 다 무한궤도 또는 차륜식 트랙터에 장치되어 전후진하면서 토사를 굴착하여 컨베이어로 흙을 옆으로 배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음. 가스관, 수도관암거 등의 배지, 배수도 굴착에 사용되고 있음.

도로 (道路, road, highway)
  차량, 보행자 등의 통행을 위해 설치된 비궤도 교통시설물.

도로공학 (道路工學, highway engineering)
  「도로」의 조사, 계획, 설계, 시공, 유지보수 및 관리등을 대상으로 한 토목공학의 일부분.

도로 교통 (道路 交通, highway transportation)
  일반도로나 간선도로 뿐만 아니라 고속도로 등 모든 도로상에서 일어나는 모든 교통문제를 다루는 분야.

도로교통법 (道路交通法, road traffic law)
  도로에 있어서의 위험을 방지하고 교통의 안전과 원활을 도모하여 도로교통에 기인하는 장애를방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로서 도로법에 의한 도로 이외의 일반교통에 공용되는 장소에서도 적용됨.

도로대장 (道路臺帳, road inventory)
  도로 관리자가 관리하는 도로에 대하여 노선마다 도로의 종류, 노선명, 기타 필요한 사항을 기재한 조서 및 부근의 지형 등을 표시한 평면도를 포함하여 작성하는 대장.

도로 롤러 ( - , road roller)
  도로포장에 사용하는 쇠바퀴의 표면이 평활 한 롤러. 쇄석의 다짐에는 적합하나 흙의 다짐에는 적합치 않음. 탠덤롤러와 매캐덤롤러가 있음.

도로못 (道路 - , road stud)
  구역선의 한형태로서 1.0㎝ 내외의 요형(凹刑)으로서 페인트 등에 의한 안면표시의 보조수단임.

도로법 (道路法, road law)
  전국토에 망상으로 배치되어 대종을 점하는 공물로서의 도로에 대하여 그 노선의 지정및 인정,관리청, 관리의 방법, 보전 및 비용, 감독 등에 대하여 정한 도로에 관한 기본법률.

도로부지 (道路敷地, right of way)
  부분적으로 도로가 건설되어 있거나 장래에 건설이 예정되어 있는 도로용지.

도로사용료 책정 (道路使用料 策定, road pricing)
  일반도로나 유료도로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편익과 사용에 드는 제반비용을 고려하여 가격을 결정하는 이론.

도로용량 편람 (道路容量 便覽, highway capacity manual)
  교통용량을 다루는 기본적인 지침서. 교통시설 계획, 설계 및 운영시 기준이 됨.

도로용지경계 (道路用地境界, site of way line)
  도로옆의 인접한 측구나 도로를 보호하기 위하여 확보한 토지를 포함한 도로의 기능을 발휘시키는 데 필요한 용지경계.

도로운영 (道路運營, road / highway operation)
  도로에서 일어나는 차량들의 모든 행위들을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것. 일반적인 신호 제어 관리나 교통표지에 의한 관리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더 복잡한 도로관리(자동차의 기동성과 유연성 확보 등)가 이에 속함.

도로원단위 (道路原單位, road stock coefficient)
  도로의 서어비스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보통은 자동차 1대당의 도로자산, 포장연장 등으로 표시됨. 원단위의 시계열 데이타에 의하여 도로정비수준을 파악하거나, 어느 써비스 수준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도로투자액의 산정 등에 사용됨.

도로원표 (道路元標, starting milestone)
  도로 노선의 주요구간거리를 표시한 표지, 도로법 시행령 제 23조에 의하여 도로의 기준점에 설치하는 도로의 부설물로서 서울특별시, 광역시및 시군에 1개를 설치하게 되어 있음.

도로의 관리 (道路 - 管理, administration of road)
  일반교통에 공용되는 시설로서의 도로의 기능을 유지하고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행하는 적극적, 소극적인 일체의 관리.

도로의 구조시설기준 (道路 - 構造施設基準, road structure standard)
  도로를 신설 또는 개축하는 경우의 도로의 구조 및 시설에 대한 일반적, 기술적 기준을 정한기준. (대통령령 1003호)

도로의 부속물 (道路 - 附屬物, - )
  도로 구조보존과 안전하고 원활한 도로교통의 확보, 기타 도로의 관리상 필요한 시설 또는 공작물.

도로의 분류 (道路分類, classification of road)
  도로는 자동차 전용도로와 일반 도로로 분류하되, 자동차 전용도로는 그 소재지역에 따라 지방지역은 “고속도로”, 도시지역은 “도시고속도로”로 하고 일반도로는 지방지역, 도시지역 공히 주간선, 보조간선, 국지도로로 분류함.

도로의 종류 (道路種類, kind of road)
  자동차 전용도로는 고속도로와 도시 고속도로가 있고, 일반 도로는 주간선도로, 보조간선도로, 집산도로, 국지도로가 있음.

도로점용 (道路占用, accupancy of road)
  도로의 구역 안에 도로관리자 이외의 저가 공작물, 물건, 기타의 시설을 설치하여 그것을 계속적으로 사용하는 것.

도로접도구역 (道路接道區域, road of adjaert area)
  도로의 손상방지, 미관의 보호 또는 교통에 대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경계선으로부터 일정폭의 구역을 정하여 도로관리청이 지정토질의 형질을 변경하는 행위, 건축물 기타 공작물의 신개축 및 증축과 죽목의 식재 또는 벌채 행위를 제한하는 구역, 도시계획 및 구역 등에서는 접도구역의 적용이 배제됨.

도로 차량 (道路 車輛, highway vehicles)
  도로를 이용하는 모든 차량. 주로 버스와 승용차 및 화물 트럭을 말함.

도로표시 (道路標示, road marking)
  교통에 대하여 경계규제 또는 안내를 목적으로 노면이나 연석의 표면에 표시한 것을 말하며 도로표지와는 구분됨.

도로표지 (道路標識, road sign)
  도로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도로이용자에 대한 안내, 경계, 규제 또는 지시를 문자 또는 기호에의하여 전달할 목적으로 도로상에 설치하는 표지시설.

도류도 (導流島, channelizing island)
  교통류가 어느 일정한 진로를 통과하도록 유도하여 차량의 진로를 못 잡아 무질서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교통섬.

도류벽 (導流壁, training / guide wall)
  만곡되는 수로 내의 흐름을 부드럽게 유도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벽 또는 중력댐 등의 월류형 홍수로의 양측면에 설치하여 유하하는 흐름을 옆으로 넘치지 않도록 하는 벽.

도류식 교차 (導流式交叉, channelized intersection)
  교통섬에 의하여 교통량을 일정진로에 유도하도록 한 평면교차.

도류제 (導流堤, ①guide bank, training dyke / levee ②jetty)
  ① 하천의 합류점이나 하구부분에서 하도형태와 흐름상태를 유지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제방.
  ② ⅰ) 수류(水流)의 흐름을 조정하기 위하여 항만입구나 하구에 설치하여 해안(海岸)이나, 하안(河岸)을 보호하고 수심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구조물의 일종. 돌출제(突出堤)라고도 함. ⅱ) 영국에서는 wharf 또는 pier와 같은 뜻으로 부두를 의미함.

도르래 ( - , pulley)
  로프를 걸쳐서 회전할 수 있도록한 활차로서, 힘의 방향변환. 힘의 확대. 동력의 전달에 이용됨.

도막 (塗膜, paint film)
  칠해진 도료가 건조하여 이루어진 고체피막.

도면자동화 (圖面自動化, automated mapping)
  자동도면화라고도 하며 전산도형해석을 이용하여 관축대상물(지형, 구조물 또는 설비)의 정보를 생성, 수정, 및 합성하여 도면을 작성한 후 보관, 유지관리 및 출력의 편의성과 정확성을 꾀할 수 있는 지형공간정보에 관한 전산화의 한 분야임.  약어 : AM.

도법 (圖法, map projection)
  지구 또는 천구의 기준면상의 점을 그에 대응하는 다른 평면 또는 구면상에 옮기는 방법을 말하며, 투영도법, 또는 지도투영법이라고도 함.

도상 (道床, ballast)
  레일 및 침목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차하중을 넓게 분산시켜 노반에 전달하고 침목을 소정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궤도재료로서 자갈도상과 콘크리트도상으로 대별됨.

도상갱환 (道床更換, ballast renewal, replacement reballasting of track)
  열차하중과 다지기 작업 등으로 자갈이 깨어지거나 토사가 혼입되면 자갈의 강도가 약화되고 배수가 불량하게 됨. 이러한 경우 소정의 체가름을 하거나 새로운 도상으로 교체하는 것을 말함.

도상계수 (道床係數, ballast coefficiemt)
  도상의 강도를 표시하는데 궤도 역학적인 계산에 사용되는 계수로서 도상재료가 양호할수록, 다지기가 충분할수록 노반이 견고할수록 큰 값이 됨.

도상단면 (道床斷面, ballast profile / section)
  침목 저면의 압력을 될 수 있으면 균등하게 노반에 분포시키는데 필요한 도상 두께와 길이 방향의 도상저항을 확보하기 위한 침목 마구리로부터 도상 어깨가지의 어깨폭. 또한 열차의 진동에 따른 도상붕괴가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물매를 둔 시공기면 위에 형성되어 있는 도상의 단면을 말함.

도상두께 (道床厚, depth / thickness of ballast)
  당해 선로구간의 열차중량과 속도, 통과톤수, 등급에 따라 침목 하면으로부터 시공기면까지의 높이를 말하며 보수작업 등 선로조건에 의하여 결정됨.

도상보충 (道床補充, addition / refilling of ballast)
  열차하중에 의하여 개어지거나 유지보수 등으로 도상자갈이 부족하여 도상자갈을 살포하거나 또는 국부적으로 많은 개소에서 적은 개소로 운반하여 보충하는 것을 말함.

도상압력 (道床壓力, ballast pressure)
  열차하중에 의한 침목에서 도상으로 전달되는 힘으로 도상의 위치에 따라 압력이 다름.

도상어깨폭 (道床肩幅, width of ballast shoulder)
  도상의 윗폭 끝부분에서 침목 단부까지의 거리.

도상유실 (道床流失, flowing down of ballast)
  선로의 침수 도는 폭풍우, 해안가의 해일 등으로 인하여 도상자갈이 유실되는 현상.

도상작업 (道床作業, ballast work)
  도상자갈의 살포, 도상다짐, 선로양로 등의 도상에 관계되는 제작업을 하는것을 말함.

도상저항력 (道床抵抗力, resisting force of ballast)
  도상자갈 중의 궤광을 궤도와 평행 또는 직각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려 할 때 침목과 자갈사이에 생기는 최대저항력.

도상전압 (道床轉壓, ballast rolling)
  하부도상을 홀더 등으로 다지는 것.

도상종저항력 (道床縱抵抗力, longitudinal resisting force of ballast)
  도상자갈 중의 궤광을 궤도와 평행방향으로 수평이동하려할 때 침목과 자갈사이에 생기는 최대 저항력.

도상체가름기 (道床 - 機, ballasting screening machine)
  도상의 체가름을 하는 기계. 선로를 폐쇄하고 작업하는 대규모의 것과 무폐쇄식의 것이 있음.

도상 침하곡선 (道床 沈下曲線, ballast sinking curve)
  열차의 반복하중에 의한 도상의 이완에 따르는 수직 침하곡선의 곡선.

도상횡저항력 (道床 橫抵抗力, lateral resisting force of ballast)
  도상자갈 중의 궤광을 궤도와 직각방향으로 수평이동하려할 때 침목과 자갈 사이에 생기는 최대 저항력.

도선법 (圖線法, method of traversing)
  → 전진법.

도선장치 (導線裝置, trans-track carrier)
  도선차, 즉 화물을 실은 손수레를 그대로 대차위에 올려 놓고 본선궤도를 횡단하여 홈 상간을 이송하는 장치로서 대차의 바닥은 승강장의 바닥면과 같은 높이로 하고 한쪽 승강장에는 도선차를 유지하기 위하여 다자형으로 파서 장소를 마련하는 장치이나 평면장치이므로 위험성이 있음.

도섭측량 (徒涉測量, wading measurement)
  하천 바닥을 걸어서 건너면서 수심과 유속을 재어 유량을 측정하는 것.

도섭표척 (徒涉標尺, wading rod)
  얕은 하천에서 도섭측량에 사용할 수 있도록 눈금을 매겨 놓은 손으로 들고 다닐 수 있을 정도의 가볍고 단단한 봉. 보통 유속계를 매달아 사용하며, 눈금으로 수심과 유속계의 높이를 알 수 있음.

도수 1) (導水, conveying water, water conveyance)
  상수처리시 취수지점에서 정수장까지 원수를 보내는 것. 그 수로를 도수관 또는 도수로라 함.

도수 2) (跳水, hydraulic jump)
  개수로에서 한계수심보다 작은 수심에서 한계수심보다 큰 수심으로 변화할 때 발생하는 갑작스러운 수위의 변화. 큰 소용돌이가 발생하며 에너지의 손실을 동반.

도수로 (導水路, head race, feed canal)
  수차 또는 터어빈까지 물을 유도하는 수로. 저수지 계획에 있어서 자체의 유역만으로는 집수량이 부족할 때 타유역의 물을 이끌어 넣기 위하여 만드는 수로.

도수손실 (導水損失, conveyance loss)
  관개용수로나 상수도 용수로에서 거의 피할 수 없는 불가피한 물의 손실.

도시간 철도 (都市間 鐵道, interurban railway)
  주요 도시간의 교통소통을 위하여 설치한 철도.

도시고속도로 (都市高速道路, urban expressway)
  시가지 내에 자동차 교통의 안전과 능률을 높이고 가로의 교통난 완화를 목적으로 설치하는 자동차 전용도로.

도시교통계획 (都市交通計劃, urban transportation planning)
  현재의 도시 인구, 토지이용 등 사회․경제 현황을 바탕으로 장래 도시의 교통시설 및 운영대안을 설정, 평가하여 건설 및 운영계획 그리고 재원조달계획을 수립하는 일련의 과정.

도시교통통제체계 (都市交通統制體系, urban traffic control system)
  도시부의 교통을 통제하기 위한 신호체계.  약어 : UTCS.

도시대중교통 (都市大衆交通, urban transit)
  이용하고자 하는 모든 사람에게 서비스가 제공되는 도시내 대중 교통수단. 크게는 고정된 노선 및 스케줄을 제공하는 대중교통수단(transit)과 수요에 따라 노선과 스케줄이 변하는 준대중교통수단(para-transit)으로 구별됨.

도시사막 (都市砂漠, urban desert)
  대도시에서 도시화로 인한 지표면의 수분증발량 감소, 지표의 흡수열량 증가, 인공배열 등에 의하여 기온이 오르고 습도는 감소하여 국소적인 열섬(heat island)를 형성하여 일종의 사막현상을 나타내는 것.

도시수문학 (都市水文學, urban hydrology)
  지표면의 상당부분이 불투수층과 인위적 토지변경층으로 덮여 있는 도회지 또는 대도시 지역의 수문현상을 다루는 수문학의 한 갈래로서 도시개발에 의한 영향에 중점을 둠.

도시시설 (都市施設, urban facilities)
  도시지내에 공공시설, 사유시설 등을 총망라한 도시시설물로서 도로, 교량, 하천, 철도, 지하도 및 지하철도, 항만, 스포츠시설, 건축물 등이 있음.

도시정보체계 (都市情報體系, urban information system)
  지형공간정보체계의 한 분야로서, 특히 도시의 정보(행정구역, 인구, 지표면 및 지하의 이용, 도로망, 시설물의 망)를 수집, 관리하는 정보체계. 지형공간정보체계(GSIS)의 소체계로서 UIS라고 함.

도시지역 (都市地域, urban area)
  도시계획에 의하여 해당지역의 건설, 정비, 개량 등을 시행하는 지역.

도시철도대중교통 (都市鐵道大衆交通, urban rail transit)
  도시내 철도를 운행하는 대중교통수단으로서 1960년대 서울의 전차로부터 1970년초부터 운행되기 시작한 서울시의 지하철/전철, 그리고 최근 도입․검토되고 있는 경량전철(light rail transit)이 이에 속함.

도시확산 (都市擴散, urban sprawl)
  도시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그 교외부에 발생하는 시가지의 잠식적 확대현상.

도식 (圖式, map symbols)
  지도에 표시하는 기호의 모양, 크기, 색, 선의 굵기 등을 규정한 것임.

도심지 가로 (都心地 街路, downtown street)
  시내 중심부에 있는 작은 도로. 이런 도로들은 도시내 간선도로들을 접속시키거나 연장하는 역할을 함.

도약 (跳躍, saltation)
  간헐적으로 흐름의 솟아 오름에 의한 유사의 운반. 기체 흐름에서의 지표면상 또는 물흐름에서 하상에서의 유사입자의 불연속적 운동.

도약운동층 (跳躍運動層, saltation layer)
  도약에 의한 운동이 발생하는 층.

도약유사 (躍躍流砂, saltation load)
  도약에 의해 움직이는 유사. 또는 그 움직임.

도-일 (度-日, degree-day)
  주어진 날의 평균기온과 기준온도(통상 0 ℃)와의 차로 표현되는 온도와 날수의 곱. 주어진 기간(월, 년)에 대해서는 기간중 상이한 날 들의 일별 온도의 산술합.

도입부착길이 (導入附着 - , transfer bond length)
  → 전달길이.

도입시 강도 (導入時 强度, transfer strength)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때 요구되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도장면적 (塗裝面積, painting area)
  부재 부품 등의 도장하는 부분의 면적.

도착 대합실 (到着 待合室, arrival lounge)
  공항에서 여객과 환영객이 혼제하는 공간으로 주로 환영객의 대기 장소 및 도착 여객과의 만남의 장소로 사용되는 공간.

도착선 (到着線, arrival track)
  정차장에서 열차의 도착을 주목적으로 부설된 선로로 객차조차장과 화차조차장의 선군의 한 종류. 조차장에서는 도착선에서 도착검사를 하고 견인기관차를 입환기가 바꾸어 단 후 제동관의 연결, 해체 등 작업을 함. 도착선의 수는 그 정차장에서 취급되는 열차의 회수와 도착선에서의 작업시간 등에 의해 결정됨. 도착선의 유효장은 도착열차의 최대길이에 열차 과주거리를 감안하여 확보되어야 함.

도착 콘코스 (到着 - , arrival concourse)
  도착 승객이 탑승구로부터 도착 수속 장소에 이르는 연결 통로, 소규모 공항에서는 필요없으나 중․대규모 공항의 경우 탑승구 증가로 이 공간의 역할이 중요하며 특히 환승, 통과 여객이 많은 경우 편의 시설 등의 설치가 요구됨.

도플러 유속계 ( - 流速計, doppler velocimeter)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계로 계기 자체에 의한 흐름 교란이 없는 최신의 유속 측정 장치.

도형의 강도 (圖形 - 强度, strength of figure)
  삼각망의 제 점 위치의 상대 정밀도를 표현할 수 있는 삼각형의 기하학적 조건. 또는 그 기하학적 조건에 따른 수치를 말하며, 삼각형의 형상이 정삼각형에 가까우면 강도가 높은 경우가 많음. 도형의 강도는 그 삼각망내에서의 각의 크기, 변조건의 수, 기선의 분포, 기지점의 분포 등으로 결정됨. 그러므로 도형의 강도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고 상대적인 비로서 나타냄.

도화 (圖化, plotting)
  입체도화기 등에 의하여 등고선과 평면도 등을 그리는 작업. 사진측량을 이용하지 않을 때도 도화라고 할 때가 있으나 이때는 실측 또는 기존자료를 이용하여 지도상에 기호화하는 것을 말함.

도화기 (圖化機, plotter)
  사진측량에서 각 점의 사진좌표를 관측하거나, 입체모형(stero model)을 조성하여 도화를 하는 장비임. 단사진용 도화기와 입체사진용 도화기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입체도화기를 말함.

도화선 (導火線, blasting fuse)
  흑색화약을 심으로 하여 실 또는 종이로 말은 끈 모양의 것. 뇌관과 함께 폭약을 기폭시키기 위하여 사용.

도해 정역학 (圖解 靜力學, graphic statics)
  정역학 문제의 해를 작도법에 의해서 구하는 학문.

독 ( - , dock)
  넓은 뜻으로는 선박의 계류 장소이지만, 좁은 뜻으로는 선박의 수리, 건조나 선박의 짐을 내리기 위해 운하 또는 항구에 접속하여 육지를 인공적으로 파서 만든 시설.  → 선거(船渠).

독립관측 (獨立觀測, independant obsevation)
  직접관측, 간접관측과는 관계없이 관측량의 사이에는 아무런 제한조건이 따르지 않는 경우를 독립관측이라고 함. 예컨데 삼각형의 두 각을 관측하는 경우에 그 두 각의 사이에는 어느 것이 커야 한다든지 혹은 작아야 한다든지 하는 제한을 받지 않는 관측을 말함.

독립기초 (獨立基礎, single / spread / individual footing)
  기둥, 동바리 등의 밑에 단독으로 설치한 기초.

독립여유시간 (獨立余裕時間, independent float)
  작업여유시간의 하나로서 주어진 작업이 지연되어도 전체공기나 후속 작업의 시작을 지연시키지 않고 선행 작업의 지연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지 않는 시간을 말함.

독립영양생물 (獨立營養生物, autotrophs)
  태양광선의 에너지나 무기화합물의 산화시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물, 이산화탄소 및 간단한 무기물로부터 필요한 유기물을 생산하는 생물. 종속영양생물의 대응용어.

독립입체모형법 (獨立立體模型法, independant model triangulation)
  정밀좌표관측기 및 정밀입체도화기를 이용하여 실행할수 있는 항공삼각측량방법중의 하나로 입체모형(立體模型)좌표를 이용하여 절대좌표로 환산해내는 기법.  약어 : IMT.

독립평행출발 (獨立平行出發, independent parallel departures)
  두 항공기가 동시에 각각의 평행 또는 평행에 가까운 계기 활주로를 출발하는 경우.

독립 평형진입 (獨立 平行進入, independent parallel approach)
  활주로 중심선 근접 지역에서 항공기간 레이다 최소 이격 거리가 규정되어 있지 않은 곳에서 평행 또는 평행이 가까운 계기 활주로에 동시 진입하는 상태.

독립확대기초 (獨立擴大基礎, isolated footing)
  하나의 기둥만을 지지하는 확대 기초.  → 독립기초.

독성 (毒性, toxicity)
  어떤 물질의 생물에 대한 악영향. 모든 물질은 그 양이 증가함에 따라 독성을 지니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독성이라 함은 소량으로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함.

돋우기 ( - , heading up)
  땅에 흙을 깔고 그 높이를 올려 돋우는 것.

돌공사 (石工事, stone work)
  석재의 가공, 설치, 돌쌓기, 돌붙임, 돌깔기 등에 관한 공사.

돌기 (突起, flash, flush)
  단조, 주조, 소성성형시에 제품의 소정의 치수보다 튀어나온 재료의 부분.

돌깔기 ( - , stone paving)
  바닥에 돌을 까는 것. 기초 콘크리트를 치기 전에 바닥에 자갈, 깬돌, 호박돌 등을 깔고 하중을 넓게 분포시키고 배수의 원활을 기함.

돌림용접 ( - 鎔接, boxing welding)
  필렛 용접에서 모재의 단부에서 비드를 돌려서 하는 용접. 응력집중이 일어나기 쉬운 이음단부의 보강과 클레이터를 피하기 위하여 사용됨.

돌망태 ( - , wire cylinder)
  철선으로 짠 망태로 호박돌, 조약돌, 또는 잡석으로 채운 것. 호안, 수제의 부재로 많이 쓰임. 밑다짐 외에 횡공사, 바닥다짐 등에 널리 쓰임. 가로 쌓아 올린 것을 배망태, 비탈 방향으로 깔아 놓은 것을 선망태라 함. 비탈기슭의 앞면에 2, 3개를 흐름에 평행하여 많이 놓음. 모양에 따라 이불형돌망태, 타원형돌망태, 원형돌망태가 있으며, 재료에 따라 대돌망태, 버드나무돌망태, 섶돌망태 등이 있음.

돌망틀 ( - , crib work)
  통나무 또는 철근콘크리트재 등으로 틀을 짜고 그 속에 석재를 채운 것.

돌발홍수 (突發洪水, flash flood)
  상대적으로 큰 첨두유량을 갖는 짧은 기간의 홍수.

돌발홍수경보 (突發洪水警報, flash flood warning)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국지적 홍수에 대한 경보. 짧은 시간내에 발생하므로 무엇보다 신속성이 강조됨.

돌방입환 (突放入換, push and pull shunting)
  동력차로 추진하여 이동중 차량을 훼방하는 것.

돌붙임 ( - , pitching)
  수로 등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돌을 붙이는 것. 비탈면의 경사가 1:1이하일 경우에는 돌붙임이라 하고, 1:1이상인 경우에는 돌쌓기라 함.

돌붙임호안 ( - 護岸, stone revetment)
  파랑의 작용을 받는 앞면을 석재로 붙임을 하고 뒷쪽에 잡석을 채운 형의 호안.

돌쌓기 (石築, stone masonry)
  석재 등을 쌓아 올려 옹벽 등을 축조하는 것. 석재의 종류에 따라 마름돌쌓기, 막돌쌓기, 견치돌쌓기, 원석쌓기, 호박돌쌓기 등으로, 또 쌓는 방법에 따라 궤쌓기, 골쌓기, 찰쌓기, 메쌓기 등으로 분류됨.

돌쌓기공사 ( - 工事, masonry)
  성형 또는 정형된 재료로 구조물을 만드는 것. 보통 한 사람이 충분히 다룰 수 있는 크기의 돌, 구운벽돌, 타일, 콘크리트블럭, 유리 및 이들과 유사한 것이 사용됨. 때로는 현장치기 콘크리트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될 때도 있음.

돌쌓기모르터 ( - , masonry mortar)
  돌쌓기 구조물 등에 사용하는 모르터.

돌제 (突堤, groyne, groin, spur dike)
  연안 방향의 표사 이동을 차단하여 해안의 침식이나 항내 표사 유입을 방지할 목적으로 해안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시켜 설치하는 제방으로, 돌출제(突出堤)라고도 함.

돌제 부두 (突堤 埠頭, jetty wharf)
  해안선에 직각 또는 경사지게 돌출시켜 만든 부두로서, 해안선이 짧을 때 이 방식을 택하면 유리함.

돌출 랙 (突出 - , outstanding leg)
  단독으로 돌출되어 있는 ㄱ형강의 다리.

돌출수제공 (突出水制工, bankhead)
  강턱에서 흐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건설된 하천 내 구조물.

돌출 해안 (突出 海岸, cuspate foreland)
  육지가 바다쪽으로 쑥 불거져 내민 형태의 해안.

돌핀 ( - , dolphin)
  선박을 계류(繫留)하기 위하여 해중에 설치한 접안시설물로서 나무말뚝, 강말뚝, 철근, 콘크리트 말뚝, 우물통, 케이슨 등의 형태가 있음.

돔 ( - , dome)
  반구형의 원형 천정을 갖는 구조형태.

동결 (凍結, frost, freezing)
  기온이 0 ℃이하가 되어 흙속의 간극수가 결빙하는 현상.

동결건조 (凍結乾燥, freeze drying)
  수용액을 동결상태에서 진공을 이용하여 수분을 직접 승화시켜 건조하는 방법. 진공건조의 특수한 방법으로 열에 약하거나 보통방법으로 건조하기 어려운 경우에 행함.

동결공법 (凍結工法, freezing method)
  굴착할 때 대상토층을 공사기간중 동결시킴으로써 지반의 안정성, 지수성을 높이는 공법.

동결깊이 (凍結 - , frost penetration depth)
  노면에서 땅속 빙점의 최심부까지의 깊이. 주로 기온, 토질, 지하수의 상태에 따라 정해짐. 동결심도라고도 함.

동결방지층 (凍結防止層, anti frost layer)
  도로포장의 설계두께가 그 지방의 동결깊이보다 엷어 포장체가 동결에 의해 회손될 우려가 있을 때 노상 위에 적당한 입도의 재료를 설치하므로써 전체 포장두께가 동결깊이보다 두껍게 하여 동결을 방지하는 층. 동상방지층이라고도 함.

동결방지 혼화제 (凍結防止 混和劑, frost-resisting admixture)
  물의 결빙점을 낮추어 굳어지기 전의 콘크리트가 동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혼화제.

동결심도 (凍結深度, depth of frost penetration)
  → 동결깊이.

동결심도계 (凍結深度計, freezing indicator)
  동절기에 노면에서 지중(地中)의 얼음이 생기게 되는 곳까지의 깊이를 측정해 나타내는 계기(計器).

동결융해 시험 (凍結融解 試驗, freezing and thawing test)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조사 측정하기 위해 공시체를 규정된 시험조건 하에서 동결과 융해를 반복한 다음 공시체의 상대동탄성계수(相對動彈性係數)를 측정하는 시험과정.

동결작용 (凍結作用, frost action)
  기온이 영하로 되어 흙 속의 물이 언 다음 모관작용 등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지하수가 상승하여 얼음층을 조성하는 작용.

동결점 (凍結點, freezing point)
  주어진 조건하에서 액체가 고체로 변하는 온도.

동결지수 (凍結指數, freezing index)
  어느 장소에 대하여 0 ℃ 이하의 기온과 영하온도의 지속시간을 곱한 값을 연간을 통하여 누계한 수치로 동결심도 계산에 쓰임.

동기신호체계 (同期信號體系, synchronized signal system)
  동기제어기를 교통신호제어에 이용한 시스템.

동기제어기 (同期制御機, synchronous controller)
  공급되는 전원의 주파수에 따라 시간을 맞추는 동기 모터를 사용한 제어기. 동기 모터는 여러 가지 크기의 톱니바퀴를 움직이고 이 톱니바퀴가 시간 dial을 움직임으로써 신호가 바뀌게 됨.

동기측정 (同期測定, synchronous measurement)
  동일시간에 대해 각종 효과척도(MOE)를 측정하는 것.

동력셔블 (動力 - , power shovel)
  크롤러주행장치를 가진 뼈대 위에 360도 회전할 수 있는 작업장치를 장비한 굴착기로서 토사를 굴착하여 덤프트럭 등 운반기계에 토사를 싣는 건설기계. 디퍼나 붐의 동력방식에 따라 케이블식과 유압식으로 나뉘어 짐. 기계의 용량은 디퍼의 용량으로 표시함.

동력수레 (動力 - , power buggy)
  손수레를 동력화한 소형운반차량.

동력시험체 ( - , mechanical testing screen)
  골재체가름에 쓰이는 전동식 자동체가름 기계.

동력식 전환기 (動力式 轉換器, mechnical switch)
  중요한 선에 사용되며 전기적인 동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전철기로 수동식 전철기에 대한 개념이며 전기식과 진공식이 있음. 전기전환기는 진동기의 회전을 화차 또는 크랭크 등의 왕복운동으로 전환시켜 포인트를 전환하는 장치.

동력차견인효율 (動力車牽引效率, tractive effect of locomotive)
  동력차무게로 환산 객화차 무게를 나눈 값. 동력차의 견인 환산량 수를 나타내는 계수.

동력차고 (動力車庫, running shed)
  외연기관 및 내연기관이나 전기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하는 차량을 보관하는 장소.

동력해머 ( - , power hammer)
  전력, 증기력, 중유의 연소에 의한 폭발력 등의 동력을 이용하여 조작하는 해머.

동륜 (動輪, driving wheel)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인 모타 또는 연결봉이 설치된 차륜.

동마찰 (動摩擦, kinetic friction)
  두 면이 활동 중일 때 작용하는 마찰.  → 미끄럼마찰.

동물플랑크톤 (動物 - , zooplankton)
  종속영양에 속하는 플랑크톤으로 원생동물, 강장동물, 절지동물외에 물고기알, 치어 등이 포함됨.  → 플랑크톤, 식물플랑크톤.

동바리 ( - , staging)
  ① 거푸집의 일부로 소정의 형상과 치수의 콘크리트가 되도록 거푸집판 고정 또는 지지하기 위한 지주.
  ② 터널 공사에서 굴착후 라이닝을 완료할 때까지의 사이에 토압 등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굴착단면을 보호지지하는 구조물.

동부원점 (東部原點, east datum)
  우리나라 지표면상의 점을 평면상의 위치로 표시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평면직교좌표가 사용되고 있으며, 남북축을 X축, 동서축을 Y축으로 하고 있음. 우리 나라는 3개의 가상원점을 사용하고 있는데, 각 가상원점에는 동일한 좌표값을 주고 있음(X = 500,000 m, Y = 200,000 m : 단 제주도 지역은 X = 550,000 m). 이 중 좌표원점 위도가 38°00′00″N 이고, 좌표원점 경도가 129°00′00″E 인 가상원점.

동상 (凍上, frost heaving)
  흙이 동결하는 과정에서 모세관작용에 의해 지하수가 빨아 올려져 아이스렌즈가 두껍게 성장하고 지표면이 융기하는 현상. 한랭지에서는 동절기에 동상에 의해 지반, 도로노면, 구조물 등이 솟아 오르는 경우가 있음.

동상방지공법 (凍上防止工法, anti-freeze process)
  노면의 동상을 방지할 목적으로 행하는 공법으로 동결심도를 고려하여 일정한 깊이까지 동상이 일어나지 않는 재료와 치환하는 방법, 약재 등을 첨가 혼합하여 흙의 성질을 바꾸든가 동결온도를 내리는 방법, 단열층을 두어 흙의 온도 저하를 적게 하는 방법, 차수층을 두어 강수나 지하수를 차단하는 방법 등이 있음.

동상억제층 (凍上抑制層, non-frost susceptible base)
  포장 두께 결정에서 그 지방의 기후조건에 따라 노면부터 어는(동결)두께를 동상이라 하는데, 동상억제층에는 선택층, 보조기층, 기층, 표층으로 형성됨.

동생수 (同生水, connate water)
  퇴적암의 형성시기에 갇혀져 퇴적암의 틈 사이에 있는 물. 지층의 형성시기와 물이 함유된 시기가 같음.

동수경사 (動水傾斜, hydraulic gradient)
  물이 흙속을 흐를 때 단위길이당 손실수두 또는 수두변화량. 동수경사 i는 다음과 같이 정의됨.  i = lim(Δh/Δs) = (-dh/ds)  Δs→0  여기서 Δh : 손실수두 혹은 수두변화량, Δs : 거리

동수경사선 (動水傾斜線, hydraulic grade line / gradient)
  흐름방향을 따라 수로내에 설치된 위압수두관을 올라가는 수면표고를 연결한 선.

동수두 (動水頭, dynamic head)
  대수층내 한 점에 연결된 위압수두계내에 수위의 상승표고. 높이 단위로 표현되는 위치수두와 압력수두의 합.

동수문학 (動水文學, dynamic hydrology)
  → 동역학적수문학.

동수반경 (動水半徑, hydraulic mean depth / radius / mean radius)
  하천 또는 폐합관거의 유적단면적을 윤변으로 나눈값.

동수반경모형 (動水半徑模型, hydraulic radius model)
  토양을 통한 흐름과 다양한 단면적의 관을 통한 흐름을 비교하는 모형.

동수압 (動水壓, dynamic water pressure)
  물의 운동에 의한 에너지에 의해 나타내는 압력.

동수위 (動水位, dynamic water level)
  일정한 비율로 우물로부터 양수할 때 우물 내에서 유지되고 있는 수위.

동시신호 제어체계 (同時信號 制御體系, simultaneous signal control system)
  인접신호등 간의 녹색신호 개시시점이 동일한 신호제어체계, 인접신호등 간의 거리가 아주 가깝거나 차량의 속도가 빠른 지역에 주로 사용됨.

동압 (動壓, dynamic pressure)
  유체의 운동에너지에 의한 압력.  → 동수압.

동압밀 (動壓密, dynamic consolidation)
  중량 10~60 t의 해머를 10~30 m의 높이에서 반복 자유낙하 시켜 지표면에 충격을 가해 지반이 다져지는 것을 말함. 처음에는 암쇄성토와 사질지반 등의 조립토를 대상으로 하여 해비 탬핑(heavy tamping)이라 하였으나 어떤 지반에서는 세립토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나타나 동압밀이라고 하였음.

동역학 (動力學, dynamics)
  관성력을 고려하여 물체에 작용하는 힘과 운동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

동역학적 상사 (動力學的 相似, dynamic similitude)
  원형과 모형의 대응점에 작용하는 힘의 비가 동일하고 작용방향이 같은 조건. 기하학적 상사,  운동학적 상사와 함께 모형상사의 기본요소.

동역학적수문학 (動力學的水文學, dynamic hydrology)
  수문계통의 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양한 매개변수 항으로 표현하는 확정론적 접근법을 사용하는 수문과정의 분석 방법.

동우 (凍雨, glaze)
  비나 이슬비가 지면이나 물체에 부딪히면서 동결되어 생긴 투명한 얼음. 기상학에서는 비얼음이라 함.

동위원소 (同位元素, isotope)
  같은 원소이면서 질량이 다른 원자 또는 원자핵. 대개 동위체의 성질은 비슷하지만 수소, 중수소, 3중수소의 경우에는 그 성질이 다름. 13C같은 물질은 연구용으로 많이 사용됨.

동위원소모래 (同位元素 - , radio isotope sand)
  방사선 동위원소나 인공방사능을 쪼인 모래로서 표사이동추적 등에 사용.

동융기 (凍隆起, frost heave)
  → 동상.

동적공간 (動的空間, dynamic space)
  활동이 많이 일어나는 공간. 시간적으로 흐름이나 변화가 크거나 물량적으로 많을 때를 말함.

동적관입시험 (動的貫入試驗, dynamic penetration test)
  로드의 선단에 설치된 콘을 일정높이에서 낙하시키는 햄머의 충격에 의해 지반에 타입하여 일  정한 깊이만큼 관입하는 데에 소요되는 타격횟수를 구하는 시험. 주로 모래지반, 모래자갈지반에  적용됨.

동적 구조 해석 (動的 構造 解析, dynamic structural analysis)
  구조물에 작용하는 관성력을 고려하여 수행하는 구조해석.

동적 응축 (動的 凝縮, dynamic condensation)
  동적 평형 방정식의 자유도를 줄이는 과정.

동적지반반력계수 (動的地盤反力係數, dynamic coefficient of subgrade reaction)
  동적하중에 대한 단위면적당의 스프링정수. 푸팅 혹은 말뚝 등의 구조물에 대한 기진(起振)실험으로부터 구해지는 경우가 많음.

동적 평형 (動的 平衡, dynamic equilibrium)
  움직이는 물체에 작용하는 외력과 관성력이 평형을 이루고 있는 상태.

동적 확대 계수 (動的 擴大 係數, dynamic magnification factor)
  어떤 하중이 정적으로 구조물에 작용하였을 때 구조물에 발생한 변위에 대한 동일한 크기의 하중이 동적으로 작용하였을 때 구조물에 발생하는 변위의 비.

동점도 시험 (動粘度 試驗, kinematic viscosity test)
  Say bolt-Furol 점도시험방법으로 시료를 시험기의 점도관속에 넣고 아스팔트의 온도를 조절하여 그의 온도가 일정하게 되었을 때 시료를 유하시켜 그릇에 일정량 채워지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시험방법으로 점도단위는 poises고 동점도는 이 poises를 그의 온도에서 유체의 밀도로 나눈 값으로 C.G.S 단위로 cm2/sec이며 stokes라 함.

동점성계수 (動粘性係數, dynamic / kinematic viscosity)
  점성계수를 유체밀도로 나눈 값. 통상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유체의 내부저항의 척도.

동질성 난류 (同質性 亂流, homogeneous turbulence)
  수평방향과 연직방향의 속도의 변화성분이 같은 난류.

동차고 (動車庫, railcar shed)
  동차의 검사, 수선 및 수용을 하기 위하여 설치한 차고.

동탄성계수 (動彈性係數,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동적시험에 의해 구해지는 탄성계수. 평판재하시험에서 하중을 동적으로 가함으로써 구해짐.  또한 P파속도, S파속도로 부터 구할 수도 있음.

동태시력 (動態視力, movement eyesight)
  움직이는 물체를 판별하는 시력이며 그 반대개념은 정지시력임.

동하중 (動荷重, dynamic load, live load)
  구조물에 진동 또는 충격등 동적 효과를 유발시키는 하중의 총칭. 즉 구조물에 작용하는 열차, 자동차의 하중 등이 있음.

동형치환 (同形置換, isomorphous substitution)
  점토광물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시트내의 한 원자가 이온반경이 비슷한 다른 원자에 의해 치환  되는 것.

동화작용 (同化作用, assimilation)
  생물체가 체내에 필요한 세포물질을 만드는 작용. 광합성에 의한 탄소동화작용이 그 대표적인 예이며, 이화작용의 대응용어임.

동흡진기 (動吸振器, dynamic vibration reducer)
  소요진동수 범위에 걸쳐 주진동계에 미치는 부가진동계의 힘을 주진동계에 작용하는 힘과 위상  각이 반대로 되도록 조정하여 주진동계의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되돌림파 ( - 波, backrush, backwash)
  파의 쳐올림 후에 연속되는 물의 바다쪽 회류.

되메우기 ( - , refilling)
  파낸 곳을 도로 메우는 것.

되비비기 ( - , retempering)
  콘크리트 또는 모르터가 엉기기 시작하였을 경우에 다시 비비는 작업.

된비빔콘크리트 ( - , concrete of dry consistence)
  슬럼프가 약 2.5 cm 정도 이하인 콘크리트.

두께조절기 ( - , thickness controller)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설시 스프리더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핸들.

두께지시계 ( - , thickness guage)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포설두께를 측정하는 기구로서 검측봉이라고 불림. 봉하단부터 눈금이 새겨져 두께를 측정함.

두내건분석 ( - 分析, dunagan analysis)
  모르터 또는 콘크리트의 배합을 조사하기 위하여 경화 전의 모르터 또는 콘크리트의 조성을 분석하는 방법.

두단식 정거장 (頭端式 停車場, stub / dead-end station)
  착발 본선이 막힌 종단형으로 된 정거장을 말하며 정거장의 주요 건조물은 선로의 종단 쪽에 설치됨.

두보이 공식 ( - 公式, Du-boy’s formula)
  이동토사층의 저항력과 소류력의 관계로부터 소류사량을 구하는 공식. 두보이는 소류사량에 관한 최초의 연구자로 알려져 있음.

두부 열처리레일 (頭部 熱處理軌條, head hardened rail)
  급곡선부에는 편마모로 인한 갱환주기가 잦아 레일의 두부를 열처리하여 경도를 높인 레일. 곡선 외측에 부설하여 수명을 연장시키고 있음.

둑 ( - , levee, dyke, dike, embankment)
  상류의 수면높이 또는 흐름을 조절하거나, 운하로 물을 전환 공급하기 위하여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된 일련의 수문 또는 다른 조절장치를 갖는 구조물.

둑식 차막이 (“ - 車止, standed siding)
  선로의 종점에 있어 차량의 일주를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하는 설비를 말하며, 안전측선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갈을 덮고 흙으로 둑 모양을 만드는 방식.

둑턱 ( - , berm, benquette)
  둑의 비탈에 설치한 평탄부.

둔단 포인트 (鈍端 轉轍器, stub switch)
  구조에 다른 포인트의 한 종류로 구조가 간단하나 열차가 분기선에 진입할 때 레일의 결선간격은 열차에 충격을 주므로 최근에는 잘 사용하지 않음.

둥근강 ( - , round bar)
  표면에 리브 또는 마디 등의 돌기가 없는 원형단면의 봉강. 주로 철근콘크리트용 철근으로 사용됨.

둥근기둥 (圓柱, round column)
  원형단면의 기둥.

둥근리벳 ( - , round head rivet)
  → 둥근머리 리벳.

둥근머리리벳 ( - , round head rivet)
  반구상의 기성두부를 갖는 리벳.

뒤댈판(띠) ( - , backing plate)
  홈용접에서 V 형일 때 최하층의 용착금속의 냉각이 빨라 이를 막기 위해 쓰는 판.

뒤채움 ( - , back filling)
  구조물이나 옹벽 등 뒷면에 깬돌 자갈 등 잘 다져지고 투수성이 좋은 재료를 채우는 것. 뒤채움 재료는 옹벽이나 돌쌓기에는 뒷면의 배수를 잘해 주고 수압을 경감할 뿐 아니라 특히 돌쌓기에는 전체의 안전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함.

뒤채움그라우팅 ( - , backfill grouting)
  복공과 지반간의 간극을 주입재료로 채우는 것.

뒤틀림 ( - , distorsion)
  부재의 단면과 구조물의 골조가 응력을 받아, 혹은 시공상의 미비에 의해, 정규형상과 위치가 비뚤어져 있는 상태.

뒴 ( - , warping)
  비틂 하중에 의하여 한 단면 위의 질점에 재축방향 변위가 발생하는 현상..

뒴 강도 ( - 剛度, warping rigidity)
  구조물이 뒴 변형에 대하여 저항하는 정도.

뒴 비틂 ( - , warping torsion)
  뒴을 발생시키는 비틂.

뒴 함수 ( - 函數, warping function)
  비틂 하중에 의하여 주어진 단면에 발생하는 뒴 변위를 표시하는 함수.

뒷댐재 ( - 材, backing)
  홈의 저부에 뒷면에서 대는 것으로, 금속판이나 입상프락스 등. 금속판에서 모재와 같이 용접되는 경우는 이재금속이라고 함.

뒷면굽힘시험 ( - 試驗, root bend test)
  맞대기용접이음의 루트(root)쪽이 인장측이 되게 굽히는 시험.

뒷면따내기 ( - , back chipping)
  맞대기용접에서 홈저부의 용입불량부분 또는 제1층 부분 등을 뒷면에서 따내기 하는 것.

뒷면용접 (背面鎔接, backle weld)
  앞면용접이 끝난 뒤 뒷면을 깍아서 생생한 용접층이 나타나게 한 뒤에 그 위에 뒷면용접을 하는 것.

뒷면칩핑 ( - , back chipping)
  뒷면 가우징 하는 것을 말함. 이렇게 한 다음 뒷면용접을 완전히 함.

뒷면플래스터 바르기 ( - , back plastering)
  나무조각을 댄 벽의 안쪽면에 플라스터를 바르고 그것이 경화한 후에 표면을 바르는 것.

뒷부벽식옹벽 ( - 扶壁式擁壁, counter forted wall)
  토압을 받는 쪽에 부벽을 두는 옹벽.

듀벨 ( - , dowel)
  → 다우웰.
듀피의 근사 ( - , Dupuit’s approximation)
  수평에 가까운 정상류에 대하여 흐름선이 수평이고 연직면내의 속도가 일정하다고 가정하여 경사를 수평거리에 대한 수두 변화로 표현하는 간략화된 가정.

드라이믹스숏크리트 ( - , dry mix shotcrete)
  → 건식 숏크리트.

드라이브슈 ( - , drive shoe)
  드라이브파이프를 타입할 때 타입을 쉽게 하기 위하여 파이프 앞부분에 붙이는 끝날.

드라이브파이프 ( - , drive pipe)
  보링을 할 때 보링 구멍벽 상부의 붕괴를 막기 위하여 타입하는 강관으로써 길이는 1.0~1.5m 정도가 많이 사용됨.

드라이브핀 ( - , drive pin)
  특수 강재 못을 화약 폭발로 발사하는 기구를 써서 콘크리트 벽돌벽 등에 박는 못.

드라이브헤드 ( - , drive head)
  드라이브 파이프 상부에 때려 넣어 무거운 추로 때려 박을 때나 뚫고 들어가는 도중에 최상부의 드라이브파이프의 나사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붙이는 철물.

드라이팩 ( - , dry pack)
  축축한 정도로 수분이 적은 시멘트와 골재의 혼합물을 좁은 타설 장소에 강제로 밀어 넣는 것, 또 이와 같이 타설 된 혼합물을 말함.

드라이팩콘크리트 ( - , dry packed concrete)
  강력하게 밀어 넣음으로써 다져지는 수분이 적은 배합의 콘크리트.

드래그 ( - , drag)
  가스 절단면에 있어서 절단산소기류의 입구점과 출구점의 수평거리.

드래그라인 ( - , dragline)
  셔블계 굴착기의 일종. 긴 붐 상단에 매달린 버킷을 와이어로 끌어당겨 흙을 끌어내리거나 굴착, 싣기를 하는 기계.

드래그라인버킷 ( - , dragline bucket)
  드랙라인에 부착된 버킷.

드래그분급기 ( - 分級機, drag classifier)
  침전된 입자를 고리모양의 체인에 달린 다수의 긁어 올리는 판으로 긁어 올리는 분급기.

드래그석션준설선 ( - 浚渫船, drag suction dredger)
  준설작업을 주로 항해중에 하는 자항준설선. 선측에 석션파이프를 매달고 해저의 토사를 빨아 올려 자체의 홉퍼에 넣고 준설구역 밖으로 이동하여 홉퍼에 있는 토사를 버림.

드래그셔블 ( - , drag shovel)
  기계위치보다 낮은 장소에 있는 흙을 굴착, 싣기에 적합한 굴착기. 단단한 토질의 굴착이나 정확한 굴착이 가능하므로 기초터파기, 도랑터파기에 사용 함.

드래그스크레이퍼 ( - , drag scraper)
  낮은 양 지주 사이에 와이어 로프를 달고 여기에 단 버킷을 왕복 모두 지면에 닿도록 하여 끌어당기면서 긁어 담는 굴착, 싣기 기구.

드래그헤드 ( - , drag head)
  펌프준설선의 석션파이프 끝에 장치되어 물밑의 토사를 끌어올리는 기구.

드럼 ( - , drum)
  크레인 또는 윈치의 일부분으로, 케이블이나 체인을 감는 원형관 또는 장구 모양의 기구.

드럼롤러 ( - , drum roller)
  도로용 롤러, 토공용롤러중에서 동체가 둥근관 모양을 한 다짐기계의 총칭.

드럼믹서 ( - , drum mixer)
  콘크리트믹서의 일종으로서 내부에 날개가 달린 둥근관 모양의 용기를 회전시켜서 내부의 재료를 혼합하는 기계. 비벼진 콘크리트의 배출방법에 따라 가경식믹서와 부경식믹서로 구분됨.

드럼수문 ( - 水門, drum gate)
  댐의 여수로에 설치되는 수문의 일종. 여수로 정점부에 수문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놓고, 수문을 이 공간에 넣으면 여수로면과 수문의 표면이 매끈하게 이어져서 최대월류를 보장할 수 있음.

 

그림

 


드럼워셔 ( - , drum washer)
  골재에 붙은 불순물이나 점토를 물로 씻는 회전원형관.

드롭볼 ( - , drop ball)
  윈치로 감아 올려서 떨어뜨려 돌을 작게 부수는 강재로 만든 구.

드롭인빔 ( - , drop in beam)
  보통은 캔티레버보에 의해 지지되며 소정의 위치에 내려놓아 접합시킨 단순보.

드롭패널 ( - , drop panel)
  플래트슬래브 구조에서 기둥머리 부분에 일어나는 슬래브의 응력을 작게 할 목적으로, 슬래브 두께를 다른 곳보다 두껍게 한 부분.

드롭해머 ( - , drop hammer)
  삼발이(버팀기계)에 추를 매달고 윈치로 감아올린 뒤 자중으로 낙하하는 해머. 말뚝, 널말뚝 등을 박는데 사용함.

드리프터 ( - , drifter)
  공사용 착암기의 일종으로 수평방향의 구멍을 뚫는데 사용됨. 상향파기에는 스토퍼, 하향파기에는 싱커가 사용됨.

드리프트 핀 ( - , drift pin)
  리벳 또는 볼트접합의 강재 조립시에 구멍맞춤에 사용하는 핀으로 각 접합재의 구멍에 끼워 넣  기도 하는 것으로 양단을 가늘게 한 핀임.

드리프팅 ( - , drifting)
  재편을 맞추고 리벳구멍의 어긋난 것을 고치기 위하여 쓰는 테이퍼 진 강봉으로 하는 일.

드릴 ( - , drill)
  천공에 사용하는 공구로서, 주로 가공기기에 장치하여 사용함. 통상은 트위스트 드릴이 많지만, 평평한 부분과 각종 깊은 천공의 심공용 드릴이 있음.

드릴강 ( - 鋼, drill steel)
  드릴에 사용하는 강재.

드릴로드 ( - , drill rod)
  착암기와 비트를 연결하는 긴봉.

드릴비트 ( - , drill bit)
  구멍뚫는 기계의 구멍뚫는 날.

드릴샤프너 ( - , drill sharpner)
  드릴 끝날을 뾰족하게 손질하는 기계.

드릴선 ( - 船, drill boat)
  선박의 측면에 드릴을 부착시킨 작업선. 해저의 암반에 구멍을 뚫고 그 안에 화약을 채워 폭파하는 경우에 쓰임. 착암선이라고도 함.

드릴점보 ( - , drill jumbo)
  수개의 착암기를 장착한 착암작업 장비.

드립 ( - , drip)
  목재, 석재 또는 콘크리트의 돌출된 부분의 아래쪽 벽에 빗물이 들어 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붙이는 오목한 부분.

들보 ( - , beam, girder)
  재축에 직각방향으로 하중을 받는 일차원 부재의 총칭. 외부하중을 주로 휨 강성에 의하여 지점으로 전달함.

들보교 ( - 橋, girder / beam bridge)
  들보를 주 구조로 하는 다리.

등가관 (等價管, equivalent pipe)
  → 등가길이관.

등가길이관 (等價 - 管, equivalent-length pipe)
  동일한 수두손실을 발생시키면서 같은 크기의 유량이 흐르는 관 계통. 직경이 다른 관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을 때 흐름 문제를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념.

등가단축하중 (等價單軸荷重, equivalent single axle load) 
  포장두께 설계를 위한 교통량산정에 사용되는 하중개념으로서 포장체에 표준단축하중이 작용했을 때 이하중이 포장체에 주는 손상도를 표준손상도로하고, 바퀴나 축형식에 관계없이 이것과 같은 량의 손상도를 주는 하중을 등가단축하중이라 함. 우리 나라의 경우 표준단축하중으로 8.2 톤 단축하중(축양쪽에 4.1 톤씩 작용)을 사용함.

등가묻힘길이 (等價 - , equivalent embedded length)
  갈고리 또는 기계적 정착장치가 전달하는 응력과 동등한 응력을 전달할 수 있는 철근의 뭍힘 길이.

등가뼈대법 (等價 - 法, equivalent frame method)
  이방향슬래브의 설계방법의 하나로서 슬래브를 역학적으로 등가의 뼈대로 환산한 후 종횡 2방향으로 통과하는 등가뼈대 구조물을 해석하여 구한 단면력에 대하여 부재설계를 하는 방법.

등가사각형응력분포 (等價四角形應力分布, equivalent rectangular stress distribution)
  철근콘크리트부재의 극한강도 설계에 있어서, 휨 또는 휨과 축력을 겸해 받는 단면의 콘크리트의 압축응력이 로 균등하고, 이 응력이 압축연단에서 a = k․c 까지의 부분에 등분포하다고 가정한 것.

등가소음 (等價騷音, equivalent sound)
  변동이 심한 소음의 경우 적당한 시간간격으로 소음레벨을 판독하여 5데시벨 계급으로 분류하고 각 레벨과 그 백분율로 부터 산출한 평균값.

등가 응력 (等價 應力, equivalent stress)
  다축 응력 상태에서의 응력의 크기를 등가의 일축 인장 응력으로 표시하는 것.

등가 절점 하중 (等價 節點 荷重, equivalent joint load)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이 주어진 가상 변위에 대하여 하는 가상일과 동일한 가상일을 할 수 있도록 절점에 재하된 하중.

등가조도 (等價粗度, equivalent roughness)
  하천단면의 윤변전체에 걸쳐 조도계수가 일정하지 않을 때 이와 동일한 평균유속을 나타내는 조도계수가 일정한 단면에서의 조도계수.

등가 편심 거리 (等價 偏心 距離, equivalent eccentricity)
  축 방향력과 휨모멘트가 동시에 작용하는 경우, 축 방향력이 주어진 모멘트의 크기와 같은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도심으로부터의 거리.

등각점 (等角點, isocenter)
  렌즈중심을 지나 사진면과 직교하는 광축(주점)과 연직선(연직점)이 이루는 각을 2등분하는 광선이 사진면과 교차하는 점을 말함.

등각투영 (等角投影, conformal projection)
  상사투영이라고도 하며, 투영후의 형상이 투영전의 형상과 동일한 투영법을 말함. 투영후 위치, 크기 또는 방향은 달라짐.

등고선 (等高線, contour line)
  지형도상에서 같은 표고의 점을 연결한 곡선으로서, 주곡선, 간곡선, 주곡선, 계곡선 등으로 구분할 수 있음.

등고선간격 (等高線間隔, contour interval)
  이웃하는 등고선 사이의 연직거리(표고차) 임.

등 굽힘 ( - , worn out horse type deformation)
  용접에 의해 생기는 각변형의 일종으로, 판의 한쪽면에 필렛용접을 한 경우에, 판의 바깥쪽과 안쪽의 횡수축량에 차가 생겨 판이 휘는 현상.

등급 (等級, tolerance class)
  일반적으로는 품질에 대한 요구수준 등에 의해 제품구분을 나타냄. 나사부등에서는 허용치에 의한 정밀도특성을 말함.

등단면 부재 (等斷面材, prismatic member)
  단면의 치수가 재축을 따라 일정한 부재.

등대 (燈臺, light house)
  항로 표지의 일종으로서 유․무인 등대가 있으며 야간에 등화로서 선박에게 목표물을 제공하여 선박의 안전항행이 가능토록 하며 유인등대에는 조광기(照光器)의 촛점거리의 대소에 따라 1등에서 6등 및 등외로 구분되어 있음.

등렬식신호기 (登列式信號機, position light signal)
  등의 점등배열에 의하여 열차의 운전조건을 표시하는 신호기.

등류 (等流, uniform flow)
  모든 흐름선을 따라 유속벡타가 일정한 흐름. 흐름의 상태가 위치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 흐름이며 부등류와 대비됨.

등류수심 (等流水深, normal depth)
  등류상태로 흐르는 수심. 유량과 수로단면, 에너지경사가 주어지면 한 값으로 정의됨.

등류유량 (等流流量, normal discharge)
  등류상태 흐름의 유량. 수로단면과 경사가 결정되면 등류유량도 한 값으로 결정됨. 대표적인 등류공식으로 마닝의 공식이 있음.

등류하시간선도 (等流下時間線圖, isochrone map)
  유역의 출구에까지 이르는데 걸리는 유하시간이 같은 점들로 이어진 등유하시간선들을 표시한  지도 또는 그림.

등방성 (等方性, isotropy)
  모든 방향으로 특성이 동일한 재료의 성질.

등방성 변형경화 (等方性 變形硬化, isotropic strain hardening)
  소성변형에 의하여 항복함수가 확장할 때 모든 응력 성분 방향으로 동일한 크기로 항복함수가 확장하는 현상.

등방압밀 (等方壓密, isotropic consolidation)
  등방압력하의 압밀. 일반적으로 삼축압축시험기에서는 축압과 측압을 동일하게 압밀함. 실제 지반속에서 흙이 압밀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그 압력은 등방적이 아니고 수평방향의 압력  은 연직방향의 압력보다 작은 것이 보통임.

등변ㄱ형강 (等邊 - 形鋼, equal angle)
  두변의 길이가 같은 ㄱ형강.

등분포 하중 (等分佈 荷重, uniformly distributed load)
  구조물이나 부재에 균일하게 분포하여 작용하는 하중.

등설심선 (等雪深線, isochian, isonival)
  눈깊이가 같은 점들로 이루어진 선.

등속선 (等速線, isovel)
  수로의 횡단면내에서 동일한 속도를 갖는 점들을 연결한 선.

등수두선 (等水頭線, equipotential line)
  흙댐이나 제방내부나 기초지반에서 압력수두가 같은 점들을 연결한 선.

등시곡선 (等時曲線, isochrone)
  완전 또는 부분적으로 포화되어 있는 점토에 하중이 작용하면 과잉간극수압이 발생함. 배수 시간에 따라 과잉간극수압은 소산되는데 시간 t일 때 점토층 어느 깊이에 피조미터를 설치한다면 이 튜브에는 그 때의 과잉간극수압에 해당하는 수위를 나타내며 깊이에 따라 나타난 수위를 연결하면 곡선이 되는데 이를 등시곡선이라 함. 아이소크론이라고도 함.

등심선 (等深線, contour, depth contour, isodepth, isobath)
  ① 해저의 지형을 표현하기 위하여 평면도에 같은 깊이의 점을 연결한 선. 지형도에서 등고선은 일반적으로 중등조위를 기준으로 하여 그리지만 바다의 등심선은 기본수준면을 기준으로 하여 그리는 경우가 많음.
  ② 지표면으로부터 지하수면까지의 깊이가 같은 점을 연결한 선.

등염선 (等鹽線, isohaline)
  지하수 또는 지표수역 내에서 염기농도가 같은 점들을 연결한 선.

등온선 (等溫線, isotherm, homothermy)
  물 체적의 온도가 깊이에 따라 변하지 않는 상태.

등온흡착식 (等溫吸着式, adsorption isotherm)
  일정한 온도에서 흡착제에 의하여 제거되는 피흡착제의 양을 농도의 함수로서 나타낸 것으로 Freundrich 등온식과 Langmuir 등온식 등이 있음.

등우선 (等雨線, isohyet, isopluvial)
  주어진 기간 내의 강우량이 같은 점들을 연결한 선.

 

 

그림

 

 


등조류선 (等潮流線, cocurrent line)
  조류의 유속과 유향을 동시에 측정하여 동서 성분 및 남북 성분의 시간적 변화곡선으로 표시하여 한 점에서 각 시각의 속도 벡터를 그어 그 정점을 연결한 선. 

등조석도 (等潮汐圖, co-tidal chart)
  조석의 등조시선과 등조차선을 도상에 나타내어 조석의 시간적 변화 및 분포를 보여주는 도면.

등조시선 (等潮時線, co-phase)
  동시에 만조가 되는 위치를 연결한 선.

등조차선 (等潮差線, co-tidal)
  조차가 같은 지점을 연결한 선.

등지하수위선 (等地下水位線, isopiezotic line)
  압력수두가 같은 점들을 연결한 선.

등치환산계수 (等値換算係數, coefficient of layer equivalency)
  상대강도계수라고도 하며 이 계수값은 실질적인 포장의 총두께를 포장두께지수(Structural Number : SN)로 전환하기 위한 것으로 포장구조 각층 재료의 특성에 따라 CBR, R치 탄성계수 또는 동탄성계수와의 상관관계로부터 산정함.

등판차선 (登坂車線, climbing lane)
  → 오르막 차선.

디귿형강 ( - 形鋼, channel steel section)
  구조용 압연강재의 일종으로, 단면이 ㄷ형으로 된 형강.

디급 항공기 ( - 級 航空機, class D aircraft)
  항공기의 날개끝 소용돌이 등급이 heavy급이고 무게가 300,000만 파운드 이상인 항공기. 활주로 용량 및 지체시간 산정을 위한 항공기 혼합율 지수계산식에 사용됨.

디몰리셔 ( - , demolisher)
  쐐기모양의 공구를 박아 넣고 유압을 작용시켜 암석을 작게 쪼개는 공구.

디비닥공법 ( - 工法, dywidag method)
  프리스트레싱 강봉, 너트를 사용하여 일시 정착한 후, 커플러로 프리스트레싱 강봉을 연장하면서 동바리 없이 캔틸레버로 조금씩 가설하여 나가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교의 시공방법.

디비엠에스 ( - , DBMS)
  → 자료기반관리체계.

디스크플라우 ( - , disc plough)
  진행방향에 대하여 어느 각도로 장치된 원형판이 회전하면서 흙을 갈아엎는 기계.

디스크해로우 ( - , disc harrow)
  원형판 모양의 블레이드를 병열로 한 구조의 것으로, 노상에 견인하여 노반재료 등을 교반혼합하는 용구.

디스팬서 ( - , dispensor)
  AE제 용액의 계량장치. 체적을 계량하는 것과 용액의 유하속도를 일정하게 하여 유출시간으로 계량하는 것 등이 있음.

디이엠 ( - , DEM)
  → 수치표고모형.

디젤기관차 ( - 機關車, diesel locomotive)
  디젤기관을 장비한 기관차. 가솔린 기관차에 비하여 가격은 고가이나 연료비 및 경비가 적게 듬. 동력전달 방식상 전기식, 액압식, 치차식 등이 있음.

디젤셔블 ( - , diesel shovel)
  디젤기관을 동력으로 한 셔블.

디젤전기기관차 ( - 電氣機關車, diesel electric locomotive)
  디젤유를 연료로 사용하여 기관을 구동 발전기를 회전시켜 발생된 전기를 견인 전동기에 보내주면 전동기가 돌아 차륜을 돌게하는 기관차로서 일명 디젤기관차라고 함.

디젤전기셔블 ( - 電機 - , diesel electric shovel)
  기계몸체 내에서 디젤기관을 발전하여 이것으로 전동기를 회전시켜 동력으로 하는 셔블.

디젤해머 ( - , diesel hammer)
  충격에너지가 큰 기초타격기의 일종. 피스톤 낙하에 의해 실린더내의 연료(경유와 공기의 혼합가스)를 폭발시켜, 그 충격력에 의해 파일 머리를 타격하고 그 반동에 의해 피스톤을 재상승시켜 다음 타격을 이행함.

디지타이징 ( - , digitizing)
  지도나 도면을 표현 할 수 있는 전자적 또는 전자기적 평판인 디지타이저를 사용하여 점, 선, 면의 좌표를 입력하는 지도 또는 도면의 수치화 작업의 하나임.

디티엠 ( - , DTM)
  → 수치지형모형.

디티존법 ( - 法, dithizone method)
  미량금속이온의 정량분석방법의 하나. 디티존을 사용하여 금속의 착염을 형성시키고 이를 유기용제로 추출하여 분석함.

디퍼 ( - , dipper)
  셔블계 착암기의 흙을 퍼 올리는 부분.

디퍼스틱 ( - , dipper stick)
  파워셔블의 붐에 붙어 있고 그 끝에 디퍼를 단 자루.

디퍼준설선 ( - 浚渫船, dipper dredger)
  버킷을 사용하여 굳은 지반의 굴착 및 준설을 하는 배. 선체에 장치된 긴 붐 끝에 버킷이 있고, 붐을 회전시켜 버킷으로 토사를 퍼 올려 토운선에 옮겨서 준설함.

디퍼핸들 ( - , dipper handle)
  동력셔블의 디퍼를 붐에 연결하는 부분.

디프노치 시험 ( - 試驗, deep notch test)
  금속재료와 용접부의 취성파괴시험에 사용하는 시험체로 깊은 노치를 가공한 시험체에 의한 가역시험.

디형균열 ( - 型龜裂, D cracking)
  콘크리트가 동결 융해 작용을 받을때, 부재의 끝 부분, 포장판의 이음, 수리구조물의 수면 등의 선에 평행하게 생기는 균열.

딕소트로피 ( - , thixotropy)
  지반공학에서는, 점성토가 교란되면 강도가 저하되는데, 이것을 함수비가 불변인 상태로 방치하여두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강도의 일부가 회복되는 현상을 말함.

딘 ( - , DIN)
  독일공업표준규격(Deutsches Institut für Normung)을 말함.

딜레마 구간 ( - 區間, dilemma zone)
  신호교차로의 전방부에서 황색등이 켜진 순간 차량이 안전하게 정지선 전에 정지할 수 없거나 과속 없이 적색신호전에 교차로를 통과할 수 없는 교차로에 인접한 구역.

딜리버리호스 ( - , delivery hose)
  뿜어붙이기 콘크리트 또는 콘크리트를 펌프로 타설할 경우 뿜어붙이기 콘크리트의 재료 혹은 콘크리트가 통과하는 호스.

딤플 ( - , dimple)
  금속 파단면 현미경사진에서 파괴패턴의 하나로서, 연성파괴상태에 있어서 국부적으로 과하중을 받아서 다수의 미소공동이 발생하며, 이것이 합쳐지면서 파괴편상태를 나타냄. 여기에 미끄럼  변형이 수반되면 ripple로 되며, 노치인성이 작으면 river pattern을 나타내게 됨. 피로구열이 진전·성장되면 striation 또는 tire track이라 함. 입자경계간 파단을 일으킬 때는 rocky candy 또는 mud structure라 함.

땅고르기 ( - , grading, leveling)
  건설공사를 위하여 지표면을 평탄하게 고르는 것.

땅깍기부 (切土部, cut section)
  도로나 선로의 신설, 개수 등 토공작업에서 토사를 절취했거나 절취할 부분.

땅깍기칼날 (切土 - “, cutting edge)
  도저, 스크레이퍼 등의 배토판에 달린 칼날.

땜납 ( - , solder)
  용융점이 낮고 용착성이 좋은 납합금의 일종으로 금속제의 접착용제로 사용됨.

떼붙이기 ( - , sodding)
  비탈면 보호를 목적으로 잔디를 붙이는 일. 가장 간단한 비탈면 보호공법의 일종.

뜨임 ( - , tempering)
  강재 열처리의 한 방법으로 담금질 한 강을 400 ℃ 정도 이하로 가열한 후 공기중에서 서서히 냉각시키는 조작. 담금질한 강은 너무 무디고 야물며 내부에 변형이 일어나므로 이를 조정할 목적으로 함.

뜬기초 ( - 基礎, floating foundation)
  기초의 근입깊이를 깊게 하여, 기초굴착에 의하여 배제된 흙의 중량과 건물하중이 균형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지중응력의 증가를 방지하는 기초형식.

뜬돌 ( - , floating rock)
  큰 바위나 돌이 느슨하게 땅깍기 부분 비탈면에 박혀 있어서 후일에 빠져나오기 쉬운 돌.

뜬 말뚝기초 ( - 基礎, floating pile foundation)
  연약지반에서 양질의 지반층까지 관입되지 않은 말뚝으로 지지되는 기초.

뜬 스파이크 (浮犬釘, loose spike)
  레일을 침목에 고정시키는 스파이크가 침목의 부패 또는 곡선부 외궤에 작용하는 원심력 등으로 지지력 상실 등으로 솟아올라 있는 것.

띠기초 ( - 基礎, strip foundation)
  얕은 기초중에서 푸팅기초가 연속된 형태로 되어 있는 것.

띠쇠 (帶鐵, band iron)
  얇은 띠 모양의 철판으로서 포옴타이로 쓰이거나 달아매는데 쓰임.

띠장 ( - , wale)
  흙막이 벽의 지지재의 일종으로서 벽면에 따라 적당한 깊이마다 수평으로 댄 부재. 띠장을 이용하여 버팀재로서 벽을 지지한 부재를 버팀대라 하며 버틈대의 끝은 내부의 구조물이나 반대 쪽의 흙막이 벽을 이용하여 정착시킴. 띠장은 휨재이고 버팀대는 압축재임.

띠철근 ( - 鐵筋, hoop reinforcement / tie)
  축방향 철근을 소정의 간격마다 둘러싼 횡방향의 보조철근.

띠철근기둥 ( - , hoop tied column)
  주철근의 둘레를 일정간격마다 띠철근으로 둘러 감은 철근콘크리트 기둥.

띠판 ( - 板, band steel / plate, hoop iron, tie / stay plate)
  조합부재에서 부재 상호간을 결속시키는 대상의 판.

띠판조립보 ( - 板組立, open web girder)
  띠판으로 묶은 조립보.

띠폭 ( - , bandwidth)
  정방 행렬에서 0이 아닌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대각 방향 띠의 폭.

띠하중 (“ - 荷重”, strip load)
  하중분포의 형태가 띠 모양을 띠고 있는 것.

띠 행렬 ( - 行列, banded matrix)
  어떤 행열의 영이 아닌 계수가 대각요소를 중심으로 띠모양으로 분포하는 행열.

반응형

'토목사전/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목 사전 (ㅂ~ㅅ)  (0) 2008.05.21
토목사전 (ㄹ~ㅁ)  (0) 2008.05.21
토목사전 (교~끝)  (0) 2008.05.19
토목사전 (겹~굄)  (0) 2008.05.19
토목사전 (가~결)  (0) 2008.05.19

+ Recent posts